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한국어교육의 이해(개정판)』2008, 김중섭 p.265~292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한국어교육의 이해(개정판)』2008, 김중섭 p.265~292"— Presentation transcript:

1 『한국어교육의 이해(개정판)』2008, 김중섭 p.265~292
9장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한자 교육의 연구 『한국어교육의 이해(개정판)』2008, 김중섭 p.265~292 한국어교육개론 김중섭 교수님 2009년 4월 27일 승종경, 정지숙

2 목 차 1. 머리말 2. 외국인을 위한 한자 교육의 실태와 현황 3. 외국인을 위한 한자 교육의 방법 및 내용
목 차 1. 머리말 2. 외국인을 위한 한자 교육의 실태와 현황 2.1국내의 한자 교육의 실태 2.2 주요 한국어 교육 기관의 한자 교육의 실태 2.3 외국인을 위한 한자 교재의 실태 3. 외국인을 위한 한자 교육의 방법 및 내용 3.1설문조사분석 3.2 한자 문화권 외국인을 위한 한자 교육 3.3 비한자권 외국인을 위한 한자 교육 4. 한자 교육의 범위 4.1 교육용 한자어 선정 5. 맺음말

3 1. 머리말 한국어 어휘의 70% 정도가 한자어로 이루어져 있 음에도 한자교육에 대한 연구가 부족
 ①한국어 교육의 목표가 주로 회화에 있었다는 점 따라서 문자 교육 측면이 소홀  ②한국어 교육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이 한글 전용의 입장을 택하는 곳이었음.  ③국어교육에서 한자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학자들이 한국어 교육에서의 한자 교육 문 제에 관심이 적었음  ⇒한국어를 유창하게 하는 외국 학생이 신문을 읽지 못하 고 전문 서적을 읽지 못하는 현실을 생각하면 한자교육의 연구에 대한 필요성이 매우 크다

4 <표1>1992년 7월: 남북한 신문의 어휘 사용 실태 비교
남한의 '동아일보'와 북한의 '로동신문'을 대상으로 하여 신년사, 사설 및 1면 기사(광고, 제목 글 제외)를 대비하여 살펴보았음.

5 2. 외국인을 위한 한자교육의 실태와 현황 2.1 국내의 한자 교육 실태
▶1995년 문제되었던 국한혼용과 한글전용 논의는 우리 한자교육 의 현실 대변 <표2> 한글전용 주장 국한혼용 주장 이념적 민족의 이상 실현, 자주정신과 긍지 함양 민족문화의 전통계승, 도덕교육의 방편 학문적 문자해독의 용이성, 국어발전 및 순화촉진, 기계화와 능률화 월등 한국어 어휘 79%가 한자, 한자의 조어력, 축약력, 직관적 의미 파악 가능, 동음이의어 식별 용이 현실적 언어문화의 대중화에 기여, 한․중․일의 한자는 음이 다르고 뜻과 모양도 달라 통용에 한계 한자 조기 교육으로 현실 문자 생활의 적응에 효과 큼, 문자생활의 다양화 가능, 한․중․일 교류에 유리

6 ▶<표3>한자교육의 역사적 변화
한글 창제 이후 주로 국한 혼용문 쓰고 한글 전용 글들은 언간이나 고소설 등의 특수한 목적의 글 갑오경장 이후 한글 전용의 기운 나타남 1950년대 한글 전용법 제정으로 문맹퇴치, 언문일치의 문장의 보편화. 그러나 언어생활에 있어서 전통과의 단절, 문화적 편협성초래, 우리말의 조어력 저하시켜 우리문화를 외래문화에 예속시키는 결과 초래 1960년대 초․중․고 기초한자 1800자 선정, 중고등학교 모든 교과서 한자 병용 원칙 1970년대 초등국어 한글전용 원칙, 중학교과 중등기초한자 900자, 고등교과 고등기초한자 900자 최근 초등 정규 수업 과정 내에 한자 수업 포함, 2008년 수능부터 제2외국어 선택과목, 신입사원 채용 시 한자시험 보는 기업이 증가함에 따라 한자능력시험 응시자 큰 폭 증가

7 2.2 <표4> 한자 반이 있는 대학교 한국어 교육 기관의 현황

8 - 한자권 대학들은 ‘한자 음 읽기’와 ‘어휘 대조’ 에 중점을 두고 있으나,
2.3 <표5> 해외대학에서의 한국어 한자 교육현황  - 한자권 대학들은 ‘한자 음 읽기’와 ‘어휘 대조’ 에 중점을 두고 있으나, 비한자권 대학들은 ‘문 자교육’으로서의 한자 교육을 기반으로 한자교육을 하고 있다.

