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wnload presentation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ublished byBrianna Cook Modified 6년 전
1
5. 철근콘크리트공사 1. 철근공사 5-1. 철근의 표준공작요도(shop drawing) Ⅱ. 필요성 Ⅰ. 개요
5. 철근콘크리트공사 1. 철근공사 5-1. 철근의 표준공작요도(shop drawing) Ⅰ. 개요 ① 철근 구조도에 의해 현장에서 철근 절단 · 구부리기 등의 공작을 하기 위하여 철근 모양, 각 부의 치수, 구부림 위치 · 지름 · 길이 · 대수 등을 명확히 기입하여 시공에 편리를 도모 한 것이다. ② 공작도 작성시 구조적 성능 · 시공성 · 안전성 · 경제성 등을 고려한 검토가 필요하다 Ⅱ. 필요성 ① 정밀시공 유도 ② 공사관리의 원활 ③ 시공의 기준 및 지표 마련
2
Ⅲ. 종류별 특성 1) 기초상세도 ① 벽 · 바닥판 · 기초보 등이 접속되는 철근의 정착과 기둥 주근의 정착
① 벽 · 바닥판 · 기초보 등이 접속되는 철근의 정착과 기둥 주근의 정착 ② 철골일 경우는 앵커 볼트의 위치 · 정착방법 등을 기입 ③ 지하실에서는 벽 · 바닥판 방수층 및 마무리바닥 등의 관계 기입 2) 기둥 및 벽 상세도 ① 기둥철근의 층높이에 맞게 적당한 이음위치를 정할 것 ② 기초에 철근정착부분 및 기둥단면이 줄어드는 구부림 위치 표기 ③ 띠철근은 지름 · 형상 · 길이 · 배치 · 간격 및 기호 등을 기입 3) 보상세도 ① 큰보는 동일 보의 수량, 주근 · 늑근의 지름 · 형상 · 길이 · 배치간격 등 기입 ② Bent bar의 굽힙높이, 수평부분, 경사부분, 마구리길이 등 기입 ③ 늑근은 단면이 같은 보는 공통 기호로 하는 것이 편리 ④ Bent bar는 가공 후 보의 기호를 그대로 사용 ⑤ 상부늑근과 중간늑근이 있을 때는 형상 및 수량을 정확하게 산정 4) 바닥판상세도 ① 기둥중심선을 기준으로 작은보 · 큰보의 중심선, 벽의 위치, 계단 시작부분, 개구부, 배관, shaft 등의 위치 명시 ② 기호, 판의 두께, 주근 방향 · 지름 · 길이 · 굽힘위치 · 배근간격 등을 명시 ③ 천장바탕은 배관용 insert, 칸막이벽, 장선 등의 고정철물 배치
3
5-2. 철근의 가공 및 구부리기 Ⅰ. 개요 Ⅲ. 가공 및 구부리기
① 철근의 가공은 대부분이 형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데 그것은 가공한 철근의 운반이 곤란하고 얼마 전만 하더라도 인건비가 기계에 의한 작업보다 싸다는 장점 때문이었다. ② 최근 건설업종은 3D 기피현상에 의하여 성력화가 요구됨에 따라 현장가공보다는 대량생산에 의한 공장생산 현장설치(pre-fab화)의 작업으로 전화되는 추세이다. Ⅱ. 적용범위 ① 원형철근은 Φ32 이하 ② 이형철근은 D32 이하 ③ 용접철망은 원형 · 이형 철망 모두 16mm 이하의 경우만 적용 Ⅲ. 가공 및 구부리기 1) 가공 ① 시공도에 지시된 치수와 형상에 맞추어 가공 ② 절단기, 전동톰, shear cutter 등의 기계적 방법에 의한 절단 ③ 특별한 지시가 없는 한 가열가공은 금하고 상온에서 냉간가공 2) 구부리기 ① 원형철근은 말단부에 hoot 가공 ② 이형철근은 stirrup bar · 기둥 및 보의 단부 · 굴뚝의 주근에만 가공
4
5-3. 철근의 이음과 정착 Ⅰ. 개요 ① 철근의 이음은 한곳에 편중되지 않도록 하여야 하며 사전에 구조도 등의 검토를 통하여
