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수술실 관리 창원병원 간호부.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수술실 관리 창원병원 간호부."— Presentation transcript:

1 수술실 관리 창원병원 간호부

2 수술실 구조 1. 구역관리 (traffic control)
교차 감염의 위험성 때문에 수술실은 다른 곳보다 각 공간의 사용에 대한 규제를 강화해야 한다. ① 제한 구역 수술실, 수술준비실, 마취준비실, 회복 실, 수술실 복도 등의 장소가 해당(수술복장과 마스크, 모자, 깨끗한 신발 등을 착용) ② 준 제한 구역 소독준비실, 외래환자 준비실, 갱의 실 등이 해당(수술복장, 모자, 깨끗한 신발 등을 착용) ③ 허용 구역 평상복을 입고도 출입이 허용되는 구역이다. 2. 청소 ① 수술 준비 대는 사용 전에 표면에 70% 알코올 스프레이 한 후 닦아낸다. ② 수술이 끝난 후에는 수술침대 및 준비상, 바닥, 조명등을 소독제를 이용하여 닦는다. ③ 눈에 보이는 오염이 있는 경우는 10배 희석한 차아염소산(hypochloride)액으로 닦도록 한다. ④ 1회용 걸레는 소각하도록 하고, 헝겊걸레는 0.1% 차아염소산액에 30 분간 담근 후 세탁한다. ⑤ 하루 수술이 모두 끝난 후에 모든 수술 방의 표면은 소독제 (1% 차아염소산액)를 이용하여 닦아 낸다.

3 수술실 구조 3. 환기 ① 수술실의 공기는 주위보다 압력이 높아야 한다.
3. 환기 ① 수술실의 공기는 주위보다 압력이 높아야 한다. ② 수술실은 매시간 20-25회 여과된 공기를 단일 방향으로 환기되어야 한다. 이 때 최소한 20%는 신선한 공기여야 한다. ③ 공기 입구는 되도록 바닥보다 높은 위치여야 하고, 출구와 멀리 떨어져야 한다. ④ 수술실의 온도는 18-24℃가 적당하고, 습도는 50-55%를 유지한다. ⑤ 수술실의 공기용 필터는 최소 90% 이상 먼지를 여과할 수 있어야 한다. ⑥ 수술실의 문은 장비, 의료인, 환자의 출입 시를 제외하고는 항상 닫혀져 있 어야 한다. ⑦ 수술실의 출입은 최소한으로 규제하여야 한다.

4 수술실 기본조직과 구조 : 순환간호사(Circulating Nurse)와 소독간호사(Scrub Nurse)의 역할
수술과정을 명확히 알고 있어야 합니다. 수술에 필요한 기계 및 물품이 원활히 공급되도록 순환간호사에게 요구합니다. Draping에 사용되는 linen을 준비 합니다. Mayo stand를 준비합니다. 봉합사 및 봉합바늘을 준비합니다. 수술에 사용되는 기계와 물품. electrosurgical unit의 tip(bovi tip). suction line을 준비합니다. Sterile field에 있게 될 의사의 gowning과 gloving을 도와줍니다.

5 수술실 기본조직과 구조 - 직접 또는 의사와 함께 수술환자의 수술부위를 draping합니다.
- 수술 전 과정에 있어서 무균 술을 철저히 지킵니다. - 검사 물(specimen)을 잘 보관하였다가 순환간호사에게 건네주며 필요 경우 처리절차를 알려 줍니다. - 환자가 수술실을 떠나 회복 실로 갈 때까지 수술실에 수술환자와 함께 머무릅니다. - 순환간호사로 하여금 수술실이 청결히 유지되도록 합니다. - sponge. needle, instrument의 count를 합니다. - 수술이 끝난 후 사용된 기구와 물품을 절차에 따라 처리합니다. 2. 순환간호사의 역할(Circulating Nurse) - 수술이 진행되는 동안 수술실의 청결을 유지합니다. - 무영 등 및 각종 보조 등을 시험해 보며 필요한 부위에 초점을 맞추어 줍니다. - Suction기. electrosurgical unit(movie unit), 발판 등이 제 위치에 있는지 확인하고 기능의 작동 여부도 시험합니다

6 수술 팀 1. 멸균 작업 팀 - 수술지도의, 보조의, 소독 간호사
팀의 구성원은 손을 소독하고, 소독가운 및 장갑을 끼고 멸균구역으로 들어간다. 멸균 장을 위하여 모든 수술기구들은 멸균 소독하여 사용한다. 멸균 작업 팀의 구성원들은 제한된 지역 내에서 작업하고, 단지 멸균된 기구들만 다룬다. 2. 비 멸균 작업 팀 - 마취과 의사 또는 마취 사, 순회간호사 3. 기타 - 복잡하고 적발한 수술의 경우, 예를 들면 개흉 술에서는 심폐 소생 기, : 모니터 등의 장비를 다루는 기사까지 수술 팀에 포함된다. 이러한 팀의 구성원은 멸균 장소에 들어가지 않고, 그 밖에서 작업한다. 멸균원칙을 지키면서 수술 팀 에 공급하고, 환자를 직접 간호하고, 수술에 필요한 장비를 다룬다.

7 수술실 간호 6. sponge count(Gauze count) 1) sponge count의 목적
3) double check의 목적 7. Specimens 다루는 법 1) 조직표본(Histologic specimen) 2) 미생물학적 검사 물(microbiologic specimens) 3) Bone 보관하는 방법 4) Skin 보관하는 방법 8. 봉합사와 봉합침 9. Scrub Nurse와 Circulating Nurse의 역할 ◈ 회복 실 1. immediate post-op care 2. 회복 실에서의 퇴실기준 목차 1. 수술 팀 2. 수술실에서 환자 맞이하기 1) 환자 도착 시 간호사가 해야 할 일 2) 수술 전 간호 (대부분 병실에서 이루어진다.) 3. Positioning 1) 수술 체위의 결정요소 2) 체위 선택 시 고려해야 할 해부학적 및 생리학적 요소 3) 수술과 관련된 position을 취할 때 주의할 점 4) position의 종류 4. Gown technique 5. Glove technique

8 수술실 간호 수술실에서 환자 맞이하기 ① 환자 도착 시 간호사 자신을 소개하고 환자의 이름을 확인한 후 수술동의서를 포함한 기록을 확인한다. 병실 간호사에게서 환자를 인계 받고 check list에 sign한다. ② 심리적인 지지 • 수술에 대한 환자의 정서적 반응 상태( 공포심, 죽음에 대한 두려움, 마취, 재정적 손실, 사회적 가정에서의 역할 상실 )를 표현하게 하여 수술실· 회복 실· 중환자실에 대한 안내, 수술과정 및 절차에 대한 설명, 통증에 대한 대처방법 등에 대해 분명하게 이야기 해 줍니다.

