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연구과정의 일반절차 <개요> I. 서론(Introduction) - 문제의 제기, 시안적인 연구문제의 서술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연구과정의 일반절차 <개요> I. 서론(Introduction) - 문제의 제기, 시안적인 연구문제의 서술"— Presentation transcript:

1 연구과정의 일반절차 <개요> I. 서론(Introduction) - 문제의 제기, 시안적인 연구문제의 서술
II. 관계문헌 조사(Literature Review)- 본 연구문제의 서술 III. 연구가설의 설정(Hypothesis)- 중요 술어의 정의(이론적 및 조작적), 가설설정의 근거 IV. 연구방법(Methods)- 연구계획 및 설계, 자료의 수집, 표본추출, 실험재료 준비, 예비연구, 본 조사 및 실험, 자료의 검토 및 분석 V. 연구결과(Results)- 자료분석 결과 제시, 가설 검증결과 제시, 결과 요약 VI. 연구결과에 대한 토의(Discussion)- 연구결과 해석 및 논의, 연구의 제한점 제시 VII. 연구논문의 총괄적 요약 및 결론(Summary and Conclusion)-요약, 시사점, 제언

2 I.  서론(Introduction) 1. 연구문제 결정 및 제기(동기, 목적)-경험 또는 서적탐구를 통해서 연구의 아이디어 창안 연구의 목적-시의적 중요성, 문제해결, 연구의 갭을 메움, 일반화, 중요개념 및 관계규정, 실생활에 시사점 제시, 새로운 이론정립, 타 연구 검증 2. 잠정적 연구문제의 서술 ①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변수들간의 관계를 표명해야 한다. ② 질문(의문문)형식으로 분명하게 진술해야 한다. ③ 실증적 검증이 가능한 진술문이어야 한다. 진술문이 잠정적인 이유: 연구의 범위를 정할 수 있고 연구의 능률을 기할 수 있다.

3 II. 관계문헌 조사(Literature Review)
기존문헌 검토- 목적은 아이디어, 이론적 근거, 연구방법 터득, 시간 노력 비용 절감, 연구주제에 대한 지식 섭렵 2. 검토할 문제점 ①연구할 분야에서 기존의 연구들은 어디까지 연구를 진행해왔는가? ②기존연구에서 발견된 내용들 ③기존연구에서 제언된 앞으로 필요한 연구문제들--> 새로운 아이디어를 얻을 수 있다. ④기존연구에서 간과했던 변수들 ⑤기존연구에서 사용된 연구방법들 ⑥학문분야 발전에 대한 공헌도 3. 본 연구문제의 서술- 시안적 문제를 다듬고 개선한다.(이론적인 틀과 관련시켜 설정)

4 III. 연구가설의 설정(Hypothesis)
정의:  A hypothesis is a conjectural statement of the relations between two or more variables.(둘 혹은 그 이상의 변수간의 관계에 대한 추측적 진술문) 2. 좋은 가설의 판단기준: ①변수들간의 관계명시 ②관계검증이 가능한 분명한 진술문 변수 혹은 개념은 이론적인 정의와 측정을 위한 조작적 정의를 내려야 한다. ①이론적 정의: 어떤 개념과 관련된 언어적 의미를 명시해주는 것. ②조작적 정의: 의미의 획득을 위해서 측정의 단위나 수준을 명시해주는 것.

5 III. 연구가설의 설정(계속) <조작적 정의의 요건>
논리적 일관성; 한계설정 및 수량적 표현; 실증적이며 관찰가능; 실험조작의 가능성; 타인에 의해 반복가능; 이론형성에 필요한 개념 창조를 목표로 해야 함. 3. 가설의 중요성 ①이론의 작업수단 혹은 도구 ②가설은 관계로 연결될 때 참과 거짓을 증명 가능 ③지식의 발전을 위한 강력한 도구이므로 - “outside himself"하도록(주관적관점에서 벗어나게) 해준다. 4. 가설설정의 근거: 이론적 배경이나 경험적 논리에 의해서 가설을 세워야 한다.

