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제 2 절 디자인사 * 근대 디자인사: 19세기말에서 20세기 중반까지의 디자인 경향 운동 국가 특징 창시자/작가 미술공예운동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제 2 절 디자인사 * 근대 디자인사: 19세기말에서 20세기 중반까지의 디자인 경향 운동 국가 특징 창시자/작가 미술공예운동"— Presentation transcript:

1 제 2 절 디자인사 * 근대 디자인사: 19세기말에서 20세기 중반까지의 디자인 경향 운동 국가 특징 창시자/작가 미술공예운동
 운동 국가  특징  창시자/작가   미술공예운동  영국  수공예 운동  월리엄 모리스  아르누보  벨기에, 프랑스  장식미술  빅토르 오르타  유켄트스틸  독일  헨리 반 데 벨데  시세션  독일, 오스트리아  분리파(실용주의)  오토 와그너  독일공작 연맹  디자인 진흥단체  헤르만 무테지우스  큐비즘  프랑스  입체주의  피카소, 브라크  구성주의  러시아  혁명(추상)주의  로드젠코, 타틀린  데 스틸  네덜란드  신조형주의  몬드리안, 데오 반 도에스부르크  순수주의  기능주의, 입체주의  오장팡, 르 코르뷔지에  바우하우스  조형학교  월터 그로피우스  아르데코  신장식미술  풀로, 브란트, 카상드로

2 제 2 절 디자인사 1. 산업 혁명 산업혁명은 18C 후반부터 19C 초에 걸쳐 영국에서 일어났으며, 생산수단의 개량과 경영의 능률화를 바탕으로 하는 실용적 기계의 발명을 들 수 있다. 산업혁명 이전의 주된 생산수단은 수공업, 즉 손과 도구에 의한 생산방법이었다. 1851년 5월 영국 런던에서는 산업박람회(Great Exhibition of Industry)를 개최하였다. 세계 최초의 국제적 박람회는 그 자체가 건축공사의 경이적인 성과인 수정궁(Crystal Palace)속에서 최신 기계의 경이적인 작품을 진열하였다. 수정궁은 하이드파크에 세워진 철과 유리로 된 건물로서 길이가 1km 이상이나 길게 뻗친 온실과도 같았다. 이 박람회는 영국의 국위를 세계에 과시함과 동시에 그 회장(會場)으로서 설계된 크리스탈 팰리스가 상징적으로 표시했듯이 공업사회의 시작점이며, 물질사회의 승리를 표시하는 불꽃이기도 했다. 산업혁명의 궁극적인 원인에는 광범위한 인간의 제반 활동이 들어있으나 그것의 직접적인 원인은 무엇보다도 경제적인 것이었다. 즉, 19C의 상호연관성(相互聯關性)이 있는 원인은 첫째 동력으로서 가동하는 기계의 생산과정에 대한 응용의 증대, 둘째 석탄, 철, 강철의 더욱 능률적인 생산, 셋째 철도 및 그 밖의 운수 및 통신의 빠른 방법의 건설, 넷째 은행과 신용기관의 확장 등의 발전이 19C 산업혁명의 직접적인 원인이 되었다. 또한 산업혁명에 의한 기계·기술의 발달 때문에 야기되었던 여러 가지 문제와 밀접한 관계를 가져왔으며, 기계와 예술이 서로 만남으로써 초래된 전통과 혁신 사이의 대립과 갈등, 미학상의 혼돈 속에서 새로운 양식을 모색하려 했던 끊임없는 노력으로 디자인사는 발전되어 왔다. 실로 산업혁명은 기계에 의한 대량생산이라는 생산수단의 변혁으로 말미암아 그 때까지의 공예관에 커다란 혼란을 야기시키기도 했으며, 이 점에서 인간 생활의 새로운 장을 열었으나, 기계의 급속한 발전으로 인간 정신의 균형을 파괴하고 따라서 인간이 기계를 지배하는 능력에 근본적인 회의를 불러일으키기도 했다.

