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커뮤니케이션 핵심이론> 11장. 이용과 충족 이론.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커뮤니케이션 핵심이론> 11장. 이용과 충족 이론."— Presentation transcript:

1 <커뮤니케이션 핵심이론> 11장. 이용과 충족 이론

2 생각해보기 한류 열풍의 기폭제 역할을 한 <겨울연가>(199쪽 기사 참고). 과연 <겨울연가>의 무엇이 일본 중년여성들로 하여금 한국에 열광하게 만드는 것일까? 그네들은 <겨울연가>에서 어떤 만족감을 얻는 것일까? 2. 다음은 일상적으로 경험하는 여러 가지 미디어행위이다. 이중에서 그것을 즐기지 못할 때 가장 아쉬운 것 세 가지를 고르고 각각의 이유를 말해보자. ① 영화관람   ② TV시청   ③ 케이블TV 시청   ④ 신문읽기   ⑤ DMB 시청   ⑥ 인터넷 서핑   ⑦ 잡지 읽기   ⑧ 음악감상  ⑨ 책읽기  ⑩ 라디오 듣기   ⑪ 기타

3 이용과 충족 이론의 개념 및 전제 ◈ 이용과 충족 이론(Uses and Gratifications Theory)
① 왜 사람들은 미디어를 이용하며, ② 미디어 이용을 하도록 사람들에게 동기부여하는 것은 무엇이며, ③ 그로 인해 충족되는 것은 무엇인가 ◈ 이용과 충족 이론의 전제 조건(Katz, Blumler, Gurevitch, 1973) ① 수용자는 능동적이고, 그들의 미디어이용은 목적 지향적이다. ② 미디어는 욕구충족 면에서 다른 미디어와 경쟁한다. ③ 사람들은 자신의 미디어 이용, 관심, 동기에 대해 충분히 인식하고 있다. ④ 특정 미디어나 내용을 욕구와 연결시키는 가치판단은 사람마다 다르다.

4 (what people do with media?)
이론의 등장 배경-능동적 수용자론  “커뮤니케이션 연구분야는 시들어가고 있다.” - 베럴슨(B. Berelson) , 1959년 반박 이용과 충족의 개념을 제시 -엘리후 카츠(E. Katz) 시들어가고 있는 것은 설득 커뮤니케이션 분야일 뿐이며, 설득 커뮤니케이션보다는 매스 커뮤니케이션에 보다 많은 연구영역들이 존재한다고 주장 수용자가 미디어를 이용해서 무엇을 하는가? (what people do with media?)

5 이론의 등장 배경-능동적 수용자론 ◈ 능동적 수용자론 연구의 역사 1940년대 미디어가 수용자에게 어떤 효과를 가져오는가 이전
◈ 능동적 수용자론 연구의 역사  1940년대 이전 미디어가 수용자에게 어떤 효과를 가져오는가 예) 강력효과 이론 1940년 허조그(H. Herzog, 1944)의 라디오 드라마 청취요인 연구 - ① 정서적 해소, ② 유희, ③ 청취 후담 1940년대 이후 이용과 충족 이론 의제설정 이론 침묵의 나선 이론

6 이론의 등장 배경-능동적 수용자론 ◈ 능동적 수용자 연구에 대한 관심이 촉발되게 된 배경
첫째, 새로운 서베이 연구방법(설문지-자기 기입식)과 자료 분석기법이 개발되었기 때문이며, 둘째, 사람들의 미디어 이용이 미디어 효과를 좌우하는 중개변인일 수 있다는 연구들이 지속적으로 증가하였고, 셋째, 미디어의 의도하지 않은 부정적 효과에만 초점을 맞추고, 의도된 긍정적 이용은 무시되었다는 주장이 제기되면서부터다.

7 욕구, 동기, 모티베이션 ◈ 욕구(needs) - 유기체의 생리적 또는 심리적 상태가 어떤 의미에서 불균형이 된 상태를 의미
- 욕구는 생체의 개체보존, 종족보존에 주로 관계된 생득적 차원의 ‘일차적 욕구’와 경험을 통해 환경에 적응하도록 습득된 ‘이차적 욕구’로 구별됨 결핍 욕구와 비결핍 욕구로 나누기도 한다. 대개 일차적 욕구가 결핍 욕구라면, 이차적 욕구는 비결핍 욕구에 해당 결핍 욕구(deficiency needs) : 애정결핍, 안전결핍처럼 내적 결핍감에서 오는 욕구로서, 이를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주로 타인에게 의존 비결핍 욕구(non-deficiency needs) : 기본적인 결핍 욕구에서 한 차원 높은 욕구로서, 자아실현 욕구 같은 것이 이에 해당

8 욕구, 동기, 모티베이션 : 사람들이 미디어를 이용하는 동기 ◈ 동기(motives) 오락 환경감시: 세상사에 대한 추적
정보: 재미있고 유익한 일에 대해 아는 것 전환: 미디어 현실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 긴장해소, 도피 사회적 상호작용 의사사회적 상호작용(parasocial interaction) 정체성 시간 때우기 동료애: 외로움 해소

