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5장 문화(가족,종교제도).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5장 문화(가족,종교제도)."— Presentation transcript:

1 5장 문화(가족,종교제도)

2 차 례 1. 문화란 무엇인가 7. 문화의 종류 2. 문화의 구조 8. 민속문화와 대중문화 3. 문화의 구성요소
9. 문화의 변동 4. 문화의 기능 10. 민족중심주의와 문화적 상대주의 5. 문화의 일반적 특성 11. 한류와 그 원인, 효과, 한계 6. 문화의 보편성과 특수성

3 1. 문화란 무엇인가 문화를 연구하는 많은 학자들  문화는 인간과 환경 사이에 존재하는 것으로, 인간과 환경 사이를 연결하는 가교 역할을 수행한다고 언급 문화의 개념을 제일 먼저 체계적으로 정리한 문화인류학 자들은, 색다른 미개사회의 비교연구를 통하여 인간의 행위가 사회에 따라 매우 다양함을 발견하였고, 그러한 엄청난 다양성이 생물학적인 차이에 의해서는 설명될 수 없다고 결론

4 1. 문화란 무엇인가 타일러(Edward B. Tylor): 1871년 『원시문화』에서 문화를 “지식, 신앙, 예술, 도덕, 법률, 관습 및 사회의 한 성원으 로서 인간에 의하여 획득된 기타 모든 능력과 습관들을 포함하는 복합총체”라고 언급 니스벳(R. Nisbett): 문화에 대해서 개인의 사고방식과 행동양식은 문화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고 언급 오늘날 대부분의 사회학자: 문화인류학자들의 입장을 받아들여 문화를 공동생활의 테두리 내에서 인간에 의해 만들어진 모든 소산 또는 산물로, 사회성원들이 사회적 으로 학습하고 공유하는 모든 것을 포함하는 개념

5 2. 문화의 구조 문화요소(cultural element): 문화의 최소 단위로서 더 이상 분리할 수 없는 학습된 행동이나 사물 문화복합(cultural complex): 서로 관련되어 있는 문화 요소 몇 개가 결합하여 보다 상위의 문화체계를 이룬 것 제도(institution): 문화복합이 일정한 목적에 따라 조직되 어 문화구조 전체에 있어서의 기능적 단위를 담당하는 체계  가족제도, 식생활문화, 종교제도

6 3. 문화의 구성요소 물질적 문화: 도구문화라 하는 물질적 문화는 사회성원 들에게 자연환경에 적응하는 직접적인 수단을 제공하는 문화를 지칭, 가시적이고 물질적이며 기술적인 유형 규범적 문화: 사회체제의 유지를 위해 사람들에게 준수 할 것을 기대하는 행동의 기준에 관한 것으로 행위의 규 칙이나 규범과 같은 것, 사회적으로 승인되는 방법 또는 수단의 유형을 의미하는 것으로 사회성원들의 행동을 규 제하는 수단적 행위의 기준 (계속)

7 3. 문화의 구성요소 규범적 문화 민습(民習, folkways): 사람들이 일상생활에 있어서 거의 무의식적으로 따르는 습관이나 전통적 행위지침 원규(原規, mores): 민습과는 달리 원규에 대한 위반 은 강렬한 반응을 일으킴. 원규는 사회의 안녕과 가치 를 수호하는 것으로 근친상간, 도둑질, 살인, 중혼의 금지 같은 것이기 때문 법(法, laws): 모든 사회마다 발견되는 현상은 아니지 만, 대부분의 사회에서는 사회질서를 유지하기 위하 여 규범을 보다 공식화하여 법으로 제정

8 3. 문화의 구성요소 정신문화 또는 가치문화 사회성원들이 공유하는 목표 또는 가치의 유형을 뜻하는 것으로, 정신문화 또는 가치문화로 가치체계, 신화체계, 교의체계, 사상체계를 의미

9 4. 문화의 기능 문화는 사회의 유지와 존속에 중요한 기능
베넷과 튜민(Bennett & Tumin)의 사회가 존속되기 위해 충족되어야 할 기본적인 것 사회성원들의 생물학적 기능의 유지 사회성원의 재생산 새로운 성원의 사회화 삶에 필요한 재화와 서비스의 생산 및 분배 사회질서의 유지 및 외부 집단으로부터의 보호 삶에 의미 부여 및 개인의 동기화

10 4. 문화의 기능 호턴과 헌트(Horton & Hunt)-개인생활에 대한 문화의 기능 상황을 정의 태도, 가치, 목표를 정의
신화, 전설, 초자연적인 존재를 정의 행동유형을 정의 -개인의 행동을 규제하고 영향을 미침

11 5. 문화의 일반적 특성 문화는 공유(共有)된다. 문화는 학습(學習)된다. 문화는 축적(蓄積)된다.
문화는 초유기체적(超有機體, superorganic)이다. 문화는 통합(統合)되어 있다. 문화는 보편(普遍)적이면서 다양(多樣)하다. 문화는 사회적 산물(社會的産物)이다. 문화는 생활의 설계(生活의 設計) 다.

