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I. 은폐,축소,수정 > 잔혹한 내용과 성적인 표현, 특히 노골적인 성적 표현 격렬한 비판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I. 은폐,축소,수정 > 잔혹한 내용과 성적인 표현, 특히 노골적인 성적 표현 격렬한 비판"— Presentation transcript:

1 I. 은폐,축소,수정 > 잔혹한 내용과 성적인 표현, 특히 노골적인 성적 표현 격렬한 비판
초판은 발표되자마자 당시 독일사회의 격렬한 비판을 받았다. 낯 뜨거운 에로틱한 내용, 근친상간, 잔혹행위 등 충격적 내용 이 많아서였다. 19세기 초 도덕적이고 경건한 독일시민사회는 이러한 이야기의 전파에 제동을 걸었다.

2 I. 은폐,축소,수정 > I-1. 잔혹한 내용: 민담의 가정파괴적 요소 전래민담에서의 가정
이야기의 중심축을 형성 화목하고 평화로운 가정의 묘사보다는 반목과 갈등 제시에 있는 것이 일반적 가정의 특정한 ‘결손상황’: 이야기의 발단이 된다. 1)어머니 없는 집안에 계모가 들어옴으로써 사건이 시작: <백설공주Sneewittchen>,<신데렐라Aschenputtel>,<노간주나무> 2)자식 없는 집안에 소망이 이루어지면서 이야기가 진행: <가시장미공주Dornroschen>,<고슴도치 한스 Hans mein lgel> 3)아들만 있는 집안에 고대하던 딸을 얻게 되면서 이야기가 시작: <열두형제들 Die Zwolf Bruder>,<일곱마리의 까마귀들 Die seiben Raben> 4)경제적 궁핍 때문에 혹은 그와 비슷한 이유에서 자식을 유기하면서 사건 전개: <헨젤과 그레텔 Hansel und Gretel>,<손없는 소녀>,<라푼첼 Rapunzel>

3 I. 은폐,축소,수정 > 민담의 가정파괴적 요소
가정사에서 출발하는 민담 중에는 잔혹한 자녀학대, 존속살해,에로틱한 내용, 근친상간 등 소위 건강한 가정질서를 파괴하는 비윤리적이고 부도덕한 행위가 이야기의 중심축을 형성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이들 가정파괴적 요소들이 민담 전승과정에서 은폐되고 축소되고 수정되어짐으로써, 전래민담은 오늘날 원래의 의미를 파악할 수 없을 만큼 왜곡되어 있다. 1. 자녀박해의 이야기 :<헨젤과 그레텔>,<백설공주> 2. 근친상간의 이야기 :<털복숭이>,<손 없는 소녀> 3. 아내 살해의 이야기:<푸른 수염> 4. 잔혹행위의 이야기 :<아이들의 도살놀이>

4 1.자녀박해의 이야기 <헨젤과 그레텔>,<백설공주>
1-1.<핸젤과 그레텔 Hansel und Gretel> 1)줄거리 요약 부모가 자신들의 생계를 위해 자녀를 버리는 이야기의 대표적인 이야기 이야기의 발단은 기근이 들어서 먹고 살기가 힘들어지자, 아이엄마가 남 편을 졸라 두 남매를 숲 속에 버린다. 아이들은 숲을 헤매다가 마귀할멈의 집에 갇히게 되나, 기지를 발휘하 여 할멈을 아궁이에 밀어 죽이고, 그녀의 금은보화를 잔뜩 가지고 집으 로 돌아와 아버지와 행복하게 산다. 2)중심 모티브 가난과 기근. 중세 이래 유럽 민중들의 보편적인 삶의 형태였다. 생존이 힘들었던 이 시기에 아이들을 멀리 내다버리는 일은 다반사였다. 17세기까지 유럽민중의 생존을 위협하였던 기근 속에서 그들이 생존을 위해 번번히 선택했던 삶의 한 방식이었을 뿐이다. 어린아이를 버리는 일은 근세 초의 유럽에서 통상적인 일이었다.

