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자료의 조직 지식정보자원활용.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자료의 조직 지식정보자원활용."— Presentation transcript:

1 자료의 조직 지식정보자원활용

2 인간 지식전승의 메커니즘 사회의 기록 기억 인간의 활동, 경험 개인의 의식 으로 이동 축적

3 자료조직의 배경 사회의 기억 기록 자료조직 개인의 의식 으로 이동 인간의 활동, 경험 사회의 기억과 개인의 연결 고리 축적

4 1. 학문영역의 구분 인문학 인간의 정신, 의식, 문화, 역사적 활동의 산물에 대한 학문적 탐구를 중심으로 함.
어학, 문학, 역사학, 철학, 예술 일반 등을 포함.

5 사회과학 정치, 경제, 법 등 사회 제도 및 시스템에 관한 연구를 중심으로 함. 정치학, 경제학, 경영학, 무역학, 사회학, 법학, 교육학, 심리학* 등을 포함. *심리학은 자연과학의 범주에 넣기도 함.

6 자연과학 자연에 대한 관찰과 기술을 중심으로 함. 기초과학과 응용과학(applied science)으로 나뉨.
- 기초과학은 수학, 물리학, 화학, 생물학 등을 포함.

7 - 응용과학은 공학과 응용공학으로 나뉨. .공학은 기계공학, 컴퓨터공학, 정보통신공학, 멀티미디어 공학 등을 포함. .응용공학은 화학공학, 유전공학, 생명화학공학, 신소재 공학, 환경공학, 건설공학 등을 포함.

8 2. 분류 2.1 정의 종류에 따라서 가름/나눔 유사한 것을 그룹화함
2. 분류 2.1 정의 종류에 따라서 가름/나눔 유사한 것을 그룹화함 어떤 대상을 종류별(class)이나 집단(group)으로 체계적 으로 배열하거나, 특정한 종류별로 나눔 분류를 통해 무질서한 상태에 있는 어떤 대상들이 본질 적인 속성의 유사정도에 따라 체계적으로 배열됨.

9 자료 분류 주제, 형식, 관점, 측면 등의 유사성 또는 특정 원칙이 나 목적*에 따라 체계적으로 조직하는 행위나 과정
이러한 과정에 의하여 모아진 자료 내에서 각각의 자료 를 추가로 차별화 또는 개별화하는 절차 위와 같은 절차를 거친 후 정보자료를 해당 위치에 배 정하는 것까지 포함하는 개념 * 궁극적인 목적은 접근 및 이용의 편의성 증진

10 2.2 도서관 자료분류의 목적 및 효과 도서관(서점)의 입장 [참고]
소장자료의 윤곽, 즉 주제별 분포 정도, 밀집 정도, 소장 장서의 강점과 약점의 파악이 가능 자료 선택 및 장서 구성에 필요한 통계데이터 제공 자료의 대출(판매) 및 이용상황/경향을 학문영역별, 주 제별, 유형별, 이용자 집단별 등의 기준에 따라 신속하게 파악 가능

11 기존 자료의 정확한 재배열이나 새로운 자료의 배열에 도움이 됨
장서점검이나 문헌의 폐기 과정을 원할히 함

12 이용자(고객)의 입장 자료의 전체적인 체계(장서구성, 수서경향, 강약점, 주제별 장서량 등)를 파악하기가 용이함 특정 주제의 자료가 있는지 파악하는 것이 가능 학문영역별, 주제별, 관심분야별 자료에 접근할 수 있음

13 체계적인 훑어보기를 통해 비슷한 자료에의 접근이 쉽 고 신속한 검색이 가능
원하는 자료를 찾는데 소요되는 시간과 노력을 줄일 수 있음

14 2.3 분류시스템 2.3.1 듀이십진분류시스템 DDC : Dewey Decimal Classification 십진분류법이란?
10가지 주류 10가지 강목 10가지 요목

15 DDC Melvil Dewey 고안 1876년 DDC 초판 발행 현행 분류시스템 중 가장 오래됨 DDC 23 edition

16 DDC 가장 많이 사용됨 135개국, 30개 이상 언어로 번역 공공/학교도서관 95% 사용

17 Melvil Dewey: Father of Library classification
뉴욕 태생 1874년, Amherst College 졸업

18 DDC 주류 000 총류(Generalities) 100 철학(Philosophy & psychology)
200 종교(Religion) 300 사회과학(Social Sciences) 400 어학(Language) 500 순수과학(Natural sciences & mathematics) 600 기술과학(Technology (Applied Sciences)) 700 예술(The art) 800 문학(Literature) 900 역사(Geography & history)