12 6. 문화의 보편성과 특수성 문화의 공통성과 보편성 모든 문화는 결국 인간이 만들어 낸 것이라는 점에서 공통성과 보편성을 지님
모든 문화는 결국 인간이 만들어 낸 것이라는 점에서 공통성과 보편성을 지님 아무리 다양한 문화를 만들어 낸다 하더라도 모든 문 화적 유형은 인간이 지닌 생물학적 한계를 벗어나서 유형화될 수 없다. 다시 말해 문화는 생물학적인 토대 위에서 만들어짐 문화는 일정한 자연환경의 테두리 내에서 유형화된 것이라는 점에서 공통성과 보편성을 갖고 있음

13 6. 문화의 보편성과 특수성 문화의 특수성 문화가 특수성을 갖는 까닭은 인종이나 민족이 지니 는 생물학적·유전적 특질에서도 찾아볼 수 있지만, 무 엇보다도 환경의 차이에서 비롯됨 각각의 사회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은 서로 다른 자연 환경에 적응하지 않으면 안 되기 때문에 자연적 조건 의 차이가 문화의 차이를 일으킴

14 7. 문화의 종류 보편문화 선택문화 특수문화 하위문화 반문화(대항문화)

15 8. 민속문화와 대중문화 민속문화 평민들의 일상생활에서 자연스럽게 형성되며, 주로 입[口傳]을 통해 확산되고 전승되는 문화
평민들의 일상생활에서 자연스럽게 형성되며, 주로 입[口傳]을 통해 확산되고 전승되는 문화 사회성원들의 일상생활을 질서 지우는 원리 고급문화에 비해 사회변동의 영향을 적게 받으면서 잘 변화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그리고 문화의 저변을 이룬다는 의미에서 기층문화라 불림

16 8. 민속문화와 대중문화 대중문화 대중문화는 종래의 엘리트계급이나 상류사회의 성원 들에 의해 독점되었던 고급문화와 달리, 광범한 대중 이 수용하고 향유하게 된 문화현상 영리를 목적으로 추구하는 기업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으로써 문화산업(culture industry)에 의해 대량생산 되며, 고도로 발달된 대중매체를 통해 보급

17 8. 민속문화와 대중문화 부정적 입장: 아도르노(Adorno), 마르쿠제(Marcuse), 하버마스(Harbermas) 등 프랑크푸르트학파(Frankfurt school)에 속하는 비판이론가들은 자본주의적 문화산 업에 의해 생산된 대중문화는 결국 자본가계급의 지 배를 정당화하는 허위의식을 형성하는 등의 이데올로 기적 기능을 수행한다고 강변 긍정적 입장: 실즈(Shills), 화이트(White), 간스(Gans) 등은 대중문화가 과거 일부 소수 엘리트들에 의해서 만 향유되던 문화를 광범한 대중이 수용할 수 있도록 해 줌으로써 문화적 민주주의와 문화의 다원화를 가 져왔다고 옹호

18 9. 문화의 변동 문화는 유형화(pattern)된 행위양식으로 어느 정도 안정 성과 지속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한 사회의 문화는 문 화적 전통을 가질 수 있으며, 나름대로의 정체성·독자성· 독창성을 가질 수 있음 내적 변동: 주로 발견과 발명에 의한 경우로, 산업혁명의 단초를 마련했던 방직·방적기의 발명이나 제임스 와트의 증기기관의 발명, 중국 후한 채륜의 종이 발명, 갈릴레오 갈릴레이의 지동설, 콜럼버스의 아메리카 발견과 같은 것이 인간의 삶의 양식을 획기적으로 변화시킨 예가 됨

19 9. 문화의 변동 외적 변동: 이웃이나 다른 사회와 접촉함으로써, 즉 문화 접촉에 의해 발생. 한 사회의 문화요소가 다른 사회에 소 개됨으로써 문화체계에 변화가 일어남 문화적응 문화충격 문화동화 문화지체

20 10. 민족중심주의와 문화적 상대주의 민족중심주의(자민족중심주의, 문화제국주의)
자기네 문화가 옳은 것이며 가장 우수하다고 믿는 태도 민족중심주의(ethnocentrism)는 물론 편견이지만 집단 의 결속과 유지를 위하여 필요한 경우도 있음. 집단의 정체감, 일체감 또는 자부심 같은 정상적인 의식은 민 족중심주의에 의해 강화되기 때문 극단적인 예로써 볼드리지(J. V. Baldridge)의 문화적 제 국주의를 들 수 있음

21 10. 민족중심주의와 문화적 상대주의 문화적 상대주의(cultural relativism) 민족중심주의에 반대되는 개념
한 사회의 문화적 행위나 가치는 그 문화의 맥락 속에 서 판단해야 한다는 신념 레비스트로스(Levi-Strauss): 문화의 보편성이나 문화상 대주의적 시각에서 각 나라나 각 사회의 문화를 본 구 조주의 문화인류학자. 남미 아마존 강 유역에서 원시적 삶을 살아가는 원주민의 주술적·신화적 사고방식도 서 구인의 과학적 사고방식 못지않게 합리성을 지닌다고 언급. 모든 문명에 있어 우열이 없고, 나름대로 합리성 을 갖고 있으며, 존재할 가치가 있다고 봄

22 10. 민족중심주의와 문화적 상대주의 한 사회의 관습이나 가치는 그 자체만을 떼어서 옳고 그르다든지, 혹은 나쁘다고 말할 수 없음. 극단적으로 말하면 인간이 어떻게 생각해야 하고 행동해야 하며, 무엇을 믿어야 하는가에 대한 보편적이고 절대적인 진리는 거의 존재하지 않음. 즉, 각자의 문화는 그 나 라의 문화적 관점에서 파악되고 이해되어야 함 문화를 과학적으로 분석하는 데 있어 꼭 필요한 관점

23 11. 한류(韓流)와 그 원인, 효과, 한계 한류(Korean Wave)
한국의 대중문화가 동아시아 국가들 및 그 외 나라들 사이에서 유행하는 현상 현지인들이 한국의 음악, 텔레비전 드라마, 영화 등 한 국의 대중문화에 대한 관심과 선호가 증가하는 사회 문화적인 현상 한류의 기원은 1990년대 중반 중화권 지역에서 유래 한 말로 처음에는 한풍(韓風), 한미(韓美)라고 불렀으 나 언젠가부터 한류라고 사용되어 지금까지 이어짐

