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건설관리학 강의슬라이드 1장. 건설관리(CM)의 개념 및 역할.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건설관리학 강의슬라이드 1장. 건설관리(CM)의 개념 및 역할."— Presentation transcript:

1 건설관리학 강의슬라이드 1장. 건설관리(CM)의 개념 및 역할

2 1. CM의 두 가지 개념 1.1 관리기술 및 학문으로서의 CM 1.2 공사발주방식 또는 계약방식으로서의 CM 1.3 CM의 다양한 개념 CM (Construction Management) 이란 Construction(건설)과 Management(관리 또는 경영)의 의미가 복합된 합성어로 해석에 따라 “건설관리” 또는 “건설경영”이라 이해할 수 있다 건설관리학 - 건설관리(CM)의 개념 및 역할

3 관리의 시작 피라미드 만리장성 건설관리학 - 건설관리(CM)의 개념 및 역할

4 관리기술 및 학문으로서의 CM 건설공사의 특성상 관리(Management)는 프로젝트의 성공적 완수 (원하는 구조물을 주어진 시간과 비용으로 목적에 맞게 튼튼하고 안전하게 만들어 내는 것) 를 위한 필수요건이다. 필요 되는 일련의 관리기술 및 행위를 CM이라 할 수 있다. 현대의 건설공사는 대형화되고, 첨단화되며, 점점 더 복잡해지는 특성을 가지게 되는데, 이런 상황에서 선진화된 건설관리기술의 중요성은 더욱 부각되고 있다 구미 건설선진국들에서는 오래 전부터 CM기술들을 하나의 학문분야로 정립하여 발전시키고 있다 CM분야의 연구는 다양한 인문계열의 지식과 공학계열의 지식들이 복합적으로 활용되고 있으며 그 연구분야는 매우 다양하다 건설공사의 효율성 향상과 성공적 완수를 위해 행해지는 공정관리, 원가관리, 품질관리 등 다양한 관리행위, 관리기술, 그리고 이와 관련된 학문, 연구분야를 CM이라 할 수 있는데, 이때의 CM은 “건설(공사)관리” 또는 “건설경영” 등으로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건설관리학 - 건설관리(CM)의 개념 및 역할

5 공사발주방식 또는 계약방식으로서의 CM 전통적인 설계·시공분리 발주방식(Design-bid-build)의 문제점
공사 중 발생한 문제를 서로의 잘못으로 떠넘기려는 건설주체간 갈등의 문제 리더십(Leadership)과 조정(Coordination)의 부재로 인한 프로젝트의 효율성 저하 설계와 시공 간의 괴리로 인한 부실우려와 기술발전 저하 발주자의 의사가 공사에 충분히 반영되지 못함 설계를 완료한 후 시공자를 찾아야 하는 시간적 비효율성 새로운 발주방식 Turn-key 또는 Design-build : 설계와 시공을 동시에 수행 CM (방식): 제 3자에 의한 관리 이 경우 CM은 발주방식 또는 계약방식을 의미하는 것이며, 이런 관리업무를 맡아 행하는 제3의 주체를 CMr(Construction Manager) 즉, 건설사업관리자라 부르는데, CMr은 다양한 건설관리지식과 공사경험을 갖춘 전문가 또는 전문가 집단(회사)을 의미한다. 건설관리학 - 건설관리(CM)의 개념 및 역할

6 초창기 CM 프로젝트 (1960년대) World Trade Center Madison Square Garden

7 CM의 다양한 개념 CM의 다양한 개념의 체계적 이해를 돕기 위해 학자에 따라서는 CM을 4가지의 세분화된 개념으로 분류하여 설명하기도 한다(김예상, 1997) 1) 공사관리행위로서의 CM (시공관리, 공사관리) 2) 공사계약방식으로서의 CM (CM방식, CM계약) 3) 공사관리행위주체로서의 CM (CMr, 건설사업관리자) 4) 학문 영역으로서의 CM (건설관리, 건설경영) CM의 개념은 건설관리기술로부터 계약방식으로까지 진화하게 되는데, 그 과정에서 다양한 의미를 같게 된 것이다. 그러므로, CM을 학문 또는 연구의 분야다, 건설공사 관리행위다, 건설공사 관리자다, 계약방식이다, 건설관리서비스다 하는 주장은 모두 옳은 표현이며 결국은 넓은 의미의 CM개념의 한 부분을 지적한 것임을 알 수 있다 건설관리학 - 건설관리(CM)의 개념 및 역할