현장여건에 적합한 이음공법을 채택하여야 한다. ② 철근콘크리트 구조체에서 철근은 콘크리트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게 하기 위해서는 철근의 정착길이 확보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Ⅱ. 이음 및 정착길이 ① 압축철근 및 적은 인장을 받는 철근은 25d 이상 (경량 Con’c는 30d 이상) ② 큰 인장력을 받는 철근은 40d 이상(경량 Con’c는 50d 이상) ③ 철근지름이 다를 때는 가는 철근을 기준
5
Ⅲ. 이음위치 및 이음공법 Ⅳ. 정착위치 및 정착기준 1) 이음위치
응력이 작은 곳, 기둥은 높이의 2/3 이하, 보는 압축측에서 이름 2) 이음공법 ① 겹침이음(lap joint) ② 용접이음 ③ 가스(gas) 압점 ④ Sleeve joint(슬리브 압착) ⑤ 슬리브(sleeve) 충진 ⑥ 나사이음 ⑦ Cad welding ⑧ G-loc splice Ⅳ. 정착위치 및 정착기준 1) 정착위치 기둥주근은 기초에, 벽주근은 보 · 바닥판 · 기둥에, 지중보주근은 기초 및 기둥에 작은보 주근은 큰보에, 보주근은 기둥에, 바닥철근은 보 및 벽체에 정착 2) 정착기준 보 기둥 ① 최상층 25d 40d ② 일반층
6
5-4. 철근의 이음 Ⅰ. 개요 철근의 이음은 한곳에 집중되지 않도록 하여야 하며 사전에 구조도 등의 검토를 통하여 현장 여건에 적합한 이음공법을 채택하여야 한다. Ⅱ. 이음길이 ① 압축철근 및 적은 인장을 받는 철근은 25d 이상(경량 Con’c 는 30d 이상) ② 큰 인장력은 받는 철근은 40d 이상(경량 Con’c는 50d 이상) ③ 철근지름이 다를 때는 가는 철근을 기준 Ⅲ. 이음위치 ① 응력이 작은 곳 ② 기둥은 높이의 2/3 이하 지점 ③ 보는 압축측에서 이음
7
Ⅳ. 이음공법 ① 겹침이음(lap joint) : 철근 이음할 1개소에 두 군데 이상 결속선으로 결속하는 이음 ② 용접이음 : 금속의 야금적 성질(고열에 의해 융합)을 이용한 이음 ③ 가스(gas)압접 : 철근의 접합면을 맞대고 압력을 가하면서 산소 아세틸렌가스 (oxy acethylene gas)의 중성염으로 두 부재를 융햡 ④ Sleeve joint : 접합부재를 sleeve속에 넣고 유압 jack으로 압착 ⑤ 슬리브(sleeve) 충진 : sleeve 구멍을 통하여 에폭시나 모르타르 등의 grout재 주입 ⑥ 나사이음 : 철근에 숫나사를 만들고 coupler 양단을 nut로 조여 이음 ⑦ Cad welding : 철근에 sleeve를 끼우고 혼합물(화약 + 합금)을 넣어 순간폭발 ⑧ G-loc splice : 깔대기 모양의 G-loc sleeve를 끼우고 G-loc wedge를 망치로 쳐서 이음 Ⅴ. 이음시 주의사항 ① 철근의 이음길이 허용오차는 소정길이의 10% 이내 ② Hook은 이음길이에 포함하지 않음 ③ 엇갈려 이음하고 한곳에서 철근수의 반 이상을 이어서는 안 됨 ④ D29, Φ28 이상의 철근은 겹침이음하지 않음
8
5-5. 철근의 이음공법 Ⅰ. 개요 철근의 이음은 한곳에 편중되지 않도록 하여야 하며, 사전에 구조도 등의 검토를 통하여 현장
여건에 적합한 이음공법을 채택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Ⅱ. 이음공법 1) 겹침이음(lap joint) 철근이음할 1개소에 두 군데 이상 결속선으로 결속선으로 결속하는 이음 2) 용접이음 금속의 야금적 성질(고열에 의해 융합되는 것)을 이용한 이음 3) 가스(gas) 압접 철근의 접합면을 맞대고 압력을 가하면서 oxy acethylene gas의 중성염으로 두 부재를 부풀어오르게 하는 접합 4) Sleeve joint(슬리브 압착) 접합부재를 sleeve 속에 넣고 유압 ja-ck으로 압착 5) 슬리브(sleeve) 충진공법 Sleeve 구멍을 통하여 에폭시나 모르타르 등의 grout재 주입하여 이음 6) 나사이음 철근에 숫나사를 만들고 coupler 양산을 nut로 조여 이음 7) Cad welding 철근에 sleeve를 끼우고 화약과 합금의 혼합물을 넣고 순간폭발로 녹은 합금이 공간충진 8) G-loc splice 깔대기 모양의 G-loc sleeve를 끼우고 G-lco wedge를 망치로 쳐서 이음