24 11. 한류(韓流)와 그 원인, 효과, 한계 한류의 원인 학자들 및 문화에 관심이 있는 사람들에 의하면, 한국 문화의 상대적 우수성, 유교와 한자문화권 국가들과 의 공감대, 매스미디어의 발달, 세련된 대중문화, 동남 아 국가나 그 외 국가 국민의 문화소비욕구와 맞물려 서(대체문화 부재론) 발생하였다고 언급 인터넷기술의 확산, 홍콩문화의 콘텐츠 부재, 중국 내 부의 일본문화에 대한 이질감의 반작용, 자본주의 가 치의 확산이라는 요인 등에 의해서도 발전

25 11. 한류(韓流)와 그 원인, 효과, 한계 유형: 텔레비전 드라마, 영화, 음악 등을 선두로 연예인 들의 인기가 언어, 음식, 산업제품(게임산업) 등으로 확산 한류의 효과 한국의 국가 이미지를 제고하는 데 기여하였음은 물 론, 문화상품의 수출 증대 관련 업종 동반 진출 및 전자제품, 의류, 액세서리, 중 고자동차 등 한국제품의 선호도 상승으로 이어짐 한국의 역사, 지리, 풍습, 음식 등에 대한 호감도 증대 동남아 국가에 불행한 인연이나 감정적 앙금을 해소 하는 데 크게 기여

26 11. 한류(韓流)와 그 원인, 효과, 한계 한류를 바라보는 다양한 시각
기 소르망(Guy Sorman): 프랑스의 사회학자. 제1의 한국(전근대사회의 유산인 유교공동체사회)과 제2의 한국(개혁적이고 동적으로 발전, 변화하는 사회)이 갈 등하는 과정에서 꽃핀 한국의 현대문화예술은 연속적 인 생명력을 확보함으로써 지구촌 사회에서 인정 존 나이스빗( J. Naisbitt): 미래학자. 한국경제는 해방 이후 세계경제에 대한 의존도를 높여 세계화에 앞장 섰지만, 문화적 정체성을 잃지 않으려 하였기 때문에 한류가 가능 일본 및 동아시아의 사회학자들: 한류열풍은 자국중 심주의의 산물이며 문화패권주의의 산물이라는 등 부 정적 시각

27 11. 한류(韓流)와 그 원인, 효과, 한계 한계 한류열풍이 한국의 국가 이미지 제고 및 한국문화의 우수성을 확산시켰다는 점은 매우 고무적이나, 한류 를 단지 경제적 가치를 지닌 상품으로만 여기는 지나 친 상업주의, 자율성과 공유성이 배제된 의도적 국가 개입주의, 혐한류(嫌韓流) 등 반한류 문화를 유발시키 는 자민족중심주의를 극복해야 됨 상업적 이익을 우선시하기보다는 다 함께 공유하고 즐긴다는 글로벌적 차원에서 한류 종사자들의 마음가 짐의 변화가 요구되는 실정

28 가족제도

29 가족제도 1. 가족이란 무엇인가 6. 가족의 사회적 기능 2. 가족의 정의 7. 변화하는 가족 3. 가족의 형태
8. 현대가족의 문제점과 미래가족 4. 핵가족과 확대가족 9. 변화하는 우리 사회의 가족관 5. 가족에 관한 이론 10. 결혼의 의의와 형태

30 1. 가족이란 무엇인가 혼인과 혈연관계로 맺어지는 가족은 가장 역사가 오래되 고 모든 사회에서 공통적으로 발견되는 보편적 제도이자 사회의 가장 기초적인 단위 동거동재(同居同財)의 집단, 동거동찬(同居同餐)의 집단 가족제도란 대부분의 사람이 태어나 성장하고, 교육을 받고, 생계를 유지하고 노후를 보내는 일련의 곳으로, 가족구성원들의 생각과 생활을 지배하는 일종의 삶의 틀

31 1. 가족이란 무엇인가 (가족의발견-김창옥교수의 우리가족은 왜?(1) 09:11) (가족의발견-김창옥교수의 우리가족은 왜?(2) 08:22) (가족의발견-김창옥교수의 우리가족은 왜?(3) 08:40)

32 2. 가족의 정의 생물학적 단위인 동시에 사회적 단위 성과 혈연의 공동체 한 지붕 밑에서의 동거를 원칙으로 하는 거주공동체
출생과 더불어 소속이 결정되므로 타인과 함부로 교체될 수 없는 운명공동체

33 3. 가족의 형태 머독(G. P. Murdock)은 250개 사회의 가족을 비교연구한 결과 가족을 구조적 특징에 따라 구분
핵가족(核家族, nuclear family): 한 쌍의 부부와 미혼 자녀로만 구성된 소규모 가족, 즉 부부 또는 부부와 그들의 미혼자녀로 구성되는 가족구성의 가장 기본 유형으로 복잡한 가족 형성의 단위가 됨 복혼가족(複婚家族, polygamous family): 복혼은 쌍방 의 당사자가 복수인 결혼 형태로, 복수의 결혼이 허용 되는 사회에서 발견되는 형태. 일부다처가족, 일처다 부가족, 집단혼가족

34 3. 가족의 형태 확대가족(擴大家族 혹은 대가족, extended family): 하 나의 핵가족이나 여러 개의 핵가족이 그들의 근친과 동거하는 형태 대우혼가족(對偶婚, pairing marriage): 한 쌍의 남녀 가 서로 원하는 기간 동안만 부부관계를 지속하는 결 혼 형태

35 3. 가족의 형태 가족사회학자 최재석은 우리 사회의 가족 형태를 양적으 로 분류 1인 가족 과도적 가족
부부가족(핵가족+방계친) 직계가족(작은 대가족) 방계가족

