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wnload presentation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1
휴대용 해시계 계절 속에 숨겨진 태양의 리듬찾기
2
준비물 체크!! ✔ □ 해시계 도면 □ 나침반 □ 풀 **주의하세요! 1. 순서에 맞춰 정확하게 만드세요.
2. 시간을 확인할 때 절대 맨눈으로 태양을 바로 쳐다보지 마세요. 해시계에 드리워진 그림자만 관찰하세요.
3
1 2 3 4 5 6 만드는 방법 해시계 도면의 육각 기둥과 시침을 각각 접는 선을 따라 접어 붙이세요.
시침을 해시계 몸체에 끼워 붙이세요. 풀칠면과 직각을 이루는 부분이 12시를 향해야 합니다. 3 육각 기둥을 몸체 구멍에 끼워 붙이세요. 4 몸체 옆면과 뒷면을 각각 접어 끼워 넣으세요. 5 기둥 아랫부분을 접어 붙이세요. 6 기둥에 나침반을 수평으로 끼워 넣고, 나침반으로 북쪽을 찾아 시간을 관측하세요.
4
개념 이해하기 지구의 자전이 시계 반대 방향이기 때문에 태양은 동쪽에서떠서 서쪽으로 집니다. 그래서 오전, 정오, 오후에 태양의 그림자는 각각 서쪽, 정북쪽, 동쪽 방향으로 늘어집니다. 또 지구가 24시간에 한 바퀴, 즉 360도씩 돌고 있기 때문에 태양은 1시간에 15도씩 이동하는 것처럼 보입니다. 태양의 그림자가 정북 방향에서 몇 도나 멀어졌느냐를 확인하면 정오를 기준으로 시간이 어떻게 변했는지 알 수 있습니다. 나침반이 가리키는 북쪽(자북)은 지구 자전축이 가리키는 북쪽(진북)과는 일치하지 않습니다. 진북과 자북의 차이를 ‘편각’이라고 하는데 우리나라 서울의 경우 편각은 6.5°W입니다. 진북에 대해 자북이 6.5도 서쪽에 있다는 의미입니다. 따라서 실험에서 만든 해시계로 시간을 읽을 때는 해시계의 12시 방향을 나침반이 가리키는 북쪽보다 6.5도 동쪽으로 돌려야 합니다.
5
읽을거리 정확한 해시계, 앙부일구 “과인의 치세는 길게 가야 30년이지만 너의 기술로 만들어낸 천문의기는 더 길게 오래 살아남아 이 나라 조선을 지탱하는 힘이 돼줄 것이다.” KBS에서 방영되었던 대하사극 ‘대왕세종’의 한 대사입니다. ‘과인’은 세종을, ‘너’는 장영실을 가리킵니다. 실제로 장영실은 이런 세종의 지원 아래 1432~1438년 자격루, 흠경각루, 대간의, 소간의, 현주일구, 천평일구, 정남일구, 앙부일구, 일정성시의, 규표 등을 발명했습니다. 그 중 앙부일구(1434년)는 우리나라 최초의 해시계로 ‘앙부’는 ‘하늘을 바라보는 솥’을, ‘일구’는 ‘하늘의 그림자’를 뜻합니다. 말 그대로 시간과 절기에 따라 다른 그림자의 길이와 위치를 이용해 정확한 시간과 절기를 알 수 있고, 글자를 모르는 백성을 위해 12지신의 동물 그림으로 시간을 표현한 점이 특징입니다.
6
정리하기 1. 태양의 고도가 무엇인지 설명하고, 어느 곳을 측정하는지 그림으로 표현해봅시다. ( 태양이 지표면과 이루는각 )
( 태양이 지표면과 이루는각 ) 해설 : 태양의 고도는 태양이 지표면과 이루는 각으로, 수직으로 세운 막대의 그림자 끝과 막대 끝을 실로 연결한 후 지표면과 이루는 각을 측정하면 알 수 있다.
7
정리하기 2. 계절 변화의 원인은 무엇인지 쓰시오. ( 지구의 자전축이 기울어진 채 태양 주위를 공전하기 때문이다. )
( 지구의 자전축이 기울어진 채 태양 주위를 공전하기 때문이다. ) 해설 : 계절 변화는 지구의 저전축이 기울어진 채 태양 주위를 공전하기 때문에 일어난다. 태양과 지구 사이의 거리 변화는 계절에 거의 영향을 주지 않는다. 또 낮의 길이와 기온 변화는 계절 변화의 현상이다.
Similar present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