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제 3주 정신과적 병력조사 국립부곡병원 조성남.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제 3주 정신과적 병력조사 국립부곡병원 조성남."— Presentation transcript:

1 제 3주 정신과적 병력조사 국립부곡병원 조성남

2 정신병력의 객관적 측정 정신병리의 객관적인 측정이 필요한 이유
모든 과학분야에서는 그 대상 현상을 관찰하고 측정하는 기준이 있다. 이분법적 구분, 정량적 평가 등 다양한 방법 심리측정척도를 사용 진단기준, 면담도구의 개발 신뢰도 향상과 일관된 기록

3 정신병리 측정 도구의 분류 진단용 척도 정신증 평가 척도 기분장애 평가척도 소아관련 척도 인격장애 및 성격 평가 척도
임상용 혹은 연구용

4 진단용 척도 최근 20-30년 사이 개발 SCID(Structured Clinical Interview for DSM)
DIS(Diagnostic Intervew Schedule) CIDI(Composite International Diagnostic Interview) 구조화: 제시된 대로 질문하고 응답을 기록 반구조화: 다소 융통성있게 면담을 진행

5 정신분열병이나 정신증을 평가하는 척도 양성증상, 음성증상, 정신사회적 기능, 삶의 질, 약물부작용 등 광범위한 분야
음성증상 측정척도: Scale for the Assessment of Negative Symptoms(SANS) 양성증상 측정척도: Scale for the Assessment of Positive Symptoms(SAPS) 양성 및 음성 증후군 척도: Positive And Negative Syndrome Scale(PANSS) 단순 정신과적 평가척도: Brief Psychiatric Rating Scale(BPRS) 18개 항의 정신병적 특징의 양적 평가: 불안, 우울, 적대감, 흥분, 위축이나 지연 등

6 기분상태를 평가하는 척도 백 우울척도:Beck Depressive Inventory(BDI)
해밀턴 우울척도: Hamilton Rating scale for Depression(HRSD) 역학연구센터 우울척도(Center for Epidemiological Studies Depression scale(CES-D) 영 조증상태 평가척도: Young Mania Rating Scale 증상의 정도를 수량화하여 절단점(cut-off point) 제시 혹은 치료전후의 변화를 측정

7 기타 정신병리 평가 척도 Hamilton Anxiety Scale(HAMA)
Yale-Brown Obsessive Compulsive Scale(YBOCS) State –Trait Anxiety Inventory(STAI) Mini-Mental State Examination(MMSE) Korean Dementia Rating Scale(K-DRS) Clinical Dementia Scale(CDR) Global Deterioration Scale(GDS) Delirium Rating Scale(DRS) Child Behavior Checklist(CBCL) Yale Children’s Inventory(YCI) Personality Disorder Qeustionaire-Revised(PDQ-R) Eysenk Personality Scale(EPS)

8 정신과적 면담병력청취와 임상검진이 환자 평가에 중요 이를 위해 면담기술이 중요
면담은 질환의 종류와 환자의 성격 특성에 따라 유연하게 이루어져야 불안장애나 적응장애: 협조적 정신분열병: 비협조적, 가족면담이 필요 면담 후 증례요약

9 일반적인 면담기법 편안한 환경에서 면담하여야 한다. 가능한 한 면담 초기에 치료적 관계(Rapport)를 형성한다.
조용하고 편안한 곳에서 면담 정면보다는 비스듬하게 자리배치 첫 면담시 환자의 이름을 불러서 반기고, 자신을 소개하고, 가족과도 인사 가능한 한 면담 초기에 치료적 관계(Rapport)를 형성한다. 진행방법, 시간, 기록하는 이유 등을 설명

10 주소(主訴)가 무엇인지 파악한다. Chief complaints: 환자가 주관적으로 호소하는 증상
환자 스스로 자신의 문제를 표현하도록 포괄적인 질문을 하도록 병원에 오신 이유? 어던 문제가 있으신지? Chief problems: 가족들이 느끼는 문제 가족들에게 추가 질문 환자가 분명하고 논리적이면 중단하지 말고 자유롭게 이야기 하도록 정보제공을 제대로 못하는 경우에는 적극적이고 지시적인 태도로 질문

11 좀 더 구체적이고 상세한 질문을 통해 진단 평가를 한다.
주소를 중심으로 잠정적인 진단을 생각해 본다. 주된 문제를 파악하면 그런 문제를 일으킬 수 있는 가능한 진단을 머리 속에 나열 좀 더 구체적이고 상세한 질문을 통해 진단 평가를 한다. 주소를 중심으로 체계적인 질문 개방성질문과 폐쇄성 질문을 섞어서 사용 ICD-10, DSM-IV

12 자유롭게 얘기하도록 하면서도 주제에 합당한 면담이 되도록 한다.
환자가 3-4분동안 혼자서 중단없이 이야기 해보도록 한다. 사고진행의 논리성을 알 수 있다. 질문의 많고 적음에 따라 유연하게 대처

13 환자에게 거북한 주제를 묻는 것을 두려워하지 말라.
성적인 문제, 술이나 약물사용 자살의 문제 구체적인 자살방법이나 경험까지 질문 환청 등 정신병적 증상 비언어적인 대화가 면담을 이끄는데 도움이 된다. 경청하는 자세, 고개를 끄덕이는 태도 등

