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wnload presentation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1
응급 의료 체계 Emergency Medical Service System
응급의학교실
2
응급의료체계 Emergency Medical Service (EMS) System
응급환자를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치료하기 위하여 관련된 인력, 장비, 자원을 조직적으로 운영하는 체계 응급의료를 지역사회에 효과적으로 적용시키기 위한 사회적 조직망
3
응급의료체계의 역사적 배경(1) 전쟁과 더불어 발전 전 쟁 명 도입자 혹은 시도된 응급처치
전 쟁 명 도입자 혹은 시도된 응급처치 나폴레옹 전쟁 B.J. Larry (Chief Surgeon) (1800년대 초) 전쟁터에서 마차로 후송 크리미안 전쟁 Florence Nitingale (1854년) 전상자 간호 개념 도입 미국 남북전쟁 J. Letterman (1862년) Napoleon’s Surgeon의 후송 개념 도입 제 1차 세계대전 Thomas splint 골절의 고정 (1914년) 스페인 전쟁 현장에서의 수혈 (1936년) 제 2차 세계대전 쇼크 처치, 항공 이송 (1940년) 한국동란 (1950) 신장의 생리, 헬리콥터에 의한 항공이송 베트남 전쟁 (1975) ARDS, 제트 항공기에 의한 환자이송
4
응급의료체계의 역사적 배경(2) 미국 1865년 Cincinnati hospital bases ambulance
1869년 New York Bellevue Hospital 1950년대 : 장의사 1960년대 이후 : 국가 지원의 조직 운영 1966 년 : Neglected disease (백서) 응급의료 기금법 1970년대 : 전국적인 응급의료체계 실시 1973년 : 응급의료법
5
응급의료체계의 역사적 배경(3) 우리나라 6.25 : 민간 구급차 서비스 시작 1982년 : 119 구급대 창설
1988년 : 서울 올림픽 의무지원 1989년 : 응급의학 수련제도 시작 1991년 : 129 정보센터, 응급의료센터 1994년 : 응급의료법 제정 1995년 : 1, 2급 응급구조사 배출 1996년 : 응급의학 전문의 배출 시작 2002년 : 응급의료 기금 지원방안(교통벌과금 20%)
6
응급의료체계의 활동 단계 병원 전단계 (Prehospital stage) 병원 단계 (Hospital stage)
현장단계 : 출동 및 현장 처치 이송단계 : 이송 및 이송 중 처치 병원 단계 (Hospital stage) 응급실 내 응급 처치 전문적 집중 처치
7
외국의 응급의료체계 미-영 체계 Bring Patient to ER 독-불 체계 Bring ER to Patient
8
수준 및 운영 First responder, BLS & ALS에 따른 tiered system
Private , public & hybrid utility Urban & rural EMSS & EMS-C Medical & traumatic
9
응급의료센터 현황 중앙 응급의료센터 1 권역 응급의료센터 15 전문응급의료센터 1 ? 지역 응급의료센터 107
중앙 응급의료센터 1 권역 응급의료센터 15 전문응급의료센터 1 ? 지역 응급의료센터 107 지역 응급의료지정병원 252 1339 응급의료 정보센터 12 2003 보건복지부
10
응급의료체계의 문제점 예방 가능 사망율 10% 문제요인 % 이송 미비 13.9 응급의료기관의 미비 52.3 병원간 후송의 문제
18.3 기타 15.5 예방 가능 사망율 10% 1999년 한국 보건 산업 진흥원
11
구급차 현황 의료기관 2636(108) 119 구급대 1146(542) 대한 응급환자 이송단 163(14) 민간 이송업자
302(121) 민간 330(6) 기타 73(2) 합계 (특수) 4627(793) 2003 보건복지부
13
응급의료체계의 15가지 요소 전문 인력 신고체계 교육 이송체계 통신체계 의무기록표준화 환자 이송 방법 일반인 홍보 및 교육
응급의료기관 집중처치기관 공익안전단체 일반인 참여 신고체계 이송체계 의무기록표준화 일반인 홍보 및 교육 응급의료체계평가기관 재해대책수립 상호협력체계
14
응급의료체계 요소 전문인력 일반인 (lay person)
최초 반응자 (first responder) : 경찰, 소방, 각종 안전요원 전화상담원 (dispatcher) 응급구조사 (emergency medical technician) : 1급, 2급 응급간호사 (emergency nursing) 응급의학전문의 (emergency physician)
15
의료 통제 (medical control)
직접 통제 (direct) 의사와의 유, 무선 통화에 의한 지시 간접 통제 (indirect) 사전 훈련, 지침서 활용 응급 처치 활동 상황 기록 검토
16
응급의료체계 요소 장비 응급 의료 장비 : 이동성, 경량, 자체전원 자동제세동기, 호흡보조장비, 외상처치장비, 환자이송장비
통신 장비 원거리 이송 장비 일반구급차, 특수구급차, 헬기 또는 비행기, 구급선박
17
응급의료체계에서의 통신체계 UHF, VHF Cellular communication, PDS 등 GPS, GIS 등
Global Mobile Communication : IMT-2000 등
18
응급의료체계의 진행단계 목격자에 의한 환자 발견과 기본 처치 응급전화에 의한 응급의료체계의 반응 응급의료요원에 의한 현장 처치
응급의료요원에 의한 전문 인명구조술과 이송 응급실에서의 응급처치 조직의 구성 및 토론 계획수립, 교육, 평가 연구
Similar present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