3 제 2 절 디자인사 2. 미술 공예 운동(Art and craft Movement)
윌리엄 모리스(William Morris)는 기계를 부정하는 것으로부터 공예의 시발점을 두고 있다. 그는 산업혁명으로 인한 생산의 증가는 공예의 질을 떨어뜨리므로 공인은 서민을 위해서 일을 해야 하며, 기쁨을 가지고 손수 만드는 것으로서 아름다움을 창조하며, 예술에 의해서 사회를 구하려는 생각을 가지고 있었다. 그리하여 19C 후반에 이와 같은 수공예적 공예생산인 미술공예운동(Arts and craft Movement)이 영국에서 시작된 것이다. 윌리엄 모리스는 '스트리이드'의 고딕건축 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재직하기도 하였으며, 1848년 영국의 시인, 화가들이 모여 일으킨 예술 혁신 운동 단체인 라파엘 전파그룹에 끼어 건축가, 화가로서 교육을 받았으나 후에 디자인으로 전향을 하게 되는데, 그것은 그 자신이 필요에 의해서였다. 그는 1857년 친구인 필립 웨브(Philip Webb)과 공동으로 설계한 자신의 레드하우스(Red House)를 세우게 되는데, 이것이 그를 디자인으로 향하게 하는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다. ※레드 하우스: 최초의 빨간 벽돌집 이러한 미술공예운동(Arts and craft Movement)의 윌리엄 모리스는 당시의 혼란했던 조형양식을 통일하여 20C 공예운동의 선구자가 되었지만 기계에 대한 반항과 지나친 수공예와 고딕 양식의 찬미로 영국의 근대 디자인 운동을 반세기 늦추었다. 그 결과 1870년대에서 80년대에는 이들을 주류로 하는 동향과 병행하여 보다 세련되고 Modern한 아름다움을 지향하는 유미주의 유파가 나타나서 아르누보를 예고했다. 그리하여 질의 향상과 조화의 가치를 추구한 모리스의 이론적 사상과 행동에 의한 주장 등은 유럽의 벨기에와 프랑스로 이어져 아르누보(Art Nouveau) 양식을 출현시키는 등 각국의 근대 디자인 운동에 커다란 하나의 시발점이 되었다.

4 제 2 절 디자인사 3. 아르누보(Art Nouveau)
신예술을 의미하며 벨기에에서부터 시작되어 프랑스를 비롯한 유럽의 각지, 또는 미국 등 넓은 지역에 유행을 일으킨 공예상의 자연주의라고도 볼 수 있는 이 운동은 양식미를 특히 강조한 공예 형태로서 신선하고 자유분방한 조형운동으로 식물 모양의 공예양식이 도입되었다. 그리고 그것은 양식미만을 주체로 하여 창조된 공예 형태였다. 따라서 동식물의 형태를 모티브로 한 유동적인 장식 형식이 많이 사용되었다. 그러한 형식은 아르누보의 호칭에서도 잘 나타나고 있다. 즉, 뱀장어양식, 국수양식, 촌충양식, 귀마르양식 등 다양하게 불리며 독일에서는 유겐트 스틸(Jugend Still) 불란서나 스페인에서는 현대양식 등으로 불리었으며, 이러한 호칭 외에도 각기의 지역에 따라 약 30여개에 달하는 호칭을 가지고 있다. 이 운동은 영국의 미술공예운동의 이식공예라 하며 가장 주목할 만한 공적은 건축 외부에 철을 즐겨 사용했다는 점이고, 어느 시대를 모방하거나 또는 거기에서 영감을 얻는 것을 반대하였다는 점이다. 아르누보는 이 점에서 미술공예운동보다 앞서고 있다. 그러나 이 두 양식은 전 유럽에서 동일시되고 있었고 전람회에서도 다 같이 진열되었으며 모든 미술잡지에서는 같은 것으로 취급되었다. 그러나 강직한 느낌을 가진 직선과 원색을 사용하지 않는 것이 아르누보의 특징인 것이다. 자유 분방한 곡선은 1883년 영국의 Macmurdo의 표지 디자인에서 찾아볼 수가 있지만, 당시 유럽의 공업과 진보적 운동 중심지였던 벨기에에서, 헨리 반 데 벨데(Henry Van de Velde)가 태어나 1893년 그가 30세 때 윌리엄 모리스(William Morris)나 존러스킨(John Ruskin)의 공예사상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그는 화가였으나 그림을 버리고 공예에 몸을 바칠 결심을 하고 그들의 이론에 영향을 받아 이론가로 활약을 하였다.

