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OECD Cluster Focus Group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OECD Cluster Focus Group"— Presentation transcript:

1 OECD Cluster Focus Group
클러스터에 대한 비교사례연구와 정책함의의 도출에 초점을 맞춘 "Boosting Innovation: The Cluster Approach (OECD, 1999)" 지난 2000년 10월부터 2001년 4월까지의 작업 결과를 토대로 출판한 "Innovative Clusters: Drivers of National Innovation Systems (OECD, 2001)"

2 OECD 혁신클러스터의 이론적 배경 1. NIS Project와 혁신 클러스터 Innovative Clusters
Economic Geography NIS Project New Industrial Space Industrial District Theory Milieux Innovateurs Industrial Clusters Regional Innovation System Innovative Firms Innovative Firm networks Innovative Clusters Mobility of Human Resources Organisational Mapping Catching-up Economies Innovation Studies Neo-Schumpeterian Neo-institutional Knowledge generation, diffusion and use Firm’s Capabilities & Networks Science Other Research Bodies Supporting Institutions Global Innovation networks National Innovation System National Innovation Capacity Macroeconomic and Regulatory Context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Factor Market Conditions Education and Training System Country Performance Growth, Job Creation, Competitiveness Product Market industries Clusters of Innovation systems Regional

3 OECD 혁신클러스터의 이론적 배경 2. NIS Project의 주요 Focus Group
혁신기업(선도국가: 캐나다, 프랑스). 이 그룹의 목적은 혁신활동에 유리한(또는 불리한) 기업체 성격을 규명하는 데 있으며, 정부정책이 직접적 혹은 간접적으로 어떻게 혁신기업의 수를 증가시킬 수 있는지의 분석도 포함됨 혁신기업 네트워크(선도국가: 덴마크). 기업수준의 혁신기업 네트워크 활동에 대한 국가 간 비교 분석이 이 그룹의 중요 연구과제임 클러스터(선도국가: 네덜란드). 클러스터는 혁신수행과 지식이전 메커니즘에 있어 어떤 점에서 얼마만큼 다른가? 기술혁신 정책에 대해서 "클러스터 접근"으로부터 어떠한 정책방안이 도출된 것인가? 라는 두 가지 질문이 이 그룹의 중요 연구과제임 인력 유동성(선도국가: 노르웨이, 스웨덴). 이 그룹은 국가혁신체제의 지식 순환에서 인적자원 이동의 역할을 검토함 조직도 작성(선도국가: 벨기에). 이 그룹은 국가혁신체제의 제도적 측면의 질적인 비교와 국제적 수준에서 이루어지는 R&D 제휴 네트워크의 양적인 비교를 수행함 추격국가(선도국가: 한국). 이 그룹은 내생적 과학기술기반의 형성에 대한 필요성 등 "추격국가(catching-up economies)"의 국가혁신체제의 특징에 대해 검토함

4 OECD 혁신클러스터의 이론적 배경 3. 클러스터 관련 주요 이론
3. 클러스터 관련 주요 이론 주제 신산업공간론 산업지구론 혁신환경론 클러스터 지역혁신체제 공간적 집적 원리 산업의 수직적 분리와 공간적 집중 (거래관점) 초기 뿌리내림(embedding) 혹은 유연 전문화 논의에서 국지화 논의로 바뀜 지역화 되고 네트워크화 된 학습과정 경쟁자, 생산자 및 고객 등의 국지적 상호작용 공급자와 수요자의 근접성에 기초한 제도적 결합 구조 /행위자 산업-구조적 논리 사회문화 환경에 뿌리내린 지역 행위자 환경(milieu)을 네트워크화 되어 있는 행위자의 분산조직으로 봄 '다이아몬드'환경에 영향을 받는 경영전략 중범위 수준의 제도경제체제 진화 기회의 창, 고착(lock-in) 역사적(사회, 문화, 기업가 요인의 변화) 역사적 행태주의적 다이아몬드 모델 상의 상호작용에 토대를 둔 창조된 우위 장기파동 경로의존성 주요 비판점 공간적 결합과 행위자 역할에 대한 개념화 불충분 지나치게 화합적인 관점에서 경제와 사회와의 관계, 지역과 세계의 관계를 봄 성공스토리와 하이테크에 집착 기업간 관계의 사회적 측면 무시 체제간의 상호의존 무시 최근 연구 방향 '비교역적(untraded) 상호의존성'과 '관습 (convention)'에 초점 지구의 유형간 차이에 초점 제도적 측면을 강조 클러스터 내부 혹은 국제적 네트워크에 대한 연구 지역 및 부문적 경험연구의 강화 출처: Lagendijk, A. ,1997, From new industrial spaces to regional innovation systems and beyond: how and from whom should industrial geography learn? EUNIT Discussion Paper 10, CURDS.