9 수술 전 간호 병실 간호사의 역할은 환자의 신체적, 심리적 및 사회적 간호요구에 대한 자료수집(문진, 신체검진이 포함), 특히 수술과 마취의 스트레스에 대한 환자의 반응 및 대응방법, 수술에 대한 불안과 두려움을 감소시키고 수술 후 환자가 수행해야 할 치료행위에 대한 교육, 환자의 신체적 심리적 간호를 수행하는 데 있다. 수술 전 기간에 행해지는 간호의 질이 환자가 수술의 전 과정을 잘 견디어내고 빠른 회복을 촉진하는 데 도움을 준다. 따라서 간호사는 각 환자의 개별적 요구에 맞는 간호를 확인하고 계획하고 제공해야 한다. 간호계획과 수행 : 수술 전 간호사의 책임은 환자와 보호자의 학습요구를 파악하고 충족시키며 대상자가 마음의 평화를 갖도록 합니다. 또한 수분과 영양 요구를 충족시키고 휴식을 도모하며 질식, 상해, 감염 및 기타 마취와 관련된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해 적절한 신체적 준비를 하는 것입니다. → 수술환자의 일반적인 준비

10 수술 전 간호 수술 전 간호는 수술을 하기로 결정한 때부터 시작하여 대상자가 수술실 침대로 옮겨질 때까지 수행되어집니다. 수술 전 간호는 수술위험요인을 규명하기 위하여 임상적으로 사정하고 수술과 관련된 잠재적인 합병증을 파악하는 단계, 사정단계에서 수집된 기초 자료에 근거한 간호진단을 이끌어 내고, 환자 개개인에 대해 내려진 간호진단에 따라 수술 전 간호계획을 수행하는 단계로 이루어집니다. 수술 전 간호진단 ▶ 공포와 불안 ▶ 지식부족 ▶ 수면장애 ▶ 안위변화 ▶ 비효율적 대응 ▶ 자아개념의 장애

11 수술 전 간호 수술에 대한 공포를 갖는 대상자에게 어설픈 위로나 확신을 주입시켜
주려고 하는 것은 금물, 수술에 대한 공포심이 극단적이면 위험한 것이 므로 수술의사와 간호사는 주의 깊게 대상자에게 수술에 대한 정보를 더 많이 제공해 주어야 한다. 수술위험 요인 사정 수술 팀의 일원으로서 간호사는 환자의 위험 요인을 사정하고 수술과 관련된 잠재적인 합병증을 파악하여야 합니다. 간호사는 병력, 신체검진, 혈액검사와 진단적 검사 등 여러 방법으로 수술의 위험에 대한 자료를 수집합니다. 수술절차에 따르는 위험의 정도는 연령, 영양 상태, 수분과 전해질 상태, 전반적인 건강 상태, 상용약물, 정신적 건강 상태와 수술자체에 대한 부정적 시각 등의 요인들에 영향을 받게 되므로 환자 개개인의 특성에 따른 사정이 필요합니다.

12 수술 전 간호 수술을 위한 기본적인 임상병리검사 - 간 기능검사 (SGOT, SGPT, LDH), - 흉부 X-선,
- 심전도(EKG), * CBC-혈색소 및 Hct, 백혈구 및 백혈구 감별검사, PT, PTT, 혈소판 * 뇨 분석 검사(Urinalysis) * 혈당 * 신 기능 검사: BUN, creatinine * 혈액화학검사 : 전해질, 기타 의사의 지시에 따라 1. 균형 있는 영양상태를 유지하여 수술 후 합병증의 발생빈도를 예방하거나 최소화한다. : 고영양 식이로서 고 탄수화물, 고단백, 고 비타민 식이를 준다. 전신마취나 국소마취를 계획한 환자는 수술 전 6~8시간 동안 먹거나 마시는 것을 금해야 되므로 구강을 통한 음식과 음료수는 자정부터 금식한다. 이것은 마취 동안 위 내용물이 폐로 흡입되는 위험을 감소시키기 위함이다. 때로는 환자에게 적은 양의 물(30cc 이하)로 약을 먹도록 허락되기도 한다.

13 수술 전 간호 2. 영양실조 증 대상자의 수술 전 식이 : 에너지를 위한 고 당질, 상처의 치유를 위한 고 단백질과 각종 비타민 특히 비타민 K를 섭취하도록 격려하고 치료한다. 또한 수술하기 일주일 전부터 비경구적으로 영양분을 공급해 줄 수 있고 영양 보충 제를 정맥 내로 투여 → 비경구적 정맥 내 영양공급은 수술 후 위장 기능이 만족한 상태로 돌아올 때가지 지속 3. 조산아나 노인 대상자들은 수술 위험이 증가되지만 아동, 청년, 중년기 성년은 일반적으로 수술에 잘 견뎌낸다. 노인들은 스트레스, 마취, 수술 전이나 후에 사용하는 진정제 등에 대단히 민감하다. 노인들은 흔히 탈수되거나 영양상태가 불량하여 shock에 빠지기 쉬우며, 상처의 치유가 늦어지게 된다.

14 수술 전 간호 4. 수술의 위험성을 결정하는 기본요소
① 대상자의 신체적 정신적 상태: 연령, 영양상태, 체액과 전해질의 균형, 전신적인 건강상태, 약물의 사용, 정신적, 경제적, 직업적인 면 ② 질병의 정도: 질병의 특성, 부위, 걸린 기간 ③ 수술의 중대성 ④ 의료진과 병원의 시설상태 5. 당뇨병 대상자 수술 시 대상자의 평상시 요법에 변화가 오는데 식이도 일시적으로 변화되고 인슐린 량이나 경구용 혈당강하제도 재조정된다. 감염이 쉽게 되며, 외과적 절개부위 자체가 감염원의 입구가 될 수 있다. 또, 혈관장애 때문에 수술 후 치유가 느리다. * 수술 후 간호의 목적은 대상자의 상태를 안정시키고 당뇨병의 조절을 재확인하며 상처감염을 막고 상처 치유를 증진시키기 위험이다.

15 수술 전 간호 6. 수술대상자에게 합병증을 유발하는 약물 • 항 응고 제 - 수술 중 출혈의 원인
6. 수술대상자에게 합병증을 유발하는 약물 • 항 응고 제 - 수술 중 출혈의 원인 • 항생제 - 마취제와 결합하여 불리한 영향을 줌 • 신경안정제 - 혈압을 떨어뜨려 shock의 원인 • 이뇨제 - K의 불균형 원인 • 스테로이드 - 장기간 사용할 때 부신 피질의 기능저하의 원인이 될 수 있으며 마취나 수술의   스트레스에 대한 생리적 반응의 손상이 올 수 있다.

