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Respiratory Diseases in Children 소아 호흡기 질환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Respiratory Diseases in Children 소아 호흡기 질환"— Presentation transcript:

1 Respiratory Diseases in Children 소아 호흡기 질환
소아청소년과 나 영 호

2 Upper & Lower Airway Diseases
Upper airway diseases From nostrils to larynx Inflammatory obstructive disease: croup Bacterial tracheitis Congenital laryngeal stridor Lower airway diseases From subglottis to terminal bronchiole Bronchitis, Bronchiolitis, Pneumonia Bronchial foreign body Bronchiectasis, Pleurisy

3 기침 가장 많이 호소하는 증상 중의 하나로서 호흡기 질환 환자의 가장 두드러지고 고통을 주는 증상
소아에서 선천성 기형이나 만성 질환이 있을 경우 지속적인 기침을 나타낼 수 있음 급성 기침의 가장 흔한 원인: 상기도 바이러스감염 만성 기침 정의: 일반적으로 기침이 3주 이상 지속될 때 만성기침은 잠재된 다양한 질환에 의하여 유발되므로원인 질환들을 규명하여 치료하는 것이 중요

4 기침의 분류: 기간에 따른 급성: 4주 미만 만성: 4주 이상 지속성(Protracted): 2~4주
Prospective studies of acute cough following a viral infection half : last less than 1 week 70– 80% : for less than 2 weeks and ≈ 5% : for more than 4 weeks Healthy children: cough from 1 to 34 times every day

5 기침의 분류: 양상에 따른 건성(dry) 기침 습성(wet) 기침
특이적 기침(specific cough): 동반되는 증상, 증후들에 의해 원인질환에 의한 기침으로 의심되어 이에 대한 규명이 필요한 경우 비특이적 기침(nonspecific cough): 특정 질환이 없는 상태에서 건성 기침을 보이는 경우

6 기침 진단 기침 환자의 초기평가: 특정 원인 질환을 시사하는 소견을 찾아내는 것에서부터 시작
기침 환자의 초기평가: 특정 원인 질환을 시사하는 소견을 찾아내는 것에서부터 시작 기침을 보이는 모든 소아 환자에서 자세한 병력청취와 진찰은 필수적 급성 기침: 대부분에서 진찰이외의 검사가 불필요 흉부방사선 검사: 대부분의 환자에서 폐기능검사: 가능한 연령에서 시행이 권장

7 Pointers to specific cough
Symptom/sign Possible underlying etiology Auscultatory findings (wheeze, crepitations/crackles, differential breath sounds) Asthma, , foreign body aspiration, any airway lesions (from secretions), airway abnormality, parenchymal disease such as interstitial disease Cough with choking primary aspiration, GERD Cough starting from birth Congenital abnormalities Cardiac abnormalities Any cardiac illness, associated airway abnormalities Chest pain Arrhythmia, asthma, functional, pleuritis Chest wall deformity Any airway or parenchymal disease Digital clubbing Suppurative lung disease, parenchymal disease Dyspnea Compromised lung function of any chronic lung or cardiac disease Failure to thrive Any serious systemic including pulmonary illness Hemoptysis Suppurative lung disease, vascular abnormalities Immune deficiency Suppurative lung disease or atypical infection Moist or productive cough Suppurative lung disease Neurodevelopmental abnormality Primary or secondary aspiration Recurrent pneumonia Immunodeficiency, suppurative lung disease, congenital lung abnormalities

8 Questions to address in cough evaluation (1)
Examples Diagnosis How did the cough start? Very acute onset Retained inhaled foreign body Head cold Infective cause (eg, post-viral) When did the cough start? Neonatal onset (especially in first few days of life) Aspiration Congenital malformation Lung infection in utero What is quality of cough? Productive (‘moist or wet”) Chr suppuraive lung dis. (bronchiectasis) Paroxysmal spasmodic cough with/without an inspiratory ‘whoop’ and vomit Pertussis or pertussis like syndrome Hemoptysis Bronchiectasis, Retained FB, Tuberculosis, P. Hemosiderosis, AVM

9 Questions to address in cough evaluation (2)
Examples Diagnosis What is quality of cough? ‘‘Bizarre honking cough’’ in a child exhibiting ‘‘la belle indifference’’ to the cough and which increases with attention Psychogenic cough Dry repetitive cough, disappears with sleep Habit cough Brassy, barking or ‘‘seal-like’’ Tracheal or glottic cause (eg, tracheomalacia and/or bronchomalacia) Cough producing casts of the airways Plastic bronchitis Recommendations for the assessment and management of cough in children British Thoracic Society Cough Guideline Group Thorax 2008;63(SIII):iii1–iii15.