5 OECD 혁신클러스터 이론적 배경 4. Boosting Innovation (OECD , 1999) 과 Innovative Clusters (OECD 2001) 의 비교 Boosting Innovation (OECD, 1999)에 대한 평가 OECD 회원국과 독자들 사이에서 Boosting Innovation (OECD, 1999)에 대한 열광적인 지지로 볼 때 클러스터 접근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의 필요성 확인 Boosting Innovation이란 제목은 Innovative Clusters에서 의도하고 있는 바와 같이 혁신의 중요성이 잘 표현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국제 비교의 차원에서 클러스터 주제를 접근하고자 하는 소수의 "선구적" 분석가 집단이 중심이 되어 학문적으로나 정책적으로 여러 측면에서 얻을 수 있는 최선의 내용을 담고 있음 그러나 몇몇 기고자들이 혁신의 문제에 대해 명백하게 언급하고 있긴 하지만 이 주제를 클러스터의 분석 차원에서 연계하지는 못했음 Innovative Clusters (OECD, 2001)의 특징 Innovative Clusters에는 NIS focus group들이 추구하는 혁신의 주제가 보다 강조됨 Innovative Clusters에서는 정책적 적용범위가 넓어졌으며, 클러스터가 형성되고 유지되는 방법에 대한 정책으로부터 혁신을 지원하기 위한 클러스터의 역할에 보다 초점을 맞춤

6 OECD 혁신클러스터와 혁신클러스터 정책 1. 클러스터의 정의와 혁신 클러스터의 특징 클러스터 (OECD, 1999)의 정의
1. 클러스터의 정의와 혁신 클러스터의 특징 클러스터 (OECD, 1999)의 정의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생산사슬에 연계된 독립성이 강한 기업들과 지식생산기관(대학, 연구기관, 지식제공 기업), 연계 조직(지식집약 사업서비스, 브로커나 컨설턴트 등), 고객의 네트워크” 혁신 클러스터 (OECD, 2001)의 특징 혁신 클러스터는 그 클러스터가 속한 경제체제의 고유한 특성과 역할을 바탕으로 형성되고 전문화되어 발전하기 때문에 클러스터별로 규모, 연계수준, 연구개발 투자의 정도, 혁신제품의 비중 등의 차이가 크게 나타나며, 유일한 이상적인 클러스터 유형이 있는 것은 아님 혁신 클러스터는 신산업뿐만 아니라 전통 산업이나 성숙 산업을 토대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미 형성된 클러스터뿐만 아니라 유아단계의 미성숙 클러스터도 혁신클러스터의 분석에 중요함 기술 지식 이외에 조직 기술이나 마케팅 기술 등의 지식이 클러스터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음 혁신 클러스터의 지리적 범위는 국지적(local), 지역적(regional), 국가적, 국제적 등 지식의 원천이 어디에 있느냐에 따라 다양하게 정의될 수 있음 따라서 모든 집적지가 혁신 클러스터인 것은 아니며, 반대로 모든 지역이 혁신 클러스터가 될 수 있음

7 OECD 혁신클러스터와 혁신클러스터 정책 클러스터 정책의 정의 (OECD, 1999)
2. 클러스터 정책의 정의와 혁신 클러스터 정책의 특징 클러스터 정책의 정의 (OECD, 1999) 클러스터가 형성하고 출현하며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촉진하기 위한 일련의 정책적 조치 혁신시스템의 효과적 작동을 촉진함으로써 시스템 불완정성을 제거하는 수단 클러스터 정책의 특징 (OECD, 1999) 산업정책, 지역개발정책, 과학기술정책의 경계에 위치함 산업계와 연구계간의 연계를 강화하여 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는 것을 궁극적인 목적으로 함

