노벨상 이야기 - 토요과학강연 - 전 승 준 (고려대 화학과).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노벨상 이야기 - 토요과학강연 - 전 승 준 (고려대 화학과)."— Presentation transcript:

1 노벨상 이야기 - 토요과학강연 - 전 승 준 (고려대 화학과)

2 목 차 노벨상 개요 수상자 통계 수상에 대한 요인 수상자 배출을 위한 방안

3 I. 노벨상 개요

4 노벨상 개요 1 ■ 그 이자를 해마다 바로 전년도 인류를 위하여 가장 위대한 공헌한 사람 (1901년부터 시행)
■ 유산 3300만 크로나(당시 약 900만달러) 기금 설립. ■ 그 이자를 해마다 바로 전년도 인류를 위하여 가장 위대한 공헌한 사람 (1901년부터 시행) ■ 그 일부를 물리학 분야에서 가장 중요한 발견 또는 발명한 사람에게, 그 일부를 가장 중요한 화학 상의 발견 또는 개량한 사람에게, 그 일부를 생리학 또는 의학의 영역에서 중요한 발견을 한 사람에게, 그 일부를 문학에서 이상주의적 경향을 갖는 가장 뛰어난 작품을 쓴 사람에게, 그 일부를 국가 간의 우호, 군비축소 철폐, 평화 회의의 조직이나 보급을 위해 최상, 최선의 일을 수행한 사람에게 줌.

5 노벨상 개요 2 ■ 물리학 및 화학은 스웨덴 왕립 과학아카데미가 수여 생리학 또는 의학은 스톡홀름의 카롤린스카 연구소가 수여
■ 물리학 및 화학은 스웨덴 왕립 과학아카데미가 수여 생리학 또는 의학은 스톡홀름의 카롤린스카 연구소가 수여 문학은 스톡홀름의 스웨덴 아카데미가 수여 평화상은 노르웨이 국회가 선출하는 5명의 의원이 수여함 (5개상 이외에 1968년 스웨덴 국립은행 창립 300주년 경제학상 추가 ) ■ 상을 받는 사람은 국적에 상관 없이 가장 적합한 사람에게 수여함. ■ 수상자는 한 분야 3명까지(항상 동일배분은 아님). 수상이 결정된 날까지 생존자. 수상 결정 후 사망한 경우도 수상가능. 단체 수상 가능한 평화상 제외하고 개인에게만 수상 수상자가 정해지지 않으면 그 이듬해까지 결정가능. 2년 분 한 회 시상가능

6 노벨상 전형제도 1 ■ 전 세계의 대학 연구기관 추천의뢰장 3000통 정도 발송 (전해 9월경)
■ 전형 경비 : 한 부문당 10억원정도, 즉 상금과 거의 비슷한 액수 ■ 전 세계의 대학 연구기관 추천의뢰장 3000통 정도 발송 (전해 9월경) 노벨상 수상자, 전형위원회가 추천한 대학교수, 기관 등(1/31마감) 일반적으로 10-20% 추천장 접수, 추천이 없어도 위원회에서 추가 추천 2/1 전형 시작 ■ 수상자는 물리. 화학은 왕립과학아카데미, 생리또는의학은 카롤린스카 연구소의 각 50명으로 구성된 노벨회의에서 결정. 이 위원은 퇴임할 때까지 종신제. 노벨회의는 노벨 위원회의 위원 5명 선출 임기는 3-5년. 이 위원회에서 임기 1년의 전문위원 5-10명 선출하여 전형 시작 ■ 노벨성의 전형은 우선 시상분야 결정.5월 말까지 6-7개의 시상분야 결정

7 노벨상 전형제도 2 ■ 9월 가장 중요한 인물과 그 업적 리스트 작성 최대 3명으로 압축
■ 6-8월말 수백 페이지의 보고서 정리 ■ 9월 가장 중요한 인물과 그 업적 리스트 작성 최대 3명으로 압축 ■ 10월 최종 결정은 노벨회의 회원 50명의 투표에서 다수결로 결정. 결정직후발표 ■ 12월 10일 노벨상 시상식 : 스톡홀름 콘서트 홀 노벨상 만찬 : 스톡홀름 시청 Blue Hall

