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wnload presentation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1
동아시아의 이해 제6강. 동아시아의 사회와 문화 신라대학교 국제관계학과 교수 이 동 윤
2
1. 동아시아의 민족 구성 1) 민족(nation)이란 무엇인가?
○ 민족을 주관적으로 인식할 것인가 혹은 객관적으로 이해할 것인가? - 민족과 민족성(nationality)은 보는 시각에 따라 주관적으로 정의되기도 하고, 객관적으로 구성되기도 한다. - 현실적으로 하나의 민족이 집단으로 존재하기 위해선 적어도 공동의 언어, 영토, 문화, 경제생활 등이 필요 ○ 르낭(Ernest Renan): 민족으로서 자신들을 인식하지 못하면 민족이 아니다. - 민족은 최소 자기의식 혹은 자기인식을 통해 공동의 민족적 정체성(national identity)을 갖는 집단 - 민족은 역사적 전통을 공유하고, 문화적으로 공동의 상징을 형상화하며, 공동의 구성원으로 의식하는 실체 혹은 공동의 기원을 갖는 특정 집단
3
○ 스탈린(Joseph Stalin): 민족은 그 구성원이 자신을 인식하지 못해도 존재
- 민족은 본원적(primordial)이기보다 구성된(constructed) 존재로서 특정 집단으로 인지된 권리를 획득하거나 그것에 대한 외부적 압력을 피하기 위해 정치적으로 구성 - 앤더슨(Benedict Anderson): 상상의 공동체(imagined communities) 개념을 통해 민족과 문화가 상상의 인위적 산물임을 주장 ○ 민족을 접근하는 네 가지 시각 ① 본원적(primordial) 시각: 인간은 언어 혹은 종교와 같은 본원적 공통점을 공유 하는 문화로부터 생성, 따라서 민족은 태어남과 동시에 공유되는 본원적 귀속감, 충성심이라 보는 시각 ② 도구적(instrumental) 시각: 민족적 표식은 유동적이며 조장될 수 있다는 시각 으로서 인간은 개인이나 지도자에 의해 특정 집단에 귀속되거나 충성하도록 강조 되는 분위기 속에서 형성된다는 시각 ③ 구조적(structural) 시각: 민족은 개인이나 지도자의 노력뿐만 아니라 보다 폭넓 은 환경이 민족 집단과 민족적 정체성의 발달에 어떤 영향을 주는가에 따라 형성 된다는 시각 ④ 패권적(hegemonic) 시각: 민족은 때로 특정한 지배집단이나 권력집단이 특정 목표를 획득하기 위해 민족적 정체성과 태도를 인위적으로 분할하거나 통합함으 로써 형성된다는 시각
4
○ 국가 내 다수·소수민족 사이 갈등을 해결하는 정책
① 배타정책: 특정 소수민족이 전체 국가나 다수민족에 귀속되거나 다수민족의 한 부분이라고 주장하는 것을 금지하는 정책 ② 동화정책: 소수민족이 다수민족이나 전체 국가에서 실행하는 것을 채택하게 함 으로써 다수민족에 포함되도록 하는 정책 ③ 통합정책: 각 민족 간 차이를 유지, 단일화된 통일국가 내에서 집단 간 상호의존 과 결속을 강화하는 정책 ④ 차별정책: 국가 내에서 특정 민족을 정치·경제적으로 우대하거나 특정 민족을 차 별하는 정책 ⑤ 차별철폐정책: 국가 내에서 특정 민족을 우대하거나 차별하는 것을 정책적으로 금지하는 정책 2) 동아시아의 민족 형성 ○ 동아시아는 세계 인구의 3분의 1이 거주하는 지역으로서 다양한 민족 분포 형성 - 수천 년 동안 넓고 다양한 지역에서 인구이동과 외부 세력과의 상호작용, 역내 이질적 민족들을 관리하기 위한 지배집단의 노력 등을 통해 다민족체제 형성 - 그러나 동아시아 지역에서 민족에 관한 학문적 연구는 역내 민족의 다양성을 논의하기 보다는 단일한 민족집단 혹은 각 국가별 민족관계를 중심으로 논의
5