16 수술 전 간호 ◆ 수술 전(pre operation) 교육 심호흡
기침 : 기침하기 전 절개한 부위를 손바닥으로 지지하면서 하도록 한다. 사지운동 : 대상자의 무릎과 발목을 구부렸다가 펴는 운동을 시키고 발은 원을 그리면서 움직이게 한다. gas pain이나 복부팽만을 감소시킬 수 있다. inspirometer : 수술 전에 최대로 호흡하려고 노력을 하는 동안 심호흡 수치는 수술 후 심호흡을 하는데 성취할 목표가 될 것이다. ◆ 수술부위(op site) 점검

17 수술 전 간호 1. 수술 전 간호 1) 수술 전 check - list
2) 수술 전-심호흡, 기침 등 수술 후 해야 할 운동을 시범 3) 대상자에게 수술을 위한 심리적 지지를 해준다 2. 수술 후 간호 1) 병동의 준비 *수술 전 check - list 1. 성명, 나이, 성별, 병실번호, 병록 번호를 빠짐없이 기록한다. 2. 각 항목별로 해당사항은 '예' '아니오' 중 선택하여 해당 칸에 'v'로 표시하며 특기사항이 있을 경우는 Remark란 에 기록한다. 3. 금식(NPO) : 응급수술 및 소아수술인 경우 금식시간을 기록하며 그 외의 수술 시에는 '예' '아니오'에 표시한다. 4. 수술승낙서 (OP permit signed) ① 성인 : 본인과 가족의 서명 ② 소아 : 가족의 서명 5. 수술 피부준비 (Operative area prepared)

18 수술 전 간호 ◆ 수술 전 처치 및 간호 상태 확인 표 (check list)내용 - 환자의 이름, 나이, 체중, 혈액형 확인
- 환자의 이름, 나이, 체중, 혈액형 확인 - 수술 서약서 확인 - 수술 전 투약여부 - 의치, 의안, 안경, 렌즈, 보청기 제거여부 - 장신구 제거여부 - 속옷 착용 여부 - 응급 시 빠른 처치를 위해 - Allergy 여부 - 약물, 반창고 등 - 혈액학적 검사 - 뇨 검사 – 요 분석 (urinalysis) - 심전도 (EKG) - 금식 여부 - 수술 전날 오후 12시부터 금식 - 관장 유무 - 관장의 횟수보다는 실질적으로 장이 비워졌는지 여부 - 수술 부위 피부준비 여부 - 위관 삽입 여부 - 유치 카테 터 삽입 여부 - chest X-ray : intubation 시 폐의 기능 상태를 파악하기 위해 - 혈액 준비 - 응급 수혈을 위해 - 전염성 유무 - TB, 간염, VDRL, pseudomonas 등

19 무균 술 ◎ 기본원칙 수술절개부위의 오염원은 수술실 인력(외과의, 마취과의, 간호사, 기타 보조인력), 수술환자, 수술에 사용되는 기계와 물품, 수술에 사용하는 생리식염수, 수술실 내의 오염된 공기와 수술실 방문객이다. 수술실의 오염원을 제거하기 위해 Laminar air flow system, air shower와 floor mat와 같은 고가의 장비와 시설이 이용되기도 하지만 수술실의 오염원을 최대로 감소시키고 수술부위의 오염을 최대한 방지하기 위해서는 무균 술을 철저히 지키는 것이 중요하다. 수술실의 오염원 제거와 수술부위의 오염방지를 위해 다음과 같이 무균 술이 지켜져야 한다. (1) 수술에 사용되는 모든 기구와 물품은 멸균되어 있어야 한다. (2) 소독된 상태에 있는 사람은 소독된 물품을 다루며 소독되지 않은 물품은 부 소독 상태에 있는 사람이 다루도록 한다. (3) 멸균성에 대한 의심이 갈 경우에는 불결 된 것으로 간주한다. 예) 무균 성 pack-age(appearing sterile package)가 부 소독 작업실에서 발견될 경우, 소독기의 작동

20 무균 술 ▶ 소독법 1) 외과적 무균 술(surgical aseptic)
• 수술부위로부터 모든 미생물을 제거하는 외과적 무균 술은 수술부위와 접촉하는 기구나 물품의 미생물 제거와 파괴에 의해서 얻을 수 있다. → 즉 수술 시 사용하는 모든 기구나 물품-수술기구, 봉합 사, 드레싱 거즈, 수술 가운, 고무장갑의 멸균 상태를 유지함은 물론 피부소독을 철저히 함으로써 외과적 무균상태에 접근할 수 있다.

21 무균 술 ① 고압증기 멸균법(Steam under pressure, autoclaping)
침투력이 강하고 미생물에 대한 멸균 효과가 크고, 관리방법이 편하고 경제적이기 때문에 수술에 사용되는 기구 및 물품의 소독에 널리 이용되는 방법이다. 살균제를 이용하여 소독을 하고자 할 때는 소독하고자 하는 기구나 물품의 표면에 붙어있는 혈액. 농, 단백질과 점액 등을 물, 비누 기타 세정제로 깨끗이 닦아낸 후 소독을 해야 한다.

22 수술 간호 * 수술직전간호 * 수술직후간호(회복 실 간호) - 수술 후 회복 점수 표 1. 수술 직전 간호
1) IV site를 확보한다 2) 귀중품은 보호자에게 보관하도록 하며 간호사가 보관하는 경 우 봉투에 넣어 환자 자신이 나 보호자 sign으로 봉 하도록 한다. 3) 환자가 깨끗한 상태인지 확인하며 환자가 nail 에나멜을 포함한 모든 화장을 지웠는지 알아본다. 4) 환자의 목걸이, 반지, 귀걸이, 렌즈 의치 등을 모두 빼고 머리손 질을 간단히 해준다.

23 수술 간호 5) 수술실에 가기 10~15분전에 소변을 보도록 하고 하복부 수술
일 경우는 유치 도뇨관을 삽입하고 clamp 한다. 6) 위장관 수술인 경우에는 Levin tube를 삽입하고 반창고로 고정 시킨 후 clamp한 다. 7) 마취 전 약물을 투여하고 활력 증후를 측정한다. 8) 수술에 필요한 모든 검사 결과치가 chart에 붙어 있는지 확인 9) 수술 전에 준비한 내용과 상태를 빠짐없이 기록한다. 10) 수술 check list에 다시 review하면서 check하고, 환자를 stretcher car에 태우고 side rail을 올려 chart x-ray 그 밖의 준 비물과 함께 수술실로 운반하고 수술실 간호사에게 직접 인계 한다. 11) 가족에게 수술 시간과 대기 장소를 알려 준다.