19 한국십진분류시스템 Korea Decimal Classification (KDC) 한국도서관협회, 1964년 2009년, 제5판 한국도서관협회 분류위원회에 의해 발행 및 개정이 이 루어지고 있는 우리나라의 표준분류표 주류의 배열 : DDC와 유사한 반면, 어학과 문학이 인접. 동양, 한국서 중심

20 조기성 (助記性) 조기성이란 문서 또는 자료의 형식이나 성격이 같은 것에는 공통된 번호, 즉 조기호(助記號)를 붙여 사용 함으로써 분류번호의 조직을 쉽게 이해하고 기억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말함. 예: 03-백과사전, 103, 203,

21 KDC 주류 000 총류 100 철학 200 종교 300 사회과학 400 순수과학 500 기술과학 600 예술 700 어학
800 문학 900 역사

22 십진분류의 계층성 (hierarchy) 주류(main classes) - 10 전체 지식을 1에서 9까지의 주제영역으로 배정
여기에 해당 되지 않는 기타 주제를 0에 배정 강목(divisions) - 100 각각의 주제영역은 다시 10개의 하위그룹으로 배정

23 요목(sections) 각각의 하위그룹은 다시 10개의 소그룹으로 계층 구분 세목(subsections) 기본단위 세 자리 숫자 다음에 point 를 찍고 계속 전개 -> DDC, KDC -> UDC, NDC [참고]

24 KDC의 구성 (강목 표) 000 총류 100 철학 010 도서학, 서지학 110 형이상학
000 총류 철학 010 도서학, 서지학 형이상학 020 문헌정보학 인식론, 인과론, 인간학 030 백과사전 철학의 세계 040 강연집, 수필집, 연설문집 경학 050 일반연속간행물 동양철학, 사상 060 일반학회, 단체, 협회, 기관 서양철학 070 신문, 저널리즘 논리학 080 일반전집, 총서 심리학 [???] 090 향토자료 윤리학, 도덕철학

25 200 종교 300 사회과학 210 비교종교 310 통계학 220 불교 320 경제학 230 기독교 330 사회학, 사회문제
200 종교 사회과학 210 비교종교 통계학 220 불교 경제학 230 기독교 사회학, 사회문제 240 도교 정치학 250 천도교 행정학 260 신도 법학 270 힌두교, 브라만교 교육학 280 이슬람교(회교) 풍속, 예절, 민속학 290 기타 제종교 국방, 군사학 * 종교: DDC가 구미 본위로 되어 있어 동양의 제종교에 균등하게 배정 260(신도)항목이 삭제, 270(바라문교, 인도교) 표목변경 * 사회과학: 정치학(340), 행정학(350)을 인접시켜 관련 학문이 전후에 옴 DDC의 경제학(330), 경영학(650), 무역(380)이 분리된 것을 경제학(320), 경영학(325), 무역(326)을 인접시킴

26 400 자연과학 기술과학 410 수학 의학 420 물리학 농업, 농학 430 화학 공학, 공업일반, 토목공학, 환경공학 440 천문학 건축공학 450 지학 기계공학 460 광물학 전기공학, 전자공학 470 생명과학 화학공학 480 식물학 제조업 490 동물학 생활과학 * 자연과학: 400 주류의 명칭이 순수과학-> 자연과학으로 변경 DDC의 고생물학(560)이 KDC에서는 457 요목으로 격하됨 광물학(460)이 강목에 나옴 * 기술과학: 590(가정학 및 가정생활) 표목변경 4판 개정시 가장 많이 변경된 류

27 600 예술 700 언어 610 건축술 710 한국어 620 조각 및 조형예술 720 중국어
600 예술 언어 610 건축술 한국어 620 조각 및 조형예술 중국어 630 공예, 장식미술 일본어 및 기타 아시아제어 640 서예 영어 650 회화, 도화 독일어 660 사진예술 프랑스어 670 음악 스페인어 및 포르투갈어 680 공연예술 및 매체예술 이탈리아어 690 오락, 스포츠 기타 제어 * 예술: DDC의 도시계획과 조경학(710)을 제거하고 공예(630), 서예(640)을 신설 DDC의 회화(750) 필사예술과 판화(760)을 합하여 회화, 도화(650) 항목으로 배정 620 조각 -> 조각 및 조형예술로 보완 연극(680)을 DDC의 목에서 강으로 승격 -> 공연예술 및 매체예술 * 언어: 동양서 특히 한국어를 중심으로 구분 배열됨 우리에게 잘 알려진 언어의 순위로 배정됨

