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wnload presentation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2
이 장의 목적 은행의 자금조달과 부채관리에 대해서 공부함
은행의 자금조달 수단인 예금부채와 차입부채의 구체적인 내용과 특성을 배움 은행들이 부채관리를 하는 의의 및 목적을 알아봄 부채관리 기법을 어떻게 유동성 위험관리와 ALM에 활용하는지를 공부함 은행 부채구조에 대해 알아봄 은행 부채구조의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제반 요인에 대해 살펴보고, 은행 부채구조의 변화 추이와 그 원인에 대해 알아봄
3
목 차 개관 은행부채의 종류 및 특성 부채관리 은행 부채구조의 변화
4
1. 개관 은행의 부채 = 은행의 자금 원천(sources of funds)
부채관리 : 필요한 자금을 여하히 안정적으로(→ 위험관리), 그러나 가급적 낮은 조달비용으로 확보하느냐(→ 이익관리) 하는 자금조달 관리 예금의 대체금융상품, 대체투자수단이 공급되면서 은행의 독점적 지위가 무너짐에 따라 은행의 예금 의존도 감소 → 부채관리의 중요성 증가 가계, 기업 등 저축자들에게는 예금 이외의 대체 투자처가 생겼고, 은행에게는 예금자 이외의 대체조달원이 생김 금융의 글로벌로 외화자금 조달관리의 중요성 증가
5
2. 은행부채의 종류 및 특성 예수금 : 불특정 다수 고객으로부터 일정한 이자지급 조건으로 수납한 자금
차입부채 : 원리금의 반환을 약정하고 차입한 자금 예금과 차입부채의 차이 예금은 조기인출이 항상 가능한 반면, 차입부채는 만기까지 상환의무가 없음 양도성예금증서(CD)는 조기인출이 허용되지 않으므로 차입부채의 성격이 강한 저축성 예금 기타부채 : 은행의 영업과정에서 생기는 일시적 부채
7
예금부채 요구불예금 : 예금주의 지급청구가 있으면 언제든지 조건없이 지급해야 하는 통화성 예금. 지급결제의 편의 및 일시적 보관 목적 저축성예금 : 예금납입, 인출 방법에 대해 특정 조건이 있는 기한부 예금. 저축 및 이자수입 목적 양도성예금 : 정기예금에 양도성을 부여한 특수한 형태의 저축성 예금. 양도성 예금증서(CD)의 발행형식을 취하며 최저발행단위 1천만원 이상, 최단 만기 30일 이상이며 중도환매는 불허. 거액의 부동자금을 일시 보관하면서 이자수입을 얻을 수 있는 거액 예금수단 외화예금
10
차입부채 차입금 : 다른 기관으로부터 직접 차입한 자금(원화 및 외화) 사채 : 채권을 발행하여 조달한 자금(원화 및 외화)
콜머니 : 단기유동성 부족을 메우기 위해 다른 금융기관으로부터 초단기로 차입한 자금 콜시장 : 금융기관들의 단기자금 거래시장 환매조건부채권(RP 또는 Repo) 매도 : 일정기간 후 되사는 조건으로 유가증권을 매도하는 형식으로 자금을 차입하는 것
12
기타부채
13
핵심예금과 시장성 부채 핵심예금(core deposits) : 안정적이면서 상대적으로 조달금리가 낮은 자금
지급결제성 요구불예금(보통예금, 당좌예금 등), 소액 저축성예금(정기예금∙적금, MMD 등), 소액 CD 무원가성 예금 포함, 은행의 안정적 영업기반 시장성부채 : 변동성이 높고 금리에 민감한 자금 차입부채(차입금, 콜머니, RP매도, 사채 발행 등), 거액 저축성예금, 거액 CD, 외화자금, 해외지점 예금 등 조달의 용이성, 신축성이 장점으로 자금조달 및 관리 능력의 척도 그러나 잠재적 불안요인 우리나라는 예수부채(예수금 – CD)와 시장성 부채(차입금 + CD)로 구분
14
(다음 <그림 7-2> 미국 은행의 경우 참조)
핵심예금과 시장성 부채의 변화추이와 특징 (다음 <그림 7-2> 미국 은행의 경우 참조) 첫째, 은행 규모가 커질수록 핵심예금 비중이 감소, 시장성 부채 비중이 증가 대형은행은 자금시장에 대한 접근성, 시장에서의 인지도 및 신용도가 높기 때문 둘째, 모든 규모 은행에서 핵심예금 비중이 감소세, 시장성 부채 비중이 증가세 셋째,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은행 규모 차이에 따른 핵심예금, 시장성 부채 비중의 차이는 감소 추세 자금시장의 발전으로 전반적인 시장 접근성이 증가하면서 은행의 시장자금 의존도가 전반적 증가세 새로운 금융기법과 금융상품의 개발, 증권화(securitization)와 금융의 탈중개화(disintermediation)로 특히 중소형은행의 자금시장 접근성 제고