24 Scrubbing 1. 손 소독(Scrubbing) 2. 손 말리기(Drying) 3. 장갑 끼기 (gloving)
4. 가운 입기(gowning) ★ 손 소독(Scrubbing) : 목적, 방법, 주의 법 외과적 손 씻기 : 수술실에서 수술에 참여하는 간호사와 의사가 수술에 들어 가기 전에 손과 팔의 피부에 머무르는 일과성 미생물과 상주 성 미생물을 최대로 많이 제거하기 위해 기계적, 화학적 방법으로 즉 소독 액과 비누를 묻힌 솔로 5분-10분 정도 손과 팔을 닦은 후 물로 헹구어 내는 것을 말한다. 1) 목적 - 손톱, 손과 팔에 있는 일과성 미생물 및 죽은 조직을 제거하기 위함 - 상주 성 미생물의 수를 감소시키기 위함 - 손과 팔에 남아 있는 미생물의 빠른 성장을 막기 위함

25 Scrubbing 2) 손 소독하기 전에 지킬 사항 - 손과 팔에 상처가 없을 것
- 손과 팔에 상처가 없을 것 - 모자와 마스크를 쓰고 팔꿈치 위까지 소매를 완전 노출시킨다. - 손톱을 짧게 깎고 손톱을 깨끗하게 한다. - 물의 온도와 흐르는 양을 조절한다. - 수술 시작 15˜30분전에 한다. 3) 준비물품 : 소독비누(세정제, 살균용액), 솔, 멸균된 종이수건이나 수건, 마스크, 모자, 보호용 안경, 발이나 무릎을 이용하여 물 조절하는 싱크대

26 Scrubbing 4) 방법 ① 끼고 있던 반지나 팔지를 뺀다. ② 손바닥에 소독 액과 물을 묻혀 거품을 내고 팔꿈치 위 2-3inches까지 닦고 물로 헹군다. ③ nail file로 손톱 밑을 깨끗이 한다. ④ 솔에 소독 액을 묻혀 힘 있게 손가락 끝에서 팔꿈치 위 2-3inches 까지 닦는데, 손, 전완, 팔꿈치로부터 상완 2-3inches 까지, 팔꿈치 돌출부 주위의 네 부분으로 나누어 닦는다. ⑤ 손을 닦을 때에는 손톱과 손가락 사이를 세심히 닦되 각 손가락을 네 개의 면으로 보고 솔질을 한다. ⑥ 왼쪽 손목에서 팔꿈치까지를 닦되 다시 손목 위로 올라가 손을 닦아서는 안 된다. ⑦ 왼쪽 팔꿈치와 상완을 닦는다. ⑧ Betadine soap이 필요하다면 용액을 묻힌다. ⑨ 오른 손의 솔을 왼 손으로 옮기고 오른쪽 손목에서 팔꿈치 까지를 솔로 닦는다. ⑩ 오른쪽 팔꿈치 2-3inches 까지 의 부위와 팔꿈치 주위를 닦는다.

27 Gowning ● 소독 가운 착의 법(Gowning) 1. 외과적 손 씻기를 실시한다. 2. 순환간호사는 깨끗하고 편평한 표면 위에 멸균 가운과 장갑 꾸러미를 개봉한다. 3. 외과적 손 씻기 후 팔꿈치를 구부리고 손을 허리 높이 위로 든 채로 수술실 내로 들어와서 멸균꾸러미로부터 내면이 밖으로 나오도록 접혀져 있는 가운의 목 부분을 집어 든다. 4. 접혀진 가운을 곧장 위로 들어 올리고, 양손으로 목 선 아래의 가운 내면을 잡는다.

28 Gowning <입는 법> 1. 시계와 반지는 빼고 손을 깨끗이 씻는다. 2. 필요하다면 마스크를 착용한다.
3. 사용했던 가운을 다시 착용할 때는 걸대 에서 가운을 벗겨 낸다. (깨끗한 면이 가운의 안쪽이다) 4. 멸균된 포에서 처음 가운을 착용하려 할 때에는 오른손으로 접혀진 가운의 목 주 변을 엄지와 시지를 이용하여 잡는다. 5. 집어서 번쩍 들어 올린다. 6. 가운의 어깨솔기를 두 손으로 펼쳐 들고 오른손으로 목 주위를 단단히 잡는다. 8. 왼쪽 어깨를 잡았던 왼손을 놓으며, 소 매 측으로 왼쪽 팔을 넣는다. 9. 손을 바꿔 왼손으로 목 주위를 잡고 가운의 소매 속으로 오른팔을 넣어 오른손이 밖으로 빠져 나오도록 한다. 10. 왼손이 집고 있던 가운의 목 주위를 오른손으로 바꿔 집은 후 왼팔을 가운 속으로 넣어 밖으로 손이 나오도록 한다. 11. 만일 오른쪽 뒤편이 내려 왔으면 같은 방법으로 들어 올린다. 12. 양손으로 목 뒤의 끈부터 맨다. 13. 등 뒤에 있는 허리끈을 맨다. 14. 가운 앞쪽에 있는 허리끈을 매기 위해서 반듯이 서서 무릎을 구부리지 않고, 엉덩이를 뒤로 뺀 후 늘어진 끈을 집는다..

29 Gloving 1. 목적 : 대상자가 감염되어 있는 미생물로부터 시술자를 보호하고, 대상자들 간의 교차 감염을 줄이기 위함.
★ 멸균장갑 끼는 법 1. 목적 : 대상자가 감염되어 있는 미생물로부터 시술자를 보호하고, 대상자들 간의 교차 감염을 줄이기 위함. 2.준비물품 : 개방되지 않은 멸균된 장갑 세트 ★ 방법 1. 손을 충분히 씻고 건조 시킨다. 2. 장갑의 크기를 확인한 후 장갑 포를 열어 평평한 곳에 놓는다. (장갑의 크기가 적당해야 잘 들어가고 사용이 편리하다) 3. 멸균된 장갑을 착용할 반대편 손으로 소독장갑 손목의 접힌 부분을 잡는다. 4. 손을 장갑 안으로 넣고 잡아당기되 멸균된 바깥쪽에 닿지 않도록 하며 장갑의 손목 부위가 가운의 소매 동을 반드시 덮도록 낀 후 집고 있던 장갑부위를 놓는다. (장갑의 바깥쪽이 오염되지 않기 위함이다)