5 1.자녀박해의 이야기 <헨젤과 그레텔>,<백설공주>
3)생모에서 계모로 하지만 친부모가 자식을 갖다 버리는 행위는 17세기만 해도 유럽에서 다반사로 일어났던 일이었다. 그 후 인간의 조건은 급속히 변화하였다. 19세기 초, 그림형제 동화집이 발행되던 때에 사람들은 더 이상 그것을 이해하 지 못했다. 각별히 비더마이어적 가정질서를 구축해가던 독일사회에서 그것은 수용할 수 없는 충격이었고, 그 충격적 상황이 그림형제로 하여금 생모 이야기를 계모 이야기로 대체하게 한 요인이 된 것. 초판에서는 남편을 졸라 아이들을 숲에 버리게 하는 것은 아이들의 생모이다. 제 2판부터 그것은 계모로 바뀐다. 초판:“두 아이들은 배가 고파서 미처 깨어 있었으며, 어머니 Mutter가 아버지 에게 말하는 것을 들었다.” 제 4판:“두 아이들은 배가 고파서 잠을 잘 수가 없었으며, 계모 Stiefmutter가 아버지에게 말하는 것을 들었다.”

6 1.자녀박해의 이야기 <헨젤과 그레텔>,<백설공주>
산속에서 자식을 버리도록 남편에게 권유하는 사람은 친모가 아니라 계모이다. 계모는 초판의 어머니보다 훨씬 잔혹하다. 초판의 어머니:“만약에 당신이 그렇게 하면 우리 모두 함께 죽을 것입니다 하고 아내가 남편에게 말했다. 그리고 남편이 승낙할 때까지 가만두지 않았다. 최종 판의 계모:“아유 멍청이, 그러면 우리 모두 굶어 죽어요. 당신은 관을 짤 널빤지만 구하면 되겠군요.” 초판의 친모가 계모로 바뀌면서 계모인 아내의 악역이 더욱 강조되며, 한편 아동 유기의 책임을 함께 지던 남편의 책임이 경감되고 있다. 최종 판의 남편:“불쌍한 아이들이 마음에 걸려…” 남편은 후처의 권유에 마지못해 전처아이들을 유기하는 것으로 표현되고 있다.

7 1.자녀박해의 이야기 <헨젤과 그레텔>,<백설공주>
1-2.<백설공주 Sneewittchen> 유사한 변화가 <백설공주>이야기의 편찬과정에서도 이루어진다. 우리에게 알려진 이야기에서는 계모왕비가 공주를 질투하여 죽이려 하는데, 그것 은 2판에서 부터 최종 판까지의 내용이다. 원래 이야기에서는 공주를 죽이려 하는 것은 생모였다. 생모가 친딸의 아름다움을 질투하여 죽이려 하는 것이 건강한 시민가정의 윤리관 으로는 용납할 수 없는 것이었기에, 초판에서는 생모 이야기는 제 2판부터 계모 이야기로 바뀌게 된 것이다. 초판:“그 후 곧 그녀는 눈처럼 희고 피처럼 붉은 입술과 떡갈나무처럼 검은 머리 카락을 가진 딸을 얻었다. 그 때문에 그 딸아이는 백설공주라고 불리어졌 다,” 제2판:“아이가 태어났을 때 왕비는 죽었다. 그리고 일년이 지나 왕은 새로 아내 를 맞이했다.”

8 2. 근친상간의 이야기 <털복숭이>,<손 없는 소녀>
근친상간: 시대를 막론하고 모든 사회계층에 걸쳐 타부로 존재. 그러나 그 모티브는 밑바닥에 잠복. 그림형제의 동화에선‘명시적으로’표출되는 것은 단 한곳 <털복숭이>이야기 뿐 2-1.<털복숭이 Allerleirauh> 1)줄거리 요약 죽어가는 왕비의 요청에 따라, 왕은 다음과 같이 약속한다. 새 왕비는 오로지 그녀만큼 아름답고 그녀의 머리털처럼 아름다운 금발여인을 취하겠노라고. 하지만 온 천하에서 그러한 여인을 찾지 못했던 왕은 문득 자신의 딸이 유일하게 그 같은 조건을 충족하는 여인임을 발견하게 된다. 왕은 딸에게 결혼을 요구하고, 딸은 얼핏 불가능해 보이는 조건, 온갖 짐승털로 만들어진 옷을 만들어 달라는 조건을 내걸며 아버지의 요구를 따돌리고자 한다. 결국 집요한 아버지의 청혼을 피하기 위해 궁정을 빠져 나와 도망한다. 그러다가 우여곡절 끝에 다른 나라의 왕의 아내가 된다.

