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커뮤니케이션 핵심이론> 15장. 문화연구 (Cultural Studies).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커뮤니케이션 핵심이론> 15장. 문화연구 (Cultural Studies)."— Presentation transcript:

1 <커뮤니케이션 핵심이론> 15장. 문화연구 (Cultural Studies)

2 생각해보기 1. 제도 언론과 블로그 보도의 차이점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
2. 어떤 기호나 상징이 가지는 의미가 무엇이며, 그것을 어떻게 알게 되었는가 생각해보자. 3. 문화란 무엇인지 그 의미를 생각해보고, 문화의 역할에 대해서도 생각해보자.

3 문화연구의 주요 내용과 등장 배경 ◈ 문화에 대한 정의 ◈ 문화연구의 가장 중요한 업적
◈  문화에 대한 정의  윌리엄스: 총체적 삶의 방식으로서의 합의된 문화 톰슨: 문화들 간의 투쟁, 긴장, 갈등에 초점을 맞추고 있음. ◈ 문화연구의 가장 중요한 업적 일상생활을 주요 연구대상으로 부각시킨 점 거대담론에 의해 간과되었던 일상생활의 영역을 ‘문화’로 보고, 그것을 실천적인 연구과제로 부각 ‘일상적인 것이 정치적인 것이다.’ 혹은 ‘문화는 평범한 것이다.’

4 문화연구의 주요 내용과 등장 배경 ◈ 문화연구의 범위
◈ 문화연구의 범위 지구화 담론, 문화대중주의 비판, 미학과 정치, 광고산업과 광고분석, 문화 산업론 등 다양하며, 궁극적으로 이론적·실천적 개입에 목표를 두고 있다고 할 수 있음. 방법론적·이론적 혼합성과 정치적 실천성으로 인해 제도권으로 편입되는 것을 저항하는 요소가 있기 때문에, 학문적 경계 영역을 명확히 하기가 어려운 점이 있음. 학의 가치중립성 논쟁, 페미니즘, 탈식민주의, 오리엔탈리즘, 퀴어 운동, 미디어 코드 분석 등 - 학제 간 연구

5 문화연구의 주요 내용과 등장 배경 ◈ 영국 버밍엄 대학의 현대문화연구소 ◈ 문화연구의 흐름
◈ 영국 버밍엄 대학의 현대문화연구소 (CCCS: The Center for Contemporary Cultural Studies) 호가트(R. Hoggart), 톰슨(E. P. Thompson), 윌리엄스(R. Williams), 홀(S. Hall) 등 초기 문화연구론자들은 1920~1930년대의 사상가 그람시(A. Gramsci), 그리고 이들과 논쟁한 플란차스(L. Poulantzas)나 알튀세르(L. Althusser)와 같은 비판이론가들과 이념적 연관성을 갖고 있음. ◈ 문화연구의 흐름 첫째는 마르크스주의적 진보성의 색채를 띠면서 사회변혁을 강조하는 합리성 강조의 문화연구 경향 두 번째 경향은 각 개인에게 주어지는 다양한 권력작용을 자본주의 구성의 큰 흐름으로 보는 것 → 문화연구의 수정주의

6 문화연구의 이론적 전통 ◈ 마르크시즘 ◈ 대중사회 이론 : 이론적 전제
◈ 마르크시즘   마르크스 이론의 핵심 개념은 토대, 상부구조, 이데올로기로 이어지는 경제결정론 모든 사회문제의 근원은 위계적인 계급체계에 있으며, 이는 결국 노동자나 노동계급(proletariat)의 혁명에 의해 종식되어야 한다고 주장 ◈ 대중사회 이론 : 이론적 전제 ① 미디어는 사회 해악적이기 때문에 정화되어야 한다. ② 미디어는 보통 사람들의 마음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③ 일단 미디어에 의해 잘못 영향을 받으면 개인뿐 아니라 사회 전체가 황폐화된다. ④ 사람들은 과거 전통사회제도로부터 분리되어 미디어에 노출되기 쉽다. ⑤ 미디어에 의한 사회혼란은 전체주의적 사회질서로 해결될 것이다. ⑥ 대중문화는 문화의 저질화를 가져온다.

7 문화연구의 이론적 전통 ◈ 프랑크푸르트학파와 비판 이론 ◈ 그람시의 헤게모니론
◈ 프랑크푸르트학파와 비판 이론 프랑크푸르트학파란 1924년 독일 프랑크푸르트의 ‘사회연구소’에 참여했던 신마르크스주의(neo-marxism)학자들을 지칭 호르크하이머(Max Horkheimer), 아도르노(Theodor Adorno), 마르쿠제(Herbert Marcuse), 하버마스(Jürgen Habermas) 등이 대표적 마르크스의 비판 이론을 해석학과 결합시켰으며, 고급문화를 옹호하고, 대중문화를 비하시키는 입장을 견지 → 엘리트적이고 권위적 ◈ 그람시의 헤게모니론 지배계급은 단순히 정치적·경제적인 지배권한을 갖고 있을 뿐만 아니라 그 계급이 갖는 정치·문화·도덕 가치를 피지배계급에게 주입시킴으로써 자신들의 헤게모니를 확립한다고 주장