8 노벨상금 (1920년대 영국 캐번디시연구소 예산이 1만달러가 채 안됨)
■ 상금 1901: 150,800크로나( 0.85 만달러) (1920년대 영국 캐번디시연구소 예산이 1만달러가 채 안됨) 2001년이후 현재: 10,000,000크로나(약120만달러) ■ 상금이 당시 너무 커서 세계적으로 화제가 됨. 초기에는 과학상 보다는 문학상과 평화상이 전세계적으로 언론에 보도됨. ■ 재단에 독자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기부에 대하여 신중 정부나 공적 기관으로부터 일체 안 받음 민간으로부터도 기부의 조건이 붙어있지 않은가 엄중 검토 국제적 기관으로부터 상을 받는 경우 상금을 받음 (예: 일본 국제상과 교토상, 상금 각 5천만엔)

9 II. 수상자 통계

10 남아공/노르웨이/스페인/아일랜드/파키스탄/
노벨과학상 수상국가별 통계( ) 순위 국적 수상자수 비율 1 미국 242 43.7% 2 영국 78 14.1% 3 독일 65 11.7% 4 프랑스 29 5.2% 5 스웨덴 16 2.9% 스위스 7 네덜란드 15 2.7% 8 일본 14 2.5% 러시아 10 덴마크 9 1.6% 오스트리아 이탈리아 13 캐나다 1.3% 오스트레일리아 6 1.1% 벨기에 0.7% 아르헨티나/ 이스라엘 각 3 (6) 각 0.5% (1.1%) 18 인도/중국/체코/헝가리 각 2 (8) 각 0.4% (1.4%) 22 남아공/노르웨이/스페인/아일랜드/파키스탄/ 포르투갈/핀란드 각 1 (7) 각 0.2% (1.3%) 계 28개국 554* 100 2회 수상자 3인, 2중 국적자 9 인 (KISTEP, 차두원 자료)

11 미국 강세 이유 ■ 유능한 유대인이 유럽에서 미국으로 망명 (노벨 수상자 중 30%(130여명)정도 유대인)
■ 전쟁 후 단연 세계 제일의 국력과 군사력, 경제력 세계 리더 ■ 유능한 유대인이 유럽에서 미국으로 망명 (노벨 수상자 중 30%(130여명)정도 유대인) ■ 대학과 연구기관의 높은 수준 연구 가능한 인력과 환경 공정한 평가와 그에 걸맞은 연구비 배분 연구자의 대우 전 세계 우수 학자들의 메카

12 서구 근대 과학발전 (일본 과학사가 유아사 미쓰토모) ■ 1650-1730 영국(뉴턴)
(일본 과학사가 유아사 미쓰토모) ■ 이탈리아(갈릴레오) ■ 영국(뉴턴) ■ 프랑스(라부아지에) ■ 독일(아인슈타인) ■ 미국( ? )

13 작은 나라의 분발과 쇠퇴 취리히, 바젤, 제네바등 주요도시에 세계정상 수준의 대학, 연구기관
■ 스위스 총 인구 720만명 총 13명(전전5 전후 8)의 노벨상 배출 취리히, 바젤, 제네바등 주요도시에 세계정상 수준의 대학, 연구기관 ETH , CERN, 바젤면역학연구소(호프만 라 로슈 설립), IBM연구소 ■ 오스트리아 전전 8명 -> 전후 1명 경직된 교육제도 과학계의 우수연구자, 연구소 부재

14 일본 과학상 수상자(15명) 년도 성명 종류 국적 1947 유가와 히데끼 물리학상 1965 도모나가 신이찌로 1973
에사끼 레오나 1981 후꾸이 겐이치 화학상 1987 도네가와 스스무 생리의학상 2000 사라카와 히데끼 2001 노요리 료지 2002 고시바 마사토시 다나까 고이치 2008 고바야시 마코토 마스카와 도시히데 난부 요이치로 미국 시모무라 오사무 2010 네기시 에이이치 스즈끼 아키라

