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리눅스 명령어.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리눅스 명령어."— Presentation transcript:

1 리눅스 명령어

2 명령어 매뉴얼과 도움말 얻기 * man, apropos - 어떤 명령어가 있다는 것과 어떤 상황에서 무엇을 확인하고자 할 때
어떤 명령어를 사용해야 한다는 것을 아는데 필수적인 명령어

3 명령어 매뉴얼과 도움말 얻기 -1 * 사용법 * 영역별 의미 # man <명령어> SYNOPSIS : 명령어 사용법
[space] : 다음페이지 [b] : 이전페이지 /검색어 [Enter] : 이후 페이지 문자검색 ?검색어 [Enter] : 이전 페이지 문자검색 [n] : 다음단어로 이동 [q] : 종료 * 영역별 의미 SYNOPSIS : 명령어 사용법 DESCRIPTION : 명령어에 대한 간략한 설명 및 사용 가능한 옵션

4 명령어 매뉴얼과 도움말 얻기 -2 * apropos – 키워드를 이용한 도움말 예) apropos login

5 파일 관련 명령어 – ls * ls (디렉토리 내 파일의 목록을 보기 위해 사용) * ls 기본 옵션

6 파일 관련 명령어 – cd * cd (디렉토리 이동 명령어) * cd 기본 옵션

7 디렉토리 관련 명령어 - pwd 현재 디렉토리의 전체 경로를 보여줌 *pwd

8 파일 관련 명령어 - touch 0(zero) byte 파일 aa 생성 * touch aa

9 파일 관련 명령어 – cp * cp (파일 복사 명령어) * cp 기본 옵션

10 파일 관련 명령어 – mv * mv (파일명을 변경하거나 다른 곳으로 이동 시키는 명령어) * mv 기본 옵션

11 디렉토리 관련 명령어 – mkdir * 디렉토리를 만들 때 mkdir을 사용한다.
-p 옵션을 사용하면 하부 디렉토리를 만들수 있다. * mkdir –p test1/test2

12 디렉토리 관련 명령어 – rmdir * rmdir 은 디렉토리를 삭제하는 명령이다.

13 파일 관련 명령어 – ln * ln (파일사이에 링크를 만드는 명령) * ln 기본 옵션

14 파일 관련 명령어 – ln * 하드 링크(하나의 파일을 여러 곳으로 연결하는데 사용,
동일한 inode 사용) * 심볼릭 링크(링크파일을 원본파일로 연결하는 역할)

15 파일 관련 명령어 - ln 심볼릭 링크(링크파일을 디렉토리로 연결하는 역할)
* ln –s /home/ysu1602/a1/a2/a3 myDir

16 파일 관련 명령어 – rm * rm 기본 옵션

17 파일 관련 명령어 – rm * rm (불필요한 파일의 삭제)

18 파일 관련 명령어 – chmod * chmod (파일의 사용권한을 조정하는 파일이다.) * 파일 권한 보기
r : 읽기 권한 w : 쓰기 권한 x : 실행 권한 d rwx rwx rwx 디렉토리 링크 파일 일반 파일… Owner (소유주) Group (그룹) Others (다른사람)

19 파일 관련 명령어 – chmod * chmod 방법 1 * chmod 방법 2 *chmod u+wx file1
g : 그룹권한 o : 다른 사람 a : 모두 + : 허가권한 부여 : 허가권한 제거 = : 해당 권한만 부여 *chmod u+wx file1 *chmod o-x file1 디렉토리 및 하위 디렉토리의 파일까지 한꺼번에 고치려 할 때 –R 옵션을 사용한다.

20 파일 관련 명령어 – chown * chown (파일의 소유권을 바꾸는 명령어)
자기 소유의 파일과 같은 그룹의 파일을 바꿀수 있다. root는 모든 파일의 소유권을 바꿀수 있다.

21 파일 관련 명령어 – cat * cat (파일의 내용을 보는 명령어)

22 파일 관련 명령어 – head, more * head (파일 첫 부분을 기준으로 출력), tail(파일 끝 부분)
* less (한페이지 단위로 넘어가며 텍스트 파일을 출력) 검색이 가능 - space-bar 한페이지 단위, enter 한행

23 파일 관련 명령어 – df, wc * df (파일 시스템 별로 남은 공간을 확인하여 준다.) * df 옵션
*df –a 파일시스템을 모두 보여줌 *df –k 용량을 kbyte 단위로 보여줌 * wc (파일안의 글자수, 단어 수, 줄 수를 세어주는 명령어)

24 파일 관련 명령어 – du, sort, file * du (디렉토리의 사용량을 출력)
*sort aa > aa1 * file (파일의 종류를 표시 해줌) ASCII, bmp 등

25 파일 관련 명령어 – find * find (원도우에서의 찾기, 다양한 옵션으로 조건에 합당한 것을 찾을수 있다)
[찾을 디렉토리 경로] : 현재 디렉토리 / : 루트디렉토리 이하(파일시스템 전체) ~ID : 특정ID의 홈디렉토리 이하 [찾기 옵션] -empty : 비어있는 파일 -gid n : 특정 gid을 갖는 파일 -name : 지정한 형식을 갖는 파일이름 -perm : 특정 허가 모드를 가지고 있는 파일 -user : 특정파일을 소유하고 있는 소유자의 파일 # find / -user tgha –name hanbit