36 4. 핵가족과 확대가족 핵가족 부모와 자녀관계가 전근대사회와 달리, 수평적이며 비 권위적이며 자유롭고 민주적
생활 자체에 있어서 자율성과 독립성이 강하며, 개인의 인격과 개성을 존중하고 추구 부부중심으로 가족단위가 이루어지므로 거주지 이동이 상대적으로 쉬움 후세대에게 전근대사회의 가족이 보였던 가족주의나 전통, 즉 문화전수가 어려움 가치관 차이로 경로효친사상이나 효 가치관 약화, 직업 상의 이동 등 사회이동 요인 등으로 노인부양이 어려움

37 4. 핵가족과 확대가족 가족구성원 간 불화나 문제가 발생할 경우, 갈등이 쉽 게 조정되지 않음으로써 이혼이나 별거와 같은 가족해 체 상황이 초래되기 쉬움 자녀에 대한 친족과의 관계가 소원해짐으로써 올바른 자녀교육, 조화로운 인성발달을 기대할 수 없음 가장의 실직이나 질병 등의 이유로 경제력이 상실되어 가정 자체가 쉽게 와해될 수 있음  현대사회의 보편화된 핵가족은 전근대사회 가족이 가지고 있던 양육, 보호기능을 비롯한 위기대처능력을 기대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이를 대신할 기능도 없기 때문에 그 어느 때보다 가족에 대한 보호장치 절실

38 4. 핵가족과 확대가족 확대가족 후세대에 대한 문화전수가 용이하고 노인부양에 유리
가족구성원이 많음으로써 유아나 환자, 노약자를 보호할 수 있는 능력이 여타가족보다 뛰어남 가족구성원의 질병이나 사망 시 이를 대신하고 보완 해 주는 위기대처능력이 강함 부부간의 불화나 갈등으로 인해 파경에 처하거나 문 제가 발생하였을 때, 부모와 자식 간의 문제가 생겼을 때, 즉 가족구성원 간 불화나 문제가 발생하였을 때 이를 중재하고 조정, 화해하는 능력이 뛰어나 해체 상 황까지 가지 않음

39 4. 핵가족과 확대가족 가족구성원의 경제력 상실에도 불구하고 다른 가족구성 원의 도움을 받는 등 상호 공생함으로써 생존할 수 있는 능력이 탁월 자녀가 부모에게 예속되어 있고 형제자매 간 서열에 따른 차별 존재 여러 세대의 공동생활로 가족구성원 개인의 사생활이 보호되지 않음은 물론 그로 인한 복잡한 갈등이 발생할 수 있음

40 5. 가족에 관한 이론 구조기능론적 관점 가족은 산업화와 분업의 발달에 따라 많은 변화를 겪 어 왔음
과거에 가족은 성적·정서적 기능, 성원의 재생산·양육, 경제적 기능, 교육적 기능, 종교적 기능 등 다양한 기 능을 수행해 왔음

41 5. 가족에 관한 이론 갈등론적 관점 가족이 중요한 사회적 기능을 수행한다는 사실을 인정
기능론적 관점이 언급하는 가족의 기능이 가부장적 지 배를 정당화하고 여성을 가정이라는 울타리 안에 가두 어 두려고 하는 지배이데올로기에 불과하다고 봄 남성의 여성에 대한 지배가 현실화되는 제도라는 사실 에 주목

42 5. 가족에 관한 이론 무어(W. Moore)나 자레츠키(E. Zaretsky)
산업사회의 핵가족이 근본적으로 긴장관계에 있음을 주장하면서, 결혼과 가족제도를 남성과 여성의 불평등 한 관계를 반영하는 수단으로 봄 가족은 사유재산을 세대에서 세대를 통해 세습하는 계급재생산의 제도이며, 사회화 기능을 통해 지배이데 올로기를 재생산하는 도구적 역할을 수행

43 5. 가족에 관한 이론 상징적 상호작용론적 관점 가족구성원 간의 상호작용과 가족구성원 개인이 이러 한 상호작용에 부여하는 의미에 초점 가족현상을 가족의 내적 과정이라는 측면에서 보려 함. 예를 들면, 남자, 여자 그리고 자녀들이 가족역할 을 어떻게 수행하고 있으며, 규범에서 얼마나 벗어난 행동을 하는지 이해하려고 함 가족의 제도적 측면보다는 가족 내에서의 역할수행, 지위관계, 의사소통문제, 의사결정, 긴장관리, 자아의 발달과 사회화와 같은 가족의 내적 과정을 주로 다룸

44 5. 가족에 관한 이론 여권론적 관점 가정생활에서 여성에 대한 억압이 존재한다는 점에는 동의하지만 여성 억압의 원인과 해결방법에 대해서는 다양한 의견을 제시 지금의 가부장적 가족체계를 남성의 이익에만 기여하 고, 여성을 억압하는 체제로 보며, 여성이 해방되기 위 해서는 남녀평등이 이루어질 수 있는 형태로 바뀌어 야 한다고 주장 가족에 대한 것보다는 가족 내에서 구조적으로 발생 되는 남성과 여성 간의 갈등과 착취 및 억압에 초점

45 6. 가족의 사회적 기능 성행위 규제 재생산을 통해 세대에서 세대로 새로운 성원 충원 자녀를 양육하고 사회화
사회적 계승을 통해 사회적 위치 및 특권 유지 가족구성원들은 애정적 교류 및 정서적인 면에서 친밀한 유대감 형성 유아를 포함한 노인 등 피부양자 및 환자, 사회적 실패자 등을 보호해 주는 보호기능 수행 경제의 기본단위로서 성원들에게 경제적 안정감 제공 조상숭배와 같은 종교적 기능(제례적 기능)을 수행하기도 하며, 친족이 단위가 되어 정치활동을 하기도 함

46 7. 변화하는 가족 가족의 변동 기든스(A. Giddens): 가족변화의 획기적인 변화요인은 산업화와 자본주의의 성장 이후부터라고 언급 현대가족은 급속한 기능 약화로 가족의 구조변화, 가족가치관 변화, 가족기능 약화를 초래 사회분화로 가족기능이 새로운 사회제도나 사회집단 으로 이양 산업화·도시화로 인한 주거·직장의 분리, 빈번한 직업 적·지역적 이동, 지가상승 등은 가족구조의 단순화를 보다 가속화