30 Gloving 5. 장갑 낀 손으로 나머지 한쪽 장갑의 손목 접힌 부분 밑 쪽에 엄지를 제외한 나머지
네 손가락을 넣어 장갑을 집어 든다. (멸균된 부분끼리는 접촉되어도 된다) 6. 장갑의 안쪽이나 피부, 다른 소독되지 않은 면에 닿지 않도록 하면서 낀다. 7. 소독 장갑을 끼는 데 손목이 노출되지 않도 록 장갑의 손목 끝이 가운의 소맷동 위로 올라오도록 끼고, 양쪽 장갑이 손에 잘맞도 록 매만진다. (만일 손목의 접혀진 부분을 위로 올려 당겨 야 될 경우 오염되지 않도록 조심한다) 8. 장갑 낀 손은 앞쪽 허리 높이 위로 모은다. (장갑이 오염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31 마취 ★ 마취의 유형 (1) 전신마취(General Anesthesia) (2) 부위마취(Regional Anesthesia)
(3) 척수마취(Spinal anesthesia) (4) 경막 외 마취(Epidural anesthesia) (5) 미추 마취(Caudal anesthesia) (6) 국소마취(Local Anesthesia) (7) 기타 마취 방법들

32 마취의 유형 1)전신마취 (1) 목적 : - 의식을 조절하는 뇌 내의 인식영역을 차단시키므로 완전히 의식과 감각을 상실 - 수술 시에 근육을 이완시키는 것이 중요하므로 환자를 무의식 상태로 만들기 위 해 약이나 가스를 투입한다. ① stage 4로 나눈다. - stage 1) 마취 유도기 : 약간의 현기증이나 야릇한 느낌이나 환각을 느낌, 일시적으로 기억상실증 이 있음 - stage 2) 흥분 기 : 의식을 잃으면서부터 신체반응 즉, 연하작용, 안검 반사 등이 없어짐 - stage 3) 외과적 수술 기 : 안검 반사 상실로부터 호흡마비가 일어나기 직전까지의 상태, 무감각상태, 완전 이완상태, 수술을 위한 최적기이다. - stage 4) 위험 기 : 마취가 깊게 되어 호흡 및 심장마비를 초래하여 사망할 수도 있는 시기

33 마취의 유형 두 경부, 흉곽수술 등 대부분의 대수술 시 사용되는 표준 마취 형태이다.
기관 내 삽관은 보통 succinylcholine과 같은 속효성 근 이완제로 마취한 후에 삽입되며, 여성에게는 7.0~7.5 mm,(6.0~6.5) 남성에게는 8.0~9.0 mm(7.0~7.5)의 크기가 적합하다. 기관 내 삽관에 따른 합볍증으로는 식도 내 삽관, 연 조직손상, 후두경련 등이 있다. 가 장 흔한 합병증은 기관내관이 식도로 잘못 들어가는 것으로, 즉시 발견하여 제거하고 기 도를 확보하지 않으면 생명이 위험하다. 기관내관의 삽입은 해부학적 지식과 숙련된 기술을 갖춘 요원에 의해 이루어져야 하며 합병증에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어야 한다. 흡입마취제는 폐 내로 들어가 폐 모세혈관을 통해 혈관 내에서 중추신경계에 작용하여 전신마취 효과를 가져온다.

34 마취의 유형 (2) 마취제 투여방법 ➀ 흡입마취 : 휘발성 마취제인 가스 형태나 액체 형태의 마취제를 마스크나 기관내관
을 통해 직접 폐로 흡입시키는 방법으로, 상 복부, 머리, 목, 흉곽 수술 등 대부분의 대수술에 사용된다. - 장점 : 통증을 없애고 조직을 이완시키며, 무의식 상태로 불안을 제거 시 킬 수 있다. - 단점 : 순환과 호흡을 억제 시키며 마취 가스나 액체가 인화성이나 폭발 의 위험성이 있다. ➁ 정맥 내 마취 : 유도 마취제, 기초 마취제로 사용되며 발치, 골반 검사 등에는 효과가 있다. - 장점 : 마취가 신속히 유도 되고, 폭발의 위험이 없으며 수술 후 오심/구토의 부작 용이 드물다. - 단점 : 후두경련이나 기관지 경련, 저혈압, 과량 투여 시 호흡정지나 심정지가 생길 수 있다.

35 마취의 유형 ➂ 직장 내 마취 : : 직장 관을 통해서 마취제가 투여 되는 것으로 소아 환자 마취 유도 시 사용되었지만 지금은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직장 점막으로 흡수되어 순환기 계통을 통해 중추신경계로 전달된다. (3) 미추 마취(Caudal anesthesia) : 경막외 마취의 한 방법으로 천골 신경의 차단이다. 경막외 주입은 미추관(caudal canal)을 통해 경막의 낭(dural sac)으로부터 나오는 신경을 탈 감각화 시킨다. 주입을 위한 자세는 엎드려 누워서, 엉덩이를 구부리고 천 골을 수평으로 하며 발꿈치는 주입자리를 보이게 하기 위하여 외측으로 돌린다.

36 마취의 유형 (4) 국소마취(Local Anesthesia) : 국소마취는 표면의 신경을 억제시키고 특별한 영역이나 부위로부터 통증자극의 전도를 막는다. 감각신경이 먼저 영향을 받으며 환자의 의식은 그대로 남아 있어서 진정. 수면제를 보조적으로 사용하기도 한다. 통증은 의식소실 없이 조절되고, 신체적 일부분만 마취된다. 외과의가 직접 수술부위에 국소마취제(lidocaine)를 주입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이것을 때때로 전도 마취라 부른다. ① 사용약물 : lidocaine(Xylocaine), bupivacaine(Pucaine, Marcaine). Tetracaine 등이 있다. ② 장점 ・ 처치가 간단하다. ・ 의식의 소실은 나타나지 않는다. 전신마취의 바람직하지 않은 효과를 피한다. ・ 최근에 음식이나 물을 섭취한 환자, 간단한 시술을 할 환자, 깨어 있고 협력할 수 있는 환자의 수술 에 적합하다. ・ 마취과 의사가 필요 없이 외과의사가 직접 마취제를 투여할 수 있다. ③단점 ・ 큰 수술이나 복부수술에 적합하지 않다.

37 마취의 유형 < 척추마취에 사용되는 약제들의 종류와 특성 >
  척추마취시에 사용할 수 있는 국소마취제에는 tetracaine, lidocaine, dibucaine, bupivacaine 등이 있으나 그 가운데에서 tetracaine을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각 국소마취제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국소마취제의 종류와 그 특성> 마취제 농도 효과발현 지속시간 최대사용량  Tetracaine Dibucaine  0.5% % 5-10분 분 2시간  시간  20mg mg  Lidocaine   Bupivacaine 1-3%  % 1- 3분 분 1시간 시간 160mg  mg

38 마취의 유형 국소마취제를 지주 막 하강(subarachnoid space)내에 주입하여 척추신경의 전근과 후 근을 차단하는 방법을 척추마취라고 하며 지주막하차단이라고도 한다.  지주막하강의 신경차단 만으로는 마취의 네 가지 기본 요소의 하나인 의식소실을 일으킬 수 없으므로 척추진통(spinal analgesia)이라고도 하나 일반적으로 척추마취라고 부른다

39

40 마취의 합병증 척추마취중의 합병증과 그 대책 :  척추마취를 시행한 환자에서 마취약제를 주입한 후 10-15분 이내에 생리적 변화가 많이 발생하므로 환자에게 나타나는 변화를 주의 깊게 관찰하고 적절한 대응책을 마련하여야 한다. < 합병증 > 1. 혈압하강  척추마취의 초기에 발생빈도가 가장 높은 합병증이며 관상동맥 및 뇌동맥의 부전 증이 있는 환자는 수축 기 혈압이 80 mmHg 이하로 떨어지면 위험하므로 주의하여야 한다. 치료는 산소를 공급하고 빠른 속도로 수액을 주입하거나 또는 승압 제를 투여하며 예방목적으로 척추마취 시행 전에 ephedrine을 근육주사 하기도 한다.