8 2. CM의 일반적 정의 건설산업기본법상 : 건설사업관리라 함은 건설공사에 관한 기획 · 타당성조사 · 분석 · 설계 · 조달 · 계약 · 시공관리 · 감리 · 평가 · 사후관리 등에 관한 관리업무의 전부 또는 일부를 수행하는 것 한국CM협회: 건설사업의 공사비절감(Cost), 품질향상(Quality), 공기단축(Time)을 목적으로 발주자가 전문지식과 경험을 지닌 건설사업관리자에게 발주자가 필요로 하는 건설사업관리 업무의 전부 또는 일부를 위탁하여 관리하게 하는 새로운 계약발주방식 또는 전문관리기법 한미파슨스: 발주자를 대신하여 기획 및 타당성 검토에서부터 설계자선정, 설계관리, 건설사업비관리, 일정관리, 발주는 물론 시공자 선정, 시공 및 유지관리까지 건설사업의 모든 과정을 전문기술력을 바탕으로 통합관리함으로써 발주자의 주어진 예산과 시간내에서 최상의 건축물을 완성하여 품질향상과 이윤 극대화를 실현하는 서비스 미국CM협회: CM은 건설공사의 기간, 비용, 품질 등을 조정(control)하기 위하여 프로젝트의 시작부터 종료까지 계획, 설계, 시공단계에 효율적인 관리기술을 적용하는 전문서비스이다. 공통적이며 중요한 의미는, 첫째로 발주자 대리인의 역할로 발주자를 위한 활동, 둘째로 건설사업 생애주기인 계획, 설계, 시공, 유지관리 등의 단계를 통합하여 관리, 셋째로 사업의 효율성 향상과 프로젝트의 성공적 완결이 목표라는 것이다. 건설관리학 - 건설관리(CM)의 개념 및 역할

9 3. 계약방식으로서의 CM의 종류 - 3.1 CM for Fee 3.2 CM at Risk 3.3 확장형 건설사업관리(XCM)
버즈 알 아랍 호텔: 1박 숙박요금: 1,090달러 ~ 18,000달러 건설관리학 - 건설관리(CM)의 개념 및 역할

10 건설관리학 - 건설관리(CM)의 개념 및 역할
국가 부도 리스크 지표인 크레디트디폴트스왑(CDS) 지난해까지 규제 풀어 외자유치…"유동성위기 취약" '사막의 기적' 두바이가 결국 '구제금융'을 받는다. 개방과 외자에 의지한 경제모델은 '사막의 모래성'으로 드러나고 있다. 건설관리학 - 건설관리(CM)의 개념 및 역할

11 CM for Fee CM은 발주자의 대행인(Agent)으로써 건설관리업무를 수행하여 이에 대한 수수료를 보상 받으며, 프로젝트의 성패에 따른 책임을 지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렇게CM이 발주자를 대신해 건설관리컨설팅 업무만을 담당하는 계약방식을 “CM for fee”, “Pure CM”, “Agency CM” 또는 “Professional CM”이라 부른다. 발주자 설계자 건설사업관리자 시공자 도급자 그림 2.1: CM for fee 방식 건설관리학 - 건설관리(CM)의 개념 및 역할

12 CM at Risk CM은 CM for fee에서 수행하던 단순 컨설팅업무 외에 시공을 포함한 사업 전반에 대한 책임을 지게 된다. 따라서 CM은 일정 대가(fee) 이외에 이윤을 추구할 수 있다. 그러나, 발주자에게 총공사비한계비용(GMP: Guaranteed Maximum Price)을 제시한 경우 정해진 최종사업비용을 초과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는 위험(Risk)을 가지게 된다. 발주자 설계자 건설사업관리자 도급자 도급자 도급자 그림 2.2: CM at Risk방식 건설관리학 - 건설관리(CM)의 개념 및 역할

13 확장형 건설사업관리(XCM) 확장형 건설사업관리(Extended Services Construction Management: XCM)은 건설사업관리가 건축사/건설사업관리자 또는 건설사업관리자/도급자의 복수역할(Multi-role)을 수행하는 것을 허용하는 계약형식이다. 이 계약형식은 건설사업관리 수행자에 대한 다양한 역할을 정의하고, 최초에 계약된 업무에 추가업무를 포함하도록 계약범위를 확장하는 형태이다 그림 2.3: XCM의 기본 구성 예 건설관리학 - 건설관리(CM)의 개념 및 역할