16
원화부채와 외화부채 외화부채는 외화예수금과 외화차입부채(외화차입금 + 외화사채 발행액)으로 구성(다음 <그림 7-3>, <그림 7-4> 참조) 외화부채는 전체 은행 자금조달액의 약 11.4%(2010년 평균잔액 기준) 외화예수금은 39.4조원(전체 은행 자금조달액에서의 비중 2.3%, 2010년), 비교적 안정적 외화차입부채는 156.7조원(전체 은행 자금조달액에서의 비중 9.1%, 2010년), 외화예수금의 4배 1997년 외환위기 이후 급감, 2005년 이후 국내은행 국제신용도 회복과 함께 다시 급증 국제금융시장의 풍부한 자금과 낮은 금리를 적극 활용 외화차입부채는 변동성이 커 외환유동성 위험관리, 환위험관리 강화 필요 국내은행의 국제신용도 변화, 국제금융시장 상황에 따라 급증감
19
은행부채의 일반적 특성 : 조달위험과 조달비용
조달위험(funding risk)와 조달비용(funding cost)은 반비례 관계 조달위험은 은행이 다시 자금을 조달할 때 발생하는 직∙간접의 모든 위험(금리변동 위험, 유동성 위험 등)을 말함 (다음 <그림 7-5> 참조) 은행은 자금조달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더 많은 조달비용의 지불을 감수해야 함. 은행 부채관리의 목적은 자금의 안정성과 비용절감의 조화
21
3. 부채관리 부채관리(liability management)의 의의 및 목적
예금(즉, 부채)과 대출(즉, 자산)의 불일치 → 유동성위험 및 금리위험 → 자금의 수요와 공급의 변동성 관리 필요 운용자산의 유동성 제고 자금조달 측면의 유동성 제고 = 부채관리 부채관리의 목적 조달비용의 최소화 안정적 자금조달원의 확보 규제회피: 법정지급준비, 예금보험료 등 규제비용 회피
22
유동성위험과 부채관리 유동성위험 : 예금 유출입의 변동 또는 대출 수급의 변동으로 인한 자금흐름의 예상치 못한 증감으로 은행이 (단기적인) 자금부족 상태에 빠지는 것 장기적으로는 자산과 부채의 만기불일치(maturity mismatch)로 인한 자금흐름의 불안정성을 의미 유동성위험 대처방법 자산측면에서의 유동자산 관리, 그러나 유동자산은 수익성이 없거나 낮아 보유량을 가급적 최소화 필요 유동자산 관리는 자산에 적절한 유동성을 저장(즉, 현금 및 중앙은행 예치금, 쉽게 현금화할 수 있는 투자유가증권 등 보유)하는 것 따라서, 부채측면에서의 유동성 조달능력 확보 필요 ≡ 부채관리
23
부채관리 자금의 조달기간이 길어질수록 자금조달의 안정성과 유동성 확보에는 도움, 그러나 조달비용이 상승 예를 들면, 예금만기가 길어질수록 수신금리 증가 (다음 <그림 7-6> 참조) 예금부채(핵심예금)와 차입부채(시장성 부채)를 상호보완적으로 적절히 배합함으로써 최저비용으로 필요한 때, 필요한 만큼 자금을 조달 예금부채도 장∙단기 예금을 적절히 배합 즉, 부채관리는 다양한 만기와 규모의 부채를 합리적으로 배합함으로써 조달구조의 적정화, 조달비용의 최소화를 이루는 과정
25
ALM에서의 부채관리 ALM(자산∙부채 종합관리) : 금리 및 유동성에 대한 다양한 가능성에 대비하여 은행의 대차대조표(자산 및 부채)를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것 자산과 부채 구성의 최적화를 통해 수익성과 안정성의 조화를 도모 ALM에서의 위험관리방식 자산과 부채의 만기 또는 듀레이션을 일치(maturity matching, or duration matching) 파생금융상품 등 부외거래를 활용 증권화(securitization) ALM에서의 부채관리는 부채를 조정하여 자산과 부채의 만기 또는 듀레이션을 일치시키는 방법
26
4. 은행 부채구조의 변화 부채구조의 선택 은행의 합리적 부채구조 선택 : 경영목표에 부합하는 적절한 수준의 자금 안정성과 조달비용의 조화 핵심예금 v. 시장성 부채, 장기자금 v. 단기자금 등 각 자금조달원 별로 특성(안정성, 신축성, 비용 등)이 상이 경영상 필요 및 자금시장 상황에 따라 기간, 규모, 수단별로 배합