10 Questions to address in cough evaluation (3)
Examples Diagnosis Is the cough an isolated symptom? Isolated cough (otherwise well) Non-specific isolated cough Recurrent viral bronchitis Psychogenic cough Associated wheezing present Asthma, Retained inhaled foreign body Recurrent pulmonary aspiration Airways compression or tracheobroncho-malacia, Bronchiolitis obliterans or interstitial lung disease, Neonatal CLD Associated ill health, recurrent pneumonia or pulmonary infiltrates CF, Immune deficiencies, PCD Recurrent pulmonary aspiration, FB Tuberculosis, Persistent bacterial bronchitis, Anatomical disorder Associated shortness of breath and restrictive lung defect Interstitial lung disease

11 Questions to address in cough evaluation (4)
Examples Diagnosis Is the cough relentlessly progressive? Inhaled foreign body Lobar collapse Tuberculosis Rapidly expanding intrathoracic lesion What triggers the cough? Exercise, cold air, early morning Asthma Lying down Postnasal drip, gastro-oesophageal reflux disease Feeding Recurrent pulmonary aspiration Recommendations for the assessment and management of cough in children British Thoracic Society Cough Guideline Group Thorax 2008;63(SIII):iii1–iii15.

12 하부기도 질환

13 급성 기관지염 (Acute bronchitis)
급성기관지염: 소아에서는 독립된 질환이 아니라 다른 상․하 기도의 질환과 수반되어 나타나며 흔히 기관(trachea)을 침범 급성 기관 기관지염(tacheobronchitis) 흔히 비인두염과 같은 상기도 감염 및 인플루엔자, 백일해, 홍역, 장티푸스, 디프테리아, 성홍열 감염과 동반 급성 원발성 기관 기관지염: 대개 연장아와 사춘기 연령의 소아에서 세균성 질환을 제외하고는 모두 바이러스성 감염에서 기인 일부 소아는 급성 기관 기관지염에 극히 민감: 원인은 모르나 알레르기, 대기 오염, 상기도 만성 감염, 특히 부비동염 등이 관여 요인

14 급성 기관지염 : 증상 비염 증상 3 ~ 4일 후부터 잦은 마른 기침이 점진적으로 시작되어 병이 진행됨에 따라 호흡 시 휘파람 소리가 들리며, 기침 시 심해지는 가슴의 통증과 빈호흡 수일 내에 기침은 습성으로 되고, 객담은 점액성에서 화농성으로 변함   진찰 소견 보통 열이 없거나 미열이 있고 비인두염, 결막염과 비염의 증상 청진 상 호흡음이 거칠어지고, 거칠고 미세한 수포음과 천식의 천명음과 유사한 고음의 건성 나음(rhonchi)이 들림 치료 :대부분이 별다른 치료 없이 회복 합병증: 영양결핍이나 면역력이 저하된 소아에서는 중이염, 부비동염, 폐렴이 잘 발생 급성 기관지염이 반복되는 경우: 호흡기 기형, 기도내 이물, 기관지확장증, 면역 결핍증, 결핵, 알레르기, 부비동염, 편도선염, 아데노이드 편도염과 낭포성 섬유증의 가능성을 주의

15 이상호흡음:나음(crackles)