41 마취의 합병증 2. 호흡억제 및 정지 : 진통제, 진정제, 저혈압으로 인한 호흡중추의 억제, 고위척추마취에 의한 늑간근 및 횡격신경마비 등에 의해서 호흡억제가 올 수 있으며 이 때는 마스크를 이용하여 산소를 공급하고 호흡 정지가 발생하였을 경우에는 기관 내 삽관 한 뒤에 인공환기를 실시한다. 3. 구역 및 구토 : 척추 마취 중에 흔히 볼 수 있는 합병증으로서 갑작스러운 혈압하강에 의한 뇌 허혈, 미주신경의 기능항진으로 오는 장 운동의 촉진, 수술 중 내장의 견인(traction) 그리고 전투약제의 영향 등에 의해서 발생한다.  증상이 가벼울 경우에는 진정제(diazepam, pentobarbital, thiopental)를 투여하여 잠을 잘 수 있도록 해주고 혈압의 감소가 원인이 된 경우에는 산소를 공급하고 승압제를 투여하며 미주신경의 기능항진으로 인한 경우에는 atropine을 투여한다. 4. 전 척추마취(total spinal anesthesia) : 척추마취시술중 사고로 발생하는 경우가 가장 많으며 국소마취제가 과량이거나 마취의 높이가 너무 올라가면 척수신경을 모두 차단하여 혈압하강, 호흡정지 심한 경우에는 의식이 없어지는 경우를 볼 수 있으나 혈압하강과 호흡억제 또는 정지에 대해서 적절한 조치를 취하면 시간이 지남에 따라서 회복된다.

42 마취의 합병증 1. 두통 1) 원인  요추천자로 인하여 척수 액이 경막 외 강으로 유출 되므로 뇌척수 액 압이 하강하고 동시에 뇌 기저부의 통증감지조직이 자극되어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다. 지주막하강의 압력(뇌척 수 액압)이 mmHg인 반면에 경막외강은 음압(negative pressure)을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경막이 천자되면 높은 압력 차이에 의해서 뇌척수액이 경막 외 강내로 계속 유출된다. 2) 증상  요추천자 후에 오는 두통의 특징은 체위 성 두통(postural headache)이며 수평위로 누워 있을 때는 두통이 없어지고 두부거상 및 좌위시에는 심한 박동성 두통 (pulsating headache)을 호소한다. 요추천자 후 24시간에 흔히 호소하며 여자가 남자보다 두배 정도 더 많이 발생하고 4-5일간 지속된다. 두통의 발생빈도는 시술방법 및 보고 자에 따라서 다르나 % 정도된다고 보고되어 있다.

43 마취의 합병증 3) 예방  가는 천자 침(24-26 G)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좋은 예방법이 되며 그 외에 시술 전에 충분한 수액을 공급하고 수술 후에는 머리를 들지 못하게 하여 24시간 동안 안정을 취하게 한다 4) 치료  요추 천자 후 두통은 일반 두통과는 성격이 달라서 약물로는 효과가 없는 것이 특징이다. 수분섭취와 수액공급, 누워서 안정을 취하는 자세, 복대(abdominal band)를 사용하여 복압을 올리는 방법, 경막외 혈액 봉합 술(epidural blood patch), 진정제 또는 진통제의 투여 등을 시도해본다. ☞ 경막 외 혈액 봉합 술 : 요추 천자 후에 심한 두통이 계속될 경우 이것을 치료할 목적으로 환자 자신의 혈액 ml를 경막외강에 주입하여 경막의 천자구멍을 막아주는 시술방법 이다.

44 마취의 합병증 2. 배뇨곤란  방광의 기능은 자율신경의 영향을 받고 있기 때문에 척추마취 후에 마취의 잔류효과가 오래 지속되고 늦게 회복된다. 치료는 앉은 자세 또는 선 자세에서 배뇨를 하도록 하고 회음부의 열기요법, 부교감신경흥분제인 urecholine의 근육주사 및 도뇨(catheterization) 등이 효과적이다. 3. 신경성 후유증 1) 무감각(numbness) 및 이상 감각  척추 마취 후 0.8%에서 무감각증상을 호소하며 그외에 작열 감(burning), 욱신거림(tingling) 등의 이상 감각을 호소하기도 한다.

45 척추마취 척추 마취 시 마취의 높이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
1. 신장 : 키가 클수록 척수의 길이도 길어지므로 동일한 용량의 국소마취제로는 마취의 높이가 올라가지 않는다. 2. 천자부위 및 약제의 주입량 : 천자부위가 높을수록 그리고 주입하는 약제의 양이 많을수록 마취의 높이는 올라간다. 3. 국소 마취제의 농도 : 마취제의 농도가 높을수록 마취의 높이가 올라가나 큰 영향은 미치지 못한다. 4. 약제의 주입속도 : 약제를 주입하는 속도가 빠르면 마취제가 널리 확산하므로 마취의 높이는 올라간다. 5. 마취용액의 비중과 체위 : 고 비중액을 주입한 다음에 두부하강체위(head- down)를 취하면 마취의 높이는 올라가고 반대로 두부거상체위(head-up)를 취하면 마취의 높이는 낮아진다. 6. 척추마취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한 환자상태  환자의 상태가 다음과 같은 경우에는 척추마취가 전신마취에 비해서 유리한 점이 많으므로 흔히 척추마취를 선택한다.

