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제 6장 해양환경과 어장.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제 6장 해양환경과 어장."— Presentation transcript:

1 제 6장 해양환경과 어장

2 목차 어장의 환경요인 어장의 구분 어황의 변동 환경변화와 어획 어황 분석 및 예측 어장의 정의 어장의 환경 전선어장 용승어장
와류어장 어황의 변동 어황의 정의 어황의 변동 요인 환경변화와 어획 표층 어류의 특성                                         우리나라 근해의 어장                                    열대해역의 다랑어류 어장                                 어황 분석 및 예측 6.1 어장의 환경요인 6.1.1 어장의 정의 6.1.2 어장의 환경 6.2 어장의 구분 6.2.1 전선어장 6.2.2 용승어장 6.2.3 와류어장 6.3 어황의 변동 6.3.1 어황의 정의 6.3.2 어황의 변동 요인 6.4 환경변화와 어획 6.4.1 표층 어류의 특성                                         6.4.2 우리나라 근해의 어장                                    6.4.3 열대해역의 다랑어류 어장                                 6.5 어황 분석 및 예측

3 6.1 어업과 어장의 정의 어업: 해양 또는 내수면에서 서식하는 생물 중에서 인류가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는 것을 채포 또는 채취하여 소비자에게 공급하는 산업 어장: 유용 수산생물의 채포 또는 채취가 이루어지는 장소 예: 남해의 멸치 권현망어장, 동해의 오징어 채낚기어장, 서해의 참조기 안강망어장, 동중국해의 고등어 선망어장 등. 해조류 양식어장, 패류 채취어장과 넙치 가두리 양식어장도 넓은 의미로 어장에 포함 해양의 물리적 현상 혹은 지리적 요건에 근거한 어장 구분 전선어장, 용승어장, 와류어장, 대륙붕어장 어장의 성립 요건 어업대상 생물의 경제적 가치가 높아야 하고, 그 양이 풍부해야 하며, 어획할 수 있는 적절한 어구와 어법이 개발되어야 함.

4 어업 (고등학교 수산 일반) 어업: 수산업의 한 분야로서 수산물을 생산하는 경제활동이며,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사업이다.
어업: 수산업의 한 분야로서 수산물을 생산하는 경제활동이며,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사업이다. 어로활동: 수산 동·식물을 맨손이나 도구를 사용하여 채취하거나 포획하는 행위 오락 또는 스포츠 목적 - 유어 어장: 유용한 수산생물을 채취, 포획하는 장소를 말한다. 유용한 수산생물이 많이 분포하고, 쉽게 잡을 수 있는 조건을 갖 추어 포획 또는 채취가 이루어 지는 장소 형성요인 - 조경(해양전선) 어장; 용승 어장; 와류 어장; 대륙붕 어 장 등 어장의 성립 요건 어업대상 생물의 경제적 가치가 높아야 하고, 그 양이 풍부해야 하며, 어획할 수 있는 적절한 어구와 어법이 개발되어야 함.

5 어업 (고등학교 수산 일반) 어업의 종류 어로 과정
어획물 종류: 어류(어업); 해양포유류(해수어업); 조개류(채패어업); 해조 류(채조어업) 어장: 하천, 호소 담수(내수면어업); 바다(해양(해면)어업) – 연안어업, 근 해어업(연근해어업 또는 일반 해면어업), 원양어업 어업근거지: 국내기지어업; 해외기지어업 어획물과 어획방법: 고등어 선망 어업, 오징어 채낚기 어업, 장어 통발 어업; 명태 트롤 어업; 꽁치 봉수망 어업; 다랑어 선망 어업; 다랑어 연승 어업 등 경영형태: 비자본가적 어업; 자본가적 어업 법적 관리제도: 면허 어업; 허가 어업; 신고 어업 어로 과정 어군탐색(어장 찾기, 어군 찾기) 집어(유집, 구집, 차단 유도) 어횏

6 어업 (고등학교 수산 일반) 어구와 어획 방법 낚기 어구 그물 어구
어구의 분류: 주어구, 보조어구, 부어구 (어로장비, 어업기기) 낚기 어구 외줄낚기 주낙(연승) 그물 어구 함정어구: 유인 함정 어법, 유도 함정 어법, 강제 함정 어업 걸그물(자망): 수심, 운용방법(고정걸그물, 흘림 걸그물(유자망), 두릿 걸 그물(선자망) 두릿그물(선망): 들망(부망): 봉수망 후릿그물 끌그물(예망): 기선 권현망, 쌍끌이 기선 저인망, 트롤