6 IV. 연구방법(Methods) 설정된 가설을 검증해내기 위해서 필요한 자료들을 수집하는 절차와 자료를 분석하는 방법
1. 연구방법의 계획 및 설계 목적: Max-Min-Con Principle(체계적 분산의 극대화, 오차분산의 극소화, 가외변수의 통제) 2. 자료의 수집:①표본추출 ②실험재료 준비 ③측정도구 준비 ④예비 연구 ⑤실제자료 수집 3. 자료의 정리 및 분석: 1)편집 후 코딩작업 2)타당도와 신뢰도 검토(타당도: 측정하고자 생각하는 것을 재고 있는가의 문제; 신뢰도: 측정결과가 믿을만한가의 문제) 3)자료의 분석(①질적 분석; ②양적 분석) * 신뢰성의 측정방법: ①측정-재측정법 ②대등양식법 ③반분법 ④내적일관성법(α)

7 V. 연구결과(Results) 1. 자료의 검토결과(①의도적 반응특성검사 ②조작의 검토 ③코더 상호간 신뢰도 검토
④측정항목의 신뢰도 검토) 2. 각 가설의 검증결과 제시 (통계치 및 귀무가설의 기각 여부) 3. 연구결과의 요약

8 VI. 연구결과에 대한 토의(Discussion)
연구결과의 해석과 논의- 가설의 기각 혹은 입증결과에 대한 이유 및 의견제시 연구상의 제한 점 제시 및 연구 전 과정의 재검토

9 VII. 연구논문의 총괄적 요약 및 결론 연구 전체의 요약- 후 학자들에게 편의 제공 및 본 연구자의 정리와 이해에 도움
2. 발견사항 및 시사점- problem solving 검토 및 실용적 측면에의 시사점 3. 미래의 타 연구를 위한 제언- 후속연구를 자극하고, 계승발전, 새로운 이론정립에 공헌

10 자료수집의 의미와 방법 의미: 연구문제에 대한 해답을 얻거나 설정한 가설을 검증하기 위한 자료(data)의 획득
예비적 조사: 본 조사의 시행 전에 예비지식을 얻기 위한 기초작업 a) 문헌조사 - 문헌(documents; 기록물) 또는 Literature 사료, 공적문헌, 사적문헌, 통계자료, 기존 연구문헌 b) 전문가의 의견조사- 참고할 문헌이 충분치 않거나 기술적으로 수집이 어려울 경우 c) 시안적 연구조사(pilot study)- 연구문제의 핵심요소를 분명히 알지 못할 때, 설문지 작성이전 단계에서 행하는 자료수집의 한 형태.    공식적인 표본추출이 없이 현장에서 대상을 관찰, 면접하여 연구요체를 파악. d) 사전조사(pretest)- 설문지(또는 실험도구)의 초안을 만든 후 그 설문지를 통해 정확한 자료가 수집될 수 있는지를 검토(eg. 설문지의 내용, 어구, 배열 등)

11 2. 면접조사(Interview) 조사자가 알고자 하는 주제에 관한 자료를 수집하기 위해 표준화 혹은 비 표준화 된 문항을 가지고 연구 대상자의 의견을 직접 대면해서 얻는 행위. 특성:  ① 새로운 분야의 탐색도구로 활용(새로운 변수 발견, 변수간의 관계, 가설 설정) ② 연구의 주된 자료수집 도구로 사용 ③ 주된 연구방법을 보완 또는 보충방법으로 사용 면접의 성패는 면접자의 능력 및 응답자의 수용태도(receptiveness)에 달려있다. 성공적 면접의 조건: 만족과 기쁨을 느끼도록; 중요하고 보람있는 것으로 인식하도록; 응답자의 면접장애요인(언어, 지식, 면접공포증)이 극복되어야 한다.

12 B) 면접의 종류 ① 표준화 면접-사전에 준비된 질문지에 따라서 순서나 내용에 따라 하는 면접
장점: 일관성 유지; 높은 신뢰성; 높은 활용도(자료분석 용이); 면접결과의 비교가능성이 높다. 단점: 새로운 사실 발견가능성(eg. 동기) 희박; 면접상황에 대한 낮은 적응도; 면접자의 재량의 여지가 없다. ② 비 표준화 면접: 면접상황에 따라 신축성 있게 진행하는 면접 장점: 융통성; 정확한 응답 확보; 새로운 사실 발견 가능; 면접자의 재량 활용 단점: 낮은 비교가능성; 낮은 신뢰도; 면접결과의 처리가 쉽지 않다.

