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국내 원전 중성미자 실험(RENO) Underground Facility 김 재 률(전남대) Oct. 10, 2008.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국내 원전 중성미자 실험(RENO) Underground Facility 김 재 률(전남대) Oct. 10, 2008."— Presentation transcript:

1 국내 원전 중성미자 실험(RENO) Underground Facility 김 재 률(전남대) Oct. 10, 2008

2 목 차 1. RENO실험(근거리, 원거리터널) 최종 허가 1) 근거리 터널공사 인허가 문제
목 차 1. RENO실험(근거리, 원거리터널) 최종 허가 1) 근거리 터널공사 인허가 문제 2) 원거리 검출기 사이트의 “공익임지해제” 건 2. RENO실험 현장사무소 및 조직도 3. 근, 원거리 터널공사 4. 근거리터널굴착의 진동 영향평가 5. 터널공사에 따른 유관기관 관계자의 방문현황 6. 향후계획

3 1. RENO실험(근거리, 원거리터널) 최종 허가
3 1) 근거리 터널공사 인허가 문제 N S 원 자 로(1~6호기) 근거리 검출 사이트의 도시계획 실시계획변경허가 완료 (대우엔지니어링 사무소 개소) 중성미자검출기구축사업에 따른 안정성검토작업 (KINS-교과부의 2개월여의 허가 과정에 따른 공사지연) 70m고지

4 근거리 검출기사이트의 “도시계획실시계획” 변경건

5 보존녹지지역 2) 원거리 검출기 사이트의 “공익임지해제” 건 (공익임지) 한수전임야 자연녹지지역 한수전임야 터널시작예상지점
국토의 계획및 이용에 관한 법률 보존녹지지역 공익임지 (한수전 임야 993,997) 한수전임야 자연녹지지역(터널시작예상점 선택) 공익임지(영광군의 사무착오) 자연녹지지역 한수전임야 터널시작예상지점 2008년 4월24일 공익임지 해제 보존녹지지역 -개발행위허가 -산지전용허가 과정 (2개월) (2008년 7월 3일 허가취득완료) (공익임지)

6 원거리 검출기 사이트의 “공익임지해제”

7 2. RENO실험 현장사무소 및 조직도 대우엔지니어링 현장사무소 및 RENO 현장주재원 파견
사무소 위치: 영광군 홍농읍 홍농로 643-5(영광원전 정문 앞) 근거리현장 현장사무소 원거리현장

8 조직도 대우측 공정관리계통도 RENO 측 공정관리계통 김성현(전남대)

9 3. 근거리, 원거리 터널공사 착공식(2008년 6월 25일)

10 2)시험발파 및 공사시작 - 2008년 6월 27일 근거리 시험발파 1차, 2차
- 2008년 7월 8일 근거리 1차 발파(오전 7시) - 2008년 7월 10일 근거리 2차발파 2008년 7월 26일 원거리 터널입구 공사(1개월 소요) 2008년 8월 26일 원거리 굴착작업 시작

11 원거리 터널 굴진성과 기간: 8월26일~10월9까지 40일간 (추석연휴 5일 제외) 굴진상태: 260m 굴진 굴진속도: 평균굴진 6.5m/일 공정예측: 10월 말 굴진종료 예정

12 원거리 터널 굴진현황(1) 벌목(2008년 7월 3 째주) 사면정리(2008년7월 4째주) 사면굴착(2008년8월 1째주)
토공작업(2008년8월 2 째주)

13 원거리 터널 굴진현황(2) 강지보재설치 (2008년 8월4째주) 터널굴착시작 Station 90m(0 m)
(2008년8월5째주 8월26일) 사면소일네일 (2008년 8월 3째주) 터널진입 station 135m(45m) (2008년 9월 1째주) 터널진입길이 station 182m(92m) 2008년9월 2째주 터널진입길이 station 220m(130m) 방향전환소 2008년9월 4째주

14 근거리 터널 굴진성과 기간: 9월29일~10월9까지 10일간 굴진상태: 40m 굴진 굴진속도: 평균굴진 4 m/일 공정예측: 11월 초 굴진종료예정

15 근거리 터널 굴진현황 근거리터널갱구부 공사 (2008년 7월 3째주) 근거리터널갱구부 완성 (2008년 7월 4째주)
터널진입길이 station 70m(40m) 2008년 10월 2째주 현재 근거리터널굴착시작 (2008년 9월 4째주) 9월29일

16 원거리 터널 입구 전경

17 4. 근거리터널굴착의 진동 영향평가 ~110m #3 CST 188m ~400m #4 CPPR #1 옹벽라인 #3 #4 #2
KEPRI 지진계 ~110m #3 CST 188m ~400m #4 CPPR #1 옹벽라인 대우측 진동계 (#1~#5) #3 #4 #2 #5 TG #5 Tendon Gallery 원전 3호기 원전 4호기 원전측 지진계

18 <근거리 터널의 지진계 및 진동계 배치도>
대우측 진동계와 KEPRI(한국전력연구원)측 지진계측기와의 비교 대우진동계, 원전지진계와 KEPRI 지진계는 폭파지점부터의 거의 동일거리에 있었음 KEPRI지진계 KEPRI 지진계 대우진동계 원전지진계 대우진동계 원전지진계 <근거리 터널의 지진계 및 진동계 배치도>