47 7. 변화하는 가족 가족규모의 단순화는 전통가족의 토대가 되었던 친족 의식을 약화시켜 가족주의나 가족공동체의식의 약화 를 초래, 즉 친자관계에 기초한 가부장제도와 권위주 의의 약화를 촉진함으로써 현대가족을 부부중심가족 으로 전환

48 7. 변화하는 가족 가족구조의 단순화 산업화·도시화로 인해 주거·직장의 분리, 빈번한 직업 적·지역적 이동, 지가상승 등에 의해 가족구조의 단순 화를 보다 가속화 산업혁명 이후의 핵가족은 도시생활에 적응해 가면서 부부중심의 가족으로 변화 도시생활은 직장이동의 기회가 빈번함에 따라 소규모 가족이 편하고, 어린이가 앞으로의 노동력 자원으로 활용되던 예전과 달리 오히려 경제적 부담으로 작용 함으로써 되도록 자녀를 적게 두려는 경향이 보편화

49 7. 변화하는 가족 가족가치관의 변화 전통적 가족제도: 가족의 연정자가 가족구성원의 행위와 사고방식을 통제하면서 동시에 가족구성원 상호 간의 유대를 지속시킴으로써 가족 내 구심적 역 할을 함으로써 응집력 유지 현대사회의 핵가족체제: 개성과 독립성, 주체성을 보 다 중시함으로써 사회구조가 유연성을 갖는 평등주의 적 관계로 변모되어 가부장이나 연장자의 권위를 지 탱할 수 있는 구조적 바탕이 점차 무너져 내림. 그 결 과 노인들의 지위 하락, 부양가치관의 변화 초래

50 8. 현대가족의 문제점과 미래가족 현대가족의 문제점
현대가족이 나타내는 문제들은 그것이 가족 내에 국 한되지 않고 많은 사회문제(社會問題)들과 밀접히 관 련된다는 점에서 사회적 관심과 논란의 대상이 됨 심각한 것은 이혼·별거·실직·사망·질병 등으로 인한 가 족해체현상 부부간의 끈을 약화시킨 요인으로는 여성의 지위 향 상을 들 수 있으며, 종교나 법제도가 이혼을 관대하게 인정하게 된 것에 기인

51 8. 현대가족의 문제점과 미래가족 이혼을 부추기는 요인으로는 부부에 대한 친족이나 가족의 통제력 약화, 개인주의의 증대, 여성의 사회· 경제적 지위 향상, 부부간의 신뢰성 상실, 사회 이동의 증대 등이 지적 이혼이나 별거는 그것이 당사자만의 문제를 넘어서 자녀와 다른 가족구성원에게까지 영향을 미친다는 점 에서 문제의 심각성이 더함 오늘날의 핵가족이 안고 있는 가장 커다란 문제는 친족이나 공동체의 다른 성원들로부터 점차 고립되고 있다는 점

52 8. 현대가족의 문제점과 미래가족 미래의 가족 앞으로 가족의 모습은 초혼 연령의 증가, 이혼가정의 급증은 물론 재혼가족의 증가, 독신가족의 증가, 노인 단독가구의 증가가 예상 급진적인 입장에 있는 가족사회학자들이 언급하는 새롭고 다양한 가족유형: 자녀 없는 가족, 부부가 함께 동등하게 맞벌이를 추구하는 가족, 부부 각자의 자율 성을 최대한 보장하는 결혼, 결혼의 본질은 계약임을 공식적으로 표명하는 계약결혼(일정 계약기간 동안 같이 동거) 및 실험결혼(일단 살아 보고 나서 결혼 여 부 결정) 등

53 9. 변화하는 우리 사회의 가족관 가족은 부모와 자식 등 한집안을 이루는 사람들로 구성 되는 것으로, 혈연적 유대와 정서적 관계를 토대로 지지 고 볶고 얽히고설키면서 살아가는 공동체 가족은 가족구성원들끼리 동거동락하면서, 수시로 생로 병사를 접하면서 살아가는 기초적 사회 단위 가족은 사회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가지는데, 가정이 건 강하고 건전해야 국가나 사회도 건강하고 건전

54 9. 변화하는 우리 사회의 가족관 최근 가족공동체 태도의 변화 (출처: 여성가족부)

55 10. 결혼의 의의와 형태 결혼이란 가족형성의 시발이 되는 결혼은 사회를 구성하는 가장 원초적인 단위이기 때문에 규범과 관습이 존재 결혼은 두 사람만의 관계인데도 혼인 당사자들의 가 족이나 친척은 물론, 주위 사람들의 영향이 크게 작용 결혼을 통하여 사람들은 새로운 친족관계, 새로운 인간관계, 새로운 사회적 지위와 역할을 부여 받음 남녀 간의 단순한 결합이 아니라, 그것을 초월한 보다 새로운 사회적 세계로의 진입을 의미

56 10. 결혼의 의의와 형태 혼인 당사자 간의 결합임에도 불구하고 사회적 승인 을 통해서만, 즉 법률적으로 승인된 절차와 과정을 통해서만 적법성을 인정 받고 사회적으로 인정 전근대사회에서 이루어졌던 중매혼의 형태를 제도적 결혼, 근대 사회의 결혼을 우애적 결혼

57 종교제도

58 종교제도 1. 종교란 무엇인가 6. 종교의 제도화 7. 종교의 세속화 3. 종교의 기능과 양면성 4. 종교와 사회변동
2. 사회과학자들의 종교연구 7. 종교의 세속화 3. 종교의 기능과 양면성 8. 보이지 않는 종교와 시민종교 4. 종교와 사회변동 9. 신흥종교(사이비종교) 5. 변화하는 종교 10. 한국종교의 문제점과 대책

