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wnload presentation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ublished byΔελφίνια Λούπης Modified 6년 전
1
1장 지역사회의 개념과 현실 점증하는 지역사회의 중요성 과거 농경시대: 지역사회는 사회공동체적 성격 강함.
산업화, 도시화: 공동체적 성격 상실 지역사회에 대한 새로운 관심 대두 1) 급격한 경제성장이 유발한 부정적 사회현상에 대한 자성 2) 세계화 담론: 글로칼리제이션 (glocalization = globalization+ localization)
2
3) 환경운동과 생태주의의 확산 4) 1990년대부터 시작된 지방자치시대의 전개
지역사회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사회복지학계와 실천 현장에도 상당한 변화 학문적 측면: 임상과 정책이라는 전통적 이분 구도 탈피하고 지역사회에 초점을 맞춘 중위 이론적 접근 등장 실천적 측면: 사회복지기관 및 시설 대거 지역사회에 등장
3
2. 지역사회란 무엇인가? 1) 지역성(locality)을 토대로 한 개념, 즉 일정한 지리적 공간에서 함께 살고 있는 사람들의 집단을 의미. 예) 지리산 청학동 사람들 -. 파크(Park), 버제스(Burgess)등 2) 공통의 이해관계나 특성 같은 것으로 뭉친 사람들의 집합체, 이런 의미의 커뮤니티는 지역성을 초월하는 개념이다. 공통적인 관심과 이해관계로 형성된 공동체의 의미를 강조하는 것으로, 기능적 지역사회. 예) 사회복지학계, 종교계, 교육계 등
4
2) 지역사회 개념에 대한 2가지 관점 구조적인 관점 -. 뒤르껭(Durkheim)은 지역사회를 개인과 국가로 대표되는 전체적인 사회의 연결고리로 파악 -. 이 관점에서 지역사회는 그들의 공간, 매개변수, 그리고 국가라는 총체와 그 지역사회 정체성과의 관계를 다룬다. 이는 개인과 국가간의 중재자적 구조를 의미 -. 지역사회는 정치적 실체로 지역, 도시, 읍, 면, 근린지역 등으로 조직된다. 이러한 구조는 많은 정치, 사회적 기능을 수행하며 핵심적 권력으로서의 국가와 개인을 중재
5
(2) 사회심리학적인 관점 -. 퇴니스(Tonnies)의 공동사회(Gemeinschaft)와 이익사회(Gesellschaft)의 개념에 바탕을 둔 관점 -. 퇴니스는 인간이 서로 연관되는 경로에 대한 이해에 중점. 즉 인간은 공동사회에서 상호관계, 운명공동체, 밀접한 유대, 그리고 그러한 유대에서 초래되는 개인적 보상과 의무를 통해 서로 관련 -. 클라크(Clark)는 살아있는 지역사회의 개념을 유지하는 것은 영토적이거나 기능적인 요소가 아니라 심리적인 것
6
* 지역사회 개념의 특성 -. 지역사회의 개념은 지리적 의미와 기능적 의미를 함축하고 있다. -. 21세기 정보화사회에서는 전통적 의미의 지역사회와는 다른 새로운 형태의 지역사회가 나타나고 있다. -. 공동의 관심과 이해관계를 강조하는 기능적 의미의 지역사회는 공동체라는 성격을 갖고 그 ㅡ이의가 부각되었다. -. 지역사회나 공동체 개념은 구성원의 동질적 정체성에 기초한 정서적 유대를 갖고 있다.
7
3) 지역사회 기능의 비교척도: 워렌(Warren)
-. 지역적 자치성: 지역사회의 제 기능을 수행함에 있어서 타 지역에 어느 정도 의존하느냐 -. 서비스 영역의 일치성: 학교, 공공시설, 교회 등의 서비스 영역이 어느 정도 동일지역 내에서 이루어지고 있느냐 -. 지역에 대한 주민들의 심리적 동일시: 지역주민들이 자기 지역을 어느 정도로 중요한 준거집단으로 생각하며, 어느 정도 소속감을 갖느냐 -. 수평적 유형: 지역사회 내에 있는 상이한 단위조직(개인, 사회조직)들이 구조적으로나 기능적으로 얼마나 강한 관련을 갖고 있느냐
8
3. 지역사회의 현실 한국의 지역사회가 경험하고 있는 문제
지역사회가 사회적 조직으로서의 특성을 대부분 상실, 즉 사회적 조직이 제대로 기능하기 위해서는 헌신적인 조직구성원이 필수적이나 대부분의(특히 대도시) 지역사회내 구성원들은 자신이 특정 지역사회의 구성원이라는 사실조차 인식하지 못한다. 지역사회의 의사결정 과정이 소수 ‘지역유지’에 의해 좌우되고 있다. 반면, 지역사회의 시민적 리더쉽은 매우 취약하다.