9
5-6. 철근의 압접(gas 압접) Ⅰ. 개요 Ⅲ. 압접기준
철근의 접합면을 직각으로 절단하여 줄로 연마한 후 서로 맞대고 압력을 가하면서 맞댄 부위를 산소 아세틸렌가스(oxy acethylene gas)의 중성염으로 가열하면 1,200 ~ 1,300˚C에서 접합부가 부풀어오르면서 접합되는 것이다. Ⅱ. 철근의 이음공법의 분류 ① 겹침이음(lap joint) ② 용접이음 ③ 가스(gas) 압접 ④ Sleeve joint(슬리브 압착) ⑤ 슬리브(sleeve) 충진공법 ⑥ 나사이음 ⑦ Cad welding ⑧ G-loc splice Ⅲ. 압접기준 ① 용접돌출부의 직경은 철근직경의 1.5배 이상 ② 용접돌출부의 길이는 철근직경의 1.2배 이상 ③ 철근 중심축의 편심량은 철근직경의 1/5 이하 ④ 용접돌출부의 단부에서 용접면 엇갈림은 철근직경의 1/4이하
10
Ⅳ. 압접시공 flow chart Ⅴ. 시공시 유의사항 압접면 연마 압접기 setting 가열 및 가압 계측
① 압접면에 대해 3kg/m㎡ 이상의 압력유지 ② 화구는 2개를 사용하고 불꽃 끝에서 10 ~ 15mm 안의 중성염으로 가열 ③ 불꽃이 접합부위를 완전히 감싸게 하고 20mm 이상 떨어지지 않게 함
11
5-7. Cad welding Ⅰ. 개요 ① 철근에 sleeve를 끼우고 sleeve 구멍을 통하여 화학과 합금을 섞는 혼합물을 넣고 순간 폭발시키면 합금이 녹아 공간을 충진하여 이음되는 공법이다. ② Cad welding은 기성제 철근보다 인장강도가 큰 부착응력을 가지게 해주는 이음공법이다. Ⅱ. 철근 이음공법의 분류 ① 겹침이음(lap joint) ② 용접이음 ③ 가스(gas) 압접 ④ Sleeve joint(슬리브 압착) ⑤ 슬리브(sleeve) 충진공법 ⑥ 나사이음 ⑦ Cad welding ⑧ G-loc splice
12
Ⅲ. Cad welding 적용대상 Ⅳ. Cad welding 특징 ① 단면이 적은 구조체 ② 철근이 복잡하게 들어갈 경우
1) 장점 ① 기후에 영향이 적고, 화재위험 감소 ② 예열 및 냉각이 필요없고, 용접시간이 짦음 ③ 인장 및 압축에 대한 전달내력 확보 용이 ④ 각종 이형철근에 적용범위가 넓음 ⑤ 철근량(이음길이 감소) 감소 및 콘크리트 타설 용이 2) 단점 ① 육안검사가 불가능 ② 철근의 규격이 다른 경우 사용불가 ③ X-RAY · 방사선투과법 등의 특수검사 필요
13
5-8. G-loc splice Ⅰ. 개요 ① 깔대기모양의 G-loc sleeve를 이음할 두 철근 사이에 끼우고 G-loc wedge를 망치로 쳐서 이음하는 공법이다. ② 철근의 규격이 다른 경우는 reducer insert를 사용하면 시공이 가능하다 Ⅱ. 철근 이음공법의 분류 ① 겹침이음(lap joint) ② 용접이음 ③ 가스(gas) 압접 ④ Sleeve joint(슬리브 압착) ⑤ 슬리브(sleeve) 충진공법 ⑥ 나사이음 ⑦ Cad welding ⑧ G-loc splice
14
Ⅲ. G-loc splice 사용재료 Ⅳ. 시공순서 flow chart Ⅴ. 시공시 유의사항 ① G-loc sleeve
② Reducer insert ③ G-loc wedge Ⅳ. 시공순서 flow chart Reducer insert 삽입 G-loc sleeve 끼우기 G-loc wedge 망치로 타격 (철근규격이 다른 경우만 사용) Ⅴ. 시공시 유의사항 ① 수직철근에 전용으로 사용된다. ② 철근의 단부는 평평해야 한다 ③ Sleeve나 wedge는 철근규격에 맞는 것을 사용한다.