14 건설사업관리(CM) 계약방식의 장점 장점 프로젝트의 초기단계에서 가치공학(Value Engineering)을 적용하므로 원가절감이 가능하다. 프로젝트의 참여주체간의 지속적인 협의가 가능하고 전반적인 계획 및 관리능력의 향상으로 비용, 품질, 공사기간 등과 같은 프로젝트 목표를 경제적 효율적으로 달성할 수 있다. 공사비상한가보증계약(GMPCM : Guaranteed Maximum Price)의 경우는 발주자가 사업비에 대한 리스크를 줄일 수 있다. 설계시공 병행방식(Fast-Track)을 사용하여 전체 프로젝트의 기간을 단축할 수 있다. 설계단계에서 시공경험 및 지식의 반영을 통하여 설계변경을 최소화시키고  시공의 최적화를 도모할 수 있다. 발주자가 프로젝트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 없어도 프로젝트수행이 가능하다. 프로젝트의 의사결정시 발주자의 의견을 최대한 반영할 수 있다. 대리인으로서의 CMr 건설관리학 - 건설관리(CM)의 개념 및 역할

15 건설사업관리(CM) 계약방식의 단점 단점 용역형계약의 경우 프로젝트 수행에 대한 모든 리스크는 발주자에게 있다.
 단점 용역형계약의 경우 프로젝트 수행에 대한 모든 리스크는 발주자에게 있다. 프로젝트의 성공여부가 건설사업관리자의 관리능력에 크게 좌우되므로 건설사업관리자가 잘 못 선정될 경우 나쁜 결과를 초래한다. 발주자는 프로젝트의 진행에 따라 의사결정을 신속하게 해야 함으로 조직 및 관리능력이 없는 경우는 프로젝트 수행이 어렵다. 위험 부담형 건설사업관리(CM at Risk)의 계약에서 건설사업관리자의 무리한 이익추구로 인한 사업적 위험이 따르게 된다. 건설관리학 - 건설관리(CM)의 개념 및 역할

16 4. CMr의 자격과 책임 CMr의 자격: CMr은 발주자를 위해 프로젝트의 초기단계에서부터 준공 그리고 유지관리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고 전문적인 서비스를 제공해야 하므로, 설계자나 시공자들이 가지고 있는 전문지식 외에 다양한 관리지식이 필요하게 된다. 이런 일련의 지식과 경험을 가진 주체라면 발주자, 설계자, 시공자 또는 제3의 컨설턴트 그 누구도 CMr가 될 수 있다. 즉, ‘누가 할 것인가?’가 문제가 아니라 ‘누가 적절한 능력을 가지고 CM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가?’가 관건인 것이다.  CMr의 책임: 사회적 책임 (사회적 기능과 책임) 발주자에 관한 책임 공사관리에 관한 책임 기술자로서의 책임 건설관리학 - 건설관리(CM)의 개념 및 역할

17 5. CMr의 업무 5.1 건설교통부 건설사업관리업무지침이 정하는 업무 5.2 미국 CMAA(미국건설사업관리협회)의 업무 내용

18 건설교통부 건설사업관리업무지침이 정하는 업무
사업관리 일반 건설공사 수행체계, 절차 등과 관련된 계획의 수립, 운영, 조정 등에 관한 사업관리일반 설계자, 시공자 선정과 관련한 지원업무와 각종 설계변경, 클레임 및 분쟁 등에 관한 입찰 및 계약관리 설계용역 성과에 대한 구조적인 안정, 품질, 시공성, 경제성 등에 관한 설계관리 건설공사 수행단계별 사업예산 검토 및 사업비관리 건설공사 수행단계별 일정계획의 수립, 관리 등에 관한 공정관리 건설공사의 품질확보와 환경기준 부합여부 등과 관련된 품질 및 환경관리 재해예방 및 건설안전 확보를 위한 안전관리 건설공사 설계 및 시공관련 사업정보 및 문서관리 기타 발주청이 별도로 요구하는 추가업무  단계별 세부업무 내용 공통업무(표 2.1) 단계별 세부업무(표 2.2) 건설관리학 - 건설관리(CM)의 개념 및 역할