46 척추마취 < 척추마취의 금기 > 1. 뇌 및 척수종양 또는 질환 2. 두개 강 내압이 상승한 경우
< 척추마취의 금기 >     1. 뇌 및 척수종양 또는 질환 2. 두개 강 내압이 상승한 경우 3. 중추신경계에 감염이 있는 경우 4. 척추 및 천자부위에 감염이 있는 경우 5. 중증 심 부전증 6. 쇼크 및 저혈압 상태 7. 패혈증 8. 출혈 성 경향이 있는 경우 9. 급성화농성중이염  10. 환자가 척추마취를 원하지 않는 경우

47 수술 체위 1. 수술체위의 결정 요소 : 수술체위는 수술과정 및 외과적 접근방법, 마취의 종류, 나이, 체중, 키, 심장과 폐 기능 상태, 환자의 전신상태와 마취 및 마취상태 관찰을 고려하여 조정한다. 1) 체위를 취해주는 시간을 결정하는 요인 : 마취종류, 움직임에 따른 통증여부, 나이 및 체중과 수술부위 등 2) 안전한 체위의 조건 ① 호흡기능이 적절히 유지되어야 함 ② 순환기능이 적절히 유지되어야 함 ③ 혈관이나 신경을 압박하지 않아야 함 ④ 근육의 긴장을 피할 수 있어야 함 ⑤ 수술시야의 노출이 용이해야 함 ⑥ 마취제의 투여가 용이함은 물론 마취상태의 관찰이 용이해야 함

48 수술체위 1. 체위의 종류 - 앙와 위 또는 배위 (Supine or Dorsal recumbent position)
- Trendelenburg position - 복와 위 (Prone position) - 측위 (Lateral position) - 쇄석 위 (Lithotomy position) - Jack-knife position - Semi-Fowler`s position - Knee-chest position - Sim`s position

49 수술 체위 2. 체위 선택 시 고려해야 할 해부학적 및 생리학적 요소 1) 호흡기계 : 횡격막의 운동과 기도유지는 호흡기능의 유지에 가장 중요하며 호흡기능 의 유지를 통해 hypoxia를 예방할 수 있고 흡입에 의한 마취도입을 용이하게 할 수 있음 ▶ 호흡은 흉곽을 전방으로 확장시키므로 흉곽의 최대 확장 여부가 호흡기능 유지에 매우 중요하므로 흉과의 기계적인 확장을 방해하는 체위는 피해야 함 ex> horizontal position - 앉아있을 때보다 tidal volume이 1/3 정도 감소됨 → 마취와 수술 중 목 이나 가슴의 압박을 피해야 함 양쪽 팔은 양쪽 옆구리에 놓거나 arm board에 올려놓으며, 팔을 가슴 위에 올려놓아서는 안 됨.

50 수술 체위 1) Supine Position( 앙와 위 )
3. 체위의 종류 1) Supine Position( 앙와 위 ) : 이는 해부학적 자세에 가장 근접한 기본 체위로써 환자가 수술침대에 등을 대고 똑바로 눕는 position 이다. 주로 복부수술, 흉곽 수술, 골반 수술, 상하지 수술에 이용되며 마취 시 환자가 움직일 수 있으므로 사지를 고정해 준다. 이 때 압박 부위가 예상되는 부위에는 압박을 방지하기 위한 베개나 pad를 대주어 지지 받을 수 있도록 한다. 2) Dorsal Recumbent ( 배위 ) : 질 검사에 이용되는 position으로 다리를 약간 벌리고 발바닥은 수술침대에 붙인다. 3) Trendelenburg Position ( 골반고위 ) :supine position을 유지하면서 머리를 낮추는 체위로 과 거의 shock position과 같은 position을 말한다.

51 기구 2. 붙잡는 기구(forceps, clamp) 3. 넓혀주는 기구 4. 기타 기구들
1. 자르는 기구 2. 붙잡는 기구(forceps, clamp) 3. 넓혀주는 기구 4. 기타 기구들 외과적 수술에서 사용 도에 따라 예리한 기구(cutting and sidsecting of tissue), 붙잡는 기구(grasping or holding of tissue), 견인기(retractor), 봉합 기로 나누어진다. 1) Scissors 2) Ronger’s- 속에 들어 있는 뼈를 절제해 낼 때 사용하는 기구 3) knife - 조직, 혈관, 뼈 등을 붙잡거나 지혈 또는 지지 1) Forceps : 조직을 잡거나 압박할 때 (주로 수술 중 지혈을 목적으로 사용)

52 간호사의 역할 1. 소독간호사 2. 순환간호사 3. 마취과간호사 4. 회복 실 간호사 * 소독간호사의 역할과 업무
1. 소독간호사의 역할 2. 소독간호사의 업무 * 순환간호사의 역할과 업무 1. 순환간호사의 역할 2. 순환간호사의 업무

53 간호사의 역할 (1) 소독 간호사(scrub nurse)의 역할 【수술 전 준비】,【수술 중 진행】,【봉합 사~수술 후 정리】
(2) 순환 간호사(circulating nurse)의 역할 (3) 마취 간호사(Anesthetist)의 역할 - 전신마취(General Anesthesia)   【마취 시작】,【마취 중】,【수술이 끝나 갈 때】 - 국소마취(Local Anesthesia)   【마취 시작】,【마취 중과 마취 끝날 때】 2. 소독간호사의 업무 1) 수술 시작 직전 - 절차에 따라 철저히 손 소독을 한다. - 수술에 대비하여 기계 상위의 기계, 소독 포, 소독 물품 등을 정리한다. - Knife handle에 mass를 끼우고 봉합 사를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준비한다. - 순환간호사와 함께 스폰지, tape, 기구들의 수를 세어본다.

54 count count하는 목적 및 방법 솜, 바늘 안전핀, 칼날, 다른 예리한 기구가 환자의 몸 안에 남아 있게 되면 이 물질로 간주되므로 봉합 시에는 환자를 보호하기 위해 4번 이상 계수해야 한다. 첫 번째는 멸균을 위해 물품을 쌀 때, 두 번째는 수술시작 전에 꾸러미 표를 열었을 때 순환간호사와 소독간호사가 함께 센다. 이때 순환간호사는 숫자 기록 지 양식에 즉시 기록한다. 세 번째는 순환간호사와 소독간호사가 상처를 닫기 시작할 때 수술 테이블과 바닥에 버려진 것 등을 세어 집도 의에게 말해주며 계수가 맞으면 봉합이 시작된다. 네 번째는 피부 봉합 시 마지막 계수를 하고 순환 간호사는 모든 계수에 대한 수술기록에 서명을 한다. 수술이 끝났을 때 소독간호사 역시 수술기록지에 서명한다

55 count [Needle & sharps count]
: 봉합사가 달린 바늘(swaged suture)은 사용하기 직전에 포장지에서 꺼내 사용하도록 하며 모든 바늘은 방포. 거즈, 린넨과 함께 놓지 않도록 하는데 함께 놓을 경우 바늘이 거즈나 린넨에 함께 딸려갈 수 있기 때문이다. [첫 번째 needle count] : 수술이 시작되기 전에, needle을 준비할 때 하며 순환간호사와 소독간호사가 함께 needle의 수를 세어본 후(double check) 순환간호사는 물품 기록지에 준비된 needle의 개수를 기록한다. 수술 중 소독간호사는 봉합사의 빈 포장지를 모두 모으며 오염된 조직에 사용되어 불결된 needle도 따로 모아두며, 혹시 needle이 부러지면 부러진 needle의 조각을 모두 모은다