9
(3) 지역사회의 경제적 기능이 대부분 사라지고 있다
(3) 지역사회의 경제적 기능이 대부분 사라지고 있다. 경제기능이 사라진 지역사회는 자연스럽게 베드타운으로 전락하며, 베드타운으로 전락한 지역사회는 다시 사회적 조직으로서의 기능에 손상을 입게 됨. *워렌(Warren, 1983): 좋은 지역사회(a good community)란? -. 구성원 사이에 인격적인 관계가 이루어질 수 있어야 함 -. 권력이 폭넓게 분산 -. 다양한 소득, 인종, 종교, 이익집단이 포함 -. 동네 주민들의 자율권이 충분히 보장 -. 정책형성과정에서 갈등을 최소화하면서 최대의 협력을 도출할 수 있어야 함.
10
*펠린(Fellin, 2001)의 역량있는 사회(competent community)란?
내부의 다양한 구성체들이 지역사회의 문제와 욕구를 밝혀내는데 효과적으로 협력할 수 있어야 함. 목적과 우선순위에 대해 실제적인 합의를 이룰 수 있어야 함. 합의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방법과 수단에 대해 의견일치가 이루어져야 함. 목적을 이루기 위해 요구되는 실천과정에서 효과적인 협력이 이루어져야 함.
11
2장 지역사회복지의 개념 지역사회복지와 지역사회복지실천 1) 지역사회복지의 의미:
-. 지역사회라는 구체적 영역 안에서의 사회복지, 즉 사회복지의 대상이 지역사회 -. 사회복지를 구현하는 방법이 지역사회, 즉 지역사회가 사회복지의 실천수단이라는 의미. “ 지역사회복지는 각종 사회적 위험이 사라진 안전하고 행복한 지역사회의 상태를 지칭하는 동시에, 이러한 상태를 실현하기 위한 지역사회수준에서의 모든 노력을 의미한다”
12
2) 지역사회복지실천의 의미: -. 지역사회는 사회복지실천의 환경 또는 맥락(context)이라는 점이다. 사회복지사는 사회적 진공 상태에서 일하는 것이 아니라 특정한 지역사회의 틀 안에서 일을 하게 되어 있다. -. 지역사회는 사회복지실천의 대상(target) 또는 클라이언트가 되기도 한다. 사회복지실천의 본질은 사회환경을 바꾸는 작업이다. 지역사회복지실천은 그 대상이 지역사회라는 점이다. -. 지역사회를 하나의 환경으로 받아들일 것인지 아니면 변화의 표적으로 삼을 것인지에 관한 결정은 사회복지사의 판단에 달려 있다.
13
2. 지역사회복지의 목적: 지역사회문제의 해결, 지역주민의 임파워먼트, 사회변화
브래거와 그의 동료들(Brager, Specht & Torczyner, 1987) 전문적 목적(professional goals) -. 클라이언트의 임파워먼트, 즉 클라이언트의 역량강화 -. 소비자 중심의 서비스 조직 -. 클라이언트의 이익을 해치는 정책과 프로그램의 변화를 도모
14
2) 제도적 목적(institutional goals)
-. 통합적 목적(integrative goals): 기존 제도 안에서 사회적 안정을 추구, 즉 기존 서비스의 사용을 극대화하고 서비스 사용자와 제공자 사이의 실용적인 관계를 유지 -. 사회치료적 목적(socio-therapeutic goals): 클라이언트를 변화시키는데 초점, 즉 사회적, 심리적 변화로 사회적 변화의 목적은 지역사회복지실천에서 클라이언트의 참여와 리더쉽을 제고하는 노력을 말하며, 심리적 변화의 목적은 클라이언트의 자기효능감을 높여주는 것. -. 환경 변화 목적(environment-change goals):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특정집단의 환경을 개선하는 것, 즉 환경과 제도를 바꾸는 목적을 의미한다.