9 2. 근친상간의 이야기 <털복숭이>,<손 없는 소녀>
2)핵심 모티브: 부녀간의 근친상간적 모티브 아버지가 딸을 아내로 취하는 것은 역사적으로 고대 드루이드 족의 원시풍습 이러한 관습이 소멸되는 시점에서 구습을 고수하고자 하는 아버지와 이를 거 부하는 딸 사이에서 일어날 수 있는 충돌을 보여주는 것이 이 이야기 3)문제점: 근친상간->이야기의 핵심 원시민족의 풍습을 알 리 없는 까마득한 후대의 사람들에게는 이 같은 근친상간 적 사건이 충격일 수 밖에 없으며, 그러한 이야기가 ‘어린이를 위한 가정동화’ 가 된다는 것은 아무래도 적절하지 못하다. 하지만 딸에 대한 아버지의 요구라는 행위가 이야기의 핵심을 이루는 한, 그 행 위의 제거는 애초부터 이야기를 송두리째 제거하지 않는 한 불가능

10 2. 근친상간의 이야기 <털복숭이>,<손 없는 소녀>
4)딜레마 해결 초판부터 최종 판에 이르기 까지 상황묘사의 변화는 이 같은 딜레마를 해결하고 자 하는 동화편찬자의 고심을 확인하게 해준다. 초판부터 최종 판까지의 상황은 일관되게 왕이 딸에게 결혼을 집요하게 요구하 는 것 하지만 제 2판에서부터는 궁정대신들의 엄중한 경고가 삽입된다. “아버지가 자기 딸과 결혼할 수는 없습니다. 하나님이 금하시는 일입니다. 그러 한 죄악에서 좋은 결과가 나올 수가 없지요.” 왕의 죄악에 왕국전체가 들끓는 듯한 분위기가 그려짐으로써, 근친상간의 부도 덕성에 대한 그림형제의 비판의식이 삽입되고 있는 것이다. 근친상간의 모티브가 <털복숭이>동화의 핵심을 구성하기 때문에 이 요소를 제 거할 수 없었지만, 그림형제는 비윤리성을 짚고 넘어감 여기에서 우리는 두 가지 차원에서 그림형제의 의식을 확인할 수 있다. 동화원형에 대한 의식과 시민적 윤리관이다.

11 2. 근친상간의 이야기 <털복숭이>,<손 없는 소녀>
친아버지의 청혼에 놀란 공주는 아버지의 청혼을 피하기 위해 해처럼 빛나는 옷, 달처럼 빛나는 옷, 마지막에는 수천마리의 짐승가죽으로 만든 외투를 요구한 뒤, 결혼식 전날 아버지 즉 청혼자로 부터 받은 모든 선물을 들고 숲 속으로 숨어버린 다. 그러나 공주는 신부를 찾는 왕에 의해 발각된다. 초판: “그녀는 한낮인데도 잠을 잤다. 그때 바로 그녀의 신랑인 그 왕이 숲속 에서 사냥을 하고 있었다.” 초판에서는 숲 속에서 잠이 든 공주를 만난 왕은 달아난 신부를 찾던 친왕이며 딸 에게 청혼한 왕이다. 얼굴을 검게 칠하고 짐승가죽으로 만든 외투를 쓴 공주는 그 녀를 찾는 군사들에게 이상한 짐승으로 오인되어 궁으로 끌려오게 된다. 그래서 그녀는 알러라이라우흐라는 이름을 지니게 되며 아무도 그녀가 공주임을 알아보 지 못한다. 그러나 왕인 아버지는 그녀가 가지고 있는 결혼반지 등 선물을 통해 자신의 딸, 자신의 신부임을 알게 되어 마침내 결혼하게 된다는 이야기다. 근친상 간이다. 그러나 제2판:“숲의 주인인 왕이 사냥을 하는 일이 있어났다.”라는 표현을 통 해 사냥 나온 왕은 전혀 모르는 왕으로 바뀌어진다. 초판에서 친아버지가 공주인 딸과 결혼하는 근친상간을 피하기 위한 의도적인 변경이다.