15 일본의 2000년대 약진 2000년 이전의 미국, 영국, 독일의 3강체제 이였으나,
일본의 2000년대 약진 ■ 년대 10명 수상 2000년 이전의 미국, 영국, 독일의 3강체제 이였으나, 2000년대에 들어와 미국, 영국 다음의 3위 수상국이 됨. 전체에서 미국, 영국, 독일, 프랑스, 스웨덴, 스위스, 네델란드에 이어 8위 ■ 근대화의 메이지 시대 이후 고등 교육과 기초과학의 지속적인 지원 1886년 도쿄대, 1897년 교토대 등 설립. 1917년 이화학연구소(RIKEN)설립 수상자 대부분이 일본 자국내에서 교육받음 1920년대부터 구축된 해외 유명과학자와 네트워크 (유가와와 도모나가의 스승인 니시나 요시오는 일찍이 코펜하겐 대학에서 닐 보어와 공동연구)

16 III. 수상에 대한 요인 - 연구분야 - 연구기관 수상자의 연령 연구과정 : 사제관계 최초의 중요함 잘못된 수상

17 수상분야 :노벨상이 많이 나오는 분야가 있다. 물리학상
(94년까지) 분야 횟수 인원수 X선 분야 기본입자의 발견 – 실험 기본입자의 발견 – 이론 기본입자의 발견 – 실험도구 원자이론 및 실험 물성론 및 빛의 이론과 실험 천체물리학 – 이론 및 실험 기타 5 9 18 7 21 25 6 3 8 36 39 10 4

18 화학상 분야 횟수 인원수 유기화학(고분자화학포함) 물리화학 생화학 무기화학 분석화학 양자화학 물리학 30 16 5 6 4 11
(94년까지) 분야 횟수 인원수 유기화학(고분자화학포함) 물리화학 생화학 무기화학 분석화학 양자화학 물리학 30 16 5 6 4 11 42 22 25 8 13 물리학분야에 가까우면서 화학분야 수상자 11명 예: 아레니우스(1903), 러더퍼드(1908)

19

20 생리 / 의학상 분야 횟수 인원수 생리학 병리학 임상의학 면역학 생화학 약리학 유전학 안과학 분자생물학 25 13 9 6 8
(94년까지) 분야 횟수 인원수 생리학 병리학 임상의학 면역학 생화학 약리학 유전학 안과학 분자생물학 25 13 9 6 8 5 3 10 41 18 17 16 14 28

21 노벨상과 특허 최근 수상자들의 특허 출원은 매우 활발하고 점점 산업과 관련됨.
최근 21년간 물리학상 수상자 48명 가운데 27명 주요국 특허출원 화학상 42명중 25명, 생리/의학상 46명중 23명 (55%정도) 베스트 3 특허 출원자 물리학상 : 킬비(00, 129건) 빈히(89, 92건) 예베르(73, 83건) 화학상 : 노요리((01,270건) 렌(87, 95건) 히거(00, 91건) 생리/의학상 : 하운스필드(77, 134건) 샬리(77, 134건) 히칭스(88, 123건)

22 노벨상과 인연이 없는 분야 응용 수학 : Poincare, von Neumann 산업과 관련 : 자동차
비행기(라이트 형제 1910년 물리학상 후보) 컴퓨터 (예외: 1909년 무선전신 발명자 마르코니 물리학상수상)

23 수상자 소속기관 top 20 (1901-2010) :수상연구기관 불과 수십
기관명 Physics Chemistry Medicine 합 계 Harvard University, Cambridge, MA, USA 9 6 12 27 Max-Planck-Institut, München, Germany 4 5 18 Rockefeller University, New York, NY, USA - 8 10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Caltech), Pasadena, CA, USA 7 16 Stanford University, Stanford, CA, USA 2 15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MIT), Cambridge, MA, USA 14 University of Cambridge, Cambridge, United Kingdom 3 Columbia University, New York, NY, USA 11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CA, USA University of Oxford, Oxford, United Kingdom Cornell University, Ithaca, NY, USA 1 MRC Laboratory of Molecular Biology, Cambridge, United Kingdom Bell Laboratories, NJ, USA Berlin University, Berlin, Germany Princeton University, Princeton, NJ, USA University of Heidelberg, Heidelberg, Germany London University, London, United Kingdom P.N. Lebedev Physical Institute, Moscow, USSR Sorbonne University, Paris, France 기타 105 97 130 332 합계 200 172 201 573 (KISTEP, 차두원 자료)

