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사진 기호학 - 사진으로 바라본 세상 읽기 - 김기국 (기호학연대, 경희대학교).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사진 기호학 - 사진으로 바라본 세상 읽기 - 김기국 (기호학연대, 경희대학교)."— Presentation transcript:

1 사진 기호학 - 사진으로 바라본 세상 읽기 - 김기국 (기호학연대, 경희대학교)

2 사진기호학 1강 사진도 읽기의 대상인가? 1. 사진의 역사적 전개 – 과학과 예술의 교차로 사진개념의 변화와 기호학

3 카메라의 원리 카메라 옵스큐라 1. 사진의 역사적 전개 카메라의 탄생 상상과 믿음 - BC. 5세기경 중국의 묵자(墨子),
- 10세기경 아라비아의 학자 알하젠(Alhazen) 등 착안 - 르네상스(15-6세기) : 원시적인 형태의 카메라 옵스큐라 (camera obscura)를 고안 - 17-8세기 : 오늘날 볼 수 있는 카메라의 형태인 탁상용으로 개량 카메라의 원리 카메라 옵스큐라

4 - 화학자 : 빛의 물리적 속성 + 은염류(銀鹽類)의 성질 이용
1. 사진의 역사적 전개 인화지의 발견 카메라에 투영된 상의 보존 - 화학자 : 빛의 물리적 속성 은염류(銀鹽類)의 성질 이용 - 18세기 독일의 요한 하인리히 슐체(Johann Heinrich Schulze) 이태리의 베카리아, 스웨덴의 셸레 - 19세기 초 영국의 토마스 웨지우드(Thomas Wdegwood) : 질산은으로 감광성을 준 흰 종이 또는 흰 가죽 위에 + 나뭇잎이나 곤충의 날개를 얹어 놓고 햇빛에 노출 카메라에 맺히는 사물의 상을 정착

5 루이 자크 망데 다게르(L- J. M. Daguerre)
1. 사진의 역사적 전개 사진의 등장 - 1826년 : 비공식 최초의 사진 완성 ‘그라스의 집 창문을 통해 본 풍경’ (1826년 경, 헬리오그래프) ‘스튜디오의 정물’ (1837, 다게레오타이프) - 1839년 8월 19일 : 프랑스의 과학원과 예술원 회원 앞에서 스스로 발명한 다게레오타입(daguerreotype)의 사진을 발표 조셉 니세포르 니엡스(J. N. Niepce) 루이 자크 망데 다게르(L- J. M. Daguerre)

6 1. 사진의 역사적 전개 과학에서 예술로 변모 - 자본주의 시대 과학의 발전 : 역사적 발명인 사진을 탄생시킴 - 시간과 함께 덧없이 사라지는 사물을 영원토록 현존 - 발명가의 끝없는 실험 - 네그르(C. Negre) ‘빌 호텔에서 바라본 항구의 시장 광경’ : 사진 / 유화 사진의 역사 = 사진 기술의 역사 사진작품 = 예술 작품

7 1. 사진의 역사적 전개 진정한 예술로 발전 사진의 예술성에 대한 인식 * 화가 및 사진가, 일반인 * 타분야 예술가
합성사진 - 외관의 재현을 극복 - 회화적 사고방식 차용 순수사진 - 인생과 자연을 본 그대로, 느낀 그대로 사진의 예술성에 대한 인식 레일렌더 ‘인생의 갈림길’ 로빈슨 ‘임종’

8 가벼워진 카메라 사진가들의 회화적 기법의 탈피
1. 사진의 역사적 전개 카메라의 진화와 사진의 변화 새로운 대상의 포착 : - 화가들의 전유물인 삶의 모습, 풍경 등 - 빛의 움직임이나 효과를 기록 - 힐과 아담슨, ‘식사 후에 목사의 방문’, 칼로타입, : 질감의 정확한 처리, 정확한 묘사 등의 사실주의 기법을 활용 가벼워진 카메라 사진가들의 회화적 기법의 탈피 쿠르베, ‘오르낭에서 저녁’, 유화, 1849

9 알프레드 스티글리츠(Alfred Stieglitz)
1. 사진의 역사적 전개 근대사진의 등장 - 사진가들 + 모든 분야의 예술가들 - 근대 사진의 아버지 “그리하여 모든 사물의 움직임에 밸런스가 잡히는 순간을 기다리는 것이다. 당신의 눈을 만족시켜 줄 순간을 얻을 때까지는 몇 시간이고 인내심 강하게 기다리지 않으면 안 될 때도 있을 것이다” ‘5번가의 겨울’, 1893 알프레드 스티글리츠(Alfred Stieglitz)

10 1. 사진의 역사적 전개 오늘날 사진의 위치 과학과 예술의 사진 텍스트 - 과학기술 내에서 사진의 가치
- 작품으로서 예술과 맺는 관계 - 과학과 예술의 교차로에 위치한 사진의 특성 - 당대의 역사적 좌표를 사진으로 인식한 위대한 사진 작가들의 표현행위와 발언 - 사회제도의 역사, 자신의 시대를 누렸던 부르주와라는 한 계급의 초상의 역사, - 보도매체에서 제시하는 일반적 정사에서 소외된 민중의 역사 과학과 예술의 사진 텍스트 사진의 가치

11 20세기의 사회와 문화 현상과 사진 2. 사진개념의 변화와 기호학 20세기 사진의 의미 1) 제1단계 (1900-20)
- 새로운 관점에서 다각적인 ‘새로운 시각’ - 과학적 시각에 대한 근본적인 자각 2) 제2단계 ( ) - 대량정보전달의 유통구조 확산 - 모든 국가의 하나의 체계로 편입 3) 제3단계 ( ) - 기계문명에 대한 위기의식 - 시각적 사고와 언어적 사고활동 20세기의 사회와 문화 현상과 사진

12 - 사진을 사실을 반영하는 거울(miroir du reel)
2. 사진개념의 변화와 기호학 사진기호학의 근거 - 사진을 사실을 반영하는 거울(miroir du reel) - 사진 : 사실을 전환, 분석, 해석, 변형 - 대중의 의식을 반영하는 새로운 예술 사진 개념 변화의 중요성

13 - 텍스트 : 문자로 된 작품 커뮤니케이션의 모든 산물
2. 사진개념의 변화와 기호학 사진기호학의 근거 - 텍스트 : 문자로 된 작품 커뮤니케이션의 모든 산물 - 사진에 담긴 예술적 특성 기호학적 분석으로 관심 집중 기호학이란…


Download ppt "사진 기호학 - 사진으로 바라본 세상 읽기 - 김기국 (기호학연대, 경희대학교)."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