8 OECD 혁신클러스터와 혁신클러스터 정책 OECD (1999)의 클러스터 정책의 예 클러스터 정책 개입의 이유
클러스터적 대응 방향 정책 수단 클러스터의 정체성 및 인식 부족 - 클러스터의 파악 및 홍보 - 그래픽으로 표현 - 지역클러스터에 대한 외부지원 - 클러스터 멤버에 대한 내외부 지원 클러스터의 기술혁신과 경쟁력에 장애가 되는 정부규제 - 관련 정부규제에 관하여 포럼 개최 - 정부규제의 개정 혹은 개선 - 클러스터 플랫폼과 포커스 그룹 구성 및 운영 - 조세제도 및 규제 개편 기업들이 타 기업과의 협력기회를 찾지 못함 - 기업간 네트워크 장려 - 기업간 협력으로 개발한 제품의 공공 구매 - 네트워크 프로그램 운영 - 브로커 훈련 - 컨소시엄들로부터 공공 구매 전략적 지식에 접근하지 못하는 중소기업의 존재 - 클러스터 중심의 정보보급 체제 구축 - 전략적 클러스터 이슈에 관한 대화 촉진 - 클러스터 중심의 정보 제작 및 기술센터 설치 - 시장기회 탐구를 위한 플랫폼 구축 - 기술예측 활동 장려 기업이 지식 공급자들의 지식을 활용하지 않음 - 산학 혹은 산업간 공동연구개발 사업 추진 - 클러스터 관련기술을 파악하고 연구센터 설치 및 정책 추진 - 공동 연구사업과 기술이전 사업에 대한 자금지원 클러스터의 핵심요소 결핍 - 클러스터에 외부 기업의 유치 및 육성 - 연구개발 시설이나 조직 유치 - 클러스터로의 계획적인 투자 유치 - 특정 클러스터의 벤처창업 지원

9 OECD 혁신클러스터와 혁신클러스터 정책 2. 클러스터 정책의 정의와 혁신 클러스터 정책의 특징 혁신 클러스터 정책의 특징
2. 클러스터 정책의 정의와 혁신 클러스터 정책의 특징 혁신 클러스터 정책의 특징 혁신 클러스터 정책은 적절한 구도의 설정, 장애요소의 제거, 클러스터 주체들간의 네트워크 형성을 통해 집합적 학습을 유도하는 실용주의적이고 문제해결 지향적인 유용한 정책임 클러스터 내부의 혁신과정은 다양한 정책의 복합적 개입을 통해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혁신 클러스터 정책은 정책의 복잡성을 감소시키고 조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음 혁신 클러스터의 정책은 혁신과 직접 관련이 없는 정책을 포함해서 다양한 정책으로 구성되며, 클러스터 내부의 혁신을 촉진시키기 위해 채택된 정책이 오히려 혁신을 저해하는 경우도 있음 혁신 클러스터 정책에서 발견되는 흔한 정책적 오류는 첨단기술에만 제한된 클러스터 정책을 추진하는 것과 잘 알려진 표준적인 클러스터 정책모델과 기법을 단순 수용하는 것임 혁신 클러스터 정책은 클러스터의 형성단계에 비추어 그 지역에 맞는 방식으로 추진되어야 하며, 혁신 클러스터를 창출하고 유지하는 "처방전"은 없음 클러스터 기반의 혁신 정책은 하룻밤 사이에 실행으로 옮겨질 수 있는 것이 아니며, 다차원적인 균형감각을 갖추고 끊임없는 실험과 변용을 통해 창조되는 행위임 혁신 클러스터 정책의 성공을 위해서는 혁신의 다이나믹스와 형태를 심층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분석능력과 혁신의 촉진을 위해 유연한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는 "새로운 유형의(new breed)" 정책수립자가 필요함 혁신 클러스터 정책 수립과정은 혁신과정과 마찬가지로 학습적 성격을 갖고 있기 때문에 정책수립자는 다양한 정책 수단을 융합하고 전환하는 능력과 일정 수준의 설득력과 인내력이 요구됨