19 국내 건설사업관리 공통 업무 구 분 기본 업무 세부 업무 행정업무 건설사업관리 업무수행계획서 건설사업관리비 산출내역서
건설사업관리 업무수행계획서 건설사업관리비 산출내역서 건설사업관리자 경력확인서 건설사업관리 조직 구성내용과 투입기간 및 담당업무 의사전달 체계절차 건설사업관리 업무수행계획서 작성 및 운영 건설사업관리 절차서 작성 및 운영 작업분류체계 및 사업번호체계 관리 사업정보 축적, 관리 및 사업정보관리시스템(PMIS)의 운영 건설공사 참여자간의 업무협의 주관  건설사업관리 업무관련 각종 보고 기타 발주청에서 건설사업관리와 관련 요구업무 건설관리학 - 건설관리(CM)의 개념 및 역할

20 국내 건설사업관리 단계별 업무 건설관리학 - 건설관리(CM)의 개념 및 역할 구 분 기본 업 무 설계전 단계
‧ 건설공사의 기획 ‧ 타당성 조사, 분석  ‧ 발주청은 건설사업의 특성과 현장여건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 추가 적용 가능 기본설계 단계 ‧ 설계자 선정업무 지원 ‧ 기본설계의 경제성 등 검토(기본설계 VE) ‧ 공사비 분석 및 개략공사비 적정성 검토 ‧ 기본설계 용역 진행상황 및 기성관리, 기본설계 조정 및 연계성 검토(기본설계 Interface) ‧ 기본설계단계의 품질관리 실시설계 단계 ‧ 설계자 선정업무 지원, 공사 발주계획 수립 ‧ 실시설계의 경제성 등 검토(실시설계 VE) ‧ 공사비 분석 및 공사원가의 적정성 검토 ‧ 실시설계 용역 진행상황 및 기성관리 ‧ 실시설계 조정 및 연계성 검토(실시설계 Interface) ‧ 실시설계단계의 품질관리, 지급자재 조달 및 관리계획 수립, 시공자 선정업무 지원  시공 단계 ‧ 공정, 공사비 통합관리계획서 검토, 성과분석 및 대책 수립 업무  (총공사비가 500억원 이상인 경우) ‧ 클레임 분석 및 분쟁 대응 업무 지원 ‧ 책임감리 업무 ‧ 최종 건설사업관리 보고 시공후 단계 ‧ 건설사업 준공이후 시설물 운영 및 유지보수, 유지관리 등의 업무 ‧ 발주청은 건설사업의 특성과 현장여건 등을 종합 고려하여 필요로 하는 경우 상기 업무를 추가하여 적용 건설관리학 - 건설관리(CM)의 개념 및 역할

21 미국 CMAA(미국건설사업관리협회)의 업무 내용
CMAA의 CM 서비스표준: CM의 업무범위를 5단계로 나누고: 공사계획단계(Pre-design phase) 설계단계(Design phase) 구매조달단계(Procurement phase) 시공단계(Construction phase) 완공 후 단계(Post construction phase) 각 단계에서 수행되어야 할 CM서비스의 내용을 다음과 같이 각 단계별 6가지로 분류하여: 프로젝트관리(Project management) 원가관리(Cost management) 일정관리(Time management) 품질관리(Quality management) 프로젝트/계약행정(Project/Contract administration) 안전관리(Project safety programs) 각 단계에서 서비스별로 요구되는 세부적인 업무내용이 기술되어 있다  세부업무 정리: (표2.3) 건설관리학 - 건설관리(CM)의 개념 및 역할

