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16-1 소비 프리드먼과 모디리아니에 의하여 1950년대에 항상소득 소비이론(permanent income theory of consumption)과 평생주기 소비이론(life cycle theory of consumption)이 개발.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16-1 소비 프리드먼과 모디리아니에 의하여 1950년대에 항상소득 소비이론(permanent income theory of consumption)과 평생주기 소비이론(life cycle theory of consumption)이 개발."— Presentation transcript:

1

2 16-1 소비 프리드먼과 모디리아니에 의하여 1950년대에 항상소득 소비이론(permanent income theory of consumption)과 평생주기 소비이론(life cycle theory of consumption)이 개발.

3 16-1 Consumption 매우 계획적인 소비자
자신의 총 부에 근거하여 얼마를 소비할 지를 결정하는 계획적인 소비자의 경우, 총 부(total wealth)는: 금융자산 부와 부동산 부(financial wealth and housing wealth)의 합인 비 인적 부(nonhuman wealth). 그리고 인적 부(human wealth). 인적 부와 비 인적 부(nonhuman wealth)의 합이 총 부(total wealth).

4 Up Close and Personal: Learning from Panel Data Sets
Panel data sets are data sets that show the value of one or more variables for many individuals or many firms over time. Among the many questions for which the Panel Study of Income Dynamics (PSID) has been used are: How much does (food) consumption respond to transitory movements in income—for example, to the loss of income from becoming unemployed? How much risk sharing is there within families? For example, when a family member becomes sick or unemployed, how much help does he or she get from other family members? How much do people care about staying geographically close to their families?

5 16-1 Consumption 노동소득의 현재가치를 세후(세율 25%) 기대되는 실질소득을 실질이자율로 할인하여 구하면(22세부터 노동하여 60세에 은퇴하고 소득은 년 3%로 증가한다고 상정). 생애동안 기대되는 세후 실질 소득의 현재가치는 약 2백만달러.

6 16-1 Consumption 보다 현실적인 소비함수
소비자가 소비할 수 있는 일정한 비율의 소비는 이 소비자의 총 부를 남아있는 예상 수명으로 나눈 값과 같다. 소비는 총 부뿐만 아니라 현재의 소득에도 의존한다. t년도의 실질 노동소득 t년도의 세금 세후 노동소득

7 16-1 Consumption Toward a More Realistic Description 즉,
소비는 총 부의 증가함수이고, 또한 세후 노동소득의 증가함수이다. 총 부는 금융자산 및 부동산과 같은 비인적 부와 세후 노동소득의 현재가치인 인적 부의 합이다.

8 16-1 Consumption 경상소득, 기대 및 소비 기대는 2 가지 방법으로 소비에 영향을 미친다:
인적 부(human wealth) 즉 미래에 기대되는 노동소득, 실질이자율, 세금을 통하여 직접적으로 비인적 부(nonhuman wealth : 주식, 채권, 부동산)을 통한 간접적인 방법으로. 이러한 비 인적 부(현재가치 계산시)의 기대값은 금융시장을 통하여 형성된다.

9 Do People Save Enough for Retirement?
Table 1 Mean Wealth of People, Age 65-69, in 1991 (in thousands of 1991 dollars) Social Security Pension $100 Employer-provided pension 62 Personal retirement assets 11 Other financial assets 42 Home equity 65 Other equity 34 Total $314

10 16-1 Consumption Putting Things Together: Current Income, Expectations, and Consumption 소비가 기대에 의존한다는 사실은 소비와 소득간의 관계에 있어서 2 가지 중요한 시사점을 준다: 소비는 경상소득의 변동과 1:1 보다 작게 반응한다. 경상소득이 변하지 않아도 소비는 변동한다. 소비자의 신뢰변화로 소비는 경상소득 불변상황에서도 변화할 수 있다.

11 16-2 투자 투자는 경상 매출, 경상 이자율, 그라고 미래의 기대에 의존한다.
16-2 투자 투자는 경상 매출, 경상 이자율, 그라고 미래의 기대에 의존한다. 지금 기계 1대를 구입할 지의 여부는 기대 구입에 대한 기대이윤의 현재가치가 기대 구입에 따른 비용보다 큰 가에 의존한다.

12 16-2 Investment 투자와 기대이윤 감가상각
감가상각률(depreciation rate, )은 기계가 1년 뒤에 얼마나 유용한 지를 측정한다.  에 대한 합리적인 추정값은 기계는 년 %, 빌딩이나 공장은 2- 4%이다.