15
* 관련 용어 정리 1) 지역사회조직(Community Organization): 지역사회복지의 실천주체, 즉 지역사회복지를 실천하는 여러 조직과 기관 2) 지역사회조직사업(Community Organizing): 지역주민을 조직하여 지역문제를 해결하는 동적인 과정 3) 지역사회보호: 지역사회 내부의 사회복지욕구를 지역사회라는 환경 속에서 자원봉사자를 중심으로 해결하는 특정방법, 시설보호(institutional care)의 반대개념으로 등장. 지역사회복지와 대등한 개념이 아니라 부분 또는 하위개념이라 할 수 있음 4) 지역사회복지와 지역사회복지실천: 지역사회복지는 실천개념까지 포함하고 있으나 굳이 구분하자면, 지역사회복지는 특정 상태를 의미하는 정적인 개념인데 비해 그것을 이루기 위한 모든 노력과 활동을 실천으로 표현
16
3장 지역사회복지의 역사적 전개 1) 자선조직협회(COS) 영국에서의 지역사회복지 발달 과정
-. 빈민에 대한 체계적, 효율적 구호 -. 호별방문(friendly visit): 조사와 면담 -. 구호 받을 자격이 있는 빈민(deserving poor) 과 그렇지 못한 빈민 구분 -. 자립 강조, 빈곤은 개인의 도덕적 결함 -. 개별사회사업의 시초 -. 상류층의 도덕적 우월감 -. COS의 원래 이름: Society for Organizing Charitable Relief and Repressing Mendicity(자선구호의 조직화와 구걸행위의 억제를 위한 협회)
17
2) 세틀먼트 운동(Settlement movement) -. 토인비 홀(Toynbee Hall): 1884년 바넷
-. 사회개량, 개혁적 성격 -. 빈민들과 함께 거주하며 이들과의 우정(friendship)과 동료애(fellowship) 강조 -. 빈곤문제를 지역사회의 맥락에서 접근 3) 지역사회행동의 확산 -. 19세기말-20세기 초 노동운동 활성화: 지역사회행동(community action) 확산 년 글래스고우(Glasgow) 집세인상반대운동: 집세제한법 제정 년대 전국실업노동자 운동
18
4) 도시지역 프로그램과 지역사회개발 프로젝트 -. 1970년대(노동당 집권기): 영국 지역사회복지의 황금기
년 도시지역 프로그램(Urban Programme) : 도심의 빈민지역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문제 해결 년 지역사회개발 프로젝트(Community Development Projects): 빈곤 제거 활동 5) 지역사회보호 년 보수당 집권 -. 시설보호(institutional care)에 대한 비판 -. 복지비의 축소 정책(우파의 장기집권) -. Care in the community, care by the community
19
-. 1982년 지역사회 프로그램(CP): 영국 최초의 근로연계복지(workfare)
6) 실업문제에 대한 지역사회 수준의 개입 년 지역사회 프로그램(CP): 영국 최초의 근로연계복지(workfare) -. CP는 1990년대 초반 지역사회행동(Community Action)이라는 프로그램으로 변화 년 블레어 총리의 노동당정부 출범: 대규모의 근로연계복지 정책 시작, 핵심대상은 청소년 실업자
20
2. 미국에서의 지역사회복지 발달 과정 1) 자선조직협회(COS)
-. 거어틴(Stephen Gurteen) 목사의 주도로 1877년 뉴욕주 버팔로에서 미국최초의 COS 설립 -. 자선단체의 난립, 빈민구호의 중복, 빈민들의 구호 의존에 대한 반성과 비판 제기 -. 우애방문을 통해 자료수집 -. the worthy, the unworthy 구분 -. 상류층의 도덕적 우월감: 유급봉사자 대체 -. 빈민들에게 자립과 근면의 가치 훈계 -. 빈곤의 원인을 개인적 차원에서 접근
21
2) 세틀먼트 운동(Settlement movement)