9 2.4 <표6>

10

11 <표7> 한국어 한자교육론 과정 개설 현황

12 2.4 한국어 한자 교재 - 60년대에 2권 70년대에 3권, 80년대에 출판 되었지만 ,
90년대에는 한권도 출판되지 않다가, 2000년대 들어와서 10권이나 출판되었다. 특히 2005년 이후 서울대, 연세대, 경희대 등의 한국어 교육 기관에서 비정규 과정으로 개설 된 한자반 교수요목에 맞춘 교제가 개발되는 등 한자 교육 에 대한 관심이 최근 들어 높아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추가 Hanja : Handbuch and Lexikon (PaperBack)-한림출판사(2002) 한자 숙어로 배우는 한국어-최권진(2007) -국한문 혼용 자료를 활용해서 한자를 학습시키고, 한자 숙 어의 유래를 제시함. 살아있는 한국어: 한자 성어 -김선정 외(2007) -컬러풀한 그림을 제시하여 흥미를 이끔. -‘그림제시>본문>연습해요>함께해요>쉬어가요’의 순으로 구성

13 3. 외국인을 위한 한자 교육의 방법 및 내용 3.1 설문조사 분석 ▶ 설문조사 대상자
 3.1 설문조사 분석 ▶ 설문조사 대상자 -일본-4명, 중국-4명, 우즈베키스탄-2명, 몽골-2명, 체코 -1명, 대만-1명, 독일-1명 -한자권 8명 / 비한자권 6명 ▶ 설문내용 -한국어 학습 기간 ; 1년 6개월    -한자에 대한 학습자의 관심 정도 ; 매우 많다 10명/ 조금 있다 3명 / 별로 없다 0명/ 기타 1 명 -학습자의 한자 읽기 능력;   10자 정도 1명/ 20자 정도 2명/ 100자 정도 3명/ 200자 이상 3명/기타(1000자 이상) 5명

14 3.1 설문조사 분석 -학습자의 한자 쓰기 능력;   5자 정도 0명/ 10자 정도 1명/ 50자 정도 5명/ 100자 이 상 2명/ 기타(200~200자 까지 다양) 6명 -한자 학습의 중요성  매우 중요 9명/ 중요 5명/ 별로 중요하지 않음 0명/ 필 요 없음 0명 -현재 사용하고 있는 한자 교재 있다 3명/ 없다 7명  -한국어 한자를 학습하는 데 있어서 가장 어려운 점; 한자의 발음> 한자 쓰기> 한자 독해  -한자어 수업을 한다면 무엇을 중심으로 하는 것이 좋 겠는가  한자 독해 6명> 한자 읽기 5명> 한자 쓰기 3명

15 <표9>

16 한국어 교사와 학습자가 한자를 가장 많이 접하는 곳<표9>
한국어 교사와 학습자가 한자를 가장 많이 접하는 곳<표9>  - 초급 학습자들은 간판에서, 중급 학습자는 도로 표지판에서, 고급 학습자들은 신문에서 한자를 많 이 접한다고 하였음.    - 주목할 것은 최고급 학습자들은 교사와 마찬가 지로 학술지나 논문 등에서 많이 접한다고 하였음.    - 이는 한국어 수준이 올라 갈수록 읽기 텍스트 등에서 한자를 접하는 일이 많아짐을 의미하며 학 문 목적 등 최고급 수준의 한국어를 배우려는 학 습자들에게 일정 수준의 한자 능력이 요구 됨.

17 한자어 어휘력이 도움을 주는 언어 기능<표10>
교사와 학습자 모두 한자어 어휘력은 ‘읽기’에 가장 많은 도움을 준다고 생각하였다. 한자권 학습자들은 한국 한자음의 학습을 통해 한자어 에 대한 발음이나 철자가 분명해 져서 말하기와 쓰기 능 력이 향상 되었다고 응답하였다.

18 <표11>

19 <표12> 한자어 교육의 시기 - 한국어 학습자에 대한 한자 교육은 고유어 어휘력이 한정되고 한자 어 어휘력이 급증하는 증급 이상에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0 3.2 한자 문화권 외국인을 위한 한자 교육 3.2.1 일본어권  표기상의 차이; 크게 나타나지 않고, 몇몇 단어에 대 해 약자로 표기하는 경향이 있음.                예) 한국 圖(도) /  일본 図(도)                          體(체) /       体(체)  발음상의 차이; 한국 한자음과 일본 한자음의 음운 대응 규칙을 설명                예) 한국 한자음의 어두음/h/는 일본 한자음 /K/와 대응하는 규칙을 보임  표현의 차이; 일본 한자 어휘를 그대로 표현하여 문 제가 되기도 함.               예) ‘다방’을 일본에서 ‘끽다점’이라고 하는데, 작문에서 그대로 씀.