16 만성 기관지염(Chronic bronchitis)
 만성 기관지염은 성인에서 연속 2년 이상, 매년 3개월 이상 습성 기침이 있는 경우로 정의: 소아에서 적용되는 기준은 없음 소아에서 만성 기관지염 독립된 질환이라기보다는 만성적으로 빈번하게 습성 기침을 나타내는 경우 감별진단이 중요: 면역 결핍, 해부학적 이상, 천식, 환경성 질환, 후비루를 동반한 상기도 감염, 낭포성 섬유증, 섬모 이상 운동 및 기관지 확장증, 알레르기 질환(천식:기침, 천명) 증상:  주 증상은 기침이며 객담이 있을 수도.  대개 흉통을 호소. 특히 밤에 증상이 악화. 천명이 현저하기도 경과와 예후: 원인 질환에 대한 적절한 관리와 제거에 좌우 치료:  만성 기관지염의 원인 질환이 발견되면 적절한 치료를 한다.  원인 질환을 발견할 수 없을 때에는 항염증제 혹은 알레르기 치료가 도움이 될 수 있음

17 급성 세기관지염(Acute bronchiolitis)
영․유아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하부호흡기 질환으로 작은 기도의 염증성 폐색으로 인하여 발생 생후 2세 이전에 주로 발생하며, 생후 6개월에 가장 높은 발생빈도를 보이고  많은 지역에서 영아 입원의 가장 흔한 원인 겨울과 초봄에 가장 많이 발생하며, 산재성 또는 유행성으로 발생 원인 주로 바이러스에 의하며 RS 바이러스가 50% 이상에서 원인 parainfluenza 3 virus, 아데노바이러스, 마이코플라스마등 아데노바이러스: 폐쇄성 세기관지염(bronchiolitis obliterans), 일측성 과투과성 폐 증후군(unilatral hyperlucent lung syndrome: Swyer-James syndrome) 등과 같은 장기 합병증과 관련

18 급성 세기관지염(Acute bronchiolitis): 발생기전
기도의 부종, 점액이나 세포성 탈락물의 축적 등으로 인한 세기관지의 폐색과 바이러스에 의한 기관지 말단부위의 침범 등이 특징  튜브내의 기류에 대한 저항은 내경의 4제곱에 반비례하기 때문에 세기관지 벽의 사소한 비후라도 영아에서는 기류에 중대한 영향을 미침 병변 진행  정상적인 가스 교환을 저해  환기 관류 불균형(ventilation perfusion mismatch)  질병 초기에 저산소증 일반적으로 호흡수가 빨라질수록 동맥 내 산소압은 떨어짐 CO2 축적: 호흡수가 60회/분 이상이 될 때까지는 저산소증은 잘 발생하지 않음

19 급성 세기관지염: 증상 대부분의 환아들은 발병 전 1주내에 가벼운 호흡기 질환을 가진 큰 소아나 어른에 노출된 병력 (+)
대부분의 환아들은 발병 전 1주내에 가벼운 호흡기 질환을 가진 큰 소아나 어른에 노출된 병력 (+)  처음에 맑은 콧물이나 재채기를 동반하는 경한 상기도 감염→ 증상들은 대개 며칠 동안 계속되며 발열(38.5~39℃)과 식욕부진이 동반  점차적으로 호흡 부전의 증세가 발작적인 천명성 기침, 호흡 곤란, 보챔 등으로 나타남 빈호흡 → 우유를 빨거나 삼킬 충분한 시간이 없어짐 → 수유가 어려워질 수도   경한 경우: 1~3일 내에 증상이 소실 심한 경우: 수 시간 내에 증상들이 나타나고 병 과정이 오랫동안 지속

20 급성 세기관지염: 진찰소견 빈호흡, 폐의 과팽창, 심한 호흡곤란 호흡수: 60 ~ 80회/분
심한 공기 부족과 청색증을 보일 수 있음  코를 벌렁거림(flaring of alae nasi) 늑간 및 늑간 하부의 함몰: 호흡 보조 근육의 사용 과도한 폐 팽창→ 간과 비장이 밀려 내려감 광범위한 미세 수포음: 흡기 말기와 호기 초기 호기가 연장, 보통 천명이 들림 아주 심한 경우에는 거의 완전하게 세기관지의 폐색 → 호흡음은 거의 들을 수 없게 됨