22 미국 건설사업관리협회(CMAA)의 업무 내용(1/2)
프로젝트 관리 원가관리 일정관리 품질관리 프로젝트/계약행정 안전관리 설계전단계 프로젝트 조직 건설사업관리계획서 프로젝트 절차 매뉴얼 설계전단계회의 경영정보 시스템 사업비 및 공사비 비용 분석 주공정표 관리점공정표 업무범위  프로젝트조직 품질관리계획 의사전달 체계절차 발주자 위임의 결정 프로젝트 조직 안전관리자 고려 설계단계 설계도서 검토 도서배분 계약 계약서 일반조건 및 특수조건 공공 관계 프로젝트 자금준비 회의          사업비 관리 공정관리 공사중 서비스 행위 견적 사업비 입증 단계 개념도면에 대한 견적 기본설계도면에 대한 견적 설계중과 최종설계도서 완성시   견적 가치분석 연구 비용감시와 보고 주공정표의 유지관리 설계공정표 관리점공정표의 유지관리 시공공정표 여유시간관리 설계절차서    문서관리 설계 제출물에 대한 검토 설계기준변경  품질관리 품질보증      프로젝트 견적 발주자의 권한 시공성검토 가치공학      공사기간설정 시공 검사요구사항 품질관리 특기시방서 공공참여 및 입주자 검토 프로젝트 자금 프로젝트검토 회의 보고서 설계진도 관리설계검토회의 설계공정보고 사업비보고 계약요구사항과 선정기준 안전프로그램  사전 기준 입찰전회의 비상사태에 대한 협조체계 조달단계 입찰 과 계약과정 회의 추가사항에 대한 견적 입찰분석과 협상 시공자의 시공공정표관리 조달계획  입찰안내 및 광고 입찰자의 선정 입찰자에 대한 지시업무 입찰전 회의 제안서의 기준 및 개찰업무 낙찰전 회의 낙찰자 통보 입찰안내서 개발 입찰자목록에 대한 개발업무 입찰참여 홍보공고와 광고 입찰서류 수행업무 입찰자에 대한 정보제공 추가사항     입찰전 회의 개찰 및 평가 입찰완료후면담 시공계약 업무착공지시 공정관련 보고서 사업비관련 보고서 자금조달관련 보고 안전관련 보고사항 인허가 기관 시공전 회의 건설관리학 - 건설관리(CM)의 개념 및 역할

23 미국 건설사업관리협회(CMAA)의 업무 내용(2/2)
프로젝트 관리 원가관리 일정관리 품질관리 프로젝트/계약행정 안전관리 시공단계 현장 가설물   협조 회의          공정관리 예산 및 사업비 관리 기성지불 요청 설계변경 클레임 관리 품질관리 발주자의 지급자재 및 장비 보관도면 기록유지 관리보고 공기산정 및 기성평가 설계변경 관리 대안검토 사업비에 대한 클레임 대비 시공공정표/주공정표 공정표 준수 감시관리 공기연장 및 영향 분석 공정만회 클레임검토 시공전회의 시공계획표작성 및 공정표작성 점검 및 검사 보고서 및 품질기록관리 설계변경  문서관리 및 배포 부적합품 관리 기성관리 최종검토, 문서화 및 펀치목록 입주편리  실질적 준공 최종준공 시공전 예비회의 발주자 지급자재에 대한 합의 허가, 보험, 노무자선서,   보증보험 등 현장 의사전달 절차 현장회의 계약문서 관리 절차 현장보고      품질관련 업무 부적합 사항   안전관리 설계변경 보고 회계업무 현금흐름보고서기성고 지급 시공단계보고 특별사항에 대한 보고 특별보고서 유지 클레임 진행 설계도서 유지관리 계약자 안전 요구   및 승인사항 안전관련 회의 안전관리 위원회 안전감사 월간보고 완공후단계 최종공사비 보고 입주계획 품질관리 평가 최종보고서와 표기사항 매뉴얼 및 유지관리 지침서 여유자재 및 보증보험 최종허가 입주 및 시설물 가동 정산금 지급 계약만료 시공자 소환 최종보고서 건설관리학 - 건설관리(CM)의 개념 및 역할

24 6. CM방식의 국내도입과 발전 올 CM시장 5천5백억 규모 전망 공공 2천억·민간 3천5백억 예상
2008년 01월 14일 (월) 08:03:29 하종숙 기자 그림 2.4: 국내 건설사업관리 발주 추세 건설관리학 - 건설관리(CM)의 개념 및 역할