5 제 2 절 디자인사 4. 유겐트 스틸(Jugend Still)
청춘양식이라는 뜻의 독일 아르누보 운동의 양식과 경향에 대한 호칭으로 1896년 뮌헨에서 발행되고 있던 미술잡지 유겐트(Jugend)에서 유래한 것으로 종래 공예의 모방적 경향에 대한 반동이라 할 수 있다. 유겐트 스틸은 식물적 요소 꽃, 잎 등을 주로 하여 곡선의 변화와 율동적인 패턴에 의해 추상화, 양식화된 점에 특색이 있다. 그것은 프랑스의 아르누보에 비하여 중후한 양식이 되었지만, 이러한 평면성에 대한 새로운 감각과 디자인의 의지는 현대미술 탄생의 한 원칙이 되었다. 그 선구자는 벨기에의 건축가 헨리 반 데 벨데를 비롯하여 독일공작연맹의 선구가 된 피터 베렌스(Peter Behrens)와 1861년부터 잡지 유겐트(Jugend)와 팬(Pan)을 디자인한 Pankok Bernhard, 그리고 1910년 부르셀 박람회에서 18C 후기 양식의 가구를 디자인하여 선풍을 일으켰으며, 상감기법과 유닛 가구를 선보였던 파울 브르노(Paul Bruno), 독일의 타이포그래퍼겸 디자이너로서 오늘날 아르누보 양식의 이론가로 알려진 오트 에크만(Otto Eckmann) 등이 있으며 특히 헨리 반 데 벨데의 폴크 방크 박물관(1902) 설계가 독일의 건축 공예계에 준 자극은 컸다.

6 제 2 절 디자인사 5. 분리파 - 시세션(Secession)
신예술 양식인 아르누보의 영향을 받아 1897년 독일과 오스트리아에서 성행한 운동으로 과거의 모든 예술로부터 분리를 목표로 하여, 새로운 시대의 예술을 창조하고자 하는 운동이다. 근대 디자인의 혁신적 예술운동으로 시세션이라고 부른다. 표현주의적 영향으로 곡선보다는 클래식한 직선미와 기하학적인 개성을 창조하였으며 분리파의 대표적 작가로는 오트와그너로 보수적인 미술에서 벗어나는 과도기적 단계의 미술 운동으로 불리고 있다.

7 제 2 절 디자인사 6. 기능주의 기능주의는 19세기 후반 전보적인 건축가들에 의해 도입되어 근대 건축의 혁신적 발전에 큰 역할을 한 예술 시조를 말한다. 기능주의는 디자인에 있어 아름다움보다는 기능의 편리함과 만족함을 최우선으로 하였으며, 오토와그너, 루이스 설리반 등이 대표적인 기능주의 건축가이다.