15
(슬리브 압착, sleeve joint, grip joint)
5-9. 슬리브 조인트 (슬리브 압착, sleeve joint, grip joint) Ⅰ. 개요 ① 철근의 이음은 한곳에 편중되지 않도록 하여야 하며 사전에 구조도 등의 검토를 통하여 현장 여건에 적합한 이음공법을 채택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② 접합부재를 sleeve 속에 넣고 유압 jack으로 압착하여 이음하는 공법이다. Ⅱ. 철근 이음공법의 분류 ① 겹침이음(lap joint) ② 용접이음 ③ 가스(gas) 압접 ④ Sleeve joint(슬리브 압착) ⑤ 슬리브(sleeve) 충진공법 ⑥ 나사이음 ⑦ Cad welding ⑧ G-loc splice Ⅲ. Sleeve joint의 특성 ① 접합할 부재를 sleeve 속에 넣고, 유압 잭으로 압착 ② 인장 · 압축에 대한 내력 확보
16
5-10. 철근의 정착 Ⅰ. 개요 ① 철근콘크리트 구조체가 큰 외력을 받게 되면 철근과 콘크리트 분리되려는 성질을 나타내게 되므로 철근을 콘크리트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게 하기 위해서는 철근의 정착길이 확보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② 철근의 정착을 위한 기준은 최상층과 일반층이 다른데 이것은 철근의 부착력의 차이 때문이다 Ⅱ. 정착길이 ① 압축철근 및 적은 인장을 받은 철근은 25d 이상(경량 Con’c는 30d 이상) ② 큰 인장력을 받는 철근은 40d 이상(경량 Con’c는 50d 이상) ③ 철근지름이 다를 때는 가는 철근을 기준 Ⅲ. 정착위치 ① 기둥주근은 기초에 정착 ② 벽주근은 보 · 바닥판 · 기둥에 정착 ③ 지중보주근은 기초 또는 기둥에 정착 ④ 작은보주근은 큰보에 정착 ⑤ 보주근은 기둥에 정착 ⑥ 바닥철근은 보 및 벽체에 정착
17
Ⅳ. 정착기준 Ⅴ. 정착시 유의사항 ① 철근의 정착길이 허용오차는 소정길이의 10% 이내로 함
Ⅳ. 정착기준 Ⅴ. 정착시 유의사항 ① 철근의 정착길이 허용오차는 소정길이의 10% 이내로 함 ② Hook은 정착길이에 포함하지 않음 ③ 중심선으로부터 외측에 정착 보 기둥 ① 최상층 25d 40d ② 일반층
18
5-11. 철근의 피복두께(covering depth)
Ⅰ. 개요 철근콘크리트 구조체에서 철근을 보호할 목적으로 철근을 콘크리트로 감싼 두께를 말하며, 철근 표면과 콘크리트 포면의 최단거리를 피복두께라 한다. Ⅱ. 철근 피복의 목적 ① 내구성 확보 ② 부착성 확보 ③ 내화성 ④ 방청성 확보 ⑤ 콘크리트의 유동성 확보 Ⅲ. 두께의 결정시 고려사항 ① 소요 내화성 · 내구성 · 구조내력 등의 확보 범위 고려 ② 부재의 종류별 마무리 유무 고려 ③ 환경조건 파악 ④ 시공정도 검토
19
Ⅳ. 피복두께 Ⅴ. 검사 ①외관검사 : 육안검사 ② 외관검사 결과의 확인검사 : 외관검사에 의한 피복두께가 의심가는 곳 검사
③ 실 외면의 피복두께 검사 : 각 층마다 바닥 및 지붕 슬래브의 모서리면 검사 부 위 피복두께(mm) 흙에 접하지 않은 부위 지붕슬래브 바닥슬래브 비 내 력 벽 옥내 30 옥외 40 기 둥 보 내력벽 50 흙에 접한 부위 기둥, 보, 바닥슬래브, 내력벽 기초, 옹벽 70 * 상기 표의 치수에서 10mm를 뺀 값 이상을 최소피복두께로 한다