59 1. 종교란 무엇인가 종교는 우리의 삶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써 인간이 모인 곳, 인간이 모여 사는 곳에서 발생
종교는 우리의 삶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써 인간이 모인 곳, 인간이 모여 사는 곳에서 발생 프레이저(J. G. Frazer): 종교는 주술에서 비롯 컴스톡(Comstock): 종교와 주술의 차이는 신봉자의 마음 자세 여하에 달려 있으며, 양자간의 차이라는 것도 매우 불분명하다고 언급 학자들: 신이나 절대자를 인정하여 일정한 양식 아래 그것을 믿고, 숭배하고, 받듦으로써 마음의 평안과 행복 을 얻고자 하는 정신문화의 한 체계

60 1. 종교란 무엇인가 기능주의자들: 종교가 인간의 실존 상황에 대해 어떠한 의미를 갖는가를 파악함으로써 종교의 사회적 기능을 발견하려고 노력. - 인간이 종교를 믿고, 의지하고 추종하는 이유로는 미래 에 대한 불확실, 우리 자신의 능력에 대한 무기력성, 자원 의 결핍이나 희소, 슬픔과 고통의 극복, 어렵고 외로울 때 마음의 평화와 위안을 얻기 위해서라고 함 종교는 하나의 실체로써 신비한 체험, 초월적 존재, 경험 적 지식과는 일치되지 않는 신화적 사건 등을 포괄하면서 사회적 속성을 지님

61 2. 사회과학자들의 종교연구 사회학의 창시자 콩트를 비롯하여 고전사회학자 뒤르켕, 마르크스, 베버 등은 종교연구를 통해서 서구사회의 구조와 변동을 파악하고자 함 종교의 발생, 종교의 기능, 종교의 변동은 사회라는 주어 진 상황과 밀접히 관련된다는 사실에 주목 신이나 초자연적인 현상의 존재 여부보다는 그것을 신봉 하는 신앙인(신자)들이 나타내는 종교적 행위의 표현 양식, 그러한 믿음이 신봉자에게 끼치는 영향, 사회제도 로서의 종교와 사회와의 관계 등에 관심

62 2. 사회과학자들의 종교연구 현대사회의 많은 사회학자들은 종교를 사회체계를 이루 는 신념체계 또는 상징체계로 간주하고 종교가 사회체계 에 대해 끼치는 영향과 사회체계가 종교에 대해 미치는 영향, 즉 종교와 사회 간의 변증법적인 관계에 대해 연구

63 2. 사회과학자들의 종교연구 종교진화론자들이 본 종교 종교는 그 본질상 미숙한 과학이며 과학의 초기 형태 로 파악
종교는 다양한 경험을 이해하고 해석하려는 원시인들 의 그릇된 노력의 산물에 불과한 것이며, 그것은 훈련 되지 않은 원시인의 사고와 이성의 산물이므로 대수 롭게 생각할 가치가 없는 미숙한 과학 진실한 과학적 지식이 발전하면, 종교는 필연적으로 약화되고 결국에는 소멸될 운명에 놓일 것이라고 봄

64 2. 사회과학자들의 종교연구 뒤르켕이 본 종교 최초로 종교를 체계적으로 연구한 학자
종교를 인간경험의 산물이자 종교를 정의하기 위한 전제로서, 인간의 경험을 신성한 것(聖, Sacred)과 세속적인 것(俗, Profane)으로 구분 전자는 범속한 일상세계와는 다른 영역으로 세속 밖에 존재하며, 두려움과 외경의 감정을 불러일으키는 경험 후자는 노동과 범속한 세계가 중심을 이루는 일상생활 의 경험

65 2. 사회과학자들의 종교연구 종교란 신성한 경험을 특징으로 하는 태도이고, 의례 (rite)와 의식(ritual)을 통해서 세속과의 근본적인 격리 상태를 지속시킴 종교적 대상은 상징(하나님) 뒤에 잠복해 있는 집단 자체인 사회이며, 신은 사회가 실체화(객체화)된 것으 로 집단이 인격을 가진 살아 있는 실체로 변화되어 나타난 것이라고 설명 종교란 전통이 신성화된 것이며, 신성한 경험 뒤에 잠복해 있는 실체는 사회의 도덕과 규범이고, 종교의 원리는 사회의 권위에서 유래하는 것이라고 간주

66 2. 사회과학자들의 종교연구 포이에르바흐(L. Feuerbach)가 본 종교
『그리스도교의 본질』(1841)에서, 그리스도교가 믿고 있는 하나님이나 신앙체계는 따로 존재하는 어떤 초월 적 존재나 내세에 대해 말하는 것이 아니고, 인간의 소망을 말하는 것이라고 함 종교는 인간의 가장 높은 열망을 우주적으로 투사한 것에 불과함 하나님은 인간이 성취하고자 하는 힘과 재능, 미래와 완성을 표현하는 상징적 언어에 불과

67 2. 사회과학자들의 종교연구 종교란 인간 스스로 만들어 낸 관념과 가치이며, 하나 의 환상에 불과한 것
인간은 무능하고 도움이 필요한 존재로서 인간 스스로 자신의 능력을 포기하고, 열망을 신에게 투사 우리 자신이 창조한 종교적 상징들의 본질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

68 2. 사회과학자들의 종교연구 마르크스(K. Marx)가 본 종교 포이에르바흐의 영향을 받음
종교는 인간이 만들어 낸 생산물이자, 창조물에 불과 하다고 보면서 동시에 인간 열망의 투사물로 봄 인간이 만들어 낸 하나님은 인간의 자의식과 자부심 이외에 아무것도 아님 비인간적이며 냉혹한 사회, 사회적 소외와 고통을 안겨 주는 사회에서 종교가 발생. 비인간적인 사회에 사는 사람 중에서도 특히 소외되고 고통스럽게 사는 인간들이 자신의 소망을 투사하여 종교를 만듦