8 제 2 절 디자인사 7 .독일공작연맹(D·W·B) 독일공작연맹(Der Deutsche Werk bund)은 1906년 드레스덴의 국제박람회를 기점으로 태동되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그러한 이유는 종래의 독창적인 일품제작에서 기계생산에 적합한 형태에 관한 조형의 인식이 높아졌기 때문이다. 건축가였던 피터 베렌스는 건축과 동시에 다양한 분야의 디자이너로서 활약을 하게 되는데, 그는 유겐트스틸의 일원으로 후에 뒤셀도르프(Dusseldorf) 공예학교의 교장으로 취임을 하며, 장식에서 완전히 탈피하여 공업적 합리성을 강조한다. 공작연맹의 리더로서 월터 그로피우스, 르 코르뷔제, 아돌프, 마리어, 로에 등의 제자를 두었으며, 근대적 건축형태를 실현한 최초의 건축가이다. 그러나 독일공작연맹은 1907년 유겐트스틸의 퇴조와 기술 주도적인 디자인에 관심을 불러 일으키며 헤르만 무테지우스(Hermann Mutherius)를 중심으로 하여 결성되었다. 헤르만 무테지우스는 기계생산의 과정 속에서 '예술가가 참가해야 할 가장 중요한 분야는 디자인이다'라고 말하고 있는데, 이는 윌리엄 모리스의 기계부정 공예운동에서 벗어난 기계의 긍정으로서 질의 향상을 위해서는 재료나 기술, 기능뿐만 아니라 미적 내용을 포함하는 것이다. 1914년 퀄런에서 대규모의 공작연맹전이 개최되었는데, 이 때의 총회에서 헤르만 무테지우스는 규격화(Typisierung)를 내세우며, 규격화에 의하여 상품의 양질화가 가능하다고 주장하며 "소파의 쿠션에서 도시계획까지"라는 슬로건 아래 공업 생산에서 디자인까지를 통일하고자 했다.

9 제 2 절 디자인사 7. 독일공작연맹(D·W·B) 그러나 헤르만 무테지우스의 이러한 주장에 강력하게 반론을 제기한 사람은 헨리 반 데 벨데였으며, 그는 예술창작에서 볼 때 규격화는 무차별한 획일화만 있을 뿐이므로 개성적인 창조야말로 중요하다고 주장을 하고 있다. 두 사람의 논쟁은 윌리엄 모리스 다음으로 미술공예운동의 이상이 산업사회의 현실과 다시금 대립하게 되었으나 1차 세계대전을 기점으로 전쟁전에는 헨리 반 데 벨데의 주장이 다소 호응을 얻는 듯 했으나 1차 세계대전으로 인하여 보류되었다. 규격화와 표준화에 관한 헤르만 무테지우스의 제언이 탁월한 선견지명이었다는 것이 증명되었다. 이러한 경향들은 전후 바우하우스(Bauhaus)의 운동이나 독일공작연맹의 활동으로 이어졌다. 독일공작연맹은 연보의 발행이나 박람회를 개최하는 등 활발히 활동을 전개함은 물론 예술가나 관심있는 기업가의 지지를 받아 점점 발전해 나갔는데, 여기에 오스트리아에서는 1910년에 스위스에서는 1913년에, 1914에는 스웨덴의 공예협회가 재편성하게 되었으며, 1915년에는 영국에 공예협회(DIA)를 설립시키는 등 유럽각국이 영향을 받아 이와 같은 공작연맹을 설립하게 된다. 그후 세계 제2차대전이 종전된 1950년 Dusseldorf에 독일공작연맹이 재건되어 활발히 재개되었다.

10 제 2 절 디자인사 8. 모더니즘(Modernism) 9. 입체주의- 큐비즘(Cubusm)
르네상스 이후에 1860~1970년까지 적용된 개념으로 예술과 사상등에 나타나는 인간의 시대의식이나 태도를 말한다. "근대성" 또는 "미학적" 근대주의와 미술 전반의 경향이나 보편적인 감각을 뜻한다. 9. 입체주의- 큐비즘(Cubusm) 입체파로 불리며 1900~1914년에 걸쳐 프랑스 파리에서 일어난 미술혁신 운동으로 르네상스 이래의 사실주의적인 전통에서 해방시킨 회화 혁명으로 일컬어지고 있다. 자연의 여러가지 형태를 기본적인 기하학적인 형태로 환원하였으며 사물의 존재를 2차원적인 면의 분할로 재구성하였다. 세간의 입체주의, 분석적 입체주의, 종합적 입체주의등 세 단계로 나뉜다. 대표적인 작가로 마티스, 브라크, 피카소를 들 수 있다, 파카소는[아비뇽의 처녀들]이란 작품을 발표하면서 입체주의를 급속하게 발전시키는 역할을 했으며 입체주의는 1차 대전으로 인해 종식되었으나 그 후에 건축, 미술, 디자인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