14 면담이 끝나기 전에 환자에게 질문의 기회를 주고, 끝낼 때 감사를 표한다.
정보제공자와 면담이 중요할 수 있다. 가족 등 정보제공자와 면담 병식이 없거나: 심한 조증 등 자신의 증상을 숨기는 경우 등: 알코올 중독 면담이 끝나기 전에 환자에게 질문의 기회를 주고, 끝낼 때 감사를 표한다. 치료적 관계형성에 도움 치료과정에 대한 설명 등

15 정신과적 병력 조사 정신과병력기록지의 구성 1. 인적사항 2. 주소 3. 현병력 4. 과거병력 5. 가족력 6. 개인력
1) 주산기 2) 영아 및 아동전기 3) 아동 중기ㅐ 4) 아동 후기 및 청소년기 6) 성인기

16 인적사항 주소 혹은 주문제 성명, 연령, 성별, 결혼상태, 직업, 종교, 현재의 거주환경 등
면담장소, 정보제공자, 정보의 신뢰도, 내원경로 주소 혹은 주문제 환자가 한 말을 그대로 기록 정보제공자의 말을 기록 호소 이외의 다른 문제에 대해서도 확인

17 현병력 증상이 생긴 후 현재까지의 상황진행을 시간 경과에 따라 기술
언제 발병했는지? 전구증상은 없었는지? 첫 증상의 시작, 최근의 악화 시점, 증상의 정도 과거와 최근의 유발요인- 정신적, 환경적 질문을 제대로 하기 위해서는 임상양상에 대해 잘 알고 있어야 한다. 증상의 발전과정을 체계적으로 요약

18 과거병력 정신질환력과 신체질환력 진단명, 기능장애의 정도, 치료력, 치료받은 병원, 각 질환의 기간, 치료순응의 정도 등 시간 순으로 기록 주요한 내외과적 질병, 큰 이상, 특히 두부외상. 신경과질환, 종양, 경련성 장애 등에 대한 병력은 정확하게 기술 정신신체질환

19 가족력 가계도(pedigree) 가족력이 중요한 이유 가족구성원의 특징을 기술 가정의 전체적인 분위기
유전적 소인 환자의 심리 발달에 영향 가족의 스트레스 가족구성원의 특징을 기술 연령, 직업, 학력, 성격, 관계, 가정의 전체적인 분위기 언어적 혹은 비언어적 의사소통, 감정표현 및 수용, 자율성, 역할 분담, 보호 및 지지의 정도, 가정내 갈등의 해결방법, 경제상태, 경제권, 정신질환력 환자의 질환에 대한 가족 구성원의 태도, 이해도, 지지도 가족내의 질환의 역할

20 개인력 임신부터 발병 전까지의 상황 성격형성에 영향을 준 사건, 인생의 각종 상황에서의 환자의 대응 등을 알 수 있다.
살아오면서 중요한 스트레스 상황을 알아내고, 환자에게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단계별로 나누어 알아본다.

21 산전 및 주산기 환자가 태어난 가정의 당시 상황 원하는 임신이었는지 임신과 출산중의 산모의 문제 출산시 결손이나 외상
출산시 산모의 정신적 신체적 상태 임신 중 술이나 담배 등의 약물복용

22 초기 아동기(출생에서 3세) 수유 및 배변훈련 중의 모자관계 수면양상과 머리 부딪치기, 몸 흔들기 같은 욕구불만의 증거
이 기간 동안 약육담당자가 지속적으로 곁에 있었는지 당시 부모의 정신적 신체적 문제 부모-아동간의 상호작용, 형제관계 아동의 성격, 활동상황, 타인과의 관계(놀이), 집중능력 등

23 중기 아동기(3세에서 11세) 훈육담당, 초기양심의 형성에 영향을 준 사람 초기 학교 경험
교우관계, 친구가 몇 명인지, 친근한 정도, 리더십 규칙을 이해하는 능력, 자기주장, 충동성, 공격성, 수동성, 불안, 반사회적 행동 읽기, 쓰기와 기타 인지발달 및 운동기술의 발달력 학습장애의 이력

24 후기 아동기(사춘기부터 청소년기) 또래관계나 집단활동을 통해 부모로부터의 독립을 시작 당시의 사회적 집단의 가치
교사들과의 관계, 특별활동 등 관심분야, 학업성적 자기정체성, 술 등 물질 사용력, 성적 활동, 신체상, 이차성징, 초경에 대한 반응, 이성교제, 자위행위 등

25 성인기 직업력 성적인 관심 결혼 및 이성관계력 군대생활 학력 종교 사회활동 현재의 생활 환경 법적 생활의 이력
선택과 준비과정, 갈등, 장기목표와 야망, 직업에 대한느낌, 직장에서의 대인관계, 직업이력, 변경이유, 직업의 종류 성적인 관심 성을 주제로 t로 공감하면서 토론할 수 있는 능력 결혼 및 이성관계력 진전과정, 부부갈등, 성생활의 질, 배우자에게 바라는 것 군대생활 학력 종교 사회활동 현재의 생활 환경 사는 곳, 주택유형, 동거가족 등 법적 생활의 이력

26


Download ppt "제 3주 정신과적 병력조사 국립부곡병원 조성남."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