24 수상자의 성장과정 : 일찍 공부, 이른 나이에 논문 발표
- 수상자의 학사학위 취득연령 : 21.4 ±1.8년 박사학위 취득연령 : 26.8 ±3.0년 30세 이후 박사학위 취득자는 거의 없음(오직 2명) 거의 대부분이 엘리트 대학 출신 논문발표시작 나이 평균25세(대조집단 28세), 20대 발표 논문수 평균 : 13.1건(대조집단 3.5건) 우수한 스승과 공동연구로 발표 논문인용 반감기가 평균보다 상당히 김 일반 평균 : 물리학4.6년, 생리학7.2년, 화학 8.1년 65-66수상자 : 물리학 7.6년, 생리학 12.5년, 화학 17.7년

25 수상 연구연령 과 수상 연령 물리학 화학 생리학의학 전분야 수상연구당시 평균 연령 수상시 평균 연령 수상연구와 수상사이의
평균시간 간격 36.1 38.8 40.8 38.7 48.4 53.9 54.2 52.2 12.3 15.1 13.4 13.5 자료 : Scientific Elite, 1977, H. Zuckerman. (1907 – 1972, 수상자 기준)

26

27 40세 전후에 수상 연구를 완성함. 즉 학위받고 10년 남짓 후에 가장 중요한 연구를 완성함.
그리고 이 업적으로 약 20년 후, 즉 60세 근처에 노벨상 수상

28 최연소자 수상자들 수상 연구 1년내 수상예 수상 연구후 가장 장기간 걸린 수상예
1915년윌리엄 로렌스 브레그( 물리학상) X선 결정구조해석(25세) 1932년 베르너 하이제베르크(물리학상) 양자역학 창시(31세) 1933년 폴 디랙(물리학상) 새로운 원자구조 이론(31세) 1957년 T. D. 리(물리학상) 패리티 비보존(31세) 최고령 수상자 : K. von Frisch(73, 87세, 생리의학상), P. Rous(66,87세, 생리의학상) 수상 연구 1년내 수상예 1957년 C. N. 양, T. D. 리(물리학상) 패리티 비보존 1987년 J. G. 베드노르츠, K. A. 뮐러(물리학상) 고온 초전도체 1935년 F. 졸리오, I. 졸리오-큐리(화학상) 인공 방사성 원소 1923년 F. 밴팅, J. 메클라우드(생리의학상) 인슐린 발견 수상 연구후 가장 장기간 걸린 수상예 1986년 E 루스카(물리학상) 전자현미경(55년) 1983년 B 맥클린톡(생리의학상) 유동하는 유전자 발견(49년) 1983년 S 찬드라세카르(물리학상) 별의 구조와 진화 이론(46년) 1978년 P.L. 카피차(물리학상) 저온 물리학의 주요발견(40년)

29 수상자의 사제 관계 Nernst 1880-89 1890-99 1900-09 1910-19 1920-29 1930-39
(1920C,DE) Ostwald (1909C,DE) T.W. Richards (1914C,US) Michelson (1907P,US) Lippmann (1908P,FR) Millikan (1923P,US) Anderson (1936P,US) Glaser (1960P,US) Langmuir (1932C,US) Mulliken (1966C,US) Compton (1927P,US) Lawrence (1939P,US) Alvarez(1968P,US) Libby(1960C,US) McMillan(1951C,US) Seaborg(1951C,US) O.W. Richardson (1928P,GB) Davisson (1937P,US) J.J. Thomson (1906P,GB) Bridgman (1946P,US) Wigner (1963P,US) Bardeen (1972P,US) Cooper Schrieffer Pauli (1945P,AT) Stern (1943P,DE) Zeeman (1902P,NL) Fermi (1938P,IT) Rutherford (1908C,GB) Born (1954P,DE) Bohr (1922P,DK) Schrodinger (1933P,AT) Debye (1936C,US) Rabi (1944P,US) Segre (1959P,IT) Bethe (1967P,US) Mayer Urey (1934C,US) Pauling (1954C,US) Onsager (1968C,US) Kusch (1955P,US) Schwinger (1965P,US) Chamberlain(1959P,US) Lee(1957P,US) Yang(1957P,US) Heisenberg (1932P,DE) Bloch (1952P,US) 수상자의 사제 관계

