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wnload presentation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1
수박 병해충 방제 원 예 특 작 과 학 원 이 영 희
2
식물병리학의 역사 고대의 식물병 Theophrastus (그리이스 B.C.300년경) : 식물학의 아버지 저서 : 식물의 본성, 채소류 생장의 이유 고대의 상당수의 참고자료 : 사람들이 저지른 잘못과 죄에 대한 응징 로마 (B.C.4세기) : 녹병과 다른 병들 때문에 곡류의 손실과 기근. Robigus라는 독립된 신을 만들어 제사함 Homer (B.C. 1000년경) : 황이 식물병 방제 효과에 대해서 언급 Albertus (1200년경) 겨우살이가 식물병원체임을 인지함.
3
2. 감염성 병의 원인 발견 식물병원으로서의 균류의 역할 확장 매발톱나무와 밀 녹병균 : 1600년대 중반 프랑스 매발톱나무를 박멸함으로써 밀에서 녹병균 방제 Tillet (1775년, 프랑스) : 밀 깜부기는 전염성이 있는 식물병 원인 : 살아있는 미생물이 아니라 깜부기 가루의 독성물질 Prevost (1807년, 프랑스) 깜부기병은 균에 의해서 나타나는 것을 입증함
4
Anton deBary (1861년) : 감자 역병의 병원균이 곰팡이라는 사실을 증명함
감자 역병 (1845 – 1848, 아일랜드) Anton deBary (1861년) : 감자 역병의 병원균이 곰팡이라는 사실을 증명함 the Great Potato Famine This was a tragic time in Irish history when a plant disease killed off Ireland’s potato crops in 1845, 1846 and again in During this time, more than a million people died of starvation and illness brought on by malnutrition. Nearly two million Irish abandoned their homeland to start new lives in other countries,many journeying to America, and many dying aboard ships along the way.
5
여러 가지의 식물병이 세균에 의해서 발생함을 보고
2) 선충 Needham (1743년, 영국) : 밀에 기생하는 선충을 처음 보고. 병의 원인이라는 사실은 밝히지 못함. 1855년 : 뿌리혹선충 보고 3) 세균 Burrill (1878년, 미국 일리노이주) : 배나무와 사과나무의 불마름병의 원인이 세균임을 보고. E. F. Smith (1890년대 초반) 여러 가지의 식물병이 세균에 의해서 발생함을 보고
6
4) 바이러스 Adolph Mayer (1886년, 네덜란드) : 모자이크 증상을 보이는 담배의 즙액을 건전 잎에 주입하면 동일 한 증상이 나타남. 원인이 세균일 것으로 결론 균이 존재하지 않았기 때문? Ivanowski (1892년) 담배 모자이크 병원체가 세균을 걸러내는 여과기를 통과함을 인지, 세균이 분비하는 독소 또는 매우 작은 세균으로 결론 Beijerinck (1898년) 미생물이 아닌 살아있는 감염성 액체에 의한 것으로 결론 바이러스라고 명명
7
5) 원생동물 (편모충류) Stahel (1931년) : 원생동물이 커피나무 체관을 감염하여 체관을 비정상적으로 만듬.
식물체가 시드는 원인임을 규명함. 6) 몰리큐트 (파이토플라즈마) Doi (1967년, 일본) : 빗자루증상을 보이는 식물체의 체관에서 마이코플라즈마 유사체(MLO)를 발견. 테트라사이클린 처리에 의해서 일시적으로 사라짐을 규명함. 식물을 감염하는 MLO를 파이토플라즈마로 다시 분류함.
9
병발생 수박 기주 병원균 환경 병원균 환경 병 발생 모식도
10
병이란 무엇인가? 병은 진정 불필요한 존재인가? 병이 없다면 ?
11
유용미생물이란? 유해미생물이란?
