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제 품 소 개.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제 품 소 개."— Presentation transcript:

1 제 품 소 개

2 ERP란? ERP (Enterprise Resource Planning) ::: 재무, 회계, 생산관리, 판매관리, 재고관리, 인사관리 등 전사적인 데이터를 일원화시켜 관리할 수 있고, 또한 경영자원을 계획적이고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는 새로운 정보시스템으로서 다양한 업종과 업태에 도입이 가능함

3 발생하는 모든 업무를 통합적으로 관리하고 프로세스간의 업무를 서로 공유하여 업무의 효율성과 생산성을 높이는데 있다
proERP 구축 목적 발생하는 모든 업무를 통합적으로 관리하고 프로세스간의 업무를 서로 공유하여 업무의 효율성과 생산성을 높이는데 있다 고객사 스스로의 기술력을 바탕으로 회사가 발전하면서 최고의 기술력을 축적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고 축적된 기술정보를 바탕으로 하여 향후 지속적인 생산성 향상과 원가절감 체계를 가능케 할 수 있다. 이는 전사적 자원관리 시스템을 통한 관리의 투명성 확보를 위하여 기업의 내재적 자산가치의 효율성 증대 및 재무관리의 통합화와 생산관리의 협력업체의 통합관리, 마감시간의 단축을 중점적으로 한다. proERP의 구축은 자재 및 생산 공정관리체계를 전산화로 혁신함으로써 동종 업체간의 경쟁력의 우위를 확보하는데 필수적인 도구로 활용된다

4 내부환경의 변화 외부환경의 변화 정부기술의 변화
구축 목적 통합 Project시스템 국내외 경쟁사와의 경쟁우위 확보 경영지원 능력 향상 환경변화에 따른 유연한 대처능력 배양 차별화된 거래처 관리 제공 및 고객 만족 실현 내부환경의 변화 외부환경의 변화 정부기술의 변화 • 국제화 및 개방화 • 경쟁사의 체계정비 • 의사결정의 신속화 요구 • 다양한 경영정보의 수요 • 업무처리의 효율화 요구 • 생산관리 체계의 한계 • 자료관리의 일원화 • Network 를 통한 원격지간 업무통합기능 • Open Architecture 도입 정보공유

5 범위 맞춤형 ERP 시스템 구축 Customizing Consulting proERP_LT

6 proERP 사상 proERP는 복잡하거나 방대한 프로젝트나 프로세스를 Breakdown Structure, 즉, 세세히 분해구조화시켜 체계적인 관리 환경을 제공합니다. CBS WBS PBS OBS PM M/S SCH’ ▪ WBS : (Work Breakdown Structure) 수주한 project를 체계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제반 활동을 Grouping하여 Top-Down으로 전개한 것으로 순수하게 “일”만을 정의한 것 ▪ PBS : (Product Breakdown Structure) 제품을 제작 및 관리 단위로 Level을 전개한 것 ▪ OBS : (Organization Breakdown Structure) 전체 조직의 체계를 기능 중심으로 재편하여 효율적인 자료의 관리와 실적 집계가 용이하도록 만든 것 ▪ CBS : (Cost Breakdown Structure) 모든 회계계정 및 제조원가 체계를 Grouping하여 Top-Down 으로 전개한 것으로 경영관리 및 원가, 재무관리의 기반이 되는 것

7 시스템 구축 방안 개요 목 적 목 표 기본사상 - Project 중심의 통합 정보관리 체제 구축
- 정확하고 신속한 경영 판단자료 제공 - 수작업 업무의 간소화 / 간편화 - 실시간 공사실적 정보 및 공정현황 제공 - 동종업계 최고의 경쟁력 확보 - 정확한 원가관리를 통한 수주 이익률의 극대화 - Project 관리 집중화로 관리체계의 질적 향상 - 다양한 경영정보 제공으로 환경변화에 따른 유연한 대처능력 구축 - 납기 준수와 고품질 달성으로 대 고객만족 실현 - 축적된 기술과 경험을 바탕으로 새로운 기술과 상품개발 기반 구축 목 표 - 업무의 표준화 - 절차의 단순화 - 처리의 신속화 - 자료의 통합화 - 조직의 효율화 기본사상