11 제 2 절 디자인사

12 제 2 절 디자인사 10. 구성주의(Constructivion) 11. 데 스틸(De Stijl)
1913~1920년에 걸쳐 러시아 혁명기에 일어난 운동으로 정서적이고 전통적인 미술을 전반적으로 부인하고 현대적이며, 기술적인 원리에 입각한 예술을 주장하였다. 구성주의자들은 정치적인 혁명과 예술적인 혁명을 동일시하며 조형을 통한 사회주의적 문화 건설을 목표로 한다. 11. 데 스틸(De Stijl) 데 스틸은 네덜란드어로 "양식"이란 뜻으로 네덜란드 화가, 조각가, 건축가들이 1917년에 결성한 조형예술운동 그룹의 명칭이며, 잡지의 제목이기도 하다. 기하학적인 형태와 3원색을 기본으로 하여 순수한 형태미를 추구한 테 스틸은 순수성과 직관성을 중시하는 몬드리안의 신조형주의와 조형물의 구체성을 중시하는 데오 반 도에스부르크의 요소주의로 구분된다.

13 제 2 절 디자인사 13. 순수주의(Purism) 1918년 프랑스의 오장팡과 르 코르뷔지에가 입체주의 계승하여 일어난 조형운동으로 필요없는 장식과 과장을 배척하고 간결하고 정확한 조형미를 주장하였다. 이것은 기능성을 최대한 살리는 것으로 기능주의적 이념과 상통한다.  작가  내용 사항   르 드코뷔체  "집은 살기 위한 기계이다."  기능주의  루이스 설리반  "형태는 기능에 따른다"  오토와그너  "예술은 필요에 의해 지배된다"  그리노  "최고의 형태란 쾌속정의 기능적 형태이다."  라이트  "형태는 기능을 계시한다."  표현주의, 기능주의  빅터 파파넥 디자인은 가장 강력한 도구이며 그것을 통하여 인간은 다른 도구와 환경을 구체화 한다.   복합기능주의 (방법, 용도, 필요성, 목적지향성, 연상, 미)

14 어느 나라 최고의 건축가가 이 세상 어느 곳에도 없는 멋진 등대를 만들었습니다.
창의력 테스트 어느 나라 최고의 건축가가 이 세상 어느 곳에도 없는 멋진 등대를 만들었습니다. 그런데 그 나라의 왕이 등대를 자신의 업적으로 남기고 싶어 등대에 왕의 이름을 새겨넣으라고 명령을 했습니다.

15 이렇게 멋진 등대를 왕의 이름으로 새기기엔 억울했던 것이지요.
창의력 테스트 건축가는 고민했습니다. 이렇게 멋진 등대를 왕의 이름으로 새기기엔 억울했던 것이지요. 똑똑한 건축가는 드디어 방법을 찾았답니다. 왕에게 처형당하지 않으면서 본인의 이름으로 등대를 길이길이 남길 방법을 말이죠..