21 급성 세기관지염(Acute bronchiolitis) : 검사소견
  흉부 X선 소견 폐의 과팽창(hyperinflation) 측면 사진에서 흉곽 전후경의 증가 산재된 폐 경화(consolidation): 환아의 약 30%에서 폐색으로 인한 2차적인 무기폐나 폐포의 염증에 의함 흉부 X선 검사만으로는 초기의 세균성 폐렴과의 감별 진단이 어려움 말초 혈액 백혈구수와 분획수: 보통 정상 소견 바이러스 증명: 비인두 분비물에서 효소 면역 검정법에 의한 항원 검출이나 PCR 혹은 배양

22 Bronchiolitis: Chest X-ray

23 Bronchiolitis: Chest X-ray

24 Bronchiolitis: Chest X-ray

25 급성 세기관지염(Acute bronchiolitis): 감별진단
급성세기관지염과 가장 흔히 혼동되는 질환: 기관지 천식 천식의 가족력 한 아이에서 반복되는 발병 재발한다는 것이 중요한 감별점 재발하는 임상적인 세기관지염 중 바이러스에 기인하는 것은 5% 미만  선행되는 감염이 없는 급작스런 발병 호기(expiration)의 심한 연장 호산구 증가증 (eosinophilia) 베타2 항진제(β2 agonist)를 분무했을 때 즉각적인 호전 기타 감별 질환: 울혈성 심부전증, 기관 내 이물, 백일해, 유기인중독, 낭포성 섬유증, 폐색성 폐기종을 동반하는 세균성 폐렴 등

26 급성 세기관지염: 치료 1 호흡장애가 있는 영아: 입원하여 보조 요법 치료만을 시행
호흡장애가 있는 영아: 입원하여 보조 요법 치료만을 시행  보통 시원한 공기 속에 있도록 하고, 저산소증을 해소하기 위하여 습도를 높인 산소(humidified oxygen)를 공급해 주며, 빈호흡으로 인한 수분 손실을 감소시켜야 함→ 호흡 곤란과 청색증을 호전시키며, 환자의 불안감을 해 소 진정제: 호흡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사용을 피함 보통 30~40°의 자세로 앉거나, 목을 뒤로 젖히도록 하는 것이 좋음  경구/정맥 혈관으로 수액을 보충: 빈호흡으로 인한 탈수 방지 적절한 수액 요법: 심한 호흡성 산증이나 전해질 불균형은 교정

27 급성 세기관지염: 치료 2 항바이러스제인 ribavirin(Vibrazole)의 분무 투여 고려
선천성 심질환이나 기관지폐 이형성증이 있는 영아 항생제: 2차적 세균성 기관지폐렴의 경우에만 사용  스테로이드: 효과가 없으며 어떤 경우에는 오히려 해로움 기관지 확장제 분무치료 효과에 대한 확실한 증거는 없음 증상 호전을 보인다면 계속적인 투여가 권장 에피네프린과 같은 교감 신경 제제 투여: 혈관 수축 작용에 따른 정맥 울혈과 점막 부종을 호전시키는데 목적으로 투여하며, 흡입제로 분무하는 것이 더 효과가 있다고 함  종종 급속한 호흡 부전이 오는 경우는 호흡기 치료가 필요

28 급성 세기관지염: 예방 병원 내 세심한 손 씻기: 병원내 전파의 가장 좋은 예방법
고위험군 영아에 있어서 심각한 RS 바이러스 감염을 예방 RS 바이러스 유행 시기나 유행 전에 RS 바이러스 면역 글로불린(RSV-IGIV)의 정맥 내 투여 청색증형 선천성 심질환에는 투여금기: 사망률 증가 RS 바이러스에 대한 단일 클론 항체(monoclonal antibody to RSV, Palivizumab)의 근주 투여 기관지폐 이형성증과 같은 만성 폐질환이 있는 2세 이하의 영아 및 미숙아 병력이 있는 경우 일부 심장 질환