30 - 72년까지 미국수상자 92명중 48명이 이미 대학원학생, 박사학위 취득 후 연구원 또는 공동연구자로서 71명의 수상자
밑에서 연구함. 최다 배출 : 페르미는 6명의 제자 수상자 배출 페르미(38) : 세그레(59), 쳄벌린(59), 리(57), 양(57), 베테(67), 블로크(52) 연쇄수상 5대 : 다수는 스승이 일반에게 인정받기 또는 노벨상 수상이전에 이미 사제관계가 됨 노벨과학상 수상자 수상분야 및 관계 Wilhelm Ostwald(독일) 화학상(1909) – 화학평형 Walther Nernst(독일) 화학상(1920) : Ostwald의 대학원생 - 열화학 Robert Millikan(미국) 물리학상(1923) : Nernst의 연구원 - 전하측정 Carl Anderson(미국) 물리학상(1936) : Milikan의 대학원생 –양전하 발견 Donald Glaser(미국) 물리학상(1960) : Anderson의 연구원 -거품상자

31 사제관계에서 제자는 수상자인 스승으로부터 실질적인 지식을
얻었다 점에서는 크게 평가 안 함. 최대의 은혜는 연구 규범, 사고의 양식을 포함한 광범위한 오리엔테이션임. 즉 연구에서 어느 정도의 일을 성취할 수 있는가, 중요한 연구가 될 만한 것이 무엇인가에 대한 감각 전수 올바른 의문의 본질파악과 그 해의 특성에 대한 감각을 익히는 과정

32 최초의 중요함 : 1987년 물리학상 고온초전도 물질 뮐러, 베드노르츠 (IBM연구소, 스위스)수상
“Woodstock of Physics” ( , 뉴욕 힐튼호텔) 2000명이상 학자들 오후 6시에서 새벽 3:30까지 발표회

33 1987년 가을 뮐러, 베드노르츠 만 수상자로 선정 1986.1, 뮐러, 베드노르츠 금속산화물(세라믹)
섭씨 영하250도 초전도현상 관찰 ,독일의 잘 알려지지 않은 학술잡지 발표 1986. 가을, 미국 휴스턴대학 폴 추 교수외 다른 몇 연구팀 실험재현 , 폴 추 교수팀 섭씨 영하139도 초전도 물질 합성 (액체 질소 사용가능) 1987년 가을 뮐러, 베드노르츠 만 수상자로 선정

34 잘못된 수상 - 요하네스 피비거(1926년 생리의학상) : 스파이롭테라(spiroptera) 기생충이 위암 의 원인이라는 업적으로 수상 (수상후 1달만에 사망) O 사후 결과는 인간에는 발생하지 않고 실험에 쓰였던 특정 품종 쥐에서만 발견되 며, 인간의 암발생 메커니즘과는 무관한 것으로 밝혀짐 - 폴 뮐러(1948년 생리의학상) : DDT의 효과 O DDT 화합물은 인간에게 질병을 전파하는 곤충 방제에 널리 쓰였으나, 생태계를 파괴하는 등 근래 대부분 국가에서 사용 금지 약품 - 안토니오 모니츠(1949년 생리의학상) : 전두엽절제수술(leucotomy) 효과 연구 O 여러종류 정신과 질환(우울증, 성격장애, 정신분열증 등)을 뇌 일부의 절제·절단 수술(leucotomy)을 통해 치료하는 방법으로 당시에는 널리 시행되었으나(정신외 과 시술) 후유증 및 비인도적이란 비난으로 현재는 시행되고 있지 않음