20
(철근의 pre-fabrication 공법, 조립식 철근공법)
Ⅰ. 개요 ① 철근콘크리트공사에 사용하는 철근을 기동 · 보 · 바닥 · 벽 등의 부위별로 미리 조립해 두고 현장에서 이 부재를 접하는 공법이다. ② 공기단축, 작업환경 개선, 안전성 확보를 위한 공사를 합리화 추구 및 건설의 공업화 발전에 필요한 공법이라고 본다 Ⅱ. 목적 ① 시공정도의 향상 ② 공기의 단축 ③ 관리의 용이성 ④ 작업의 단순화 ⑤ 구조체 공사의 system화 Ⅲ. 분류 1) 기둥 · 보 철근의 pre-fab화 ① 철근 선조립공법 ② 철근 후조립공법 2) 벽 · 바닥 철근의 pre-fab와(용접철망 사용 3) 철근 pointing 공법 : S.R.C조의 기둥 · 보 철근의 철골에 pointing
21
Ⅳ. 철근의 이음공법 Ⅴ. 문제점 Ⅵ. 대책 ① 겹침이음(lap joint) ② 용접이음
③ 가스(gas) 압접 ④ Sleeve joint(슬리브 압착) ⑤ 슬리브(sleeve) 충진공법 ⑥ 나사이음 ⑦ Cad welding ⑧ G-loc splice Ⅴ. 문제점 ① 운반비 증가로 실질적인 원가상승 ② 접합부의 취약 ③ 기술개발 미비 및 초기투자 과다 ④ 공장생산의 호환성 미비 Ⅵ. 대책 ① 철근이음 및 가설방법의 표준화 ② 정착방법 개발 및 표준화 ③ Pre-stress 적용시 구조적 해석 ④ 작업여건에 적합한 방법 선정
22
5-13. 철근공사의 문제점 및 개선방향(합리화 방안)
Ⅰ. 개요 ① 최근의 건축물은 대형화 및 고층화하고 있는 추세이나, 건설현장에서는 기능인력 부족 및 고령화로 공기 및 품질관리면에서 많은 문제가 발생되고 있다. ② 철근공사는 다른 공종에 비해 노동력이 많이 필요한 공종으로서, 인력부족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철근공사의 pre-fab화가 필요하다 Ⅱ. 문제점 ① 3D 업종의 기피현상 확대 ② 후속공정과의 동선 혼란으로 작업능률 저하 ③ 건축물의 규격의 다양성 및 복잡성 ④ 재료의 보관 및 취급이 곤란 ⑤ 현장 기능공에 의한 시공 의존도가 높다 ⑥ 기능인력의 부족 ⑦ 철근의 loss 발생이 많고, 환경오염 등 유발 ⑧ 공정상 critical path가 되어 여우가 없음 ⑨ 복잡한 형상으로 인한 기계화 시공이 곤란
23
Ⅲ. 개선방향 ① 설계도의 표준화 및 규격화 ② Pre-fab화한 공법의 개발 ③ 필요치수의 주문생산방식의 정착화
④ 기계화에 의한 소량 주문 가공체제의 개발 ⑤ 이음방식의 기계화 유도 ⑥ 시공의 robot화 적용 ⑦ High tension bar 등 부착성이 좋은 재료의 개발 ⑧ 철근 조립 및 이음 등의 일련의 작업 system화 ⑨ 철근 표면 부식방지를 위한 신재료 개발 ⑩ 용접철망에 의한 성력화 및 단순 작업화 ⑪ 공장생산 및 현장생산의 기계화로 재해발생요소 감소
24
5-14. 용접철망(welded steel wire fabric)