13 16-2 Investment 기대 이윤의 현재가치 V(et): t+1년도 이후에 기대되는 이윤의 (t 년도의) 현재 가치:
In year t+2, In year t,

14 16-2 Investment The Present Value of Expected Profits Figure 16 - 1
기대 이윤의 현재가치 계산 Figure

15 16-2 Investment 투자 결정 It 를 총 투자, t 를 경제전반의 기계 1대당 이윤(또는 자본 1단위당 이윤), 그리고 V(et) 를 자본 1단위당 기대이윤의 현재가치라 하자. 이 때 투자함수는 : 즉: 투자는 (자본 1단위당) 미래기대이윤의 현재가치와 양의 관계를 가진다. 기대이윤이 높을수록, 현개가치가 높고 투자가 높게 된다. 미래 기대 실질이자율이나 현재의 실질이자율이 높을수록 현재가치가 하락하고 투자수준도 하락한다.

16 16-2 Investment 특별한 경우 기업이 예상하는 미래이윤과 이자율이 현재수준과 동일하다고 상정하자. and
이러한 기대(미래 기대값 = 현재값)를 정태적 기대(static expectations)라 한다. 상기 가정하에서

17 I투자와 주식시장 토빈의 q(Tobin’s q)는 자본 1단위의 구입가격과 자본 1단위의 가치의 비율이다. Figure 1
Tobin’s q versus the Ratio of Investment to Capital: Annual Rates of Change, 1960 to 1999

18 16-2 Investment 특별한 경우 다음 2 식 으로부터 투자함수는
다음 2 식 으로부터 투자함수는 실질이자율과 감가상각률의 합을 사용자 비용 또는 자본의 임대비용(user cost or the rental cost of capital)이라 한다. 따라서: 임대비용 =

19 16-2 Investment 경상이윤 과 미래 기대이윤 소비자의 행동을 설명할 때 사용한 논리가 기업의 투자에도 적용:
기업은 현재 이윤이 낮을 경우 자금 차입을 꺼릴 수도 있다. 현재 이윤이 높으면 굳이 투자자금을 차입하지 않으려고 할 수도 있다. 기업이 투자를 원해도 차입에 어려움을 겪을 수도 있다. 잠재적 자금공급자들은 기업이 말하는 정도로 사업의 타당성을 믿지 않을 수도 있다. 즉: 투자는 미래 기대이윤의 현재가치와 현재 이윤에 의존하다.

20 16-2 Investment Current versus Expected Profit Figure 16 - 2
1960년 이후 미국에서 나타난 투자와 이윤의 변화분간의 관계 Figure Investment and profit move very much together.

21 Profitability versus Cash Flow
수익성과 유동성 모두 투자경정에 중요하며 이들은 같은 방향으로 움직인다..

22 16-2 Investment 이윤과 매출액 ( + ) Figure 16 - 3
1960년이후 미국의 자본 1단위당 이윤변화와 자본/산출물 변화. Figure ( + ) Profit per unit of capital and the ratio of output to capital move largely together.

23 16-3 소비와 투자의 변동성 소비자는 현재의 소득 변동 중 일시적 요인에 따른 부분과 항구적 요인에 따른 부분을 구분하여 인지. 동일하게, 기업들도 매출변동 중 투자와 관련된 항구적 변동 부분과 일시적 변동 부분으로 구분하여 인지.

24 16-3 The Volatility of Consumption and Investment
그러나 소비 결정과 투자결정에는 중대한 차이가 있다. 소비자가 항구적 소득 변동으로 인지하면 소비도 거의 비슷한 비율로 항구적으로 번동. 기업이 항구적 매출증가로 인지하여 이것이 이윤의 현재가치에 영향을 미치고 투자를 증가시킨다.

25 16-3 소비와 투자의 변동성 Figure 16 - 4 1960년이후 소비변화율과 투자변화율
16-3 소비와 투자의 변동성 1960년이후 소비변화율과 투자변화율 Figure 투자변화율의 변동폭이 소비변화율의 변동폭보다 훨씬 크다.

26 16-3 The Volatility of Consumption and Investment
상기 그림은 3 가지 시사점을 준다: 소비와 투자는 동행성을 지닌다. 투자가 소비보다 변동성이 훨씬 크다. 그러나 투자 수준이 소비수준보다 훨씬 작기 때문에 년간 투자 변동규모가 년간 소비의 규모가 거의 비슷하다.

27 Key Terms permanent income theory of consumption
life cycle theory of consumption financial wealth housing wealth human wealth nonhuman wealth total wealth panel data sets Tobin’s q static expectations user cost of capital, or rental cost of capital profitability cash flow


Download ppt "16-1 소비 프리드먼과 모디리아니에 의하여 1950년대에 항상소득 소비이론(permanent income theory of consumption)과 평생주기 소비이론(life cycle theory of consumption)이 개발."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