12 2. 근친상간의 이야기 <털복숭이>,<손 없는 소녀>
2-2.<손 없는 소녀 Das Madchen ohne Hande> 민담 전승과정에서 은폐된 것이지만 사실상 근친상간의 모티브가 밑바닥에 자리 여기에서는 악마와의 계약이 가시적으로 문제가 될 뿐, 근친상간의 모티브는 은폐 1)줄거리 요약 가난한 방앗간 주인이 들판에서 악마의 나무를 베다가 악마에게 들킨다. 주인은 자기 집 방아 뒤에 있는 것을 악마에게 넘겨주기로 약속하고 목숨을 건지 고, 동시에 부유한 삶을 약속 받는다. 방아 뒤에 있는 것을 사과나무라고 생각했던 그에게 악마가 삼 년 후에 찾아와서 그의 딸을 요구한다. 뒤늦게 자신의 과오를 깨달았지만 악마와의 약속을 피할 수 없게 된 그는 악마의 요구대로 딸의 두 손을 도끼로 자른다. 양손을 잃은 딸은 집을 떠나 헤매다가 우여곡절 끝에 이웃나라 왕의 아내가 된다.

13 2. 근친상간의 이야기 <털복숭이>,<손 없는 소녀>
1)초판의 경우 초판에서는 아버지가 극구 말리고 집에서 편히 잘 살게 해주겠다고 약속함에도 불 구, 딸은 잘린 양손을 등에 메고 집을 떠난다. 그녀가 집을 나가야 할 만한 설득력 있는 이유가 제시되지 않는다. 초판은 마리아 하센플록으로부터 전해들은 Hessen 판본에 의거한 것으로, 여기에서는 악마와의 계약 때문에 아버지가 눈물을 머금고 딸의 팔을 자른다. 2)초판 이후 초판발행 이후 그림형제는 여러 개의 다른 판본을 접하게 되는데(Zwehrn판본, Paderborn판본, Meklenburg판본 등) 거기에서는 딸이 집을 떠나게 되는 보다 설득력 있는 동기가 부여되어 있다. 이들 판본에서는 아버지가 자기 딸을 탐하여 결혼을 요구한다. 딸이 아버지를 거 부하자, 아버지가 딸의 손과 젖가슴을 자르고 내쫓는 것. 이들 판본에서는 악마가 나오지 않는다.

14 2. 근친상간의 이야기 <털복숭이>,<손 없는 소녀>
4)여러 판본 입수한 경우 그림형제는 민담의 수집편찬과정에서 한 유형의 민담에 대해서 여러 개의 판본 을 입수할 수 있었다. 그럴 경우에 그들은 근친상간적 욕망이나 오이디프스 콤플렉스적 성향이 은폐된 판본을 대체로 택했다. <손 없는 소녀>의 편찬과정은 그 같은 사실을 확인케 해주 는 사례이다.

15 2. 근친상간의 이야기 <털복숭이>,<손 없는 소녀>
2-3.기타 1)<열두 형제들> 열두 아들을 둔 왕이 딸을 얻게 되자, 장차 딸에게 왕국을 물려주는데 장애가 될 아들들을 내치는 이야기이다. 2)<일곱 마리의 까마귀> 딸의 세례를 위해 아들들을 우물에 심부름 보낸 아버지가, 늦도록 돌아오지 않는 아들들을 까마귀가 되라고 저주하여 내치는 이야기 이 두 민담의 밑바닥에는 딸에 대한 아버지의 수상한 애정이 자리잡고 있 는 것으로 보인다.