29 급성 세기관지염 : 경과 및 예후 기침과 호흡곤란 발병 후 48 ~ 72시간 동안에 병이 가장 심해짐
기침과 호흡곤란 발병 후 48 ~ 72시간 동안에 병이 가장 심해짐  환아는 아주 심하게 아파 보이며, 어린 영아에서는 무호흡 발작이 일어나고, 호흡성 산증이 나타남 이 후에 병은 급격히 치유되어 수일 내에 완전히 회복 사망률은 1% 이내 지속되는 무호흡 발작과 교정되지 않는 심한 호흡성 산증, 빈호흡으로 인한 수분 손실이나 수분섭취 부족으로 인한 심한 탈수 등 선천성 심장질환, 기관지폐 이형성증, 면역 결핍증, 낭포성 섬유증 등이 있는 영아: 더 높은 이환율과 사망률 기관지 폐렴이나 패혈증 같은 세균성 합병증은 흔하지 않음 심질환이 있지 않는 한 심부전은 드뭄

30 폐쇄성 세기관지염(Bronchiolitis obliterans)
세기관지와 비교적 작은 기도가 손상→그것을 회복하려는 시도로 육아조직 생성→작은 결절과 섬유로 기도 내강이 막히게 됨 -> 폐쇄성 세기관지염  대부분의 소아 환자: 홍역, 인플루엔자, adenovirus, mycoplasma 및 백일해와 같은 폐 감염과 관계 증상: 초기에 기침, 호흡 곤란과 청색증이 생기며 잠시 회복 기간이 있다가 점차 진행하여 호흡 곤란, 기침, 객담과 천명이 심해짐  임상 양상: 기관지염, 세기관지염 또는 폐렴과 유사 흉부 X선소견: 정상에서부터 속립성 결핵 때 보이는 소견까지 다양한 양상 약 10%에서 편측의 과투과성(hyperlucency)과 폐혈관 음영의 감소를 가지는 Swyer-James 증후군이 생길 수 있음

31 폐렴 (Pneumonia) 말단 기관지(terminal bronchiole)이하의 폐조직의 염증 원인
감염성(바이러스, 세균, 마이코플라스마, 진균, 원충, 리케치아, chlamydia) 비감염성(이물, 공해물질, 알레르기, 약물, 방사선, 체위) 하기도 기능장애 증상 기침 호흡 호흡곤란 호흡음이상 수포음

32 폐렴(Pneumonia) 흉부 X-선상 침윤 해부학적 분류
대엽성(소엽성) 폐렴(lobar or lobular pneumonia) 간질성 폐렴(interstitial pneumonia): reticular infiltration 기관지 폐렴(bronchopneumonia, alveolar pneumonia): pachy infiltration

33 폐렴의 연령별 원인 신생아기 영아기 유아기 학령기 Group B streptococcus
그람 음성균(E. coli, Klebsiella) S. Aureus CMV, Chlamydia RSV, PV, IV, Adenovirus, Enterovirus 바이러스는 영아기와 동일 S. pneumoniae, H. Influenzae Mycoplasma, H. Influenzae Gr A. streptococcus Influenza A, B

34 Vesicular Sound: 정상 호흡음

35 Pnuemonia

36 바이러스 폐렴(Viral pneumonia)
세기관지염, 기관지 주위염, 간질성 폐렴 신생아를 제외한 모든 연령층에서 가장 흔한 폐렴 원인: RSV, Adenovirus, Parainfluenza 1,2,3, Influenza virus A, B, 홍역, Enterovirus, Cytomegalovirus 호발 연령: 2-3세 증상 상부 호흡기 감염이 선생, 호흡기 질환의 가족력 발병: 점진적, 체온-중등도 이하, 마르고 힘든 기침, 권태감, 빈호흡, 흉부함몰 산발적인 수포음과 탁음 흉부 X-선 소견: 기관지 주위를 따라 미만성 침윤 치료: 안정, 수액요법, 산소요법, ribavirin(RSV 감염의 경우), oseltamavir(Influenza virus 감염의 경우)