7

8 어구와 어법 선망

9 어구와 어법

10 6.1.2 어장의 환경요인 수온 염분 빛 투명도 해수의 유동 용존산소 생물학적 요인 지질학적 요인 지리적 요인 – 대륙붕
협온성(stenothermal) vs 광온성(eurythermal) 염분 협염성(stenohaline) vs 광염성(euryhaline) 연직운동; 집어등 투명도 투명도판(Secchi disk); 연직감쇄계수; 해수의 유동 해류과 조류; 용승류와 침강류 용존산소 저산소(hypoxia); 무산소(anoxia)환경 생물학적 요인 먹이생물; 경쟁생물; 해적생물(천적); 동종섭이현상 지질학적 요인 섬; 해중산; 퇴초; 지리적 요인 – 대륙붕 베링해; 오호츠크해; 뉴펀들랜드근해; 북해; 바렌트해;

11 어장 탐색 및 조업의 흐름도 - 선망어업

12 수온이 어류의 분포와 자원량에 미치는 영향

13 어종별 어획적수온 및 어획최적수온

14 6.2 어장의 구분 전선어장: 용승어장 와류어장 퇴초(bank and reef) 어장 우리나라 근해 북서태평양 뉴펀들랜드 북해
남극해 용승어장 바람에 의한 용승 퇴초에 의한 용승 와류어장 역학적 와류계 지형성 와류계 퇴초(bank and reef) 어장

15 평균 표면수온/고등어/평균 단위노력당 어획량
동중국해 우리나라 근해의 전선어장

16 Large Marine Ecosystem

17 Large Marine Ecosystem : THE 5 LME MODULES
INTEGRATED ECOSYSTEM ASSESSMENTS : A key factor in reaching a determination on the status of ecosystem condition is the quantitative output from 5 modules of spatial and temporal indicators of ecosystem (i) productivity, (ii) fish and fisheries, (iii) pollution and ecosystem health, (iv) socioeconomics and (v) governance. Advances in technology now allow for cost-effective measuring of the changing states of LMEs using these suites of indicators. The five-module indicator approach to the integrated assessment and management of LMEs has proven useful in ecosystem based projects in the United States and elsewhere PRODUCTIVITY MODULE INDICATORS FISH AND FISHERIES MODULE INDICATORS POLLUTION AND ECOSYSTEM HEALTH MODULE INDICATORS SOCIOECONOMIC MODULE INDICATORS GOVERNANCE MODULE INDICATORS INTEGRATED ECOSYSTEM ASSESSMENTS : A key factor in reaching a determination on the status of ecosystem condition is the quantitative output from 5 modules of spatial and temporal indicators of ecosystem (i) productivity, (ii) fish and fisheries, (iii) pollution and ecosystem health, (iv) socioeconomics and (v) governance. Advances in technology now allow for cost-effective measuring of the changing states of LMEs using these suites of indicators. The five-module indicator approach to the integrated assessment and management of LMEs has proven useful in ecosystem based projects in the United States and elsewhere PRODUCTIVITY MODULE INDICATORS Primary productivity can be related to the carrying capacity of an ecosystem for supporting fish resources (Pauly and Christensen 1995). It has been reported that the maximum global level of primary productivity for supporting the average annual world catch of fisheries has been reached, and that further large-scale unmanaged increases in fisheries yields from marine ecosystems are likely to be at trophic levels below fish in the marine food web (Beddington 1995). Read more... FISH AND FISHERIES MODULE INDICATORS Changes in biodiversity and species dominance within fish communities of LMEs have resulted from excessive exploitation, naturally occurring environmental shifts due to climate change, and coastal pollution. Changes in biodiversity and species dominance in a fish community can move up the food web to apex predators and cascade down the food web to plankton components of the ecosystem. The fish and fisheries module includes both fisheries independent bottom-trawl surveys and pelagic-species acoustic surveys to obtain time-series information on changes in fish biodiversity and abundance levels. Read more... POLLUTION AND ECOSYSTEM HEALTH MODULE INDICATORS In several LMEs, pollution and eutrophication have been important driving forces of change in biomass yields. Assessing the changing status of pollution and health of an entire LME is scientifically challenging. Ecosystem health is a concept of wide interest for which a single precise scientific definition is difficult. The health paradigm is based on multiple-state comparisons of ecosystem resilience and stability, and is an evolving concept. To be healthy and sustainable, an ecosystem must maintain its metabolic activity level and its internal structure and organization, and must resist external stress over time and space scales relevant to the ecosystem (Costanza 1992). Read more... SOCIOECONOMIC MODULE INDICATORS The LMEs of the world's coastal waters annually contribute $12.6 trillion (US dollars) to the global economy (Costanza et al. 1997). The socioeconomic module emphasizes the practical application of scientific findings to managing LMEs, and the explicit integration of social and economic indicators and analyses with all other scientific assessments, to assure that prospective management measures are cost-effective. Economists and policy analysts work closely with ecologists and other scientists to identify and evaluate management options that are scientifically based and economically practical with regard to sustaining optimal socioeconomic benefits ofthe LME's goods and services. Read more... GOVERNANCE MODULE INDICATORS The governance module is implementing innovative governance practices in several GEF funded LME projects now underway in Africa and Asia. In LME assessment and management projects supported by the Global Environment Facility (GEF) for the Guinea Current, and Benguela Current LMEs, agreements have been reached among the environmental, fisheries, energy and tourism ministers of the countries bordering these LMEs to enter into joint transboundary, international resource assessment and management Commissions. Elsewhere, the Great Barrier Reef and Antarctic LMEs are also being managed from an ecosystem perspective, the latter under the Commission for the Conservation of Antarctic Marine Living Resources. Governance profiles of LMEs are being explored to determine their utility in promoting long-term sustainability of ecosystem resources (Juda and Hennessey 2001). In each of the LMEs, governance jurisdiction can be scaled to ensure conformance with existing legislated mandates and authorities (Olsen et al. 2006).