26 파일 관련 명령어 touch, which, whatis, whereis
* touch (비어있는 파일을 만든다) touch abcde.txt * which (find는 특정 파일을 찾지만, which는 PATH안의 특정 명령어의 위치를 찾아주는 파일이다) which man * whereis (whereis는 모든 디렉토리를 다 뒤져서 명령어를 찾아준다.) whereis man

27 프로세스 명령어 – ps * ps (실행하고 있는 프로세스를 볼수 있는 명령) * ls 기본 옵션 * ps 기본 옵션

28 프로세스 명령어 – ps * ps 항목별 내용

29 프로세스 명령어 – ps * ps –ef 항목별 내용

30 프로세스 명령어 – kill * kill (지정한 프로세스를 종료시킨다) * kill [-시그널 번호 또는 시그널] PID

31 프로세스 명령어 – killall * killall (지정한 이름으로 생성된 모든 프로세스를 종료)

32 프로세스 명령어 – top * top (cpu 부하와 프로세스 , 메모리사용량 등 시스템 자원에 대한 실시간 정보 제공)

33 프로세스 명령어 – pstree * pstree (실행중인 프로세스 상태를 트리구조로 보여주는 명령으로 이 명령 뒤에 사용자 계정을 지정하면 그 사용자가 실행한 프로세스들을 트리구조로 점검시켜준다,) pstree [옵션] [pid | user]

34 프로세스 명령어 free, vmstat * free (시스템의 메모리 상태 체크) * Vmstat (가상 메모리 상태를 체크)

35 네트워크 명령어 – telnet * telnet (원격호스트에 접속하여 내 컴퓨터를 사용하는 것처럼 터미널을 열고 실행하고 작업하는 명령어) * telnet 기본 옵션

36 네트워크 명령어 – ftp * ftp (네크워크에 연결된 컴퓨터 사이에서 파일을 전송하기 위한 명령어) * ftp 명령 요약

37 네트워크 명령어 – ftp * ftp 명령 요약

38 네트워크 명령어 – ftp * ftp 명령 요약

39 네트워크 명령어 – ftp * ftp 명령 요약 * ftp 기본적인 순서
ftp 호스트네임/ip address (원격호스트 접속) user, passwd (인증과정) ls / !ls (현재디렉토리와 원격디렉토리 내용 확인) bin/ascii (전송파일 타입 결정) hash (마크표시를 하여 전송상태 확인) put/get (보내고 받기 명령어) quit (접속 끊기)

40 네트워크 명령어 – ping ping (원격시스템에 제대로 연결되어 있는지 상태를 확인) * ping 옵션
#ping [hostname 또는 ip address) * ping 옵션

41 네트워크 명령어 – finger finger (시스템의 특정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알아보는 명령어)
# finger

42 네트워크 명령어 – traceroute * traceroute (원격시스템까지 가는 경로를 조사하여 화면에 출력하는 명령어) #traceroute [테스트할 주소] * whois (특정 도메인의 정보나 특정 ip주소를 사용하는 기관 정보를 조회할수 있다)

43 네트워크 명령어 – whois whois 서버의 종류 whois.apnic.net : 아시아 지역 도메인 정보 제공
whois.arin.net : 최상위 도메인 정보 제공 whois.apnic.net : 아시아 지역 도메인 정보 제공 whois.ripe.net : 유럽지역의 도메인 정보 제공 whois.krnic.net : 국내 도메인 정보 제공 국내 도메인 사용기관 정보 조회 방법 리눅스셀에서의 조회 : whois –h whois.krnic.co.kr ip_address 웹에서의 조회 : 국외 도메인 사용기관 정보 조회 방법 리눅스셀에서의 조회 : whois –h whois.internic.net ip_address 웹에서의 조회 :

44 네트워크 명령어 – netstat * netstat (자세한 라우팅 테이블 정보와 네트워크 상태 체크 도구) # netstat -nr * netstat 기본 옵션

45 네트워크 명령어 – netstat * netstat 예제 (atp 옵션을 사용하여 현재 응답할 수 있는 포트번호와 각 데몬들, 그리고 그 포트를 사용하는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 를 상세히 검토)

46 압축 명령어 – tar * tar (여러개의 파일을 하나로 묶을수 있으며 묶여진 파일을 다시 풀수 있다)
*묶는 작업 : tar cvf [압축파일.tar] [압축대상파일 및 디렉토리] *확인 작업 : tar tvf [압축파일.tar] *푸는 작업 : tar xvf [압축파일.tar] * 파일 묶기

47 압축 명령어 – tar * 파일 내용 확인 * 파일 풀기

48 압축 명령어 – gzip * gzip (압축 명령어) 압축하기 : gzip [압축할 파일명]
압축풀기 : gzip –d [압축된 파일명]


Download ppt "리눅스 명령어."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