① 중국의 민족 구성: - 공식적으로 중국 인구의 92% 이상은 한족(漢族)으로 구성 - 원래 한인(漢人: Han ren)은 한 왕조(B.C. 206~A.D. 220)의 후손을 의미 - 청 왕조(1644~1911) 시대에 만주족에 의한 통치에 저항하여 중국인들을 규합 하는 과정에서 한족 개념 형성 - 특히 20세기 이후 중국 정부에 의해 다양한 이질적 지역의 민족들을 통합하는 과정에서 한족 개념이 수단적 개념으로 강조 - 1911년 쑨원(孫文)은 청 왕조 폐지와 중화민국(中華民國)의 탄생과 더불어 중 국을 통합하기 위한 수단으로 동화정책 추진 - 1920년대 중국공산당은 국민당 정부에 대응하여 그들과 구분되는 지지기반 형 성을 위해 민족·지역 자치권 주장 - 1949년 이후 공산당 정부는 자치지역에 있어서 소수민족 자신의 문화, 언어, 종 교를 보존하고 발전시킬 수 있는 권한 부여, 정부 차원에서 민족적 비례에 입각한 대표 권한, 경제적 관리 권한 등을 인정 - 이에 따라 티벳, 신장․위구르, 동북 지역 등지에 대한 자치권 인정 ② 일본의 민족 구성: - 일본은 도서국가로서 역사적으로 타 지역과 구분되는 종족, 지역, 문화 등을 통해 그들만의 동질적 이미지를 형상화 - 현대 일본의 민족적 정체성은 일본 공동의 조상과 공동의 종족을 일깨운 메이지 (明治) 시대(1868~1912)로부터 기원
6
③ 한국의 민족 구성: - 한민족(韓民族)의 민족적 기원은 중앙아시아 알타이 산맥 인근지역에 거주하던 종족이 B.C. 3000년 경 한반도 북부로 이주를 시작하면서 형성 - 한민족은 현재 중앙아시아 지역에 50만 명, 중국에 200만 명, 일본에 60만 명 등 동아시아 전역에 다양하게 분포 ④ 말레이 민족의 분포: - 말레이 민족은 인도네시아 아쩨(Aceh), 바딱(Batak), 자바 및 필리핀 따갈로그 (Tagalog)를 비롯하여 말레이 반도 전역에 다양하게 분포 - 국가별로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다수민족을 비롯하여 싱가포르, 태국, 필리핀, 브루나이 등에 소수민족으로 분포 ※ 인도네시아의 경우 17,000여 개 군도로 형성된 지리적 특수성에 기인하여 종교, 언어, 지역으로 구분되는 다양한 민족적 정체성이 하나의 국가로 통합 - 네덜란드 식민통치의 영향으로 다양한 민족들이 다양성 속의 조화를 통해 인도 네시아라는 하나의 국가로 통합 - 그러나 아쩨, 깔리만탄, 서사모아, 티모르 등지에서 소수민족을 중심으로 한 민족 갈등 유발
7
※ 말레이시아의 경우 민족성, 경제구조, 민족 내 계급 등에 의해 중요한 민족적 구분과 갈등구조 형성
- 과거 영국은 식민지배의 원활한 통치를 위해 중국 남부지역으로부터 중국인을 유입하여 말레이 토착민 착취: 중간계급 형성과 민족갈등 유발 - 말레이시아는 민족 구분에 따라 통일말레이민족기구(UMNO), 말레이중국인 협회(MCA), 말레이인도의회(MIC) 등 민족을 대표하는 정당들이 정치연합 전선 형성 예] 1971년 이전 연맹당(Alliance Party), 1971년 이후 민족전선(Barisan Nasional) - 1969년 인종폭동 이후 1971년부터 신경제정책(NEP: New Economy Policy)에 입각, 민족 간 차별정책인 부미뿌뜨라(Bumiputra) 정책 시행 ⑤ 베트남의 민족 분포: - 공식적으로 베트남 인구의 86%는 베트남 북부의 토착민족인 낀족(Kin)으로 구분 - 낀족은 베트남 북부지역을 중심으로 과거 중국으로부터 지배를 받았으나, 이후 동남아 인도차이나 지역으로 확산 ⑥ 태국의 민족 구성: - 태국의 타이족은 5세기 중국 남부지역으로부터 남하하여 오늘날 태국지역에 분포하며 민족 형성, 현실적으로 라오 족을 비롯한 다양한 유사종족 함께 분포
8
2. 동아시아의 종교 분포 1) 종교(religion)란 무엇인가?