25 올 CM시장 5천5백억 규모 전망 공공 2천억·민간 3천5백억 예상 2008년 01월 14일 (월) 08:03:29 하종숙 기자 hjs@cdaily.co.kr
강원랜드·종합청사 이전 등 대형 프로젝트 기대 역세권 조성 등 대규모 부동산 개발사업도 예정 올 CM시장은 공공.민간 총 5,500억원 규모로 전망되고 있다. 본보가 조사한 2008년 CM시장 전망에 따르면 공공 2,000억원, 민간 3,500억원 등 금년 CM시장은 5,500억원 규모에 이를 것으로 추산됐다. 올해 건설경기는 새정부 출범과 함께 건설CEO 출신 대통령 취임으로 건설경기가 상승무드를 탈 것이란 기대감이 건설물량 증가는 물론 CM 발주 확대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작년 CM능력평가 및 공시현황에 따르면 2,500억원(주한미군기지이전 포함)으로 추산, 올해도 지속적인 활성화가 예상되고 있는 가운데 올해 특히 행복도시, 재개발 CM 등 대단위 개발사업 발주가 예정돼 있어 용산기지 이전사업 이후 최대 물량이 될 전망이다. 무엇보다도 작년 감리 발주가 CM 발주로 돌아서며 CM 물량이 증가된 것으로 분석, 올한해도 점차 확대될 것으로 점쳐지고 있다. 현재 지자체의 CM발주 물량이 점차 확대되고 있는 가운데 올한해 인천시에서 1조5,000억원 규모의 공사물량이 쏟아지며 CM발주가 검토되고 있어 관심을 모으고 있다. 인천시와 인천도시개발공사는 오는 2014년 아시안게임 개최, 2009년 EXPO 개최로 인해 대폭적인 시설 확충이 필요한 사안으로 인천시 종합건설본부와 인천도시개발공사는 각각 6,000-7,000억원 규모 이상의 공사발주를 CM으로 발주할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정부종합청사 신축공사와 관련 1조2,000억원 규모의 공사가 올 발주예정에 있는 가운데 행정자치부 청사이전관리단 주관하에 CM 발주를 검토 중에 있어 최대 400억원 이상의 CM 물량이 기대되고 있다. 또한 서울역세권 개발사업, 세운상가 재개발사업, 단국대 부지 개발사업 등 대규모 부동산 개발 프로젝트가 추진되고 있는 가운데 이 또한 CM용역 발주가 예상되고 있어 업계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이와함께 무주 태권도공원사업이 CM 용역비만 200억원으로 추산되며 업계 군침을 흘리고 있는 가운데 서울 동대문야구장을 헐고 새롭게 탄생되는 시설물 공사에 대한 CM 또한 업계 관심 프로젝트. 아울러 올 최초 120억원 규모의 물량이 발주, 입찰을 기다리고 있어 업계 관심을 모으고 있다. 강원랜드가 발주한 하이원리조트 콘도증설공사 CM용역(70억원)사업과 하이리조트 호텔 증설공사 및 One Stop 서비스센터 신축공사 CM용역(48억원)이다. 그리고 위험부담형CM(CM at Risk)방식 도입이 적극 추진되고 있는 가운데 CM at Risk가 시행되면 CM시장 규모는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날 것으로 기대되고 있어 고무적이다. 한편 지난해 미군기지 이전사업 종합관리용역(한국측)(건원 등 5개사/1,602억원), 제주첨단과학기술단지 지원시설 건립공사 CM용역(공간 등 3개사/22억9,000만원), 당진시천사 건립공사 CM용역사업(건원/20억5,000만원), 노동부 성남 종합직업체험관 신축공사 CM용역(itm 코퍼레이션 등 3개사/33억4,000만원) 등 주요사업이 발주됐으며 공공사업 발주가 전년대비 증가했다. CM 전문업체인 A사 한 관계자는 “지난해 민간 CM시장 규모가 약 2,500억원 정도로 추산, 올해는 민간시장 확대로 3,500억에서 최대 4,000억원 시장 규모에 이를 것으로”고 예상했다. 또다른 전문 CM업체 B사 한 관계자는 “무엇보다도 대가 현실화가 시급한 사안으로 ‘제값주고 제대로 서비스 받는 CM시장’ 구축으로 건설산업 선진화를 유도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지난해 CM 도입 10주년을 맞아 올해 10년 도약을 위한 원년으로 더욱 CM 활성화가 기대되는 가운데 CM 자격통합.대가 현실화 등 현안과제 해결을 위한 더욱 단합된 노력이 요구되고 있다. 건설관리학 - 건설관리(CM)의 개념 및 역할

26 건설사업관리사 자격증 건설관리학 - 건설관리(CM)의 개념 및 역할


Download ppt "건설관리학 강의슬라이드 1장. 건설관리(CM)의 개념 및 역할."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