Ⅰ. 개요 ① 용접철망이란 철선을 직교시켜 배열하고 교차점을 전기저항 용접시켜 제조한 철망을 말한다 ② 철근공사의 신뢰성 향상, 공기단축, 성력화를 위한 공법이다. Ⅱ. 용접철망의 분류 1) 재료별 ① 원형 용접철망(원형철근 사용) ② 이형 용접철망(이형철근 사용) 2) 생산별 ① Sheet type ② Roll type Ⅲ. 용접철망의 규격 ① 나비 1m × 길이 2m ② 나비 2m × 길이 2m ③ 취급상 제한으로 나비 2,450mm × 길이 6,000mm가 일반적
25
Ⅳ. 장점 Ⅴ. 단점 ① 조립및 설치시간 절감(종래 배근법의 30 ~ 60%) ② 균열분산능력이 좋음
① 조립및 설치시간 절감(종래 배근법의 30 ~ 60%) ② 균열분산능력이 좋음 ③ 인건비의 정감 ④ 인장강도의 증가로 재료절감 ⑤ 정확한 배근가능 ⑥ 부착성이 좋음 ⑦ 균열제어에 효과적 ⑧ 숙련도가 필요하지 않음 ⑨ 전기배선 및 배관공사 용이 Ⅴ. 단점 ① 철근에 비해 재료비가 고가 ② 형상 및 치수에 제한이 있음 ③ 넓은 stock yard가 필요 ④ 강선의 신장률이 적음 ⑤ 구부림과 절단이 많으면 시공능률 저하 ⑥ 부식의 진행이 일반철근보다 빠름
26
5-15. 나선철근(spiral hoop) Ⅰ. 개요 Ⅲ. 필요성
하는 철근을 나선철근이라 한다 ② 용접에 의한 패쇄형 spiral hoop는 일반 hoop보다 전단보강의 효과가 더 크고, 콘크리트의 탈락 및 주근의 노출에 의한 내구성 저하를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Ⅱ. 분류 ① 각형 나선철근 : 각형 기둥에 사용 ② 원형 나선철근 : 원형 기둥에 사용 Ⅲ. 필요성 ① 지진력에 대한 보강 필요 ② 전단보강 · 좌굴방지 · 콘크리트 구속 등에 효과적인 공법 요구 ③ 철근의 기계적 접합법의 실용화 필요 d 이상
27
Ⅳ. 특징 Ⅴ. 개발방향 ① 전단력에 대한 저항이 큼 ② 좌굴방지에 효과적 ③ 콘크리트의 탈락방지 및 구속력 증대
④ 내진설계에 유리 ⑤ 철근의 가공비가 고가 ⑥ 재료비가 고가임 Ⅴ. 개발방향 ① 기둥의 전단보강, 구조체의 내구성 확보, P.C화 등의 차원 ② 지진시 반복되는 전단파괴에 대한 보강 차원 ③ 철근의 pre-fab와, 성력화, 현장작업의 간략화 차원
28
5-16. 철근의 방청법 Ⅰ. 개요 ① 철근과 철근의 표면에 접하는 물질 사이에 생기는 화학반응에 의한 철근의 표면이 소모해 가는 현상을 부식이라 한다. ② 철근의 부식은 일종의 전기화학반응이며, 음극 및 양극 반응으로 분류되어 양반응이 동시에 진행되므로 이것을 지연하는 것이 방청의 중요점이다. Ⅱ. 부식의 형태 1) 전면 장기 부식 2) 국부 단기 부식 ① 공간(공극) ② 틈간부식 ③ 박리부식 Ⅲ. 방청의 목적 ① 철근의 부식 억제 ② 구조체의 내구성 확보 ③ 구조체의 균열확대 제어 및 방지
29
Ⅳ. 부식의 원인 ① 염해 ② 중성화 ③ 알칼리 골재반응(AAR : alkali aggregate reaction) ④ 동결융해 ⑤ 온도변화 ⑥ 건조수축 ⑦ 진동 · 충격 · 마모 · 파손 Ⅴ. 방청법 ① 합금법 : 합금철근 사용 ② 피막법 : 방청 paint · 기름 · 도금 등 ③ 전기법 : 음극 및 양극 반응 소멸 ④ 제염법 : 해사는 제염하여 사용 ⑤ 무염사 : 무염사 혼합 사용 ⑥ 낮은 slump 유지 ⑦ 낮은 W/C 유지 ⑧ 방청제 사용 ⑨ 피복두께의 유지 ⑩ 수밀 Con’c ⑪ 콘크리트 표면 마무리 : 수밀성 확보