10 외국의 혁신 클러스터 전략 1. 미국 (http://compete.org) 정책방향
1. 미국 ( 정책방향 미국은 미국의 미래 경쟁력이 국가 수준의 정책과 투자에 의해서만이 아니라 지역적 혁신 클러스터를 구성하는 능력에 의해 결정될 것으로 확신하고 있음 고급 직종을 창출하는 고부가가치의 제품 및 서비스를 생산할 수 있는 지역적인 혁신 클러스터의 강화를 위한 준비작업을 착수하였음 미국 경쟁력위원회의 혁신클러스터 프로젝트 수행 미국 경쟁력위원회에서는 지역 단위의 클러스터 성장과 혁신수행에 대한 평가를 위한 설명 틀 및 분석도구의 개발, 벤치마킹 결과의 검토, 주요 정책결정의 영향 분석 등을 살펴보는 프로젝트를 수행 중에 있음 마이클 포터와 Duane Ackerman (Chairman, President & CEO, BellSouth Corporation) 이 이 프로젝트의 연구책임을 맡고 있으며, 산업계와 학계의 국가 및 지역의 대표자들로 구성된 운영위원회의 지도와 전문적인 의견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작업을 2년에 걸쳐 수행하고 있음 첫째, 미국의 약 40개 산업 클러스터에 대한 지도화 둘째, 선별된 5개 지역의 클러스터에 대한 혁신수행능력 평가 셋째, 클러스터간 제휴(collaboration) 및 정보교환을 위한 중개자 역할 수행 넷째, 신생 클러스터를 위한 실천계획 중심의 로드맵(action-oriented roadmap) 작성 혁신수행능력에 대한 평가가 이루어지는 5개 지역은 조지아주의 애틀랜타와 콜럼버스, 펜실베니아주의 피츠버그, 캘리포니아주의 샌디에이고, 노스캐롤라이나주의 리서치트라이앵글, 캔자스주의 위치타임

11 외국의 혁신 클러스터 전략 미국의 주요 산업 클러스터
출처: Porter, M., 1998, Clusters and the new economics of competition. Harvard Business Review, November-December,

12 외국의 혁신 클러스터 전략 정책방향 영국의 클러스터 프로젝트 2. 영국
2. 영국 정책방향 영국 정부의 1998년 경쟁력 백서인 "우리의 미래경쟁력: 지식추동 경제의 창출"에서 클러스터가 형성될 때 기업의 성장, 협동, 경쟁, 투자와 지식공유의 기회가 강하게 나타난다는 사실이 부각되었음 클러스터 기반의 혁신전략은 이제 영국정부의 과학기술 전략의 가장 중요한 개념 중 하나로 부각되었음 영국의 클러스터 프로젝트 이 프로젝트의 수행을 위해 먼저 클러스터정책 운영위원회(Cluster Policy Steering Group)가 결성되었으며, 이 위원회에는 중앙정부, 지역개발공사(Regional Development Agency), 학계, 지방정부, 산업계, 기타 클러스터 전문가가 참여하여서 클러스터의 성장과 발전에 장애요인을 규명하고 적절한 정책방안을 개발하는 역할을 수행함 다음으로 영국에 현존하는 클러스터 활동을 지도화하는 연구 프로젝트를 수행하였으며, TBR(Trends Business Research)가 주축이 된 컨소시엄에서 이 사업을 수행함

13 외국의 혁신 클러스터 전략 영국의 주요 산업 클러스터
출처: DTI (Department of Trade and Industry, United Kingdom), 2001, Business Clusters in the UK: A First Assessment, Cluster Mapping Report.

14 경기도의 혁신 클러스터 전략 1. 상황 1: 산업구조 경기도 제조업의 구조적 특성 생산액 비중 상위 6개 시·도의 제조업 구조
1. 상황 1: 산업구조 경기도 제조업의 구조적 특성 생산액 비중 상위 6개 시·도의 제조업 구조 구조적 강점  경기도는 국내 최대의 제조업 집적지로 제조업 생산액 비중이 전국 대비 28.5%를 차지함  생산액 비중 상위 6개 시도의 제조업 구조의 비교시 경기도는 상대적으로 첨단기술제조업의 특화도가 높은 것으로 분석됨 약점 / 위협요인  제조업, 특히 첨단기술 부문의 경기도 집중으로 지역간 이해관계를 조정하려는 중앙정부의 배타적 자원배분 정책으로 경기도에 대한 상대적 지원이 낮음  타 시도에 비해 첨단기술 제조업의 상대적 비중은 높지만, 경기도 전체 생산액 중 첨단기술제조업의 비중은 17.1%에 불과해서 중간기술(41.1%)과 하위기술(41.8%) 제조업에 미치지 못함 제조업의 상대적 우월 구조에서 절대적 우월 구조로 전환할 수 있는 과학기술정책의 수립과 집행이 필요 주: 입지계수는 특정 산업의 전국 비중을 특정 지역에서 그 산업이 차지하는 비중 으로 나눈 값으로 산업의 지역적 특화도를 파악하는 일반적인 계산 방법임.