16 3. 아내 살해의 이야기 <푸른 수염>
1.푸른 수염 1)줄거리 요약 아내를 무자비하게 살해하는 남편의 이야기 섬뜩한 푸른 수염을 한 부유한 사내의 저택에서 단 하나의 방만은 주인공 소녀에게 금지된다. 그것을 열어보면 죽음을 당할 것이라고 경고를 받는다. 하지만 소녀는 호기심을 억제하지 못하고 방문을 열게 된다. 거기엔 피가 흐르는 시체들이 누워 있었다. 깜짝 놀란 소녀가 열쇠를 떨어뜨리고, 열쇠에 피가 묻어 소녀의 죄가 발각이 되고 소녀는 벌을 받게 된다. 2)심층심리학자들의 해석 방→열쇠 →충격 으로 이어지는 이 민담의 줄거리를 심층심리학자들은 성적 호 기심 →최초의 성 체험 →상처 →충격 에 대한 상징으로 풀이

17 3. 아내 살해의 이야기 <푸른수염>
실제로 이 이야기는 1440년 수많은 여인을 살해하고 처형된 프랑스 귀족 Gilles de Laval의 이야기에 뿌리를 둔 역사적 사실임을 야콥 그림이 <게르만 고대학 Deutsche Altertumskunde>에서 확인하고 있다. 이 모티브는 남편에게 부정한 아내를 감금하고 매매하고 죽일 수 있는 절대적 권한이 부여되었던 고대 게르만의 전통 속에서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는 이야기 이다.

18 4. 잔혹행위의 이야기 <아이들의 도살놀이>
1.아이들의 도살놀이 Wie Kinder Schlachtens miteinander gespielt haben 1)줄거리 요약:잔혹성을 대표하는 작품. 1819년 제2판부터 삭제 처음부터 끝까지 온통 잔혹한 행위 그 자체이다. 대여섯 살 먹은 푸줏간 집 어린애들이 아버지 흉내를 내어 돼지 잡는 놀이를 벌이 는데, 푸줏간 주인 역을 맡은 큰 아이가 돼지 역을 맡은 작은아이의 목을 잘라버린 다. 비명소리를 듣고 달려 온 아이엄마가 이 광경을 보고 화가 나서 큰 아이의 손 에서 칼을 빼앗아 그대로 그 아이의 가슴을 찔러 죽인다. 그 사이 욕조에 잠시 놔 두고 온 갓난아이가 익사해 죽고, 여기에 절망한 아이엄마는 목을 매달아 죽어버 린다. 집에 돌아온 아이아버지가 크게 낙담하여 곧이어 죽는다는 것이 더함도 뺌도 없는 이야기의 전부이다.

19 II.기타 민담에서의 잔혹한 장면과 처벌 > 1.잔혹한 장면 1)<신데렐라>의 계모
고의적으로 콩과 재를 섞어놓고 고르게 하고, 자기 딸들을 왕비가 되게 하기 위해 발꿈치를 도끼로 자른다. 결국 계모의 두 딸들은 새에게 눈을 쪼여 장님이 된다. 2)<백설공주>의 계모왕비 의붓딸이 자기보다 더 아름다워지자, 사냥꾼을 시켜 데리고 나가 죽이라고 명하고, 공주의 심장과 허파를 가져오게 해서 음식을 만들어 먹고자 한다. 결국 계모왕비는 석탄 불에 달군 신을 신고 춤을 추다가 쓰러져 죽는다. 3)<손 없는 소녀>의 아버지 악마의 지시대로 어린 딸의 두 팔을 도끼로 자른다.

20 II.기타 민담에서의 잔혹한 장면과 처벌 > 4)<노래하는 뼈다귀> 형이 동생을 잔혹하게 쳐 죽인다.
5)<노간주나무>에서 계모 계모는 아이의 목을 사과상자에 끼어 죽인 다음, 시체를 푸딩으로 만들어 남편에게 먹인다. 그레첸의 노래: 이 동화에서는 죽은 아이의 뼈를 노간주나무 밑에 묻는데, 거기에서 날아온 새가 이 렇게 노래한다. “내 어머니 날 죽이고, 내 아버지 날 먹었네 Mein[e] Mutter, der mich schlacht, mein Vater, der mich aB.” 이 구절은 괴테의 <파우스트>에서 인용된다. 자기가 낳은 아이를 죽이고 감옥에 갇힌 그레첸이 정신착란 속에서 부르는 노래가 바로 이 민담의 구절이다.


Download ppt "I. 은폐,축소,수정 > 잔혹한 내용과 성적인 표현, 특히 노골적인 성적 표현 격렬한 비판"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