21 3.2 한자 문화권 외국인을 위한 한자 교육 3.2.2 중국어권(중국과 대만) 표기상의 차이;
 3.2 한자 문화권 외국인을 위한 한자 교육 3.2.2 중국어권(중국과 대만)   표기상의 차이; 대만- 한국 한자와 표기의 차이가 거의 없음.          중국- 간체차로 인해 거의  대부분의 경우가 표기를 달리함.   발음상의 차이; 한국 한자음과 큰 차이. 중국과 대만이 거의 같아서 나누어 교육할 필요 없음.   표현의 차이; 의미와 표현의 차이가 심함.  예) 같은 의미, 다른 표현 → 한국- 俳優(배우) /  중국- 演 같은 표현인데도 의미 차이 → 汽車(기차) ; 한국-기차/ 중국-자동차   한자성어의 차이 → 한국 竹馬故友(죽마고우) / 대만 靑梅竹馬

22  3.3 비한자권 외국인을 위한 한자 교육 ▷ 비한자권 외국인들은 처음 한자를 접하기 때문에 초등학교 학생들을 위한 한자 교육 방법으 이용하면 편리하다. 그러나 성인들이므로 기본 내용은 초등학 생을 위한 한자교육을 기본으로 하되 나에 맞고 생 활과 문화에 적절한 어휘나 방법을 이용한다. ▶문금현(2003) 한자권 학습자 - 한자의 독음과 의미 습득을 중심으 로 교육 비한자권 학습자 - 한자 자체에 대한 학습부터 시작.  초급반에서 한자에 대한 학습에 치중하면 발음이나 문형 학습에 방해 되므로 쉬운 상형 한자와 한자어 를 제시하여 분위기를 익히는 것이 효과적.

23 <표13> 한자어 교육의 내용

24 4. 한자 교육의 범위 - 한국 교육용 한자(1800자), 북한(3000자), 중국 (2500자), 일본(1945자)
- 각 나라의 기초 한자를 비교하여 정리해야 함. - 실제 교육 현장에서는 1800자까지는 필요 없다 고 봄. - 외국인의 경우 한자 읽기 능력과 쓰기 능력에 차이를 뒤고 교육.(실제 읽기 교육이 시급)

25 <표14>

26

27 ▶ 한자어 교재 개발의 방향과 교육용 한자의 선정 기준
<표15> 한자어 교재 개발 요구도 한자어 교육은 기본적으로 한자를 통한 한자어 교육이 되어야 하며 한자어 교재는 조어력이 높은 한자를 중심으로 한자어를 확장해 나가는 방향으로 설계해야 한다.

28 ▶ 한자어 교재 개발의 방향과 교육용 한자의 선정 기준
<표16> 교육용 한자 선정 기준

29 4.1 한자권  4.1.1 일본어권     쓰기학습은 차이를 보이는 한자들만 따로 모아서 교육하고 빈도수가 높은 글자부터 교육. 읽기는 음 운 대응을 설명하면서 강의, 초급 200자, 중급 300 자, 고급 500자 정도의 읽기 교육  4.1.2 중국어권   중국학생과 대만학생의 교육 방법에 큰 차이를 가져 야 함. 중국 학생의 경우 대다수의 한자를 새로 습 득해야 함. 한국과 중국 한자 사이에 차이를 보이는 쓰기에 기초적인 한자들부터 교육, 대만학생의 경 우 일본 학생과 마차가지 읽기 교육, 중국학생의 경 우 초급 100자, 중급 200자, 고급 300자 정도의 쓰 기 교육-쓰기와 별도로 읽기 수업 참여방안 고려.

30 4.2 비한자권 -  초등학교의 방법을 응용하되 관련 어휘의 경우에는 외 국인 학생이 성인인 점을 감안하여 선정. 초급 100자, 중급 200자, 고급 300자 정도가 적당할 것이며 한자 쓰 기에 중점을 두지 말고, 한자 읽기와 용례 중심의 교육 을 하여 흥미를 유발하여야 할 것이다. 5. 맺음말  ①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교육의 정규과목에 한자 어 교육을 포함해야 함.  ②문화권별로 외국인 학생을 나누어 교육  ③외국인을 위한 기초 한자 어휘 선정, 해당 문화 권에 맞는 한자어 선정  ④교재개발 시급-단계별 한자교재 개발


Download ppt "『한국어교육의 이해(개정판)』2008, 김중섭 p.265~292"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