69 2. 사회과학자들의 종교연구 종교는 하나의 의식으로 사회에 의하여 생산되는 사 회의 산물. 신앙체계와 하나님은 사회의 생산품에 불 과한 것으로서, 좋은 사회와 인간적인 사회에서는 종 교가 발생하지 않음

70 2. 사회과학자들의 종교연구 베버에게 있어서 종교
종교는 초자연적인 존재에 대한 관념과 행동을 보여 주나, 현대사회에서 점차 사회성원들은 종교적 관심, 상징, 제도의 영향을 덜 받는다고 함 종교의 본질에 대한 것보다는 오히려 종교와 종교가 아닌 것을 구분하고 분별하는 것, 종교의 경계선에 대해 더 많은 관심을 보여 왔음 종교의 사회적 역할은 기존체제를 유지하는 것만이 아니라 진정한 사회변화를 초래하기도 한다고 주장

71 2. 사회과학자들의 종교연구 동양사회의 종교는 사회변화를 막는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 반면, 서구사회의 종교는 오히려 사회발전에 기여하였다고 봄 청교도주의의 예정설이 자본주의 확산과 발전의 근원 이 되었다고 함. 또한 직업에 충실함을 강조한 소명의 식, 이성적인 삶, 직업적인 성공, 금욕주의 등이 자본 주의 발전에 커다란 영향을 미쳤다고 봄

72 3. 종교의 기능과 양면성 종교의 개인적 기능 개인에게 정체감을 부여 인간의 사회화를 촉진
개인에게 정서적인 안정을 부여함으로써 사회적 적응 을 돕는 기능을 수행 개인으로 하여금 초월적인 존재와 교감할 수 있는 경 험을 할 수 있게 함 개인이 슬픔과 고통을 이기고, 어렵고 외로울 때 마음 의 평화와 위안을 얻도록 도와줌

73 3. 종교의 기능과 양면성 종교의 사회적 기능 사회의 접착제 구실(bond) 사회의 기본구조를 정당화 사회적 적응을 도와줌
사회의 문화적 전통과 가치를 지지함으로써 사회통합 에 기여하며 화해적 가치를 제시하여 사회통합에 기여 예언자적 기능으로서 종교는 기존 사회질서의 모순과 부조리, 경제적 불평등, 부정의, 부패, 타락 등을 고발하 고 새로운 가치기준을 제시함으로써 사회발전에 기여

74 3. 종교의 기능과 양면성 종교의 역기능(逆機能, dysfunction)
주어진 현실에 대한 항거를 억제하고 상황변화에 따른 사회변동을 저지함 초월적 존재와 관계를 맺는 사제적 기능을 수행함으 로써 한정된 이념과 편협한 태도를 강화시켜 환경을 변화시키려는 인간의 노력을 저지 종교가 수행하는 귀속기능은 사회적 분열이나 갈등을 유발시키는 원인이 되기도 함

75 3. 종교의 기능과 양면성 개인 자신의 능력개발보다는 초자연적 존재나 종교집 단에 의존케 하여 개인의 자주적인 능력개발을 억제 하고 나아가서는 사회발전을 저지하는 역기능적 역할 을 수행 종교의 예언자적 기능은 기존 사회질서의 해체나 전 복을 가져와 사회변화의 근원이 되기도 함

76 4. 종교와 사회변동 마르크스 사회구조를 경제적 생산관계를 의미하는 토대, 즉 하 부구조와 관념, 제도 등을 의미하는 상부구조로 구분 하면서 종교는 상부구조에 속한다고 주장 종교는 주어진 사회의 경제질서를 반영하는 인간의 의식에 불과하므로 생산관계가 변화하면 당연히 변화 될 수밖에 없음 모든 종교제도는 현재의 사회구조를 정당화함으로써 사회변동 내지는 혁명을 저해, 즉 기득권층인 지배계 급의 이득과 부를 정당화시켜 피지배계급의 희생을 묵과하는 기능을 수행

77 4. 종교와 사회변동 베 버 종교는 사회변동의 중요한 역할을 수행해 왔음(사회 발전에 중요한 동인으로 작용해 왔다고 함)
칼뱅주의(프로테스탄티즘)의 교리 속에 노동윤리, 금욕사상 등이 자본주의의 성장에 기능적으로 작용함 을 강조 『프로테스탄티즘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에서 ‘모든 부(富)의 주인은 신이고 인간은 다만 관리자일 뿐’이 라는 교리로 인해 축적된 부는 사회에 재투자되며, 이 러한 재투자는 자본을 형성하게 됨으로써 서구사회의 자본주의 발전에 기여하였다고 주장

78 4. 종교와 사회변동 벨 라(Bellah) 베버와 입장을 같이 함 일본 근대화에 영향을 준 도쿠가와[德川] 종교 연구
일본의 고유 종교인 신도이즘(神道, Shintoism)이 근대 일본사회의 핵심가치에 적극적으로 관여하여 정치적 혁신을 동기화, 정당화시켰으며, 근면과 검약 을 통해 금욕주의 윤리를 진작시킨 결과, 경제와 정치 에 있어서 합리적인 행동을 고무시켜 일본의 근대화 에 기여하였다고 주장

79 4. 종교와 사회변동 인본주의 사회학자 인간이 종교를 만들었다는 점에서 신이란 인간의 권력이나 자의식을 가상적인 물체에 투사함으로 인해 나타난 결과로써 인간 소외의 극단적인 표현이라 봄 종교는 현재의 삶에서 억압받고 있는 사람들에게 내 세의 보다 나은 삶을 약속해 줌으로써 현세에 더 나은 삶을 창조할 수도 있는 가능성을 봉쇄하는 보수적 기능을 수행한다고 봄