35 IV. 수상자 배출을 위한 방안

36 우리나라 수상 가능성 : 가까운 시일 내 그리 크지 않음
평균적 : 수상연구가 있은 후 수상까지 20년 기간 필요 2010 물리학상 – 그래핀 러시아 학자 가임, 노보셀로프 수상 컬럼비아대 김필립 교수 근접 수상연구와 수상까지의 기간은 연구결과가 알려지는 기간 노벨상 수상자들이 전 단계에서 수상하는 상 있음. 래스커 상(Lasker Award, 미국) : 생리의학 울프 상(Wolf Prize, 이스라엘) : 물리학, 화학, 의학 부문

37 Lasker Medical Research Award
구분 Wolf Prize Lasker Medical Research Award 전체 Chemistry Physics Medicine 소계 기초의학 임상의학 특별상 수상자(명) 39 48 45 132 142 134 11 287 419 노벨상 10 14 15 69 1 80 119 수상비율 25.6% 29.2% 33.3% 29.5% 48.6% 7.5% 0.9% 27.9% 28.4% 평균 수상격차 4년 6.1년 4.7년 4.9년 4.5년 8.2년 2년 ※ Wolf Chemistry-Nobel 과학상 수상 격차 : 화학상은 3년 이하가 4명(당해년도 3명), 물리학상은 2년 이하가 8 명, 의학상은 1명을 제외한 14명이 6년 이내 노벨상을 수상 ※ Lasker Medical Research Award-Nobel 과학상 수상 격차 : 기초과학분야 39명이 수상 3년 내 노벨상 수상 (당해년도 노벨상 수상은 12명), 임상의학 분야는 3년 이하가 4명 (KISTEP, 차두원 자료)

38 훌륭한 연구를 위해 노력해야 할 요소 ■ 연구주제를 주요 연구분야에서 선정
■ 훌륭한 스승 필요 (유가와,도모나가의 스승 니시나) ■ 엘리트 기관 육성 ■ 환경 : 20대에 박사학위를 마치고 20대 후반 정도에 독자적 연구를 수행할 수 있는 여건 마련 ■ 그러나 항상 의외의 인물 수상 가능성 있음 일본의 경우 후쿠이, 시라카와, 다나카 등은 수상을 전혀 예측하지 못함.

39 - 일본 시모무라 박사 :1962년 단 1편의 논문이 결정적인 역할 미 BU 해양생물연구소 시모무라 (80) 명예교수
노벨상은 천재만이 받는 것은 아님 - 일본 시모무라 박사 :1962년 단 1편의 논문이 결정적인 역할 “녹색형광단백질의 발견과 개발” (2008 화학상) 미 BU 해양생물연구소 시모무라 (80) 명예교수 미 Columbia대학 마틴 챌피(61) 교수 미 UCSD 로저 첸(56) 교수

40 시모무라 박사: 챌피 교수(컬럼비아 대학) : 첸 교수(UC, 산디에고 대학) : 나가사끼 약학대학 졸업(야스나가 교수) 학사
나고야 대학( 히라다 교수 당초 에가미교수) 박사-luciferin 프린스턴대학(존슨 교수1962)연구원 – 해파리 녹색형광단백질 분리 챌피 교수(컬럼비아 대학) : 1994 cDNA활용 세포내 형광센서 가능성 발견 첸 교수(UC, 산디에고 대학) : 다양한 색의 형광 단백질 합성

41 노벨상 수상 과학자의 우열순위 정도 란다우(62,물리학상) 평가, 로그 스케일 사용
0.5 등급 아인슈타인 1.0 등급 보어, 슈레딩거, 디랙, 하인젠베르크외 아주 소수 자신은 2.5등급 나중에 2등급으로 올림 에밀리오 세그레(59,물리학상)과 페르미(38,물리학상)대화 “에밀리오, 자네의 모든 연구와 디랙의 논문 가운데 1편을 맞바꾼다고 해도 자네에게는 이익이라네." 페르미는 내게 그런 말을 했다. 물론 나는 그 말이 사실임을 알고 있지만, 이렇게 대꾸했다. "그래 나도 동의하네. 하지만 자네의 모든 연구와 아인슈타인의 논문 단 1편과 맞바꾼다면 자네도 이익이라네.” 잠깐 동안 말을 하지 않더니 페르미도 동의했다.