년 제인 애덤스 Hull House(시카고) 제인아담스 “COS의 호별 방문자들은 차갑고 인색한 사람들이며, 그들의 ‘과학적인 자선’은 사이비과학에 지나지 않는다” -. 오늘날의 지역사회복지관이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 COS의 온정주의적 태도 비판, 빈민과의 동등한 관계 형성 강조 -. 사회개혁운동, 그러나 급진적 사상과 방법에는 동조하지 않음 -. 주민 참여 극대화 보다는 서비스 제공에 중점 -. 집단사회사업 3) 지역공동모금제도 -. 1차 세계대전 중 전시구호사업 확대 -. 지역공동모금제도: 모금 창구의 단일화, 회계의 투명성문제 년 뉴욕 주의 로체스터(Rochester) : 지역공동모금
22
4) 앨린스키(Alinsky) 방식의 지역사회조직사업
년대 말 시카고의 노동자 거주 지역에서 시작 -. 오늘날 지역사회조직사업의 중요한 모델 -. BYNC(Back of the Yards Neighborhood Council)라는 주민조직 결성, 미국 전역에 민주적인 지역사회조직 확산 -. 지역주민을 일대일로 접촉하는 것이 아니라 지역사회내의 기존 조직들을 묶어서 지역사회내의 다양한 사회문제 해결, 조직가는 조언자의 역할 -. 실용주의적 집단행동: 직접적인 실력대결 -. “대결과 갈등에 기초를 둔 지역주민의 직접행동만이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앨린스키) 5) ‘빈곤에 대한 전쟁’과 지역사회조직사업 -. 빈곤에 대한 전쟁(War on Poverty), 위대한 사회(Great Society) 정책: 지역주민조직화, 주민참여와 역량강화 -. 지역사회행동 프로그램(Community Action Program, CAP): 지역사회의 주민들을 조직화하여 자신들이 당면한 문제를 직접 해결하도록 유도 -. 흑인과 빈민지역에서 특히 활성화
23
6) 보수주의로의 회귀와 지역사회개발 -. 1980년대 레이건 정부 등장: 신자유주의 집권
-. 도시지역에 대한 연방정부의 재정지원 감소, 공공서비스의 민영화: 지역사회조직사업의 관심이 지역사회개발 쪽으로 이동 -. 지역사회개발공사(Community Development Coporation, CDC)의 등장: 저소득층 밀집지역의 주거 개선(지역사회조직으로서의 성격을 잃어버리고 일종의 기업조직화, 전문성, 경영의 중요성을 지나치게 강조하였다는 비판) 년대 포괄적 지역사회변화운동(Comprehensive Community Initiative, CCI): 지역주민과 기업, 그리고 정부의 협력을 강조하지만 지역사회의 다양한 쟁점에 대해 포괄적, 장기적 전략으로 접근, 즉 포괄성과 지역사회 건설(Community Building) 강조 -. 포괄성은 사회문제의 복합적인 성격을 전제로 하며, 지역사회건설은 주민참여를 강조, 문제해결역량 강화
24
3. 한국에서의 지역사회복지 발달 과정 1) 직접서비스 기관의 발달
-. 해방 이후 한국전쟁을 거치면서 외국의 원조기관들이 전쟁고아 및 빈민구호활동을 하면서 지역사회복지의 초보적인 기틀 마련 -. 대학내 사회복지학과를 중심으로 지역사회복지관 등장(예: 1957년 이화여대 부설 사회복지관 건립) 년 사회복지관 운영 국고보조 년 영구임대아파트 단지: 사회복지관 건립 의무화 -. 현재 356개(2003년 기준)
25
-. 1970년 4월 박정희 전대통령 ‘농촌의 생활환경을 바꾸는 새마을 가꾸기 사업’을 제창
2) 지역사회개발로서의 새마을운동 년 4월 박정희 전대통령 ‘농촌의 생활환경을 바꾸는 새마을 가꾸기 사업’을 제창 년 농촌 개발 사업 착수: 도시와 농촌간의 소득격차 해소 , 1970년대 초의 정치적 상황(유신정권의 장기집권) 등 요인 작용 -. 기본이념: 근면, 자조, 협동 -. 생활환경 개선, 소득 증대, 정신 개혁 추구 -. 기초마을, 자조마을, 자립마을로 구분 -. 물리적 인프라 구축은 어느 정도 성공적이었으나 지역사회건설, 즉 민주적 의사결정과 사회적 자본의 확대에는 한계