18

19 Large Marine Ecosystem : THE 5 LME MODULES
East China Sea: LME #47 Yellow Sea: LME #48 Sea of Japan / East Sea: LME #50 Kuroshio Current: LME #49 Oyashio Current: LME #51 Sea of Okhotsk: LME #52 West Bering Sea: LME #53 Antarctic: LME #61 Arctic Ocean: LME #64 Newfoundland-Labrador Shelf: LME #9 North Sea: LME #22 INTEGRATED ECOSYSTEM ASSESSMENTS : A key factor in reaching a determination on the status of ecosystem condition is the quantitative output from 5 modules of spatial and temporal indicators of ecosystem (i) productivity, (ii) fish and fisheries, (iii) pollution and ecosystem health, (iv) socioeconomics and (v) governance. Advances in technology now allow for cost-effective measuring of the changing states of LMEs using these suites of indicators. The five-module indicator approach to the integrated assessment and management of LMEs has proven useful in ecosystem based projects in the United States and elsewhere PRODUCTIVITY MODULE INDICATORS Primary productivity can be related to the carrying capacity of an ecosystem for supporting fish resources (Pauly and Christensen 1995). It has been reported that the maximum global level of primary productivity for supporting the average annual world catch of fisheries has been reached, and that further large-scale unmanaged increases in fisheries yields from marine ecosystems are likely to be at trophic levels below fish in the marine food web (Beddington 1995). Read more... FISH AND FISHERIES MODULE INDICATORS Changes in biodiversity and species dominance within fish communities of LMEs have resulted from excessive exploitation, naturally occurring environmental shifts due to climate change, and coastal pollution. Changes in biodiversity and species dominance in a fish community can move up the food web to apex predators and cascade down the food web to plankton components of the ecosystem. The fish and fisheries module includes both fisheries independent bottom-trawl surveys and pelagic-species acoustic surveys to obtain time-series information on changes in fish biodiversity and abundance levels. Read more... POLLUTION AND ECOSYSTEM HEALTH MODULE INDICATORS In several LMEs, pollution and eutrophication have been important driving forces of change in biomass yields. Assessing the changing status of pollution and health of an entire LME is scientifically challenging. Ecosystem health is a concept of wide interest for which a single precise scientific definition is difficult. The health paradigm is based on multiple-state comparisons of ecosystem resilience and stability, and is an evolving concept. To be healthy and sustainable, an ecosystem must maintain its metabolic activity level and its internal structure and organization, and must resist external stress over time and space scales relevant to the ecosystem (Costanza 1992). Read more... SOCIOECONOMIC MODULE INDICATORS The LMEs of the world's coastal waters annually contribute $12.6 trillion (US dollars) to the global economy (Costanza et al. 1997). The socioeconomic module emphasizes the practical application of scientific findings to managing LMEs, and the explicit integration of social and economic indicators and analyses with all other scientific assessments, to assure that prospective management measures are cost-effective. Economists and policy analysts work closely with ecologists and other scientists to identify and evaluate management options that are scientifically based and economically practical with regard to sustaining optimal socioeconomic benefits ofthe LME's goods and services. Read more... GOVERNANCE MODULE INDICATORS The governance module is implementing innovative governance practices in several GEF funded LME projects now underway in Africa and Asia. In LME assessment and management projects supported by the Global Environment Facility (GEF) for the Guinea Current, and Benguela Current LMEs, agreements have been reached among the environmental, fisheries, energy and tourism ministers of the countries bordering these LMEs to enter into joint transboundary, international resource assessment and management Commissions. Elsewhere, the Great Barrier Reef and Antarctic LMEs are also being managed from an ecosystem perspective, the latter under the Commission for the Conservation of Antarctic Marine Living Resources. Governance profiles of LMEs are being explored to determine their utility in promoting long-term sustainability of ecosystem resources (Juda and Hennessey 2001). In each of the LMEs, governance jurisdiction can be scaled to ensure conformance with existing legislated mandates and authorities (Olsen et al. 2006).