9 욕구, 동기, 모티베이션 ◈ 모티베이션(motivation) - 모티베이션은 일종의 보상적 동기로서, 미디어 이용의 행동을
촉발시키도록 만드는 인지된 보상을 의미 ◈ 미디어 이용 보상적 동기의 두 차원 인지적 차원 : 환경감시, 정보 등 정서적 차원 : 오락, 긴장해소, 사회적 상호작용, 시간 때우기 등

10 미디어 이용과 충족 ◈ 행위(activity) 사전노출행위(pre-exposure activity)
: 이는 미디어 이용의 준비 단계로서, 어떤 채널을 선택할 것인가 마음속으로 생각하거나, 신문을 보거나, TV가이드를 읽거나 하는 준비행위를 말함. 진행노출행위 : 미디어 내용에 대한 사람들의 관여 정도를 말한다. 즉 미디어를 이용하는 동안의 동시적 행위를 의미함. ◈ TV뉴스의 선택 행위 의도적 행위(intentionality): 뉴스 시청의 계획 정도 선택적 행위(selectivity): 내용의 의도적 선택 정도 관여적 행위(involvement): 미디어 내용에 대해 생각하는 정도

11 미디어 이용과 충족 ◈ 이용(uses) - <특정> 미디어(신문, 방송, 인터넷 등)나 <특정> 채널을 선택하는 행위 ◈ 충족(gratification) 미디어 이용을 통해 원래 가졌던 욕구가 얼마나 충족되었는가의 정도를 말함 수많은 이용과 충족 연구들은 미디어에 대한 충족 추구(gratifications sought)와 미디어로부터 얻은 충족(gratifications obtained)을 추출하여 매스 미디어의 기능과 효과를 설명하고 있음.

12 이용과 충족 이론의 장단점 ◈ 장점 ∙ 매스 커뮤니케이션 과정에서 개인에 관심의 초점을 두었다.
◈ 장점 ∙ 매스 커뮤니케이션 과정에서 개인에 관심의 초점을 두었다. ∙ 미디어 소비자의 지적 능력에 대한 경의를 표시하고 있다. ∙ 사람들이 미디어 내용을 어떻게 경험하는가에 대한 통찰력 있는 분석을 제공하고 있다. ∙ 미디어의 능동적 이용을 수동적 이용과 차별화하였다. ∙ 미디어의 이용을 일상적 사회적 상호작용 과정으로서 연구하였다. ∙ 뉴미디어의 채택에 대해 유용한 통찰력을 제공하고 있다. ◈ 단점 ∙ 기능적 분석에 대한 의존은 현상유지적 관점을 낳는다. ∙ 효과의 존재나 부재를 쉽게 나타낼 수 없다. ∙ 중요한 개념의 측정에 문제가 있다. ∙ 지나치게 미시적 수준의 이론이다.

13 이용과 충족 이론 연구의 방향 ◈ 지향성 연구(Alan M. Rubin, 1984)
관습적 지향(ritualistic orientation) 도구적 지향(instrumental orientation) ◈ 기대가치 모델(expectancy-value model)  피시바인과 에이젠(M.Fishbein & Ajzen, 1975) 인간은 자신에게 유용한 정보를 합리적인 방법으로 이용하는 존재라고 정의하 며, 개인의 미디어 행동은 결과에 대한 가능성과 가치에 의해 달라진다고 주장 베이브로(Babrow, 1987) 기대를 ‘텔레비전 노출행위와 관련해서 지각하고 있는 결과 (긍정적 또는 부정적)’라고 정의 ◈ 뉴미디어의 이용과 충족 연구 전통적 미디어 이용과 뉴미디어 이용에 대한 동기는 유사 - 인터넷 수용자 역시 도피, 오락, 상호작용, 환경감시 등

14 이용과 충족 이론을 적용한 국내 연구 사례 허경호 (2005) -‘시청조절능력과 텔레비전의 이용과 충족’ 박광순·조명휘
(2004)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웹블로그(web blog)에 대한 이용동기와 이용만족을 조사  박성희·최준호 (2004) 한국과 미국의 네티즌들이 어떤 인터넷 이용동기와 이용행태를 갖고 있는가를 비교·분석  박종민 (2003) 텔레비전, 인터넷, 휴대전화의 미디어 속성 차이를 비교하면서 이를 미디어 이용동기와 연관시켜 분석 이인희 (2001) 대학생집단을 대상으로 휴대폰 이용동기에 대해 조사  배진한 (2000) 여성들이 전화라는 커뮤니케이션 매체와 맺고 있는 특별한 관계를 고찰 최양호 (2000) 기대가치론적 충족모형을 적용하여 로컬TV 뉴스를 분석

15 연습문제 좋아하는 미디어 장르 5개를 골라 그 장르에 의해 어떤 욕구가 얼마나 충족되었는지 설명해보시오.
좋아하는 미디어 장르 5개를 골라 그 장르에 의해 어떤 욕구가 얼마나 충족되었는지 설명해보시오. 2. 이용과 충족 이론의 독립변인과 종속변인은 무엇이며, 어떻게 측정할 수 있는지 설명해보시오. 3. 각자의 미디어 이용행태를 이용과 충족 이론에서 나오는 개념들을 사용하여 설명해보시오. 4. 새로 등장하고 있는 뉴미디어들은 수용자들에게 어떤 충족기대를 가져올 수 있는지 알아보시오.


Download ppt "<커뮤니케이션 핵심이론> 11장. 이용과 충족 이론."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