8 시스템 구축의 필요성 Project 관리체계 미흡 영업/견적부터 시운전까지의 일관된 관리체계 부재
영업/설계/생산의 연계체제 미비 PM 및 상시 조직간의 업무중복 및 업무흐름 연계 미비 생산계획 및 통제의 한계 작업일정과 프로젝트일정 연관관리 미비 자재 공급 및 투입일정 관리 불일치 상황변화에 따른 유연한 대응체제(부하분석, Re Scheduling 등) 미흡 기술 기준정보 미축적 및 설계변경 관리 지연 설계진행과 프로젝트 관리체계 미연계 설계변경 관리 정보 전달 지연 및 관리체계 부재 설계 BOM 및 제작 BOM 미비

9 시스템 기능 구조도 proERP 기능 표준정보 영업관리 생산관리 설계관리 자재관리 원가관리 회계관리 인사관리 경영자정보
기초정보관리 종합코드관리 표준BOM관리 공정/공종관리 공정계열관리 설계이벤트관리 인사관리 경영자정보 공통관리 견적관리 수주관리 납품관리 매출수금관리 대리점관리 고객관리 생산일정관리 부하관리 작업관리 계약관리 출고요청관리 도면실적관리 도면계획관리 취재관리 BOM관리 MP관리 PO관리 실적관리 구매관리 입고관리 출고관리 잉여재 & 잔재관리 사급자재관리 반출관리 강재 & 외주품관리 원가계정관리 화폐코드관리 환율관리 표준예산관리 실행예산관리 공사가관리 전표관리 장부관리 재무제표 부가세관리 예산관리 자금관리 고정자산관리 급여관리 연말정산 퇴직정산 근태관리 협력업체관리 세무신고관리 게시판 명함찾기 즐겨찾기 사용자별보 안설정 윈도우별 보안설정 버전관리 기준정보관리 수주활동 프로젝트관리 요인분석 통합관리 실적정보

10 시스템 기능 (1) 경 영 층 Project 진행상황(납기, 원가, 품질)에 대한 경영자 정보 제공
경 영 층 Project 진행상황(납기, 원가, 품질)에 대한 경영자 정보 제공 Project 예상 문제점에 대한 사전 파악으로 기회손실 최소화 부하의 실시간 파악과 견적 원가정보 제공으로 영업 기회 선점 구현 Process 중심의 조직으로 Project 관리에 회사역량 집중 가능 프 로 젝 트 공정/공종에 의한 Order체계로 각 Process에 명확한 목표부여 및 진행현황 파악 용이 부하를 감안한 Multi Project 일정계획 수립 Project 계획 수립의 정확도 배가로 기회 손실 최소화 공정/공종 체계에 의한 자료축적으로 유사실적 자료의 재활용 및 Pre-Product기간단축 Project 수행기간 단축 및 사전관리를 통한 경쟁력 확보 설계 변경 및 NCR 관리를 통하여 품질향상 및 대 고객만족 달성

11 시스템 기능 (2) 생 산 개인별 작업지시에 의한 목표관리 작업지시서별 BOM에 의한 물량할당 및 실적관리
생 산 개인별 작업지시에 의한 목표관리 작업지시서별 BOM에 의한 물량할당 및 실적관리 외주업체 계약품의 및 계약관리 외주업체 월별 기성현황 제공 작업일보 작성에 의한 시수집계 작업지시 완료에 의한 실적집계 영 업 영업정보 공유 및 영업활동 우선순위 결정으로 정도있는 수주 추진계획 수립 실적자료 및 유사 견적자료를 축적하여 정확한 견적 및 원가 산출능력 구비 정확한 공정진행 현황을 실시간으로 제공하여 영업력 강화

12 시스템 기능 (3) 설 계 각종 업무의 통합화 / 전산화를 통하여 수작업 최소화 도면/BOM 체계 정립
설 계 각종 업무의 통합화 / 전산화를 통하여 수작업 최소화 도면/BOM 체계 정립 표준 도면/ BOM 정립으로 공사자료 작업시간 단축 설계변경 사항에 대한 처리 현황 파악 용이 설계 POR에 의한 자재구매 관리 자 재 발주정보와 제작일정의 연계 발주현황에 대한 정보관리 용이 자재코드 체계 확립으로 검색 및 관리 용이 발주 자재에 대한 진행현황 파악 용이 자재비의 목표관리 자재관리 시스템 확립