20 일본 동부의 북태평양 표층 해류계 북서태평양 전선어장

21 북해어장에 분포하는 청어의 회유 모식도 북대서양(북해)의 전선어장

22 퇴초에 의한 용승(왼쪽)과 등온선의 상승(오른쪽)

23 해수의 와류 운동에 의한 수렴 및 발산 역학적 와류계의 모습

24 6.3 어황의 변동 어황: 어장으로서의 요건이 갖추어진 곳에서 어획 대상생물의 시공간적 출현, 어획량 등의 어업상황
어획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어군이 분산되기 보다는 조밀하게 모여있어야 하며, 어선의 접근과 어구 및 어법의 적용이 용이 해야 함. 어황분석은 시간의 변화에 따른 어획량의 변동으로 나타내는데, 총 어획량(total catch) 대신 단위노력당 어획량(catch per unit effort, CPUE)을 주로 이용함.

25 6.3.2 어황의 변동요인 바람과 강수의 영향 이상수온 및 안개 갯녹음 해수면의 일시 상승 성층 유체의 흐름 적조 유류 오염
온배수 6.1 어장의 환경요인 6.1.1 어장의 정의 6.1.2 어장의 환경 6.2 어장의 구분 6.2.1 전선어장 6.2.2 용승어장 6.2.3 와류어장 6.3 어황의 변동 6.3.1 어황의 정의 6.3.2 어황의 변동 요인 6.4 환경변화와 어획 6.4.1 표층 어류의 특성                                         6.4.2 우리나라 근해의 어장                                    6.4.3 열대해역의 다랑어류 어장                                 6.5 어황 분석 및 예측

26

27

28 온배수를 이용하는 양식 현황 국가명 주요 어종 비 고 한 국 넙치, 우럭 치어 온배수를 이용하는 양식 현황 시험단계 일 본
넙치, 참돔, 복어, 새우, 전복 등 전종목 기업화 및 방류사업 중 영 국 혹돔, 방어, 가자미, 넙치 등 일부 어종 기업화 및 방류사업 중 프랑스 농어, 참돔 등 방류어 양식 미 국 전갱어, 굴, 대합, 새우 등 굴 등 기업화 및 기타 시험양식 캐나다 송어 등 양식시험 성공