37 폐렴사슬알균 폐렴(Pneumococcal Pneumonia)
S. pneumoniae: 소아기 폐렴의 가장 흔한 원인균 주로 대엽성 폐렴, 간혹 기관지 폐렴(영,유아) 증상 콧물, 경한 기침증세 → 오한, 고열, 심한 기침 호흡장애, 호흡수 증가, chest retraction, → 기침 악화(마른 기침, 단속성 기침) Rhonchi, 수포음, 호흡음 감소 호흡장애는 36~72시간에 절정 X-선 사진: 대엽성, 혹은 소엽성 침윤, hyperaeration, 기관지혈관음영 증가

38 폐렴사슬알균 폐렴 :대엽성 폐렴(Lobal pneumonia)
흔히 갑자기 발병: 큰 소아-오한, 영아-경련 고열, 흉통, 복통, 마른 기침, 신음소리, 청색증 흉부함몰, 타진상 탁음, 청진상 기관지 호흡음, 촉진상 음성 전달 항진, 수막증 (상엽침범시), 급성 충수염증상 (우하엽 침범시) 검사소견 백혈구 증가(15,000-40,000/uL):주로 다핵구, 젊은 세포(좌방이동; shift to left) ESR 항진, CRP 양성 흉부 X-선 검사: 대엽 침범 소견 혈액배양 양성(10-30%)

39 Pneumococcal Pneumonia: LUL

40 폐렴사슬알균 폐렴 :기관지 폐렴 (bronchopneumonia)
영아기에 호발 체온이 39~40’C로 급격히 오르고 힘한 피로 중독 증세 위장 증세 동반: 구토, 설사, 마비성 장폐쇄 호흡:빠르고 얕으며, air hunger sign, 청색증 검사소견: 백혈구수 증가 (주로 다핵구) X-선 사진: 폐야에서 폐포형의 조밀한 반점상 침윤 치료 페니실린(1차 선택): 10~20만 unit/kg/일 경구 혹은 주사 Erythromycin 50~100mg/kg/d 페니실린 저항성: Cephalosporin 3세대 (cefotaxime, cefotriaxone)

41 포도알균 폐렴 (Staphylococcal pneumonia)
소아기보다는 영아기에 많음(30% 3개월 미만, 70% 1세 미만) 원인균: 페니실린 내성, coagulase 양성 S. aureus 홍역, 수두, 인플루엔자와 같은 바이러스 질환 후 흔히 나타남 증상 초기:기침, 미열, 식욕부진급속히 고열, 심한 기침, 심한 호흡곤란, 복부팽만, 창백, 청색증. 대엽성 폐렴 증세, 흉막삼출액의 증세 심한 백혈구 증가(20,000/µL 이상) 농흉(empyema), 농기흉(pyopneumothorax), 기류(pneumatocele), 기낭(air cyst) 치료: penicillinase-resistant penicilline: methicillin methicillin resistant: vancomycin, cephalosporin

42 Staphylococcal Pneumonia

43 Staphylococcal Pneumonia

44 인플루엔자 균 폐렴 (Hemophilus influenzae pneumonia)
주로 HITB에 의함 영아와 유아에서 흔함(4개월~4세) 대엽성 혹은 기관지성: 폐문비대 및 늑막삼출을 자주 보임 대엽성: 폐렴구균 폐렴보다 서서히 발생, 오랜 경과(2-4주) 어린 영아:균혈증이나, 농흉이 흔히 합병 간혹 홍역, 수두, 백일해, 또는 인플루엔자에 합병 치료: ceftriaxone(75mg/kg/day), cefotaxime(100mg/kg/day) 예방: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 백신

45 마이코플라스마 폐렴(Mycoplasmal pneumonia)-1
전체 폐렴의 10~30% 역학: 발생연령(3~10세가;80%, 2세이하 18%) 증상 심하고 오래가는 기침, 38℃ 이상의 발열 두통, 권태감, 발열, 콧물, 인후통, 기침 기침:건성기침  발병 2주간 악화  가래섞인 기침  3,4주후 증상 소실 진찰 소견보다 증상이 심함 청진: 수포음, 천명(40%) M. pneumoniae: 천명의 흔한 유발 인자 구토, 복통, 피부발진 : 30~40% 방사선소견: 기관지폐렴, 주로 우하엽, 폐문림프절종대(1/3) 폐 합병증: 무기폐, 늑막삼출액, 폐농양, 폐기종, 기관지확장증 폐 외 증상:피부병변, 신경계병변, 혈액계병변, 간염, 심근염