42 과학적 발견의 차-차-차이론 (Cha-Cha-Cha Theory)
By Prof. Koshland Jr. Charge(번득이는 아이디어) : 누구나 관찰한 것으로부터 새로운 개념과 이론 발견 (해결과정이 더 독창적) Challenge(도전적인 어려운 문제) : 기존이론에 의해 설명되지 못하거나 배치되는 현상을 인식하고 해결 이론 발견 (문제인식과 해결과정이 모두 독창적) Chance(우연한 발견): 관찰하는 과정에서 우연히 중요성을 발견하는 경우 (문제인식과정이 더 독창적) - 이러한 발견은 “Eureka”(극적인 발견)적인 경우는 없음. - 준비된 마음(the prepared mind, 과학적 배경지식과 발견하고자하는 열정)을 가진 과학자가 부단히 노력하여 다양한 독창적 개념을 융합하여 새로운 발견 가능

43 차-차-차의 예 종류 문제 발견 발견자 Charge 해,지구,별 움직임 중력 뉴턴 부모 형상 유전 유전법칙 멘델
Challenge C6H6분자 형태 벤젠고리구조 케쿨레 일정한 빛의 속도 상대성원리 아인슈타인 Chance 실험접시 투명한 점 페니실린 플레밍 D와 L 타타르산 결정 광학이성질현상 파스퇴르

44 좋은 연구분야와 주제 발굴 - 노벨상 단골 주제 조사 앞으로 유망한 주제 (어렵지만 풀면 단번에 노벨상 수상 가능성 주제)
과학자들에게 이러한 주제를 소개하고 연구비 지원에서 이런 분야를 유도하게 함. - 스승, 동료 학자들과 소통 : 서양의 카페 문화 입자물리 : 실험, 이론 복잡계 우주팽창 나노 과학 단분자 분광학 단백질 접힘 메커니즘 암정복 Genome, Proteom

45 미래의 기회를 항상 살펴야 우리나라 우수인재 몰림 현상 50,60년대 화학.화공 70,80년대 중화학산업육성
50,60년대 화학.화공 ,80년대 중화학산업육성 70,80년대 물리.전기전자 ,00년대 전자통신산업육성 90,00년대 생명.의약학 ,20년대 바이오산업육성(?) 10,20년대 ? 90년대 이후 생명과학 연구기반 확립, 그리고 기회 그러나, 다음은? 산업화 연구뿐 아니라 기초연구 매진 필요

46 우수 학자와 네트워크를 만듬 - 국내외 우수기관과 우수학자를 찾아 다녀 훌륭한 스승 만남.
- 국내외 우수기관과 우수학자를 찾아 다녀 훌륭한 스승 만남. 이미 유명해진 중진학자보다 열정적이고 야망있는 신진학자 너무 위대한 스승은 위협될 수도 - 스승도 좋은 제자를 찾아야 하고 제자도 좋은 스승을 찾아야 함

47 백락 일고(‘전국책’ 중국고사 성어 ) 천리마를 알아보는 백락 1936년 레비(49)의 슈윙거(65) 첫 만남
(Truffle-dog : 해변가 솔밭 땅속에서 나는 버섯, 재배가 안되어 찾는 개가 있음) 천리마를 알아보는 백락 1936년 레비(49)의 슈윙거(65) 첫 만남

48 엘리트 또는 엘리트기관 : 과학에서의 우위성의 누적
-우위성이 누적되는 방식 두 가지 가법(additive) : "기능적으로 전혀 관계없는"이유, 즉 그들의 직업상의 역할 수행 능력과는 일체 무관하게 연구 자재(Grant)나 장(Award)을 계속 받음. (대기업 회장 자제가 받는 혜택) 승법(exponential) : 기능적으로 적절한 기준에 비추어서 가장 유효하게 연구 자재와 포장을 운용한다고 인정받은 사람이 그것들을 받음 업적에 의해서 엘리트(기관)가 탄생하는 과정: 빠를수록 유리 개개인에게 연구자재를 분배할 때 기능적으로 적절한 기준을 적용하면 각 개인이 올리는 성과와 격차는 계속 벌어지며, 그 결과 생기는 업적의 분포는 현저한 계층화에 직접 영향을 주며, 이러한 계층의 정점에 올려 놓아 마땅한 인물을 만들어내게 됨. 마태효과의 부작용 고려 : "무릇있는 자는 받아 충족하게 되고 없는 자는 그 있는 것까지 빼앗기리라"(마태복음 25장 29절) 부익부 빈익빈