29 6.4 환경변화와 어획 6.4.1 표층어류의 특성: 대부분은 크기가 작은 어류(small pelagic fish, 멸치, 정어리, 고등어류) 주로 플랑크톤 식성 짧은 수명 군집을 이루는 성향이 강함 전체 생물량(biomass)과 풍도가 높음 해양생태계 내에서 동물플랑크톤의 포식자로써의 역할과 대형 어류 혹은 포유류 등의 상위 포식자들의 먹이생물이 되어, 생태계 먹이그물에서 중간자 역할 세계의 해양에서 생산량이 가장 많은 어종을 10종 선택하였을 때, 7~8 종의 어류가 소형표층어류의 범주에 들어가는 어종이며, 심한 표층의 기상현상과 해양환경 변화에 따라 어류의 분포와 자원량의 변화가 심함.

30 다수 어획 어종에 대한 최소/최대 어획량 및 비율
(단위 MT) 1992년의 주요 어획대상 어종 최소 최대 비율 (최대/최소) 명태(Alaska pollock) 1.9 페루 멸치(Peruvian anchovy) 6.9 대서양 대구(Atlantic cod) 945623 1.6 대서양 청어(Atlantic herring) 1.8 열빙어(Capelin) 748800 2.8 칠레 전갱이(Chilean jack mackerel) 3.5 대서양 정어리(European pilchard) 907348 1.7 정어리(Japanese pilchard) 295788 16.0 다랑어(Skipjack tuna) 1.5 남미 정어리(South American pilchard) 338131 12.6

31 우리나라 주요 표층어류의 어획량 및 전체 연근해 어획량에 대한 비율
주요 표층어류 10종 (고등어류, 꽁치, 전어, 멸치류, 방어, 삼치류, 숭어류, 오징어, 전갱이, 청어)

32 한반도 주변 해역에 서식하는 어류 군집 서해 저서 생태계: 참조기, 갈치 등
서해 저서 생태계: 참조기, 갈치 등 동해 남부 포함 대마난류계 표층 생태계: 고등어, 멸치, 오징어 등 동해 저서 생태계: 명태, 대구 등 (김, 2003).

33 2011년 4월 월간 어황 정보 2011년 4월 월간 어황 정보 이름 | 자원관리과 등록일 | 조회수 | 7259 파일 | _2011-4월 월보.hwp 1. 어종별 어황 3월의 주요 어종별 어황을 보면 갈치, 고등어, 참조기, 멸치, 살오징어는 평년비 순조로웠고, 전갱이, 말쥐치, 참다랑어는 평년비 부진한 어황을 보였다. 4월에 들면 고등어는 대마난류의 확장 및 수온 상승으로 어군의 분포역이 확산되겠으며, 제주도 주변해역~대마도 서방해역에 걸쳐 폭 넓게 어장이 형성될 것으로 전망된다. 전체적인 어황은 평년수준을 나타낼 것으로 예상된다. 전갱이는 제주도 주변해역 및 제주도~대마도 해역에서 중심어장이 형성되겠으며, 제주도 남방해역에서도 일부 어장이 형성되겠다. 어군의 내유량이 감소하여 전체적인 어황은 평년비 부진할 것으로 전망된다. 살오징어는 월동을 위해 남하하는 어군에 의해 구룡포~대마도 사이의 동해남부해역 및 제주도~대마도 사이의 남해동부해역에서 어장이 형성되겠으며, 평년보다 낮은 수온으로 인해 동중국해로의 남하회유 속도가 늦어지면서 전체적인 어황은 평년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멸치는 봄철 산란을 위해 연안으로 접안하는 어군을 대상으로 남해도에서 거제도에 이르는 남해동부해역 및 기장주변의 동해남부해역에서 중심어장이 형성되겠으며, 전체적인 어황은 평년비 순조로울 것으로 전망된다. 갈치는 대마난류세력 확장으로 인해 제주도~추자군도~대마도간 해역에 형성되는 수온 불연속대를 따라 길게 어장이 형성되겠으며, 내유량이 서서히 회복되고 있어 어황은 평년수준 또는 평년비 순조로울 것으로 전망된다. 참조기는 서해남부해역에서 제주도 서방 및 주변해역까지 남북으로 길게 주 어장이 형성되겠으며 증가한 내유자원량으로 인해 전체적인 어황은 평년수준 또는 평년비 순조로울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근해유자망어업은 금어기(4월 22일~8월 10일)로 접어들어 조업을 하지 않겠다. 그 외, 말쥐치는 겨울 이후 어획량이 감소하는 추세이며, 꽁치, 갑오징어, 명태는 여전히 자원량이 회복되지 않고 있어 어황은 저조할 것으로 전망된다.