○ 종교는 인간의 삶과 가치체계를 확립하는 문화적 구성요소로서 오랜 역사를 거쳐 다양한 기능적 역할 수행 - 종교는 단순히 인간의 영적 매개 기능뿐만 아니라 사회구조나 통치체제와 연계 되어 인간의 생활양식과 가치관, 사회질서와 규범 등을 확립 - 종교는 의식과 절차, 경험과 정서, 교리와 철학, 윤리와 관습 등을 통해 사회제 도를 구성하고 사고체계를 규정 ○ 동아시아 지역의 종교에 대한 인식은 오리엔탈리즘(Orientalism)과 같은 아 시아에 대한 환상과 고정관념을 없애는 작업으로부터 시작 - 동양의 종교에 대한 잘못된 인식은 그것이 전체론적이고, 영적이며, 신비주의적 이고, 반개인주의적이며, 비이성적이라는 인식 등 - 그러나 동아시아 지역의 종교적 분포는 오히려 종교적 다양성이 엿보이며, 타 지역의 종교적 분포보다 덜 배타적
9
2) 동아시아의 종교적 유입 ① 불교의 유입: ○ 인도로부터 유입된 불교는 단일신교임에도 불구하고 유일신을 강조하지 않으나, 동아시아 토착신앙과 연계되어 동아시아 여러 국가들로 전파 - 고대 인도 종교는 베다(Veda) 전통에 입각하여 종교생활을 이끄는 지배계층이 존재, 이러한 베다 전통은 힌두교와 연계되어 자바, 발리 등 동남아 전역 확산 - 종교적 지배세력의 권위와 억압에 대항하는 신흥종교로 싯다르타(Siddhartha Gautama)의 가르침을 따르는 불교 확산 - 불교는 고행을 통한 정신수양과 윤회(輪回: samsara)사상, 업(karma)과 환생 (rebirth) 등의 교리를 통해 대중적으로 확산 ○ 대승불교와 소승불교의 유입 경로 - 대승불교(Mahayana): 개인적 고행과 해탈을 강조하는 소승불교의 교리 탈피, 모든 중생의 해방을 위해 헌신하는 보살(bodhisattva) 개념을 강조, 무역로인 실크로드(Silk Road)를 통해 중국, 한국, 일본, 베트남 등지로 전파 - 소승불교(Theravada): 수행을 통해 깨달음과 자유를 얻고자 정진하는 존재 로서 아라한(Arahan) 강조, 스리랑카로부터 캄보디아, 태국, 라오스, 미얀마 등지로 전파
10
- 라마불교(Rama): 티벳, 네팔, 몽고 등지로 전래
※ 일본의 경우 불교는 그 동안 제대로 된 교리(敎理)가 존재하지 않던 신도(神道)와 연계되어 교리를 제공하며 종교적으로 정착 ※ 중국의 경우 불교는 도(道)라 불리던 중도(中道)와 연계되어 도교(道敎) 형성 ② 유교의 전파: 유교는 종교라기보다 철학이나 사상으로 정의 - 유교는 오늘날 동아시아 많은 국가들에서 인간 삶의 철학, 사상, 의례, 관행, 관습 등을 규정하고 연결시켜 주는 주요 가치관 전래 - 유교는 유학과 같은 학문적 지향점을 지니고 있으나, 사회적 위계구조 및 행동양 식을 규정하는 유용한 가치틀 구축 - 유교는 이후 동아시아 사회에서 가족, 공동체, 국가, 세계관 등을 연계한 통치구 조 형성과 질서 확립에 기여 - 중국으로부터 기원한 유교는 한국, 일본, 베트남 등에 전파되어 각 국가별 실정에 합당한 사회질서로 발전 ③ 샤머니즘(shamanism)의 전래: - 샤머니즘은 초자연적 존재를 의미하나, 망자 이외의 소통을 수반하는 대부분의 관행을 이끄는 포괄적 용어