26
3) 지역사회조직사업의 형성과 발전 (1) 1970년대 : 지역사회조직사업의 맹아기
-. 박정희 정권의 독재정치와 강력한 공업화 정책 -. 성장제일주의와 급격한 도시화, 도시 빈민(1970년 전태일 분신사건, 1971년 광주 대단지 사건)들의 상황: 지역사회실천 활성화의 계기 -. 지역사회실천 주도: 가톨릭과 개신교의 사회행동 협의회 중심 빈민운동 -. 야학, 탁아소, 어머니 교실과 같은 직접서비스의 제공이나 주민교육에 치중: 주민들의 자각과 주체적 역량 부족
27
(2) 1980년대 : 빈민지역운동의 대폭발 년대 민주화의 실패와 신군부에 의한 광주 학살 -. 경제성장 우선정책으로 소득불평등 심화: 상대적 빈곤문제 부각 -. 민주화 운동 학생들이 빈민지역으로 들어와 주민들을 의식화하는 쪽으로 방향전환 -. ‘센터'중심의 지역사회조직사업: 지역사회 탁아소연합회 -. 빈민지역의 철거반대 운동 투쟁: 주민의 생존권 -. 해당지역의 주민들이 철거반대 투쟁 직접주도 (서울 목동에서 시작: 100회 이상의 가두시위, 4차례의 고속도로 점거, 야당 점거 농성, 15회의 시청 진입 투쟁 등)
28
(3) 1990년대 이후: 지역사회실천의 다양화 년대 지방자치제도 실시 빈민지역 중심의 지역사회조직사업 퇴조 생존권, 환경권 등 새로운 쟁점의 지역사회조직사업 증가 대결적 지역사회조직보다는 합의 지향적 지역사회조직의 비중 증대(예: 지역화폐운동, 지역품앗이운동 등)
29
4장 지역사회복지실천의 이론적 틀 체계이론 -. 공학과 생물학에서 발달한 이론으로, 오늘날 사회과학에서 널리 사용됨.
-. 체계의 전체는 부분의 합보다 큼 -. 체계의 구성요소들은 상호밀접하게 상호작용을 하고 있어, 어느 한 곳에서 변화가 일어나면 나머지 모든 요소에서도 변화 발생 -. 모든 체계는 다른 체계와 구분되는 독자영역을 가지며, 이 영역을 가르는 기준을 경계(boundary)라고 함 -. 경계 너머의 모든 영역은 체계의 환경에 해당
30
-. 지역사회는 다양한 제도의 하위체계로 구성됨 -. 체계는 각각의 특성을 가지며, 균형과 안정을 유지
-. 개방체계(open system), 폐쇄체계(closed system) -. 지역사회는 아주 잘 짜여진 하나의 체계 -. 지역사회는 다양한 제도의 하위체계로 구성됨 -. 체계는 각각의 특성을 가지며, 균형과 안정을 유지 -. 체계이론은 하위체계 간 갈등과 분쟁, 권력, 부의 분배에서 나타나는 갈등을 간과한다는 비판을 받음
31
* 지역사회복지에 대한 시사점 -. 체계이론은 지역사회를 거시적으로 이해하는데 도움
-. 지역사회복지실천가들은 지역사회를 구성하는 요소 사이의 관계와 상호작용이 어떤 성격을 지녔으며, 이것이 지역사회에 미칠 영향이 어떤 것인지에 대해 관찰해야 함. -. 지역사회 전체를 체계이론의 관점에서 조망해야 해당 클라이언트에 대해 효과적인 도움 줄 수 있음(예: 빈곤가정의 청소년)
32
2. 생태이론 1) 인간생태학 -. 지역사회를 생태계로 봄 : 인간과 환경의 교류 場
-. 인간생태학자들은 환경을 둘러싼 인간의 사회과정을 경쟁(competition), 분리(segregation), 그리고 통합(integration)으로 파악 -. 경쟁: 공간과 자원의 제한으로 어느 지역사회에서나 나타나는 보편적 현상 -. 분리: 특정집단이 사회적 압력이나 법 또는 개인적 선택을 통해 지리적으로 이탈하거나 고립되는 현상(예: 인종간 거주지 분리현상, 달동네 등) -. 통합: 다양한 집단이 하나의 통일된 기능체로 혼합되는 과정을 말하는 것으로, 지역사회 전체의 의도적인 노력을 필요로 함.