56 봉합사 1) 봉합 사 - 조직 손상이 적고 조직반응이 적어야 함 - 흡수시기가 적절해야 함 - 조작이 쉽고 부드러워야 함
- 인장강도가 높아야 함 - 매듭이 강하고 잘 풀리지 않아야 함 2) 봉합 침 - 강도 : 쉽게 파손되지 않음 - 쉽게 구부러지지 않음 - 예리함 : 조직 통과 력 우수 - 최소한의 바늘자국 - 소독용이

57 봉합사 바늘의 형태분류 1. Round needle
바늘의 끝부분이 둥글게 되어 있어 조직을 cutting하기보다는 separate하면서 통과, 주로 부드러운 조직 봉합에 사용한다. 주로 subcutaneous, dura등 조직에 저항을 적게 주어야 할 부위에 사용한다. 2. Cutting  - 주로 질기고 강한 조직을 봉합할 때 사용함 - 조직을 잘 통과 할 수 있게 바늘 끝에 각이 있음 - 주로 skin이나 tough한 조직에 사용함

58 회복 실 간호 1. 목적 : 환자가 가능한 빠르게 최적의 기능을 유지할 수 있는 상태로 복귀시키는 것이며, 상처치유를 보다 향상시키고, 신체적 편안함과 정서적인 지지를 해주어, 수술 후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함이다. 2. 회복 실 기구 및 물품 : 혈압계, pulse oxymetery, 청진기, 체온계, 심전도기, 정맥 주입기, 흡인기, 호흡 보조기, 곡반, 도뇨세트, 소변기, 변기, 담요, 응급 카트, 기관절개세트, 세동 제거기, cutdown tray, 기계적 환기장치, 위액흡인기구, 흉관 삽입기구, 약물 등

59 회복 실 간호 3. 회복 실로의 환자이송 ▶ 회복 실에 있는 대상자의 회복과정을 주기적으로 관찰, 응급 시 수술실로 빨리 보냄 ① 수술 후 피부를 닦고, 드레싱 한다. ② 마취 의에 의해 사정 후 기관내관 제거, 근력, 기도유지, 일회 호흡량, 산소포화도, 혈압, 정맥수액 등을 점검한 후 회복 실로 이송한다. ③ 깨끗한 가운을 입히고, 수술대에서 들것으로 옮길 때 손상이 없도록 한다. ④ 담요를 덮고 배액 관의 꼬임이나 빠짐에 주의한다. ⑤ 복위로 취하고, 갑작스런 체위변경은 저혈압을 발생시키므로 주의한다. ⑥ 무릎과 팔꿈치를 억제대로 억제 혹은 벨트로 묶고 side rail을 올려 안전이송 한다.

60 회복 실 간호 4. 회복 실 환자사정 1) 기도 유지 상태 : 기도확보, 분비물 있을 시 흡인이나 거즈 사용하여 제거, 호흡음(쉰 목소리, croup, 천식 음, 코고는 소리, 호흡음의 감소)을 사정한다. 2) 산소 공급 유무: 안면마스크나 비강canular로 산소를 공급, 가습기를 사용해 건조와 폐 합병증을 예방한다. 3) 활력징후 : 혈압, 맥박, 산소포화도, 체온을 사정하고, 피부가 창백하고, 차고, 축축하면 눈과 뇌수술을 제외하고 shock position를 취한다. 4) 의식상태 및 반응 정도 ① 의식회복단계를 사정한다. (* 의식회복의 3단계(Maconnel) ) 1단계: 큰소리에 반응 2단계: 깨어있으나 지남 력 부재(기면 상태) 3단계: 지남 력 회복상태(의식명료단계) ② 대광 반사, 근력을 사정한다. ③ 추궁절제술 환자와 부위마취환자는 다리 감각 및 운동기능을 사정한다. 5) 인두, 기침, 연하반사 확인

61 회복 실 간호 5. 회복상태 관찰 (1) 기도 유지 간호 (2) 안전 간호 (3) 환기 증진 간호 (4) 순환기능 유지 간호
(1) 기도 유지 간호 (2) 안전 간호 (3) 환기 증진 간호 (4) 순환기능 유지 간호 (5) 수분과 전해질 균형 유지 (6) 통증관리 (7) 수술 상처 간호 6. 수술에 따른 체위변경 7. 수술 후 검사 및 결과 (1) 전 혈구검사(CBC) (2) 동맥혈가스분석(ABGA) (3) 혈액화학검사(BC) 8. 회복 실 사용 약물 9. 병실로 환자이송 (1) 퇴실기준 (2) 이송에 대한 책임 10. 회복 실 간호기록지

62 회복 실 간호 5. 회복상태 관찰 (1) 기도 유지 간호 ① 인공기도와 기관내관을 유지, 분비물을 기침으로 제거하지 못하면 흡인 기를 사용한다. ② 호흡을 관찰해 마취각성까지 5분마다, 그 후 15분마다 측정 후 기록한다. - 과도한 호흡음: 분비물 축적 - 호흡음 감소: 무 기폐, 폐렴, 기흉 등의 합병증을 의미 ③ 필요 시 산소(5~10L/분)를 공급해 저 산소혈 증 예방 ④ 인공기도, 기관내관 제거 전 동맥혈 가스분석, 일회 호흡량 사정 후 분비 물 흡인한 다음 제거하여 기도 내 흡인 예방 (2) 안전 간호 : 침대 난간 올리기, 필요 시 억제 대 사용, 도움으로 침대에서 이동 가능, bedside table을 침상 가까이 두어 사용이 용이하도록 한다.

63 회복 실 간호 (3) 환기 증진 간호 ① 산소요법, 호흡운동(10분~15분 간격 심호흡), 체위변경, 약물 투
여로 환기를 증진시킨다. ② 마취 후 무 기폐, 저 산소증이 발생하여 산소를 공급한다. ③ 비만환자; 머리를 올려 횡경막의 압력을 경감, 위 팽만 때문이면 비 위관을 삽입한다. (4) 순환기능 유지 간호 ① EKG 모니터로 맥박의 리듬과 횟수를 사정, 10분마다 기록한다. (성인 110회 이상, 60회/분 이하는 보고) ② 혈압 : NIBP 모니터를 연결해 5분마다 측정, 10분마다 기록, 정 상 범위 이외는 보고한다. ③ 저혈압 : 심할 경우 하지를 상승, 쇽 체위를 취해 말초혈관에 혈 액이 축적되는 것을 방지


Download ppt "수술실 관리 창원병원 간호부."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