27
자금시장의 발전 및 시장상황과 은행의 부채구조 선택
자금시장의 발전과 은행의 부채구조 선택 자금시장의 규모가 커지고 거래가 활발 → 자금시장의 접근성 증가, 비용 감소 → 시장자금 조달 용이 파생금융상품, 자산유동화 등 금융기법의 발달 → 자금조달 수단 다양화, 비용감소 → 예금 의존도 감소 자금시장의 상황과 은행의 부채구조 선택 자금시장이 안정적일 때 필요시 시장자금 조달 용이 → 예금의존도 감소, 시장의존도 증가 경향 자금시장이 불안할 때 시장자금 조달(신규조달, 만기연장, 차환 등) 어려워짐 → 예금의존도 증가, 시장의존도 감소 경향
28
자금 간 상대가격과 은행의 부채구조 선택 “다른 조건이 동일하다면” 상대적으로 금리가 비싼 자금을 줄이고 금리가 싼 자금을 늘려 조달비용 최소화 실질 조달비용 = 명시적 금리 + 암묵적 비용 예금의 암묵적 비용(은행의 경우) 예금보험료 : 매년 예금 평균잔고의 0.08% 예금보험기금채권 상환특별기여금 : 매년 예금 평균잔고의 0.1% 1997년 외환위기시 투입한 공적자금의 손실을 일부 보전하기 위해 통상의 예금보험료와 별도로 금융기관에 부과하는 특별부담금 예금에 대한 법정지금준비금 : 예금별로 상이 정기예금의 법정지급준비율 2%(제4장 표 4-1 참조) 기타 규제준수비용(compliance costs): 규제로 인한 상대적 부담의 차이
29
[참고] 정기예금의 실질 조달비용 계산례 [예시] 정기예금 명목금리; 연리 3.5%
예금보험료; 예금액의 연 0.08% 예금보험기금채권 상환특별기여금; 예금액의 연 0.1% 정기예금의 법정지급준비율; 2% 정기예금 100원에 대한 총비용 = 100 x ( ) = 3.68 가용자금 = 예금액 – 법정지급준비금 = 100원 – 2원 = 98원 정기예금의 실질 조달비용 = 가용자금의 원가 = 총비용 ÷ 가용자금 = 3.68 ÷ 98 = , 즉 3.755% 정기예금의 실질 조달비용 = 명목 예금금리 + 추가비용 합계 → 추가비용 합계 = 3.755% - 3.5% = 0.255% 법정지준 부담 = 추가비용 합계 – 예금보험료 – 상환특별기여금 = 0.255% % - 0.1% = 0.075%
30
은행 부채구조의 변화 추이와 특징 부채구조 변화추이
(미국 및 한국의 변화 추이는 다음 <그림 7-7> 및 <그림 7-8> 참조) 첫째, 예금의존도 감소 추세인 반면, 시장자금 의존도 증가 추세 둘째,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그 추세가 반전 은행의 자금조달에서 시장자금 비중이 증가 추세인 이유 새로운 금융기법과 파생금융상품의 개발, 위험관리기법의 발전, 규제완화 등으로 금융의 탈중개화와 시장화가 진전 금융권역별 특성이 희석되고 권역간 칸막이가 낮아지면서 금융산업에서 은행의 비중이 감소하고 직접금융시장이 빠르게 성장 (미국의 경우는 다음 <그림 7-9> 참조)
34
우리나라 은행 부채구조 변화의 원인 첫째, 우리나라 금융산업에서(미국에서와 같이) 은행의 비중이 감소하고 자본시장의 비중이 증가하는 추세 따라서 은행도 상대적으로 위축되는 예금에만 의존할 수 없기 때문에 예금중심형 구조에서 탈피하여 시장자금 의존도 증가 추세 둘째, 은행의 수수료 수입 강화전략 수익 제고와 다변화 위해 예금고객에게 방카슈랑스와 펀드 판매를 강화한 결과 핵심예금의 이탈 야기 셋째, 은행의 부동산담보대출 경쟁 국내시장 및 해외시장에서 자금을 차입하여 부동산담보대출 확대
35
[참고] 우리나라 금융산업의 구조변화 추이 우리나라는 전반적으로 미국, 영국의 구조를 따라가는 추세
가계금융자산에서 금융투자상품의 비중 증가 추세 우리나라는 영∙미에 비해 가계금융자산에서 예금의 비중이 월등히 높고 금융투자상품의 비중이 아직 낮은 수준(다음 <표 7-5> 참조) 그러나 2000년대 들어 현금 및 예금의 비중은 빠른 감소세, 금융투자상품은 빠른 증가세를 보이고 있음(다음 <그림 7-10> 참조) 자본시장의 규모 증가(다음 <그림 7-11> 참조) 은행의 수신비중 감소세(다음 <그림 7-12> 참조)
Similar present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