12
병해 방제 접근방법 법적규제 : 국내식물검역 및 외국식물검역 환경친화적방제
경종적방제, 저항성품종재배, 환경제어, 생물학적방제, 동식물유래 친환경 물질이용, 천연물질, 물리적방제 등 화학적방제(합성농약) 종합방제(IPM)
13
ㅇ 넷째 : 물리적방제 : 열수, 열처리, 방사선물질등 ㅇ 다섯째 : 화학적방제( 저농약)
친환경 병해충 방제시 고려 상황 ㅇ 첫째 : 품종선택( 포장저항성) ㅇ 둘째 : 환경제어 시스템활용 - 미기상, 토양비옥도, 토양미생물상등 ㅇ 셋째 : 친환경제제사용 : 식물질 , 미생물 ㅇ 넷째 : 물리적방제 : 열수, 열처리, 방사선물질등 ㅇ 다섯째 : 화학적방제( 저농약)
14
병 발생 극대화 조건 - 기주저항성약+ 병원성강(환경양호) 병 발생 극소화 조건 - 기주저항성강+병원성약( 환경불량) 이상적인 공생 조건 (?) - 중도저항성기주+ 중병원성+좋은 환경
15
병발생이 증가되는 이유? 재배면적 증가 농산물 교역량 증대 재배품종의 저항성 단순화 열악한 재배환경 등
16
수박병의 종류 : 23종 ㅇ 곰팡이 : 검은별무늬병, 덩굴쪼김병 ,점무늬병 2,
수박병의 종류 : 23종 ㅇ 곰팡이 : 검은별무늬병, 덩굴쪼김병 ,점무늬병 2, 잿빛곰팡이병, 덩굴마름병,겹둥근무늬병, 탄저병, 검은점뿌리썩음병, 역병,열매썩음병 열매썩음병, 흰가루병, 잘록병, 균핵병, 15종. ㅇ 세 균 : 과실썩음병, 세균성점무늬병등 3종. ㅇ 바이러스 : CMV, CGMMV, WMV ,MNSV 4종. ㅇ생리적 갈반 증상 : 정식후 3~4주후 수분 부족
17
기주 부위별 발생병 종류 잎 : 흰가루병, 점무늬병 뿌리 : 검은점뿌리썩음병
잎.줄기.열매 : 탄저병, 과실썩음병, 잿빛곰팡이병 전체 : 역병, 균핵병, CGMMV.
18
병원균의 온도에 대한 적응 저온(22~25C)병 : 잿빛곰팡이병, 균핵병, 덩굴마름병
19
계절에 따른 발생병 종류 봄 : 잿빛곰팡이병, 균핵병. 덩굴마름병 여름 : 역병, 탄저병, 과실썩음병. 바이러스
봄 : 잿빛곰팡이병, 균핵병. 덩굴마름병 여름 : 역병, 탄저병, 과실썩음병. 바이러스 가을 : 탄저병, 흰가루병. 저장병 : Colletotrichum sp, Phytophthora sp, Aspergillus spp, Botrytis sp, Rhizopus spp, Fusarium spp , Alternaria spp. etc.
20
진단방법 육안진단 , 현미경진단, 영상진단. 개체진단 , 포장진단 병징진단 : 모든병 표조진단 : 흰가루병, 균핵병 해부학적진단 : 검은점뿌리썩음병, 역병 배양진단 : 배양가능병 혈청진단 : 바이러스, 바이로이드 BIOLOG : 세균병 분자생물학적진단(PCR 등) : 모든병가능
22
종자소독대상병 진균병 : 탄저병, 덩굴마름병, 흑성병 세균병 : 열매썩음병
진균병 : 탄저병, 덩굴마름병, 흑성병 세균병 : 열매썩음병 바이러스 : CGMM V, MNSV with Olpidium, 정식시 약제처리 접촉전염 바이러스 예방을 위해 10%탈지분유에 모종을 담갔다가 정식한다.
24
마.덩굴마름병 ○ 발생원인 - 잎,줄기 과실에 발병하며 발병이 심하면 고사 - 연작 및 다비재배로 전염원 증가 - 토양내 이병 잔재물에서 병원균이 균사 ,자낭각 병자각 상태로 월동함 - 고온 다습한 환경에서 발생이 조장됨 - 양액재배시 지제부 습도 상승은 발병심화 - 접목부위 수침상으로 퇴색 갈변부위 점액 유출
30
○ 방제방법 - 건전종자사용(종자소독 : 베노밀, 호마이 ) - 토양을 담수하여 잔존 병원균 억제 * 85일 이상 담수 - 정식20~ 30일경 보호성 살균제 예방적 살포 *매카니, 세이퍼,실바코,귀품, 침투왕등 - 지제부위 중점 약제살포 - 약제를 묽게 개어 도포처리 - 생육후기 수확 30일전 추비시용
31
본 자료는 일본농업기술연구기구 야채다업연구소 발표자료(2003년3월) 번역
수박 과실썩음병방제기술 Acidovorax avenae subsp. citrulli
32
1989~1995년 미국에서 발생하여 큰 피해가 있었다. 주로 종자 전염하기때문에 「수입상대국에 대한 재배지검사가 요구되는 유해식물」의 하나로 지정하여 일본으로의 전염을 막고 있다. 1998년부터 2001년까지 돗도리현, 나가노현, 도쿠시마현 등 각 현에서 발생되었다. 이 병은 세균병으로 다른 박과 채소에도 강한 병원성을 가지고 있어, 수박뿐만 아니라 다른 박과 채소에 피해가 확산되지 않도록 주의가 필요하다. 과실에 발생한 균열 과실에 발생한 갈색반점 본엽의 황색병징 대목의 병징 본엽의 대형 부정형 병징 다양한병징
Similar present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