46 마이코플라스마 폐렴(Mycoplasmal pneumonia)-2
진단 백혈구수(정상 범위), 혈침속도증가, 비인두도말 (확진) 혈청학적 검사 M. pneumoniae 특이 항체(IgG): 감염 후 10일~3주 간격을 두고 측정시 4배 이상 증가시 냉응집소 검사: 감염 후 10일~3주 간격을 두고 측정시 4배 이상 증가시 초기에 측정하지 않으면 후에 더 이상 높을 증가가 없을 수도: 가장 높은 단일 항체가로 판단 필요 감염 후 상당 기간 동안 양성을 나타냄: 과거 감염 배제 EIA, PCR (M. pneumoniae DNA) 치료: M. pn는 세포벽이 없어서 페니실린/세파로스포린에 저항성 erythromycin, clarithromycin, azithromycin, roxithromycin – 질병 경과 단축

47 주폐포자충 (Pneumocystis jiroveci) 폐렴
면역 억제 또는 결핍, 영양 결핍 어린이에서 기회 감염증 예방(-) → 소아 AIDS(40%), 백혈병 (12%), 장기 이식환아(10%) Epidemic form 3~6개월 된 미숙아, 영양 결핍아 발열(-), 증상이 느림. 빈호흡, 흉벽함몰, 청색증 Sporadic form 면역결핍 소아 저산소증, 증상이 갑자기 시작. 발열, 빈호흡, 호흡곤란, 기침, 청색증 수포음:초기에는 들리지 않으나 후기에 들림.(silent chest) 흉부 X-선 소견: 양측 폐문부위에서 비교적 대칭적인 미만성 망상결절 음영 - 말초 폐야를 향하여 폐포경화(consolidation)로 진행 진단: 개흉생검, 경기관지생검, 경피적 세침 흡입생검, 기관지폐포세척액 검사 치료: TMP-SMZ:(20mg/100mg)/kg/day 2wks. 혹은 Pentamidine 예방: TMP-SMZ:(5mg/20mg)/kg/day

48 흡인성 폐렴(Aspiration pneumonia)
기관식도루, 십이지장폐쇄, 쇠약한 아이, 의식장애아, 신생아, 미숙아: 위식도 역류와 흡인이 호발 위산: 폐손상 일으키는 중요 물질 화학적 폐렴 위 내용 물 흡인 후(90%에서 1시간 내) 발열, 기침, 빈호흡 미만성 수포음, 천명, 심한 경우 청색증 위식도 역류 진단: 식도 조영술, radionuclide milk scanning 치료 즉시 기관내 삽관  내용물 흡입, 산소투여 예방적 항생제: clindamycin (건강한 아이가 구강내 세균에 감염시), + aminoglycoside ( 만성질환으로 입원중인 환아, 신생아, 미숙아) 부신피질호르몬제

49 지질성 폐렴(Lipoid pneumonia)
지방성 물질이 폐로 흡인 만성,간질성, 증식성 염증 주로 쇠약한 유아에서. 약용기름을 비강 내로 주입시. 구개열, 쇠약, 수평위와 같이 연하장애를 일으키는 조건에서 수유, 강제 투여시 흡인 울고 있는 아이에게 간유구, 피마자유, 광유 등을 먹일 때 식물성기름(올리브유, 면실유, 참기름): 자극성 적어 염증 없이 객출 동물성 기름(우유, 간유구, 스쿠알렌): 지방산  조직괴사  섬유증 광물성 기름: 기침반사(-)  이물질로 작용 특별한 증상이나 징후 없다. 서서히 발병. 기침, 빈호흡 진단: 객담, 폐포세척액, 폐조직 검사물에서 지방을 함유한 폐 대식세포(lipid laden macrophage)를 확인함으로써 가능 CXR: 폐문 음영 확장/밀도 증가, 폐주변부의 미만성 폐질환 양상