28 800 문학 역사 810 한국문학 아시아 820 중국문학 유럽 830 일본문학 및 기타 아시아문학 아프리카 840 영미문학 북아메리카 850 독일문학 남아메리카 860 프랑스문학 오세아니아 870 스페인 및 포르투갈문학 양극지방 880 이탈리아문학 지리 890 기타 제문학 전기 * 문학: 문학류의 하위강목들은 700 언어류의 강목 및 국어구분과 조기성을 유지하고 있음 언어의 경우와 마찬가지임 문학시대구분을 구체화함 선택조항의 추가적용(예: 소설의 장르, 미국문학의 구별) * 역사: 각국역사를 먼저 까지 배정한 뒤 지리와 전기를 배정 동양중심으로 전개 지명의 나열을 최소화하고 지역구분표를 상세하게 전개

29 십진분류(예 1) 000 (主類) (綱目) (要目) (細目)

30 십진분류(예 2) 모든 지식을 주류라는 열 개의 광범위한 학문 분야로 구분하고 이들을 계속적으로 강, 목, 세목의 단계의
십진식으로 세분 강, 목, 세목의 단계의 십진식으로 세분

31 십진분류(예 3) 계층적 구조 상위류와 하위류의 종속적인 관계 600 Technology (기술과학)
630 Agriculture and related technology (농업과 관련 기술과학) 636 Animal husbandry (축산업) 636.7 Dogs(개) 636.8 Cats(고양이) DDC 분류 사례

32 십진분류(예 4) 계층적 구조 상위류와 하위류의 종속적인 관계 500 기술과학(응용과학) 520 농업, 농학 527 축산학
500    기술과학(응용과학)                 농업, 농학                   축산학 가축                   개                고양이 KDC 분류 사례

33 2.3.3 미국 의회도서관 분류 시스템[참고] Library of Congress classification(LC) 미국 의회도서관 1897년 의회도서관 분류시스템 적용 역사, 지리, 사회과학영역에 치우쳐져 있음 기호법: 알파벳 문자와 아라비아 숫자를 조합한 혼합기호 사용

34 LC 주류[참고] HG 재정. 금융 J 정치. 행정 (C.D.E.F도 참고) K 법 L 교육 P 언어 Q 자연과학
R 보건, 의학 S 농업 T 기술 U 국방, 군사 Z 서지, 문헌정보학 A 일반 B 심리. 철학. 종교 C.D.E.F 역사 G 지리. 인류학 H 사회과학일반 HA 통계학 HB 경제이론 HC 경제사. 각국 경제현황 HD 경영. 생산. 산업. 노동 HE 교통. 통신 HF 무역. 상업

35 2.4 저자기호표 동일 분류기호 아래 집중한 도서를 다시 배열하기 위하 여 저자의 성명을 문자, 숫자 또는 기타 기호로 조직화한 기호법 1871년, J. Schwartz, 숫자로 된 저자기호 고안 1878년, Chales Ammi Cutter, 숫자로 된 저자기호표 발표 1958년 리재철, 이춘희, 장일세 저자기호표 한성대 학술정보관: 리재철 저자기호표, 카터저자기호표

36 3. 목록 3.1 어원 및 정의 어원 Catalog :καταλοϒος
자료에 관한 기록을 일정한 체계에 따라 배열한 일람표라는 의미로 사용 정보와 지식의 소재 정보를 제공하는 도구 ‘에 의하여’, ‘에 따라서’ 말(word), 질서, 이유

37 3.2 역사 및 등장배경 서구에서 1400년대까지 목록 개인, 도서관, 수도원 소장 문헌에 대한 단순한 기록
자산목록(inventory list) 교육인구 증가 및 인쇄술 발달 출판물 증가 자료 소재 파악의 문제 대두

38 3.3 도서관 목록 3.3.1 정의 및 규칙 특정 도서관이나 일단의 서지기관이 소장하고 있는 자료를 해석한 간략한 기록으로서 자료의 서지적 특성을 일정한 체계에 따라 조직한 것 서지정보 (Bibliographic information) : 출판물에 관한 자세한 사항. 저자, 서명, 출판사, 출판지, 판차, 시리즈, 권, 호, 가격, 편집자, 역자, 삽화자 등을 포함. 목록작성 일정한 체계를 갖추고, 정해진 규칙에 따라, 일관성 있게 조직

39 3.3.2 구비조건 목록의 생산과 관리가 경제적이어야 함[관리자] 데이터가 논리적이고 간결해야 함[관리자/이용자]
접근점(access point) 식별 용이[관리자/이용자] (Evans and Heft Introduction to technical services).