15 경기도의 혁신 클러스터 전략 1. 상황 2: 경기도 연구개발 잠재력 연구개발 현황 및 문제점 경기도의 연구개발 잠재력
1. 상황 2: 경기도 연구개발 잠재력 연구개발 현황 및 문제점 경기도의 연구개발 잠재력 - 경기도의 연구개발 투자는 99년 기준 국가 전체의 34.1%로 전국 지방자치단체 중 가장 높고 연구개발 인력수도 25.0%로 서울 다음으로 높은 비율을 나타냄 - 대학과 연구소가 경기도의 기업이 필요로 하는 지식의 생산 및 서비스 기능을 원활히 수행하지 못하거나 연계체제가 미흡함 (단위: %, 순위) 구분 조직 수 연구개발비 연구원수 대학 14.1% (2) 9.4% (2) 9.2% (2) 시험연구기관 16.5% (2) 14.9% (2) 17.1% (3) 기업체 27.3% (1) 42.2% (1) 40.3% (1) 기존 대응방안의 한계 자료: 과학기술부, 1999, 지방과학기술연감 경기도에서는 다양한 연구개발지원사업을 통해 지식의 생산과 활용의 연계를 시도하고 있지만,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지원으로의 발전이 미흡함 주: 1. 비중의 %는 동일분야의 전국합계대비 비율을 의미 2. 순위는 동일 항목에서 16개 지방자치단체의 순위를 의미

16 경기도의 혁신 클러스터 전략 기업 구매 판매 등 생산기술정보 시장정보 1. 상황 3: 지식 네트워크 40.4% 48.6%
1. 상황 3: 지식 네트워크 기업 주변의 비슷한 업종 종사자들을 통하여 생산기술정보 구매 판매 등 시장정보 40.4% 48.6% 15.0% 15.0% 협동조합이나 협회 등에서 공식적으로 제공받음 신문, 잡지 등 각종 매스컴을 통해 21.4% 12.5% 컴퓨터 통신을 이용 4.6% 민간컨설팅 회사나 연구기관 10.0% 6.4% 대학교 정부연구기관 주: 경기개발연구원, 2000, 경기도 지식기반산업 실태조사 자료를 토대로 재구성

17 경기도의 혁신 클러스터 전략 과학적 분석기법 2. 방법론: 지역산업 클러스터의 도출 Cluster Template
2. 방법론: 지역산업 클러스터의 도출 국가전체수준에서의 산업연관표 Factor Analysis 과학적 분석기법 산업클러스터 도출 Cluster Mapping National Industrial Cluster Template 산업클러스터 별 구조분석 Cluster Template 경기도 지역클러스터 분석에 대입 GIS Analysis 경기도 지역 클러스터 현황 분석 Kyonggi Regional Cluster

18 경기도의 혁신 클러스터 전략 2. 방법론: 지역산업 클러스터의 혁신기반 분석 클러스터별 집중부문의 선정
2. 방법론: 지역산업 클러스터의 혁신기반 분석 클러스터별 집중부문의 선정 클러스터별 혁신기반 분석 - 기업전략수립과 경쟁관계 확립을 위한 여건 - 투입요소 및 수요 조건 - 연관/지원 산업 해외 사례 벤치마킹 클러스터별 핵심 과학기술 전략 도출