34 황해 저서 생태계 어장 환경 참조기 yellow croaker, Pseudosciaena polyactis Bleeker 갈치
얕은 수심, 반 폐쇄적인 만 열 수용량, 표면수온 계절변화 동계 황해저층냉수 – 10-12℃ ‰ 참조기, 갈치 저서 어류 서식지 참조기 yellow croaker, Pseudosciaena polyactis Bleeker 회유: 월동 – 동중국해, 가을 이동; 산란 – 황해, 봄, 5월, 서부 연안 어 장 형성 저인망, 안강망 갈치 회유: 6-10월 남해안 서해안 산란 안강망, 쌍끌이 대형저인망, 대형 기저쌍끌이(9-11월, 남서부, 제부 남 방 )

35 안강망 어업에 의한 참조기 어장의 분포 황해 저서생태계 어장

36 대만 난류 표층 생태계 어장 환경 계절 회유 - Hardin-Jones 삼각형 어류 회유 살오징어 멸치 고등어 꽁치
대마난류, 남해 연안수, 황해 난류; 남해안 섬 – 와류 및 저층수 용승 수온분포 예측 계절 회유 - Hardin-Jones 삼각형 어류 회유 산란/월동(동중국해 남부) –대마난류- 성육 – 가입 – 섭이 살오징어 산란(가을 – 겨울) 멸치 산란(초여름) 고등어 산란(겨울-봄) 꽁치 산란(봄, 가을 2회)

37 동중국해 대마난류 표영생태계에 기반을 둔 어류들의 회유 모식도

38 살오징어의 회유

39 평균 표면수온/고등어/평균 단위노력당 어획량
동중국해 우리나라 근해의 전선어장

40 동해 저서 생태계 어장 환경 명태 대구 온수성 + 냉수성 walleye pollock, Theragra chalcogramma
원산만 자원 붕괴 – 남획, 환경 변화(수온) 대구 Pacific cod, Gadus macrocephalus 100m 수심, 2-4℃, ‰

41 동해 명태 어장 분포 및 변화 동해 저서생태계 어장

42 동해 대구의 어획지점과 100 m 수온 분포 2002년 2003년

43 적도태평양 연승 어구 - 다랑어 어종의 분포 모식도
엘리뇨와 라니냐 발생시

44 난수풀(warm pool)과 가다랑어 어군의 이동 모식도
엘리뇨와 라니냐 발생시

45 Schematic vertical distribution of tuna in the Pacific
Bigeye tuna (Thunnus obesus) Yellowfin tuna (Thunnus albacares) Skipjack tuna (Katsuwonus pelamis)