11
- 동아시아 지역에서 샤머니즘은 신들림, 액막이, 영매 등으로 구성
- 중국의 샤머니즘은 정통 종교와 함께 연계되어 종교적 기능을 수행하며, 유교적 가치관 속에서 조상 숭배 등 종종 종교 이상의 행위로 기능 - 일본에서 샤머니즘은 산자와 망자를 매개하는 초자연적 영매(무당) 존재 - 한국에서 샤머니즘은 고유한 종교적 전통으로 작용, 중국이나 일본보다 강력한 의미와 작용 - 동남아 지역의 샤머니즘 또한 고유한 전통으로서 정통 종교와 융합되어 존재 예] 필리핀: 가톨릭교와 샤머니즘의 연계, 미얀마: 낫(nat) 신앙 등 ④ 기독교(Christianity)의 분포: - 동아시아에서 기독교는 산업화 개발, 기술과 도시화 확산 등 근대화와 연계된 사회경제적 함의 - 기독교는 서구 열강의 식민지배와 더불어 유입되어 유일신교로서 타 종교에 대한 배타성으로 인해 종교적 갈등 초래 - 기독교는 가톨릭교과 개신교로 구분되어 동아시아 각국에서 선교를 목적으로 다양한 유입과정을 거쳤으나, 이에 대한 국가별 반응은 다양 - 중국의 경우 이미 2000년 전 도마(Thomas) 전설에 따라 기독교가 전래된 것 으로 알려져 있으나, 결과적으로 실패 - 일본의 경우 16세기 중반 기독교가 유입되었으나, 종교적 탄압을 겪다가 100년 후에야 다시 등장
12
- 한국의 경우 1784년 대한가톨릭협회 설립을 비롯하여 기독교의 성장이 가장
왕성한 동북아 국가로 자리매김 - 필리핀, 동티모르의 경우 기독교보다 가톨릭을 중심으로 종교적 확산이 이루어져 전체 인구의 95% 이상 가톨릭 신자 ⑤ 이슬람교(Islam)의 분포: - 이슬람(Islam)이란 용어는 복종 혹은 순종을 의미, 신의 뜻에 따라 순종하는 사람을 무슬림(Muslim)으로 지칭, 알라(Allah)만이 유일한 유일신교 - 이슬람교는 7세기 경 동아시아로 유입, 다른 종교보다 뒤늦게 유입되었으나 지속적으로 영향력 확산 - 실크로드를 통해 전파된 이슬람교는 중앙아시아의 목축 전통과 함께 중국 후이족 (Hui), 위구르족(Uighur) 등으로 분포 - 해양 교통로를 통해 동남아 국가들로 유입된 이슬람교는 문화접변 현상으로 전 래,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브루나이 등지에서 다수종교로, 태국, 필리핀 등지 에서 소수종교로 정착
13
3. 동아시아의 문화 형성 1) 문화(culture)란 무엇인가?