16 제 2 절 디자인사 14. 바우하우스(Bauhaus)의 조형교육
1919년 3월 20일 건축가 월터 그로피우스 (Walter Gropius)에 의해서 독일의 바이마르(Waimar)시에 창립된 국립 종합조형학교(das Staatliches Bauhaus)로서, 1925년 정치적 압박으로 뎃사우(Dessau)로 이전 그 다음 해인 26년 수업이 재개되고, 1932년 주 정부의 압력으로 폐쇄되어 베를린으로 이전하였으나 1933년 3월 문화 볼세비즘의 소굴로 간주되어 폐교되기까지 14년간에 약 500여명의 졸업생을 내고 해산되었다. "바이마르 국립 바우하우스의 선언과 강령"(1919)은 그로피우스에 의하여 기초되어졌는데, 그는 두 가지를 강조하고 있는데, 첫째, 수공작을 중시한 것으로 모든 조형활동에 있어서 미술공예운동의 이념을 따르고 있다. 둘째는 예술과 생활의 일치를 위한 제 예술의 통합 이념이다. 목판화로 된 이 선언과 강령의 표지 디자인에서는 첨탑을 갖은 대사원이, 건축가를 중심으로 좌우에 화가와 조각가를 배치하고 있는 것을 상징하는 세 개의 빛나는 별을 배경으로 하여 우뚝 서 있는데, 유겐트스틸이나 표현주의의 기본이념이 그것에 잘 파급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바이마르에서 바우하우스의 기반은 이러한 선언 및 강령과 함께 요한스 잇텐(Johannes Itten)에 의한 예비교육 시스템의 확립에 의해서 확고해졌다.

17 제 2 절 디자인사 14. 바우하우스(Bauhaus)의 조형교육
그의 예비교육은 조형소재의 체험적 학습에 중점을 두고 새로운 예술적 감성과 종래의 수공작 기술을 결부하는 과제로 편성되어, 조형적 가능성을 직접 손으로 작업하면서 배우고 이를 통해서 개개인의 창조력을 함양하는 과정으로 지도되었는데, 지나친 직관과 무의식을 강조하여 순수미술가를 양성하는 잇텐의 예비교육은, 그로피우스의 실천적인 목표와 대조되어, 바우하우스의 내부에 균열을 가져오고 이점을 데 스틸의 도에스부르그는 외부에서 잇텐의 개인주의적인 예술관을 극력히 비판하면서 데 스틸의 보편주의적인 조형이념을 바우하우스에다 주입하였고 그로피우스는 그러한 조형이념을 점차 받아들여 표현주의로부터 탈피하여 러시아의 구성주의 조형사상을 도입함으로서, 바우하우스의 새로운 자태를 명확히 했다. 바우하우스의 교육과정은 일반적으로 3단계 또는 4단계로 나누어지는데, 처음 6개월의 예비과정에서는 돌(Stone)이나 나무(Wood), 금속(Metal) 이외의 점토(Clay), 유리(Glass), 염색(Pigments) 및 직물(Textiles) 등의 재료에 의한 예비교육을 하였다. 형태교육과 공작교육은 병행하여 시행되었으며, 최후로는 건축교육이 이루어졌다. 그러나 바우하우스의 교육이 안정될 무렵 바우하우스에 반대하는 세력이 정치적으로 유리하게 작용되어 보수적인 바이마르 시민과 투링겐지방 의회는 바우하우스를 압박하여 1924년 해산하게 되었으며, 뎃사우, 프랑크푸르트 암마인, 기타의 도시가 바우하우스의 가치를 인정하여 이것을 인수하려 하였지만, 결국 독일화학공업의 중심지이며, 쥬링거(Junrger)항공사의 본거지인 뎃사우(Dessau)시와의 협약이 성립되어 1925년에 그곳으로 이동하게 되었다. 오히려 바우하우스로서는 이 점이 다행한 것이 되어, 새로운 발전을 위한 좋은 환경이 주어지게 되었다.