46 Yellowfin tuna (황다랑어) with thermocline
La Niña El Niño upwelling No upwelling Preferable water mass for yellowfin

47 Bigeye tuna (눈다랑어) with thermocline
No upwelling La Niña El Niño upwelling Preferable water mass for bigeye

48 6.5 어황분석 및 예측 어황은 어획량의 시공간적인 변동을 의미하며 해황 변동의 영향을 크게 받음.
어황은 어획량의 시공간적인 변동을 의미하며 해황 변동의 영향을 크게 받음. 어황 분석은 최종적으로 지속 가능한 어업활동을 영위 하기 위한 것으로 어업 활동의 효율성 향상 및 자원의 효과적인 관리 등을 위해 필요함. 지속 가능한 어업 활동을 위해서는 신뢰성 있는 어황분석과 이를 토대로 한 어황 예측이 필요한데, 과거의 경우 어황 분 석 및 예측은 대부분 선박을 이용한 현장관측자료에 의존하 였으나, 최근에는 인공위성원격탐사(remote sensing) 방법, ARGO 뜰개자료 등이 어류의 어황예측을 위하여 이용됨. 해양위성 원격탐사 지리정보시스템(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49 날개다랑어 어장 예측과 예측 알고리즘 인공위성 원격탐사 자료를 이용한 날개다랑어 어장 예측(좌)과 예측 알고리즘(우) (이충일 외 5인(2011) 수산해양학) 인공위성 원격탐사 어황은 어획량의 시공간적인 변동을 의미하며 해황 변동의 영향을 크게 받는다. 어황 분석은 최종적으로 지속 가능한 어업활동을 영위하기 위한 것으로 어업 활동의 효율성 향상 및 자원의 효과적인 관리 등을 위해 필요하다. 지속 가능한 어업 활동을 위해서는 신뢰성 있는 어황분석과 이를 토대로 한 어황 예측이 필요한데, 과거의 경우 어황 분석 및 예측은 대부분 선박을 이용한 현장관측자료에 의존 하였다. 현장관측 자료에 의존한 어황분석은 광역의 해역에 대한 자료의 동시성 및 어황과 해황을 비교함에 있어 시공간적인 불일치 등과 같은 문제점을 초래한다. 반면 인공위성원격탐사 자료는 현장관측 자료에 비해 정확도 및 측정 수심이 해양의 상층부에 국한되는 단점이 있으나 위성영상자료의 검보정 작업을 통해 이러한 문제점이 해결되고 있다. 최근에는 인공위성을 활용한 원격탐사(remote sensing)가 국토관리, 수자원, 해양, 수산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해양위성원격탐사는 해양을 주기적으로 관측한 위성영상 자료를 이용하여 해류, 해수면 온도의 분포, 기후변화, 연안 어장 관리, 유해생물 모니터링 및 감지, 해양의 기초 생산력 측정, 해수중 부유입자 및 용존 유기물질의 분포, 빙하의 면적과 두께, 해상풍, 야간조업어선의 분포 등 다양한 정보를 수집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렇게 특정 공간에서 수집된 다양한 정보들을 종합 분석할 경우 해양위성원격탐사의 응용 분야는 매우 넓어지며, 특히 어황분석 및 예측 분야에 대한 활용도가 높다. 이와 같은 지리정보시스템(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은 특정 공간내에서 시간 정보에 따른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를 수집, 저장, 관리하고 데이터를 분석하여 분포 특성 및 데이터 간의 상호관계 파악이 가능하며, 공간 데이터의 분석 결과를 활용하여 종합적인 정보 제공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해표면 수온(SST), 엽록소 a (chlorophyll a (Chl a)), 난류(turbulence)에 의한 운동에너지(eddy kinetic energy (EKE)), 평균해수면에 대한 상대적인 해수면의 높이 차(sea surface height anomaly (SSHA)) 등의 정보로부터 어장의 형성 가능성, 규모 그리고 대상 어종의 분포 형태 및 자원량 추정 등의 어황 분석과 예측이 가능해진다.

50 AGRO What is Argo? http://www.argo.ucsd.edu/
Argo is a global array of 3,000 free-drifting profiling floats that measures the temperature and salinity of the upper 2000 m of the ocean. This allows, for the first time, continuous monitoring of the temperature, salinity, and velocity of the upper ocean, with all data being relayed and made publicly available within hours after collection.

51 AGRO Comprised of three subsystems:
Hydraulics: control buoyancy adjustment via an inflatable external bladder, so the float can surface and dive. Microprocessors: deal with function control and scheduling. Data transmission system: controls communication with satellite. Approx. Weight: 25 Kg Max. operating depth: 2000m Crush depth: 2600m The three float models in use are the PROVOR built by MARTEC in France in close collaboration with IFREMER, the APEX float produced by Webb Research Corporation, USA and the SOLO float designed and built by Scripps Institution of Oceanography, USA.

52 AGRO Why is Argo data novel? http://www.argo.ucsd.edu/
As a worldwide array of 3000 floats, Argo data is unique for several reasons: The distribution of data throughout the oceans is uniform rather than dependent on shipping lines. There is a of lack of seasonal bias since the floats operate year round. The efficient data management network that provides free automatic quality controlled data within 24 hours and scientifically quality controlled, delayed mode data within several months. Multi-national collaboration to deploy, monitor and analyze floats and their data.

53 Ship Based CTDs during WOCE
Argo Floats Ship Based CTDs during WOCE Ship based XBTs

54


Download ppt "제 6장 해양환경과 어장."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