○ 문화는 그것을 바라보는 관점에 따라 매우 다의적으로 해석 가능 - 문화는 시공간을 통해 사회적 상호작용의 공유된 전통과 양식을 전달하는데 있어서 복잡한 유무형의 상징체계들을 이용할 수 있는 인간의 역량 - 보다 협의적 차원에서 문화는 행위 정향의 상징들이 유형화되거나 질서로서 자리 잡힌 가치체계, 개인 행위자들의 개성 내면화, 나아가 하나의 사회체계로 서 제도화된 행동양식 - 문화는 공동의 가치관을 지닌 집단의 유산이나 사회적 전통으로부터 전수, 인간 상호작용의 산물로서 공유 - 문화는 전통적 이념들과 그것들에 부과된 가치체계로서 전통적 상징에 의해 습 득되고 전달되는 의식적·무의식적 태도와 행태들로 구성, 인간집단의 독특한 업 적과 산물들로 형상화 ○ 문화는 동질성이나 이질성을 중심으로 공동체를 구분하는 제반 기준과 양식, 공동체의 특성을 강조하는 언어나 가치관, 민족 등을 통해 보다 강화된다.
14
- 문화는 단순히 인간의 삶을 영위하는 방식이나 가치관, 사유체계 등을 규정하는
- 문화는 단순히 인간의 삶을 영위하는 방식이나 가치관, 사유체계 등을 규정하는 협의적 개념에 머무르지 않고, 과거와 현재, 미래를 연결하는 광의적 개념 - 문화는 하나의 민족이나 국가 단위를 형성하는 중요한 구성요소로 작용 ○ 문화적 다양성과 차별성 ① 자문화 중심주의(ethnocentrism): - 자문화 중심주의란 자신들이 소유한 사회조직과 문화적 실체가 표준적인 것일 뿐만 아니라 최고의 것이라고 생각하는 신념” - 보다 극단적으로 자문화 중심주의는 다른 집단의 문화나 관습을 이질적이고 야 만적인 것으로 간주하려는 태도 ② 문화적 상대주의(cultural relativism): - 문화적 상대주의는 자신의 문화적 가치가 절대적인 것이 아니라 상대적이며, 자신의 삶의 유형과 방식이 유일하고 필연적인 것이 아니라고 생각하는 태도 - 따라서 문화적 상대주의는 서로 다른 문화 자체의 가치를 인정하여 각각의 문 화적 삶의 방식을 이해하려는 태도 ※ 일반적으로 지나친 자문화 중심주의는 문화적 가치나 유형을 달리하는 사회나 공동체들 사이의 대립과 긴장관계 유발, 문화적 상대주의는 상호 문화를 달리 하는 집단과 공동체들 사이의 이해와 교류를 바탕으로 협력 증진 ※ 보고르 선언(Bogor Declaration 1994): APEC 참가국들은 역내 경제협력을 위한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되, 선진국들의 경우 2010년까지, 개발도상국들의 경우 2020년까지 역내 무역과 투자 자유화를 추진하기로 합의한 선언
15
2) 동아시아의 문화적 특성 ① 동아시아 문화는 인도 문화의 전래와 중국 문화의 확산을 통한 문화접변의 결과 - 인도 문화: 힌두교의 전래, 불교의 전래 등을 통해 동아시아 전역에 영향, 특히 동남아 지역의 문화적 전통 확립 - 중국 문화: 유교적 가치관과 다양한 문물들이 중국 문화를 통해 확산, 특히 동북 아 지역의 문화적 전통에 영향 ② 동아시아 문화는 다민족 다문화 형성 - 단일민족 단일문화를 주장하는 한국, 일본과 달리 동아시아 각국은 다민족 사회 를 구성하며 다양한 문화적 접변 - 한국과 일본 등도 현실적으로 단일민족 단일문화라 볼 수 없으며, 다양한 문화적 접촉이 고유문화와 융합 ③ 빠른 근대화와 서구 문화의 접목 - 서구 열강에 의한 식민지배는 서구 문화와의 접목과 저항을 통해 새로운 문화적 변형과 발전 초래 - 동아시아 지역은 타 지역과 비교하여 빠른 근대화와 경제발전을 보여 왔으며, 이것은 이들 지역이 지니는 문화적 요인과도 밀접한 연관관계 형성
Similar present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