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wnload presentation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1
중국&한국 전자상거래(B2C&C2C) Platform別 규모
시장현황 – 전자상거래 시장 규모 On-line으로 거래되는 소매시장 상품 규모는 2014년 기준 약 3조 위안(약 4,592억 달러)으로 한국(약 470억 달러)의 10배 규모임 (알리바바의 시장 점유율이 80% 이상) 중국&한국 전자상거래(B2C&C2C) Platform別 규모 한국 ($470억) (단위 : 억, USD) 독일 ($630억) 중국* ($4,592억) 일본 ($708억) 미국** ($3,056억) UK ($820억) * 출처: 2014年度中国网络零售市场数据监测报告, 2014, B2B 시장 제외 **출처 : , 2014
2
B2B B2C C2C [참고]시장별 Alibaba Platform 점유율
Alibaba는 B2B, B2C, C2C 等 중국 전자상거래 전 영역에서 압도적 시장 지위를 확보 → B2C:60.3%, C2C: 96.2% 점유율 기록(2014년 기준) 39% B2B B2C C2C 60.3% 96.2% Total Market Size 10조 RMB ($1.623조) Alibaba Platform 1688.com, 3.9조 RMB($6,331억) 업계 2위 Platform (점유율: 8.7%) Total Market Size 1.26조 RMB($2,045억) Alibaba Platform Tmall.com 0.763조 RMB($1,239억) 업계 2위 Platform JD.com (점유율: 20.8%) Total Market Size 1.53조 RMB($2,484억) Alibaba Platform Taobao.com 1.475조 RMB($2,394억) 업계 2위 Platform paipai.com(점유율: 3.4%)1) 출처: 中国跨境进口零售 电商行业, 2016년, i research 1)paipai.com 2016년 4월 1일부로 서비스 종료
3
시장현황 – 소비재 시장 규모 및 On-line 채널 비중
2010년 부터 전체 소비재 시장은 연평균 약 20% 성장(On-line: 평균 54%성장)하여 2015년에는 5조 달러 이상 규모에 달할 것으로 추정(On-line: 12% 점유) 중국 소비재 시장 성장 추이 및 온/오프 라인 거래 비중 (단위 : 억, USD) * 출처: 中国电子商务软件行业研究报告), 2014
4
Tmall Global 등장으로 100% 이상 성장!
시장현황 – 해외 상품 구매 전자상거래 수입 소매시장(B2C)은 소비자 취향의 다양화 및 고품질 제품에 대한 니즈 증가로 인해 최근 4년간 급격히 성장 → 향후 2018년까지 연평균64% 성장 예상 중국 수입 전자상 소매시장 규모 및 증가율 (단위 : 억, USD) 해외 상품/문화에 대한 노출 증가 중국 로컬 업체들의 고급인력 유치로 인해 유학, 사업을 목적으로 해외에 장기 체류 후 중국으로 회귀 중국인 해외 여행객 3년 연속 세계 1위 → 2014년 기준 1억 9백명 (소비지출 1,900억 달러) 패션, 화장품 等 소비재 상품 해외 브랜드의 중국 진출↑ CAGR64% Tmall Global 등장으로 100% 이상 성장! 구매력 증가 및 소비패턴 변화 8090后 (80,90년대 이후 출생자)의 구매력 증가로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소비 확대 북경, 상해 等 1선 도시를 중심으로 지속적인 구매력 상승으로 품질과 브랜드의 신뢰성 중요 중산층을 중심으로 명품/사치재 소비성향은 줄어들고, 가격대비 고품질의 상품 선호 * 출처: 中国跨境进口零售 电商行业, 2016년, i research
5
시장현황 – 중국 전자상거래 시장 특징 소수에 집중된 시장 지배력, 메신저를 통한 고객상담, 소비자 중심적 체계 등의 특성으로 중국 E-Commerce 시장은 다른 나라와 특징이 상이하므로 이에 적합한 사업 운영 重要 플랫폼 CS service 소비자 중심형 “알리바바의 시장 점유율이 80% 이상으로 압도적” “메신저를 통한 Communication 多” “소비자 편의를 위한 빠른 배송 및 유연한 반품/취소 ” 독립몰 보다는 3rd party Major Platform 內 쇼핑몰의 형태 多 특히 외국계 대형 제조사들은 3rd party 內 Flagship Store 입점 3rd party platform 의존도 高 메신저 통한 실시간 고객 지원의 중요성 大 제품의 상세 사이즈, 정품 여부 等 소비자의 질문에 정확하게 대응 가능한 숙련된 인력 중요 쇼핑몰에 대한 고객 평가가 쇼핑몰 사업 성패에 영향 大 배송 시일에 대한 민감도 高 B2C Mall의 경우 재고관리를 통한 신속한 배송 必
6
시장전망 – B2C 시장의 확대 Taobao와 같은 기존 C2C 시장에서 低품질, 가짜 상품 유통 等 신뢰도 문제가 지속적으로 발생함에 따라 Tmall과 같은 B2C 플랫폼에 대한 니즈 증가 시장 변화 요인 B2C vs. C2C 시장 비중* 소비자 Taobao 구매 상품에 대해 지속적으로 품질/가품 이슈가 발생 → Taobao 대비 입점 기준 및 품질 관리 수준이 높은 Tmall로 이동 多 Platform Taobao에 비해 Tmall이 거래수수료 및 보증금/연회비 등 수수료 수입 높음 → Tmall Global 등 B2C 시장을 목표로 서비스 다양화 추진 중국 정부 Taobao에서 발생하는 거래에 대해 증치세 미부과 품질/가품 이슈 측면에서 C2C 시장의 관리/통제 어려움 증대 * 中国电子商务软件行业研究报告, 거래액 기준, 2015