40 3.3.3 기능 저자명, 서명, 주제, 유형 등을 통한 특정 문헌 검색 기능 특정 저자, 주제, 유형 및 판의 문헌 소장 여부 제시 기능 (Charles Ammi Cutter 1904)

41 3.3.4 기입정보 서지정보 – 예 서명 학술정보자원 활용 이용남 외 공저. 저자명 이용남
기입정보 서지정보 – 예 서명 학술정보자원 활용 이용남 외 공저. 저자명 이용남 출판사항 서울 : 한성대학교출판부, 2001. 형태사항 Page: 288 p. : 삽도 ; 크기: 26 cm. 총서명 교양총서 -한성대학교출판부 ; 1-2 ISBN [ISBN number -> next slide] 가격 ₩12000

42 ISBN (International Standard Book Number)
도서[단행본]에 부여되는 국제표준도서번호 각 자료에 고유하게 부여 10자리 숫자로 구성 : 국가-발행처-서명-검사용 예) ISSN (International Standard Serial Number) 연속간행물에 부여되는 국제표준연속간행물번호 8자리 숫자로 구성 -> 일체의 다른 서지정보 없이도 특정자료의 식별 (및 검색)이 가능함.

43 청구기호[자료 위치 표시] – 예 Donald Moffat의 Economics dictionary. R 별치기호 [R -> next slide] 분류기호 M723e 도서기호 v 권,연차기호 c 복본기호

44 별치기호 R은 참고도서를 의미함. 참고도서(참고정보원) [Reference Resources; Reference Materials] 단편적인 정보를 수록하고 있는 사전, 백과사전, 관보, 연 감, 주소록, 어휘 및 용어 사전, 색인, 서지, 지도서 등과 같은 참고용 도서. 대부분의 도서관이 별치기호 R을 부여하여 관리. 열람실 안에서 참고용으로만 이용되고 도서관 밖으로는 대출이 되지 않음.

45 3.3.5 목록규칙 [참고] 통일성, 정확성, 일관성 있는 편목을 위한 약속 역사 Panizzi’s Code(1841)
목록규칙 [참고] 통일성, 정확성, 일관성 있는 편목을 위한 약속 역사 Panizzi’s Code(1841) AACR2R(Anglo-American Cataloguing Rules 2nd edition Revision), 2002 AACR1(Anglo-American Cataloguing Rules), 1967 박봉석의 동서편목규칙, 1948 KCR4, 2003

46 3.3.6 OPAC Online Public Access Catalog(OPAC)
자료에 대한 서지정보, 위치정보, 대출상황 등을 온라인 으로 제공해 주는 시스템 -> 모든 현대식 도서관이 제공 -> 학술정보관 ‘소장자료검색’ 기능을 지원

47 OPAC 의 특징 시간, 공간적 제약 없음 동시에 여러 명이 사용 검색제한자 다양 (저자명, 서명, 주제명, 분류기호, 출판사명, ISBN, ISSN, 청구기호 등) 기관(시스템)별 지원하는 검색제한자에 편차 있음 최신성 유지

48 전거 통제(典據 統制) 또는 전거 제어(典據 制御) 방식 으로 관련자료를 효율적으로 검색
도서관에서 도서 목록이나 서지 정보를 일관적으로 다루는 방식 전거 통제의 전거는 사람, 장소, 물건 등의 이름이 " 공인된", 다시 말해 하나의 형식으로 굳어진 것이라 는 아이디어에서 따 온 것 한가지에 하나의 이름을 부여하는 방식은 도서 목록 에서 일관적으로 유지되며, 다른 목록 데이터와의 연 계는 링크와 상호 참조를 통해 이루어짐. END


Download ppt "자료의 조직 지식정보자원활용."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