8 문화연구의 이론적 전통 ◈ 이데올로기적 국가기구(Idelogical State Apparatuses: ISAs):알튀세르(L. Althusser) 언론 자체가 일종의 허위의식으로서 통치의 수단이 되고 있다고 주장 학교나 언론은 경찰과 같이 폭압적이지는 않지만, 일종의 제도화된 이데올로기라는 것 ◈ 네오마르크시즘의 또 다른 연구경향: 정치경제 이론(political economy) 정치경제 이론은 은행, 주식시장과 같은 경제적 제도에 대한 엘리트의 지배에 대해 관심을 갖고, 이같은 지배권이 매스 미디어를 포함한 사회의 다른 제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에 관심을 갖음. 미디어가 어떻게 구조화되고 통제되는가에 관심을 갖음. 대표적 학자: 쉴러(H. Shiller)

9 문화연구의 이론적 전통 ◈ 기호학과 푸코의 담론
◈ 기호학과 푸코의 담론 소쉬르(Ferdinand de Saussure)를 필두로 한 구조주의 언어학자들은 의미작용을 언어 속에서 요소들이 선택되고 결합되고 접합되는 방식으 로 설명 레비스트로스(Levi-Strauss):문화란 다양한 사회적 실천들을 분류하는 목록이나 분류 체계로서, ‘의식’의 산물이라기보다 역사적으로 일정한 의식형태들을 생산해내는 데 매개체가 되는 무의식적 범주들과 틀임 바르뜨(R. Barthes)의 기호학 - 기호(sign)는 기표(signifier)와 기의(signified)의 결합체 - 신화적 기호(이데올로기)가 문화의 지배적 가치를 강화한다고 주장 푸코(Michel Foucault)의 담론 - 사인(sign)과 심볼(symbol)이 매스 미디어 메시지와 분리되어 있다고 생각하는 것은 잘못이라고 주장하면서, 기호학과 경제결정론 간의 중간에 담론(discourse)이라는 개념을 놓고 있음.

10 스튜어트 홀의 문화연구 미국식의 실증적 미디어 연구에 매우 부정적이었음.
문화를 지배적인 힘과 저항적인 힘을 포함한 사회의 다양한 힘들이 서로 경합을 벌이는 일종의 열린 장으로 보아야 한다고 주장 홀의 연구는 문화연구가 가지는 학제간 연구의 특성을 그대로 반영하여 마르크시스트의 경제결정론, 프랑크푸르트학파, 기호학의 텍스트분석 등에 걸쳐 있다는 점이 특징 단어 자체가 의미를 가지는 것이 아니라 담론 즉 커뮤니케이션과 문화를 통해서 의미를 만들어나간다고 주장 예) 신호등의 색깔

11 막강한 이데올로기적 도구로서의 미디어 ◈ 헤게모니(hegemony)와 은밀한 지배(subtle sway) ◈ 독자들의 해독방식
은밀한 지배를 가능하게 하는 담론 생산자가 바로 미디어이며 뉴스 라는 것 먼저 매스 미디어에 의해 기호화되고 해독되고 내면화되며, 궁극적 으로 수용자에 의해 행동화된다는 주장 ◈ 독자들의 해독방식 ① 헤게모니적 지배적 정의를 따르는 ‘선호적’ 해독 또는 ‘지배적’ 해독 (preferred reading, dominant reading) ② 기본적으로 지배적 정의를 따르지만 부분적으로 대안적인 의미를 생산하는 ‘타협적’ 해독(negotiated reading) ③ 지배적 정의를 거부하는 ‘반대적’ 또는 ‘대항적’ 해독(opposiste reading)

12 문화연구에 대한 비판 ◈ 문화연구의 장점 ◈ 문화연구의 단점 ① 정치 토대적, 행동 지향적인 특징을 갖는다는 점,
◈ 문화연구의 장점 ① 정치 토대적, 행동 지향적인 특징을 갖는다는 점, ② 대중문화의 가치를 중요시한다는 점, ③ 보통 사람들의 권력 갖기를 중요시한다는 점, ④ 소수집단의 권력화와 그들의 가치를 중요시한다는 점, ⑤ 문화적 다원주의와 평등주의를 강조한다는 점 ◈ 문화연구의 단점 ① 지나치게 정치적이며, 행동을 요구하는 부분에 있어서는 지나치게 주관 적이라는 점, ② 주관적 관찰에 기초하기 때문에 과학적 증명이 부족하다는 점, ③ 개혁적이긴 하지만 논쟁적인 방법론을 사용

13 문화연구를 적용한 국내 연구 사례 원용진 (2000) - 국내의 문화연구가 어떤 과정을 통해 수용되었으며,
- 국내의 문화연구가 어떤 과정을 통해 수용되었으며, 외국의 문화연구와 어떤 차이가 있는지에 대해 분석 박근서 (2000) - 민속방법론의 주요 원칙들을 살펴보면서, 커뮤니케이션 문화연구에 민속방법론이 어떠한 방식으로 투영되고 있는가를 분석 여백이 심심하니끼 책 읽고 있는 이미지 삽입

14 연습문제 상징적인 기호를 골라 그것의 기표와 기의, 외연적 의미와 내포적 의미를 구분해보시오.
2. 기호학과 문화연구의 공통점과 차이점은 무엇인가? 3. 프랑크푸르트학파와 문화연구의 공통점과 차이점은 무엇인가? 4. 문화연구의 방법론적 특징은 무엇인가? 5. 최근의 두드러진 문화현상 중 한 가지를 골라 문화연구적 시각에서 설명해보시오.


Download ppt "<커뮤니케이션 핵심이론> 15장. 문화연구 (Cultural Studies)."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