80 4. 종교와 사회변동 급진적 신학자 남미의 급진적 신학자들 사이에서는 성직자들의 예언 자적 역할을 강조함으로써 종교는 가치관의 혼란과 도덕의 부패를 방지하고 부당한 권력에 대항하여 저 항할 수 있는 세력으로 남아 충분히 혁신적인 기능을 할 수 있다고 봄

81 6. 종교의 제도화 종교는 창시자와 추종자의 종교적 경험을 토대로 발생(이 때의 경험은 카리스마적 경험임)
종교 창시자가 갖는 카리스마적인 권위로 추종자를 불러 모으고 그들에게 소명의식을 불러일으키는 원천 카리스마적 경험에서 종교집합체가 형성되고, 종국에 가서는 하나의 거대한 조직체로 발전 종교의 제도화란 카리스마적 경험을 토대로 한 초기 종교 집합체가 하나의 확립된 종교로 발전되어 가는 과정

82 7. 종교의 세속화 현대사회에서 사회에 대한 종교적 영향력이 감퇴되는 현상을 세속화라고 함. 사회·문화가 종교제도 및 종교적 상징의 지배에서 벗어나는 과정을 의미 버거(P. Berger): 사회나 문화의 어떠한 영역이 종교적인 제도, 상징체계에서 벗어나는 과정 윌슨(B. Wilson): 초자연적인 실체나 법칙에 관한 확신이 엷어짐으로써 결국 교회와 같은 종교제도의 사회적 영향 력이 약화되는 현상

83 7. 종교의 세속화 윌슨의 종교 세속화의 근본적 요인
산업화의 진전으로 경험과 합리성을 바탕으로 하는 과학주의 정신이 초월주의적 신앙을 대신하게 됨에 기인 산업화에 따라 강화되는 국가의 지배력이 종교의 권위를 상대적으로 약화시켜 종교를 상징적인 수준으 로 국한시킴에 기인

84 7. 종교의 세속화 산업사회에 점증되는 공리주의적이고 현세적인 가치 관이 내세적 가치 대신 현세적 가치에 대한 관심을 고조시킴에 기인 지역적·사회적 이동의 증대로 인해 종교적 심성이 안주할 수 있는 공동체적 기반이 상실되고 있기 때문 에 세속화 경향이 강화되었음에 기인

85 8. 보이지 않는 종교와 시민종교 벨라 미국 사회가 다양한 인종으로 구성되어 있고, 고도의 산업화 과정을 걷고 있지만 민주주의와 사회통합의 근원은 종교적 상징체계에 있다고 설명 미국의 정치행태나 대통령들의 취임연설을 분석해 보 면, 메시아적이고 출애급적인 선민사상이 내포되어 있다고 강조. 미국에는 국교는 없지만 메시아적인 종 말론을 강조하는 시민종교(공민종교, civilreligion)가 있음 이것이 미국 사회의 민주주의를 지탱하고 국민 을 통합하는 원천이라고 설명

86 8. 보이지 않는 종교와 시민종교 루크만(T. Luckman)
산업사회에서는 사회성원들 사이의 연대성이 단절됨 으로써 자기 나름대로의 삶의 의미를 묻고 자신의 행동을 목적(자신만의 신념이나 우상, 목표)으로 삼는 경향이 높게 나타난다고 주장 현대사회의 종교는 전통적인 종교 개념으로는 도저히 포착할 수 없는 개인 종교 내지는 보이지 않는 종교 (invisible religion)의 형태로 변화된다고 설명

87 9. 신흥종교(사이비종교) 사회의 혼란과 무질서, 병든 사회, 상대적 박탈감의 만연, 제도종교와 기성종교의 권위주의화, 급격한 사회변동, 사회병리현상이 팽배할 때 창궐 신흥종교가 사회문제로 대두되는 이유: 교리 자체의 비윤리성, 종교지도자 개인의 사생활에서의 비도덕성 (신도들 성폭행, 신자들의 재산 갈취), 반사회적 종말론, 극단적인 구원에 대한 맹신과 독선, 자기공동체에 대한 절대적 순종과 단결, 인간관계가 상당히 배타적인 것이 라는 점 등이 거론

88 10. 한국 종교의 문제점과 대책 2005년 통계청 조사: 불교 23%, 개신교 18%, 천주교 11%, 기타 1%, 종교 없음 47% 한국인이 종교를 믿는 이유: 사업번창, 무병장수, 자녀의 대학시험 합격, 승진이나 출세 등에 많은 관심을 갖는 기복적인 성향 한국인의 관념을 구성하고 있는 종교관: 윤리관은 유교 적이며, 인생관은 불교적, 행동철학은 기독교적, 숙명관 은 무속적이라고 지적

89 10. 한국 종교의 문제점과 대책 한국 교회의 문제점 종교조직 자체의 거대조직화(mega church), 엄격한 서열제도 확립, 물량주의화, 성장지상주의, 자본주의 제도와의 영합, 종속화 등 정치 혹은 권력과 결탁하거나 종교가 정치·사회문제 에 지나치게 많은 관심 수행이나 영성마저 상업화되고 있으며, 성직자가 비즈니스맨에 가까운 모습

90 10. 한국 종교의 문제점과 대책 타 종교를 인정하지 않는 배타적 선교, 파벌주의, 집단 이기주의, 불투명한 재정관리, 부동산 투기 등의 문제 가난, 질병, 슬픔, 고통으로 가득 찬 삶을 힘겹게 살아 가는 사람들, 희망 없이 살아가는 사람들, 사회적으로 소외된 자, 불우한 이웃들을 도와야 하는 종교 본연의 자세, 즉 나눔과 돌봄, 치유로 돌아가는 초심의 자세가 더욱더 필요함


Download ppt "5장 문화(가족,종교제도)."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