33
2. 생태이론 2) 생태체계이론 -. 체계이론+생태학적 관점 -. 사회복지학, 가정학, 교육학, 심리학 등의 분야에서 사용
-. 생태체계이론의 기본 가정: 하나의 체계인 인간이 사회환경 내부의 다른 체계들과 끊임없이, 역동적으로 상호작용 -. 사회환경 체계는 미시 체계(micro system), 중위 체계(mezzo system), 외부 체계(exo system), 거시 체계(macro system)로 구성
34
*생태체계이론이 인간을 어떻게 파악하고 있는가?
인간은 자신의 환경을 변화시키려는 의지와 능력을 가졌다 인간은 누구나 자아존중감을 지니고 있고, 그것을 소중하게 여긴다. 사람은 누구나 삶의 방향을 스스로 결정하려고 하는 자기방향성(self-direction)을 가지고 있다.
35
* 지역사회복지에 대한 시사점 지역사회를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지역사회 내부의 체계들 사이에서 일어나는 교류(transactions)에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 인간에 대한 견해가 스테레오 타입(stereotype)에 머물러서는 안된다. 생태이론이 시사하는 바는 사람이 자신의 역량을 마음껏 발휘해서 환경을 바꿀 수 있도록 적절한 기회가 주어져야 한다 사회복지사는 클라이언트의 자기존중감과 자기결정권을 항상 존중해야 한다
36
3. 권력관계이론 갈등이론 -. 갈등은 희소한 자원을 둘러싸고 존재하는 필연적 현상으로, 사회의 본질적 현상(경제, 권력, 가치, 신념) -. 갈등은 사회를 변화시키는 원동력 -. 지역사회는 평등한 연대감으로 형성 -. 자본주의 지역사회는 허구 : 시장에서 인간을 소외시킴 -. 경제적 이익을 위하여 경쟁과 적대감을 만들어 냄 -. 결과적 평등을 전제로 하는 공동생산과 공동분배 강조 -. 앨린스키(Alinsky): 갈등이론을 지역사회실천에 적용한 대표적인 사람
37
3. 권력관계이론 2) 사회적 교환이론 -. 호만스(George Homans)와 블라우(Peter Blau)가 개발
2) 사회적 교환이론 -. 호만스(George Homans)와 블라우(Peter Blau)가 개발 -. 상호작용주의를 기본으로 함. 즉 사회적, 물질적 자원의 교환은 상호작용의 기본 -. 개인이나 조직의 능력차이는 항상 존재함 -. 보상이나 이익은 관계에서 도출되는 긍정적 결과로, 보상의 획득에는 비용 수반. 만일 비용이 보상보다 커지게 되면 관계유지 어려움. -. 보상은 경제적, 물질적 이득과 심리적, 사회적인 것 포함 -. 권력균형전략(경쟁, 재평가, 호혜성, 연합, 강압)
38
3. 권력관계이론 자원동원이론 -. 사회에는 집합행동이 일어날 사회적 불만이 항상 존재
-. 그러나 이것만 가지고 집합행동이 실제로 방생하지 않음 -. 운동가는 집합행동을 발생하는 계기를 만듦 -. 자원동원의 우선적인 활동은 사람을 모으는 것 -. 자원을 동원함으로써 지역사회복지가 발전 -. 사회적 항의는 사회운동조직이 대중의 인지도와 정당성 확보를 위한 수단 -. 사회운동성패: 조직원 충원, 자금력, 적절한 조직구조 -. 조직원의 헌신적 활동을 위한 환경 조성이 중요(동기부여) -. 자원동원은 외부자원 유입 : 자율성과 역동성 침해 ⇒ 즉, 외부영향력을 줄이기 위하여 구성원과 자원 확보
39
* 지역사회복지에 대한 시사점 -. 권력관계이론가들은 지역사회의 권력구조와 권력관계 중시
-. 이는 어떻게 해야 지역사회복지실천에 필요한 권력을 얻거나 증대시킬 수 있을 것인가에 관해 의미 있는 시사점 제공 -. 지역사회의 갈등을 부정적으로만 볼 것이 아니라 지역사회를 변동시키는 원동력으로 보아야 한다 -. 지역사회실천가들이 지역사회복지와 관련된 의사결정에 충분한 영향력을 행사할 수 없는 상황에 놓여 있을지라도, 쉽게 포기할 필요 없음: 권력은 교환할 자원의 양과 질에 달려있고, 자원은 연합을 통해서도 보충 가능
Similar present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