50 기관지 내 이물(Bronchial foreign body)
생후 6개월~3세에서 흔히 발생 이물의 종류: 땅콩(m/c), 장난감 부속, 풍선, 단추, 사탕 흡인 부위: 우측 폐상엽(누운 자세), 우측 중엽 혹은 하엽(선 자세) 증상 초기에는 후두 및 기관 내 이물과 유사 간헐적 기침, 천명 동일한 부위에 폐렴이 반복 발생. 난치성 천식 식물성 기관지염(vegetal or arachidic bronchitis):땅콩과 같은 식물성 흡인이 오래될 경우-전반적 괴사성 염증  기침, 패혈증형 열, 호흡곤란 진단:기왕력, 흡기/호기 CXR, 폐환기 및 관류 스캔, 기관지경 검사 치료: 경직성 기관지경으로 제거. 항생제

51 Foreign body aspiration
Inspiration Expiration

52 기관지 확장증 (Bronchiectasis)-1
기관지 및 기관지 주위 조직의 염증성 파괴로 생긴 기관지 확장 해당 기관지 내에 삼출물이 축적 거의 영구적인 기관지 확장 원인과 발병기전 낭종성 섬유증(cystic fibrosis): 가장 흔한 원인 흔한 기저요인: 대개 방사선상에 나타나지 않는 기도 이물질, 결핵으로 인한 기관지 폐 림프선 종대, 반복적이고 만성적인 폐렴이나 기관지염, 종양, 폐농양, 낭종, 알레르기와 천식, 면역결핍증, HIV감염 등 Primary ciliary dyskinesis 위식도 역류 환자에서 만성적인 흡입 호발부위: RML, LLL(basal seg), LUL(lingular seg) 증상 거의 항상 기침. 다량의 점액성, 농성 가래 하기도 감염이 반복되거나 지속. 식욕부진. 체중증가 불량

53 기관지 확장증 (Bronchiectasis)-2
진찰소견 특별치 않거나 있어도 거의 미미 청진상 습성 혹은 음악성 수포음 손가락 곤봉현상: 1년 이상 증상이 지속되는 환아에서 진단 단순 방사선 소견에는 병변이 나타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 무기폐 소견 또는 뚜렷한 선상 선조가 있으면 의심 대부분 비교적 안전한 CT로 대체 CT검사로도 진단이 확실하지 않을 경우 기관지 조영술(bronchography)이 필요 치료 호흡기 감염의 모든 원인 제거: 가래가 많은 경우 체위배액법이 효과적 급성 악화기 전신적인 항생제를 2~3주간 투여 폐분절 혹은 대엽절제술: 충분한 내과적 치료에도 국소 병변이 심한 경우

54 8 year-old girl with 4-year history of daily wet and sometimes productive cough, which was worse on exertion. The CXR shows collapse and tram tracks of the right upper lobe and increased peribronchial and interstitial markings of the right lower lobe. HRCT: collapse and severe bronchiectasis of the right upper lobe.

55 흉막염 (Pluerisy) 건성 흉막염(dry or plastic)
세균성 폐렴이나 급성 상기도염의 경과 중, 결핵, 류마티스열 Visceral pleura에 국한. 소량의 yellow serous fluid와 흉막유착 주증상:통증-심호흡이나 기침으로 악화 청진상 마찰음(friction rub): 흔히 초기에 들림 혈장섬유성 흉막염(serofibrinous) 폐감염이나 종격동, 복부에 염증시, 드물게 결체조직질환시 대량의 액이 차면  기침, 호흡곤란, 빈호흡, 기좌호흡 청진상 호흡음 약화, 타진상 탁음 CXR: CP angle이 둔화 (액이 소량), 동질의 음영(다량의 액), 종격동 이동 체위변동으로 액의 변위(shift)증명: 선 자세, 옆으로 누운 자세 삼출액(exudate):흉수의 단백질>3gm/dl, LDH>200IU/L, pH<7.2 (vs. 누출액-transudate, 농흉-empyema)

56 Pleural Effusion


Download ppt "Respiratory Diseases in Children 소아 호흡기 질환"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