49 IBM 연구소, AT&T Bell 연구소 : 기업 연구소 기업 지원 : 덴마크 코펜하겐 닐스 보어 (22,물리학상) 연구소
엘리트 기관 : 정부 뿐 아니라 기업도 지원 독일 막스 프랑크 연구소 : 정부지원 IBM 연구소, AT&T Bell 연구소 : 기업 연구소 기업 지원 : 덴마크 코펜하겐 닐스 보어 (22,물리학상) 연구소 칼스버그(Calsberg , 맥주회사) 기부금으로 운영 아인슈타인, 슈레딩거, 하이젠베르크, 란다우 ,델브릭 등 20세기 전반부 최고 과학자들의 이론 물리학연구의 메카. 수십명의 노벨 물리, 화학, 생리의학 수상자 들이 방문 연구.

50 솔베이 컨퍼런스 (벨기에 화학회사 솔베이 지원)
솔베이 컨퍼런스 (벨기에 화학회사 솔베이 지원) 5회 솔베이 컨퍼런스 , 1927, 벨기에 브뤼셀

51 일찍 연구를 시작하고 지속적으로 연구 - 군대 문제 - 국내 학위를 마치고, 외국 연구원을 하는 것 권장
일찍 자신의 연구를 시작하는 제도 엘리트 코스를 만듬. 국비 국내박사학위(군대면제) 외국 postdoc 연구원(국비지원) 출연연등 독자연구실 마련(일정기간) 연구원, 교수(시설 가지고 이동)

52 의외 수상자 : 왜? MBC 서바이벌- 나는 가수다 선정방식: 500 청중 인기투표 일반대중 – 우수과학자 판단이 쉽지 않음. 대중적으로 알려진 과학자가 우수 과학자는 아닐 수 있음. 예 : 황우석 사태 비전문적 정치인 또는 기자 판단 그러나 대중적 과학자도 필요

53 과학을 하는 태도 과학자의 특징 : 돈보다는 명예 최초의 발견자로서의 기쁨 재미가 있어야 함.
끈기 ; 1만시간 규칙(아웃라이어) 너무 많이 아는 것도 문제 그리스 격언: “고슴도치는 중요한 한가지를 알고, 여우는 여러가지를 안다.” 라비(49, 물리학상)는 친구 오펜하이머를 너무나 빠르고 영리하다고 설명. 오펜하이머는 이 주제 저 주제로 빠르게 옮겨 다녀 깊이 파지 못함. 반면, 라비는 느리고 끈기. 취미 생활

54 시애틀 사립학교 레이크사이드 1968(8학년) 컴퓨터 공유터미날 하루 8시간 매일 7년 훈련
기회와 끈기 빌 게이츠 : 컴퓨터천재, 사업수완 마이크로소프트 설립 시애틀 사립학교 레이크사이드 1968(8학년) 컴퓨터 공유터미날 하루 8시간 매일 7년 훈련 취미생활 : 공부만 열심의 문제 파인만의 봉고 연주

55 에사키 레오나(73물리학상)의 수상자를 위한 필요조건
지금까지 해온 것에 구애 받아서는 안된다. 훌륭한 스승을 존경하는 것은 좋지만 빠져들어서는 안된다. 무용한 것은 버리고 자신에게 도움이 되는 정보 만 취한다. 때로는 싸움을 피해서는 안된다 언제까지나 수수한 감성과 지적 호기심을 잃어서는 안된다.

56


Download ppt "노벨상 이야기 - 토요과학강연 - 전 승 준 (고려대 화학과)."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