7
시장전망 – Mobile 사용자 증대 온라인 거래 중 Mobile을 통한 거래 비중이 51%로 증가함에 따라 전자상거래 산업도 Mobile 사용자의 특성 및 니즈에 적합한 환경 구축 필요 E-Commerce 변화 방향 전자상거래 구매 Device 비중 Mobile 사용환경 구축 모바일에 특화하여 Web보다는 APP. 위주로 모바일 채널 개발 경향 모바일 환경에 최적화된 효율적인 상품 탐색 프로세스 구축 Desktop-Tablet-Smartphone 間 Cross- Device 구매 사용자 편의성 고려 농촌지역이나 중소도시에서 PC 보급률 보다 Mobile 보급률이 증가하고 있고, 젋은층 사이에서 Mobile 사용이 확대 Apple, Samsung 等 해외社 뿐 아니라 샤오미, 화웨이 等 국내 업체까지 SmartPhone 공급함에 따라 보급률 급증 Mobile Infra 연계 모바일 환경에서의 고객 서비스 대응을 위해 Platform-메신저 間 유기적 연동 必 결제 편의성 제고를 위해 WechatPay, Alipay 等 Mobile 결제 시스템과 연계↑ 실시간 위치 기반 서비스 기술의 적용을 통한 마케팅 활동 전개 * 中国电子商务软件行业研究报告, 거래액 기준, 2014
8
시장전망 – 해외 상품 니즈 해외 상품/문화에 대한 노출 증가와 구매력 증가에 의한 소비패턴 변화로 인해 향후에도 해외 상품에 대한 니즈는 지속적으로 확대 및 다양화 될 것으로 예상 중국인 해외 유학생 인구 현황(출국/귀국) 해외 상품/문화에 대한 노출 증가 중국 로컬 업체들의 고급인력 유치로 인해 유학, 사업을 목적으로 해외에 장기 체류 후 중국으로 회귀 중국인 해외 여행객 3년 연속 세계 1위 → 2014년 기준 1억 9백명 (소비지출 1,900억 달러) 패션, 화장품 等 소비재 상품 해외 브랜드의 중국 진출↑ 구매력 증가 및 소비패턴 변화 8090后 (80,90년대 이후 출생자)의 구매력 증가로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소비 확대 북경, 상해 等 1선 도시를 중심으로 지속적인 구매력 상승으로 품질과 브랜드의 신뢰성 중요 중산층을 중심으로 명품/사치재 소비성향은 줄어들고, 가격대비 고품질의 상품 선호 * 출처 : National Bureau of Statistics of China, 2014
9
고품질, 안전성, 신뢰성을 갖춘 제품과 브랜드를 선호
중국 소비자의 특징 지불방식 플랫폼 CS service 한국과 달리 독립몰이 없으며 알리바바가 전체 EC시장의 80%이상 플랫폼을 통한 구매비중이 압도적 메신저를 통한 판매자와 실시간으로 채팅 제품의 상세 사이즈, 정품 여부 등 문의 후 구매하는 습관이 있음 알리페이, 텐페이 와 같은 지불수단 이용 신용카드 보급률이 적고 이러한 특성상 해외 결제가 어려움 주요 해외 직구 품목 8090后의 구매력 상승 고품질, 안전성, 신뢰성을 갖춘 제품과 브랜드를 선호 한국 상품 경쟁력 → “ 가격대비 우수한 품 질 ”
10
추후 중국 경제성장률에 전자상거래 활성화 통해 6.5% 를 유지하고자 하는 중국 정부의 적극적 의지/계획
중국 정부 지원 정책 패션 14~23 → 7~10% 화장품 5 → 2% 기저귀 7.5 → 2% 보세구역 확장 24시간 통관 실시 스마트 물류·배송 플랫폼 구축 지원 국경 간 전자상거래의 통관 효율 향상 관세 하락 물류 인프라 정비 전자상거래 국제협력 강화 전자상거래 기업의 해외 진출 추진 법규·표준체계 완비 신용체계 구축 강화 지역 간 조화로운 전자상거래 시장 발전 추진 2020년까지 인터넷 사용자 11억 명 3G·LTE 사용자 12억 명 목표 초고속 인터넷 망 구축 농촌지역 인터넷 보급률 98% 전자상거래와 기타 산업과의 융합 촉진 대외개방 및 지원체계 구축 광대역 중국 전략 실시 기업 및 소비자의 판매·구매 여건 개선, 추후 중국 경제성장률에 전자상거래 활성화 통해 6.5% 를 유지하고자 하는 중국 정부의 적극적 의지/계획
11
향후 B2C시장의 시장점유율이 가파르게 성장 예상
C2C → B2C 이동 [2011년] 74.7% 25.3% C2C / B2C [2015년 예상] 51.4% 48.6% C2C / B2C B2C 비중 C2C의 1/3 수준 2015년 3분기 B2C 비중이 C2C를 이미 추월 향후 B2C시장의 시장점유율이 가파르게 성장 예상
12
향후 모바일로의 비중이 가파르게 성장할 것으로 예상
PC → Mobile 이동 중국 온라인 구매 시장 PC&모바일 비중 (단위: 조 달러) 2012 2013 2014 2015e 2016e 2017e 2018e PC 94% 86% 66% 49% 39% 32% 29% 모바일 6% 14% 34% 51% 61% 68% 71% 15년 모바일 이용율이 PC 추월 향후 모바일로의 비중이 가파르게 성장할 것으로 예상
Similar present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