18 제 2 절 디자인사 14. 바우하우스(Bauhaus)의 조형교육 시기 명칭 내용 1기 바이마르 바우하우스
뎃사우에서는 교육의 조직이 더욱 충실하게 되었으며, 제작기술과 근대적 조형력을 겸비한 바우하우스의 수료생이 공방의 마이스타로 탄생되어 2기 바우하우스로서 출발하게 되었다. 따라서 두 사람의 마이스타 제도는 폐지되고 새로이 시대가 필요로 하는 대량생산품의 원형을 디자인하고 개량해 가는 실험공방으로 생각되었다. 모홀리나기에 의한 지도에서, 금속공방은 구성주의의 기하학적이면서 경제적인 조형원칙을 기술적인 합리주의와 결부시켜서, 일체의 불필요한 것을 생략한 단순 명쾌하고 실용적인 조명기구 등의 디자인을 산출했다. 한편 가구공방에서는 Marcel Breauer가 강관을 활용한 새로운 형의 기능적인 가구를 제작해 냈다. 그는 다시금 가구의 규격화도 시도하여 규격화와 표준화라는 공업디자인의 근본문제에 접하게 되었다. 시기  명칭  내용  1기  바이마르 바우하우스 월터그로피우스가 독일 바이마르에 창설   2기  데사우 바우하우스  모던 디자인의 기초가 됨(디자인을 대령 생산의 원형 제작으로 봄)  3기  공과대학  전문 공과대학 성격을 띰  4기  폐교  1933년 나치에 의해 강제 해산됨  5기  뉴 바우하우스, 뉴 저먼 바우 하우스  유럽과 미국에서 뿌리를 내림

19 제 2 절 디자인사 현대 디자인사 현대 디자인사의 경향
- 표현 : 인간이 가지는 감정적인 문제와 태도, 방향 제시와 세계적, 역학적, 철학적인 흐름을 표현 - 환상 : 인간의 상상력과 창조력을 중시하며 공간적, 시간적, 자연적인 것들과 동떨어진 세계를 표현 - 추상 : 자연적이고 구체적인 대상이 아닌 순수형에서 시작되며, 기하학적인 직선과 형태, 공간, 색채 등을 위주로 표현

20 제 2 절 디자인사 1. 다다이즘(Dadaism) 2. 초현실주의(Surrealism)
제1차 세계 대전 중 사회적 불안과 허무감으로 나타난 문화 전반적인 운동으로 1917년 잡지 '다다'를 통해 '반예술'을 주장하며, 예술의 모든 영역에 걸쳐 일체의 규범을 무시하는 시나 회화등을 만들어 냈다. '다다'라는 말은 시인 차라가 프랑스어 사전에서 우연히 본 목마(Dada)에서 유래하고 있으며, 기존의 예술체계를 부정하고, 일체의 전통, 사상, 질서 파괴를 주장한 예술 운동이라고 할 수 있다. 2.  초현실주의(Surrealism) 다다이즘의 뒤를 이어받아 1924년부터 프랑스에서 일어난 운동으로 제1차 세계대전 후 파괴되는 물질세계의 허무와 실망에서 비롯된 전위적 예술 운동을 말한다. 초현실주의는 인간을 이성의 속박에서 해방하고, 무의식적인 세계와 꿈의 세계를 표현하였으며, 후에 추상주의와 팝 아트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 초현실주의 표현 기법 - 프로타주 : '마찰하다'의 뜻으로 일명 탁본이라고 하며, 요철이 있는 표면을 문질러 피사물의 질감효과를 나타내는 기법 - 데칼코마니 : '복사하다', '전사하다'의 뜻으로 우연적인 기법으로서 물감을 눌러서 전사시키는 기법 - 콜라주 : 피카소와 브라크의 큐비즘에서 고안된 표현 방법으로 질이 다른 여러가지 헝겊, 비닐, 타일, 나뭇조각, 종이, 상표 등을 붙여 화면을 구성하는 기법 - 오브제 : 돌, 조개껍질, 나뭇가지, 동물의 가죽 등과 같은 자연적인 물체와 주전자같은 공업적인 물체들을 조합시켜 새로움이나 환상, 잠재되어 있는 욕망등을 가지게 하는 시각적인 표현기법