19 Win Win 경기도의 혁신 클러스터 전략 Intra- 경기도 지역 클러스터 Inter-
2. 방법론: 혁신 클러스터 전략의 도출 Win 경기도 전략산업 평가 Intra- 경기도 지역 클러스터 산업연구원 (1998) 영상 음향 통신장비, 사무 계산 회계용 기계, 통신기기 방송장비, 정보통신서비스, 문화(에니매이션, 영화, 캐릭터, 전자출판) 경기도의 혁신성 제고를 통한 경쟁력 강화 경기개발연구원 (2000) 정밀기기, 정밀화학, 정보통신기기, 컴퓨터 및 반도체 경기도의 제한된 자원을 전략부문과 네트워크 형성에 집중 경기도 혁신 강화 전략 제시 Win Inter- 경기도의 혁신 강화를 위해 정책적 지원이 필요한 전략부문의 선정과 연계 네트워크 강화 전략 제시 지역간 제휴를 통한 균형발전의 추구 지역간 제휴방안 도출 지역간 생산 및 연구의 기능적 공간분업 체제의 확립 산업 클러스터의 지역간 연계 관계를 토대로 광역자치 단체 간, 경기도 내 기초자치단체 간 제휴방안 도출

20 경기도의 혁신 클러스터 전략 반도체 클러스터 3. 경기도 주요 산업 클러스터
3. 경기도 주요 산업 클러스터 반도체 클러스터 현재와 같은 대기업 중심의 생산체제에서는 비메로리 반도체의 생산이 어려움 비메모리 중심의 산업구조 전환을 위한 벤처기반 강화가 요구됨

21 경기도의 혁신 클러스터 전략 자동차 부품 클러스터 3. 경기도 주요 산업 클러스터
3. 경기도 주요 산업 클러스터 자동차 부품 클러스터 경기도의 자동차 부품업체들은 경쟁력있는 기술을 보유하지 못한채 대기업과의 하청관계에 토대를 둔 가격경쟁력에 의존하고 있음 부품업체의 자생적 기술능력 확보를 위한 기술 네트워크 강화

22 경기도의 혁신 클러스터 전략 의약품 클러스터 3. 경기도 주요 산업 클러스터
3. 경기도 주요 산업 클러스터 의약품 클러스터 경기도에는 제약업체, 제약연구소 등이 집적되어 있지만, 이를 연계한 세계적인 신약 개발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음 지역적 지식관리시스템의 도입으로 신약개발체제 구축이 요구됨

23 경기도의 혁신 클러스터 전략 지원체제 구축 추진체제 확립 클러스터 기반 혁신 사업 확대 클러스터 Interface 개발
4. 경기도 혁신 클러스터 전략: 주요 요소 지원체제 구축 추진체제 확립 클러스터 기반 혁신 사업 확대 클러스터 Interface 개발 연구기반 강화 연 구 시스템 생 산 시스템 지식 상품

24 경기도의 혁신 클러스터 전략 4. 경기도 혁신 클러스터 전략: 세부 사업 클러스터 기반 혁신사업 확대
4. 경기도 혁신 클러스터 전략: 세부 사업 신흥 클러스터 형성 촉진 : 친환경디지털(Eco-Digital)클러스터 혁신 클러스터 강화를 위한 Technopole 조성 사업 클러스터 기반 혁신사업 확대 클러스터의 산업 및 연구 인터페이스 개발 과학기술문화 공간 조성 클러스터 Interface 개발 지역 산업 클러스터 발굴 및 지원 경기중소기업종합지원센터의 기능 조정 및 개편 산학협력 성과의 축적 및 확산 지원제도 강화 지원 체제 구축 클러스터 기반의 혁신전략 제도적 장치 개발 산학연계형 연구인력 운용제도 연구기반 강화 중앙정부 추진 사업에 대한 지방정부 참여 확대 관련 기관 설립 및 유치 기술혁신기금의 통합 관리 및 확대 추진체제 확립 지역혁신 조례 제정 과학기술행정조직의 정비 및 보강 경기 과학기술협의회 구성

25 주요 참고문헌 OECD, 1999a, Boosting Innovation: The Cluster Approach.
OECD, 1999b, Managing National Innovation Systems. OECD, 2001, Innovative Clusters: Drivers of National Innovation Systems. 과학기술부·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1, 경기도 과학기술발전 5개년 계획. 이정협, 지방과학기술진흥을 위한 혁신 클러스터 전략, 과학기술정책, Vol.11, No.4, pp.2-12. 이정협, OECD의 혁신 클러스터 접근에 대한 개략적 검토, 지역혁신체제 연구회 발표 자료,


Download ppt "OECD Cluster Focus Group"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