30
5-17. 철근의 응력변형도곡선(stress-strain curve)
Ⅰ. 개요 철근의 기계적인 성질을 파악하기 위하여 인장시험을 실시하여 공시체(철근)의 응력과 변형도 와의 관계를 직각좌표에 나타낸 곡선을 응력변형도곡선(stress-strain curve)이라 한다 Ⅱ. 응력변령도 곡선 E F A : 비례한계점 B : 탄성한계점 C : 상위항복점 D : 하위항복점 D’ : 항복종지점 E : 최대강도점 F : 파괴강도점 σ Tan a = = E(탄성계수 ε 응력도 σ (kg/㎠) C B D’ D A 변형도 ε (Δℓ/ℓ) <응력변형도 곡선>
31
Ⅲ. 한계점 · 항복점 · 종지점 · 강도점 1) A점(비례한계점)
① 이 점에 도달할 때까지의 응력도(σ)와 변형도 (ε)는 직선 ② 철근의 응력과 변형이 비례하는 한계점 2) B점(탄성한계점) ① 탄성한계점에 가해진 외력이 제거되면 변형은 원점으로 복귀됨 ② 이 점을 벗어나면 응력도가 커지면서 소성변형하게 됨 ③ 외력이 제거되어도 계속 변형하는 상태를 소성변형이라 함 3) C점(상위항복점) 응력의 증가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변형이 급속히 진행되는 시작점 4) D점(하위항복점) 이 항복점을 넘으면 하중은 증가하나 응력도는 변화하지 않음 5) D’(항복종지점) 응력에 비해 변형이 큰 종지점 6) E점(최대강도점) 철근은 파괴하지 않으나 응력도는 저하하면서 변형도는 증대되는 점 7) F점(파괴강도점) 철근의 단면 일부가 가늘어지면서 파괴됨
32
5-18. 철근공사 관련용어 1) Grip joint 굵은 이형철근의 접합에 적합한 이음공법으로서 sleeve에 철근을 삽입하고 유압식의 잭으로 죄어서 접합 2) 간격재(spacer) ① 철근과 거푸집 또는 철근과 철근의 간격을 유지하기 위해 철제 · 철근제 또는 모르타르제 등으로 괴거나 끼움함 ② 조립한 철근의 위치 확보 및 콘크리트 시공중에 철근의 위치이동을 방지 3) 응력(internal force) ① 부재나 구조체에 외력을 가하면 내부에서 버티는 힘이 생기게 됨 ② 부재응력이라고도 하며 휨모멘트 · 전단력 · 축방향력 · 비틀림 모멘트 등이 있음 4) 온도철근(temperature bar) ① 온도변화에 따란 콘크리트의 수축으로 발생할 수 있는 균열을 최소화하기 위한 철근 ② 지붕 slab의 일방향 slab에서 장변방향의 철근을 의미함 5) 배력철근(distribution bar) ① 주근(단변방향 철근)에 직각되게 배치하는 철근으로 부근이라고 한다 ② 부재의 응력을 골고루 분산하고 주철근과의 간격을 유지하며, 콘크리트의 건조수축이나 온도 변화에 의한 균열을 최소화하는 등의 목적이 있는 철근 6) 청근의 부동태막(不動態膜) ① 강알칼리(Ph=12.5 ~ 13)의 콘크리트 속의 철근 표면은 얇은 부동태막으로 씌워져 있기 때문에 부식으로부터 보호되며, 이 태막은 20 ~ 30A 두께의 수산화제2철로부터 생성된 것이다. ② 부동태막이 파괴되면 부식의 원인이 된다.
Similar present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