13 시스템 기능 (4) 원 가 표준공수에 의한 원가자료 관리 공사 공수에 의한 목표예산 관리 원가실적 집계를 통한 손익 판단
원 가 표준공수에 의한 원가자료 관리 공사 공수에 의한 목표예산 관리 원가실적 집계를 통한 손익 판단 사전원가 및 사후원가 관리 품 질 (옵션) 생산 일정계획에 의한 품질 검사계획 수립 공정/검사, 수입검사, 비파괴검사 실적관리 효율적인 검사계획 수립 중요 품질문제점에 대한 NCR 관리

14 시스템 기본 방향 자체개발에 따른 개발비용 상승방지 적용 방법론 및 객체지향형 Tool 의 적용
Package에 적용된 선진 Process 및 기술 도입 Client/Server Architecture 구축으로 Process의 효율적 분산  Project 관리체계의 Process 개선에 의한 효율적인 업무추진 부서간 관리 Point 및 표준화된 Process에 의한 업무흐름 부재 상호 정보교환 및 공유의 기본체계 부재 업무체계 확립 정보체계 Process Innovation을 통한 업무 표준화 및 통합화

15 A H B I J C D K E F G 시스템 특장점 MULTI-LANGUAGE SUPPORT 다국어 지원
TRANSPARENCY 정확한 공사가 관리 B INTEGRATION 프로그램 모듈 통합화 I QUALITY CONTROL QA 중심의 품질검사 제공 PRACTICALITY 실무 프로세스와 근접한 설계 C J EFFICIENCY 생산공정에 의한 납기관리로 재고량 최소화 D PORECAST 멀티프로젝트 분석으로 만든 공정 사전 예측 K PRODUCTIVITY LOAD BALANCE 및 JIT(JUST IN TIME)체계로 생산성 향상 E CONNECT TO NET 자재발주 시스템 정보를 인터넷으로 결재 F GRAPHICAL 한층 높은 BOM 관리 기능 G SCHEDULE MANAGEMENT 뛰어난 일정관리 기능

16 proERP 모듈 경 영 자 정 보 재 고 관 리 p r o E R P L T M O D U L E I M A G E 표준정보
경 영 자 정 보 표준정보 영업관리 설계관리 생산계획관리 자재관리 도면관리 생산관리 재 고 관 리

17 기대 효과 (1) 프로세스 (PROCESS) 시스템 (SYSTEM)
► 생산관리 중심의 PROCESS에서 공사관리 중심의 PROCESS로 전환되어 작업장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다. ► 불명확한 공사진도 관리를 상하의 일정관리 체제로 실적을 올릴 수 있게 된다. ► 공사원가가 CBS 체계로 관리되면서 회계로 처리될 수 있으므로 공사가 관리를 정확하게 할 수 있다. ► 현장중심의 품질검사 체계에서 QA 중심의 품질검사 체계로 관리할 수 있다. 시스템 (SYSTEM) ► 정보시스템 부재로 수 작업으로 관리했던 것들을 서로 연관된 DB로 활용할 수 있다. ► 자료 입력과다로 과중한 업무부담을 표준자료에 의한 자동 자료생성으로 업무 부담을 최대한 줄일 수 있게 된다. ► 일정 및 부하분석이 불가능했으나 Resource 관리 효율화로 Multi 공사를 분석할수 있게 된다. ► 조직의 변경사항이 생길 때마다 자료를 변경했으나, OBS 체제를 통해 조직을 일원화할 수 있다.

18 기대효과(2) 생산성 (Production Efficiency)
► 작업변경으로 수정작업이 과다했으나 작업 데이타베이스로 공법에 의한 생산 기술력이 확보될 수 있다. ► 원자재, 제품의 재고가 많았으나 생산 공정에 의한 납기관리로 재고량을 최대한 줄일 수 있게 된다. ► 부하분석의 부정확으로 판단의 착오가 발생되었나 LOAD BALANCE 및 JIT 생산 체계로 생산성이 향상된다. ► 과다한 서류로 사무생산성이 저하되었으나 실적 및 표준자료의 공유로 사무 생산성이 향상된다.

19 감사 합니다.


Download ppt "제 품 소 개."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