19 대우측 진동계 데이터 10월 5일 1,2차 발파(오전 9시30분, 오후3시30)
대우측 진동계 데이터 10월 5일 1,2차 발파(오전 9시30분, 오후3시30) 계측기 번 호 이격 거리 (m) 진동속도 (cm/sec) 진동가속도(g) 비 고 1회발파 2회발파 T V L 1 289 0.0302 0.0413 0.0199 0.0249 0.0166 0.0265 0.0348 경계옹벽 하 부 2 339 0.0335 0.0293 0.0066 0.0099 0.0082 0.0133 도 로 L형측구 3 329 0.0239 0.0310 0.0116 0.0182 0.0149 2발전소 구 조 물 내부설치 4 0.0493 N/A 0.0232 0.0215 5 379 발전소 3호기 지진계측값(g) 0.0027 KEPRI 관측값 -대우측 진동계(고주파용) -원자력발전소 측 지진계 -KEPRI측 지진계(저주파용) 오전 오후 발파시간 가속도(g) 10월 2일 09:30:30 15:30:30 10월 3일 19:00:30 10월 4일 10월 5일 10월 6일 <최신자료> 10/7  09:30:30   0.0041kine,   g 10/8  08:30 30   0.0038kine    g 10/8  12:30:30   0.0017kine    g 10/9  08:30:30   0.0021kine    g 10/9 12:30:00    kine    g 원전기준량: g

20 대우측(08’10. 5) 오전 오후

21 KEPRI (08’10.5) 오전 오후

22 지진계기관별 보유위치 ~350m KEPRI ~550m ~630m ~290m 호기 1호기 2호기 4호기 5호기 3호기
Main 지진계: 원전측, KINS측, KEPRI(전력연구원)측 발전소별 지진계: 1발전소 1호기, 2발전소 3호기, 3발전소 5호기 ~350m KEPRI ~550m ~630m ~290m 호기 1호기 2호기 4호기 5호기 3호기 방진 trench 방진 trench 깊이 20m 9월6일 ~10월 16일 10월17일 ~11월 19일 계속가동 계속가동 - 우리가 확폭터널까지 도달했을 때의 지진계와의 위치를 고려 - 확폭터널에 도달할 때 까지 진동치에 대한 확실한 데이터가 확보 - 3호기 개방정기점검(Overhaul)까지(3호기지진계가 울리지 않는 정도에서) 굴착자유(굴착종료) Overhaul Schedule 1호기 없음 2호기 2008년 09월 06일 ~ 2008년 10월 16일까지(수행중) 3호기 2008년 10월 17일 ~ 2008년 11월 19일까지(예정) 4호기 2008년 05월 27일 ~ 2008년 06월 29일까지(완료) 5호기 2008년 04월 04일 ~ 2008년 05월 10일까지(완료) 6호기 2008년 11월 06일 ~ 2008년 12월 02일까지(예정)

23 5. 터널공사에 따른 유관기관 관계자의 방문현황 근거리 처음발파(10월29일) 그 외 다수 이월성 2발전소 안전부장
이동석 2발전소 과장 남요식 본부 방재안전부 부장 전수열 본부 안전부과장 안승준 본부 안전부과장 조귀성 영광방사능방재센터 조귀성 방재관 백은학 교과부 영광발전소 주재관 유경근 교과부 영광발전소 주재관 그 외 다수 7월18일 이태호한수원 본사 안전처장 방문 원전 2발전소 이동석과장(발파시 매회방문) 9월 29일 이월성 2발전소 안전부장 방문 9월19일 대우본사 방기문 상무 방문

24 6. 향후 계획 -2008년 3차년도 1세부과제 사업 수행(터널 굴착 완료예정)
토목공정완료에 따른 RENO 검출기의 제작 적합성 토의 터널시설(전기, 통신, 수도, 환기…)건설작업 논의 2009년 4차년도 1세부과제 사업 준비

25 발파와 지진의 일반적 형태 발파진동 자연진동(지진) 진원의 깊이: 지표 또는 지표가까운 내부 지하 10km 이상 진동의 주파수: 수 10∼수 100Hz Hz 정도 또는 그 이하 진동지속시간: sec 정도 이내 sec 이상 진동의 파형: 비교적 단순 복잡 지진계와 진동계 진동계: 구조물등의 측정 이들의 진동은 주파수 범위가 1~1,000 Hz이다. 지진계: 이것보다 늦은 주파수를 측정하는 것은 지진계 진동계의 계기가 g 값이 환산되어 나타난다. 터널 표준시방서 발파진동 허용치 예(단위 Kine(cm/sec)) 문화재(진동예민 구조물) : 0.3 kine 일반가옥(조적조건물) : 1.0 kine 중저층일반상가(라멘) : 3.0 kine 고층아파트(내진건물) : 5.0 kine


Download ppt "국내 원전 중성미자 실험(RENO) Underground Facility 김 재 률(전남대) Oct. 10, 2008."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