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도영경, 이중규, 권영훈, 김창엽*, 윤석준**, 박기동, 김용익, 신영수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도영경, 이중규, 권영훈, 김창엽*, 윤석준**, 박기동, 김용익, 신영수"— Presentation transcript:

1 한국인 질병의 장애가중치 측정 결과 고찰 Disability Weights in the Korean Burden of Disease Study
도영경, 이중규, 권영훈, 김창엽*, 윤석준**, 박기동, 김용익, 신영수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의료관리학교실,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2 연구배경 세계질병부담연구(Global Burden of Disease Study) 이후 국가 및 지역단위 질병부담연구 수행
National and sub-national studies First( ) Second( ) Third(1999-) Andrea Pradresh Mexico Colombia Chile Mauritus Maghreb countries Australia New Zealand Netherlands USA Zimbabwe Thailand Source: Mathers C.(Global Programme on Evidence for Health Policy, WHO)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의 료 관 리 학 교 실

3 연구배경 전문가 일반인 각국의 특수한 사회문화적 배경 질병부담의 국가간 비교가능성(필요성)
질병부담 산출의 필수요소로서 장애가중치(disability weight)의 문제 장애가중치의 국가간 차이 대 보편성 각국의 특수한 사회문화적 배경 질병부담의 국가간 비교가능성(필요성) 측정대상(informants)의 문제 전문가 일반인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의 료 관 리 학 교 실

4 European DW Project Source: Cross-national comparability of burden of disease estimates: the European Disability Weights Project(Bull WHO,2002)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의 료 관 리 학 교 실

5 A study on disability rank in 14 countries
Modified from Ustun TB et al, The Lancet 354(10), 1999.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의 료 관 리 학 교 실

6 Less variable at both ends of the range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의 료 관 리 학 교 실

7 Highly variable for intermediate conditions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의 료 관 리 학 교 실

8 연구목적 한국인 질병의 장애가중치 측정 결과를 기존 질병부담 연구의 장애가중치와 비교하여 차이가 나는 양상을 관찰한다.
한국 장애가중치 측정 결과의 타당도 검토 향후 추가 연구 지점 도출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의 료 관 리 학 교 실

9 연구재료 및 연구방법 한국 장애가중치 호주 장애가중치 (18개 세부범주, (GBD + Dutch) 118개 질병) 측정치 비교
질병별 세부범주(subcategory)별 순위상관 전체 질병 질병세부범주 내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의 료 관 리 학 교 실

10 질병분류체계 세부범주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의 료 관 리 학 교 실

11 연구결과

12 전체 질병 장애가중치 분포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의 료 관 리 학 교 실

13 전체 질병 장애가중치 비교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의 료 관 리 학 교 실

14 장애가중치 결과(1) -전염성, 기생충성 질환(일부)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의 료 관 리 학 교 실

15 장애가중치 결과(2) - 급성호흡기감염 - 모성질환 - 주산기질환 - 영양결핍성질환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의 료 관 리 학 교 실

16 장애가중치 결과(3) - 악성신생물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의 료 관 리 학 교 실

17 장애가중치 결과(4) - 당뇨병 - 정신질환 - 신경 및 감각기관질환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의 료 관 리 학 교 실

18 장애가중치 결과(5) - 심장질환 - 호흡기질환 - 소화기계질환 등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의 료 관 리 학 교 실

19 장애가중치 결과(6) - 선천성기형 - 구강질환 - 고의성 및 비고의성 상해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의 료 관 리 학 교 실

20 세부범주별 장애가중치 차이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의 료 관 리 학 교 실

21 질병별 장애가중치 차이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의 료 관 리 학 교 실

22 측정치 소결 한국인 장애가중치는 기존 연구 결과에 비해 전반적으로(질병분류 항목: 79.7%) 높은 수치를 보임.
장애가중치 평균의 차이가 큰 세부범주는 심혈관계질환(0.343), 악성종양(0.291), 사고손상(0.272), 만성호흡기질환(0.266), 모성질환(0.231), 정신질환(0.201) 순임. 한국의 장애가중치 평균이 더 낮은 세부범주는 급성호흡기질환(-0.012)임. 큰 차이를 보인 질병은 war, leprosy, congenital heart disease, maternal sepsis, bipolar disorder, road traffic accident, drowning, cirrhosis of the liver, schizophrenia 순임.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의 료 관 리 학 교 실

23 순위상관분석 Spearman 순위상관계수 전반적 세부범주별 118개 = 0.677 16개 지표질환 = 0.829
전염성 및 기생충 질환: 유의하지 않음 악성신생물: 0.772 정신질환: 0.755 선천성기형: 0.655 고의성 및 비고의성 상해: 0.674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의 료 관 리 학 교 실

24 고찰 및 결론

25 고찰 및 결론(1) 일반적으로 장애가중치 차이가 발생하는 원인 한국 장애가중치 결과의 차이 원인 추정
측정대상(Informant) 사회문화적, 경제적 차이(보건의료체계 하부구조 포함) 질병 기술 등 측정 과정의 문제 한국 장애가중치 결과의 차이 원인 추정 War 등의 상해: 사회심리적 요인, 기술적인 문제? 정신질환, 선천성기형: 사회문화적? 심장질환: 보건의료체계 하부구조 요인?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의 료 관 리 학 교 실

26 고찰 및 결론(2) 질병부담 측정을 위한 장애가중치의 보편성이 확립되어 있지 않으므로, 국가 질병부담 연구를 위해서는 국가별 장애가중치 측정이 필요. 선행 연구 결과와 비교함으로써 타당도를 검증할 필요가 있음. 질병부담 산정 시에는 민감도 분석 등을 방법을 활용할 필요가 있음.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의 료 관 리 학 교 실


Download ppt "도영경, 이중규, 권영훈, 김창엽*, 윤석준**, 박기동, 김용익, 신영수"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