21 제 2 절 디자인사 3. 추상 표현주의 (추상 미술) 4. 포스트모더니즘(Post-Modernism)
1940년대 말 뉴욕을 중심으로 일어난 미국스타일의 회화로 실제의 모양이나 색 등에서 출발하지 않고 추상과 순수형태에 바탕을 두어 생각나거나 느끼는 대로 표현한 예술이다. 초현실주의의 이념을 혼용하여 발전한 것으로, 그림이나 조형뿐만 아니라 건축과 상업미술, 디자인에 이르기까지 많은 분야에 응용이 되고 있고, 차가운 추상으로는 몬드리안을 들 수 있으며, 뜨거운 추상으로는 칸딘스키를 들 수 있다. 4. 포스트모더니즘(Post-Modernism) '근대 이후'라는 뜻을 가지며, 2차 세계대전 이후 1960년대 중반부터 모더니즘의 쇠퇴에서 부터 생겨난 포스트모더니즘은 세계와 인간을 파악하고 이해하려는 사고방식으로 , 좁게는 문학과 예술의 영역, 넓게는 인간 정신의 모든 산물에 걸쳐 나타나는 현상을 말한다. 인간의 정서적, 유희적 본능을 중시한 포스트 모더니즘은 전통적인 기능주의 형식에서 벗어나 대중적인 부분의 접근을 시도하였으며, 2차 대전 이후 미국의 팝 아트를 중심으로 발전되어 유럽, 남미, 아시아 등 세계적으로 영향을 끼쳤다.

22 제 2 절 디자인사 5. 팝 아트(Pop Art) 6. 옵 아트 (Op-Art)
1960년대 초 미국 뉴욕을 중심으로 발달한 대중 예술운동으로 일상생활 속에서 이미지 소재를 찾아 포스터, 만화등으로 재구성하여 실크 스크린이나 인쇄의 매체를 통해 전사하거나 크게 확대하여 작품을 만들었다. 팝 아트는 대중을 위한 예술을 주장함과 동시에 소비 사회에 대한 비판을 제시하였다. 일부에서는 대중을 위한다고 하여 저급한 미술로 전락되기도 하였으나, 기존의 회화 양식에서 벗어나 상업적인 기법, 인상적인 만화나 사진, 영상 등을 이용한 반 미술적인 사고방식은 현대 미술의 영역을 확대시키는데 큰 공헌을 하였다. 이때의 작품으로는 코카콜라, 케네디, 마를린 몬로등의 포스터가 대표적이다. 6. 옵 아트 (Op-Art) 옵 아트는 '시각적 미술(Optical Art)'이란 뜻으로 1960년대 미국에서 발달한 미술 경향을 말한다. 색면의 대비나 선의 구성으로 발생하는 운동성이 우리 눈에 주는 착시 현상을 최대한 이용한 작품이 주를 이루었다.

23 제 2 절 디자인사 7. 미니멀 아트(Minimal Art)
'최소한의 예술'이란 의미로 1950년대 후반부터 미국의 젊은 작가들이 최소한의 조형 수단으로 제작했던 회화나 조각예술을 말한다. 미니멀 아트의 특징은 극단적인 간결성, 기계적인 엄밀성 등을 들 수 있는데, 이것은 3차원적이며, 우연하고 단순한 기하학적인 형태 등으로 똑같은 형태가 반복되어 나타나게 된다.

24 제 2 절 디자인사 한국의 디자인사 발전내용 시기 미술 교육 시작 갑오경장(1894)이후 공작/삽화 교육 1910년 이후
 발전내용 시기   미술 교육 시작  갑오경장(1894)이후  공작/삽화 교육  1910년 이후  실제적 디자인 교육  1946년(서울대-예술대학), 1956년(홍익대-공예과)  전공별 교육  1960년대(제품디자인 분야 성장)  전문별 교육  1970년대(산업디자인, 시각디자인, 공업디자 인등으로 분리하여 교육 및 '디자이너'용어를 사용함)


Download ppt "제 2 절 디자인사 * 근대 디자인사: 19세기말에서 20세기 중반까지의 디자인 경향 운동 국가 특징 창시자/작가 미술공예운동"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