13 B) 면접의 종류(계속) ③ 준 표준화 면접: 표준화와 비 표준화가 혼합된 형태의 면접, 즉 중요한 질문은 면접스케줄에 따라서 하고 부가적 질문은 심층적으로 접근하는 면접. ④ 초점집단 면접(focus group interview): 수용자(소비자)의 태도 혹은 행위를 이해하기 위해 6~12명의 인원을 대상으로 핵심주제를 가지고 진행하는 자유토론식의 면접. 장점: 예비적 정보수집(idea 발견); 비교적 짧은 시간; 적은 비용; 설문설계가 용이(융통성 있게 질문이 가능) 단점: if 대화독점-->분위기 어색; 계량적 자료에 부적합; 사회자 능력에 의존; 조사대상의 표본이 지원자로만 구성되어 있다.

14 C) 면접의 진행 사람들 사이의 상호작용이므로 상대를 이해하고 분위기 파악이 필요하다.
① 면접자는 피면접자에게 이름, 신분, 소속기관을 반드시 밝혀야 한다(신분증 제시). ② 연구의 목적을 숙지해서 면접의 내용을 밝히고, 비밀보장, 무기명임을 주지시킬 것. ③ 피면접자가 어떻게 선정되었는지를 알려줄 것. ④ 관계기관의 협조의뢰서 혹은 공문의 사본을 제시하여 확신을 시켜줄 것. ⑤ 문밖에서의 소개는 간결하게 하고 일단 방안에 들어가는데는 성공해야 한다. ⑥ 면접상황에 맞도록 면접자의 접근방법을 변경(피 면접자의 교육수준, 신분 등 고려) ⑦ 친밀한 관계를 유지할 것 (첫 대화가 매우 중요한 인상을 준다).

15 D) 면접의 실시 정직, 성실, 객관적 입장, 복장 단정, 질문내용 숙지, 시간(9a.m.~9p.m.)
중립적 태도, 공평, 우호적, 대담의 형식으로 실시할 것. 면담내용을 즉시, 정확히 기록할 것(가능하면 사전 이해를 얻어 녹음기 사용) probing(답변의 정확도 판별법): 피 면접자가 어떤 질문에 대하여 부적합한 응답을 하거나  응답의 정확성에 대한 의문이 생길 때, 다시 물어서 확인해보는 보조적 탐색질문법.

16 3. 설문조사(Questionnaire) 조사자가 필요로 하는 연구자료를 수집하기 위해 여러 문항으로 정리하여 구성한 설문지를 직접 또는 우편으로 배포해서 응답자 스스로 자신의 의견을 기입하여 반송하게 하는 자료수집 방법. 유형: 검색질문-응답자의 응답자격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질문. B) 조사질문-연구의 실제 목적과 관련이 있는 질문. C) 인구 통계적 혹은 심리적 특성에 관한 질문- 대개 설문의 마지막에 위치함.

17 2) 조사질문의 형식 ① 개방형질문-질문을 일정한 분류유목(category)으로 나누지 않고 응답자가 자유롭게 답변하도록 구성된 질문. 장점: 탐구조사에 유용; 심층적 응답(동기파악 가능); 주 연구설문의 준비에 유용. 단점: 심리적 부담; 주관적; 자료처리(coding, 편집, 분석 등)의 어려움. ② 폐쇄형질문-응답자에게 답변의 자유를 주지 않고 제시된 분류항목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거나 또는 서열을 매기도록 하는 질문. 장점: 응답의 통일성을 기할 수 있다; 응답시간이 덜 요구되며 답하기가 쉽다; 응답한 결과를 쉽게 수량화시킬 수 있다(코딩, 도표화, 자료의 해석이 쉽다) 단점: 완전한 분류항목을 만들기 위해 예비조사나 사전연구가 필요하다.

18 ② 폐쇄형질문(계속) 찬부형 질문- yes or no로 이분화된 분류유목에 따라서 응답하게 하는 질문.
b) 선다형 질문-하나의 질문에 몇 개의 항목을 미리 정해서 응답케 하는 질문. 단, 항목이 총괄적, 상호 배타적이어야 한다. c) 서열형 질문-선호의 정도를 감안하여 응답자가 좋아하거나 싫어하는 순서로 열거된 항목의 순위를 매기도록 하는 질문. d) 척도형 질문- 응답의 강도를 알아내기 위해서 척도(5점, 7점, 9점 등)를 사용하여 질문에 답하게 하는 형식.

19 3) 작성 요령 ① 질문의 수- 응답자들이 권태를 느끼지 않을 정도(대략 30문항, 30분 내)
그러나 질문의 난이도에 따라서 응답의 속도가 다르므로 소요시간에 준해서 문항 수를 결정할 것( pre-test에서 검토 필요)

20 3) 작성 요령(계속) ② 순서의 배열- 조사의 정확성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다음의 원칙을 준수해야 함. 원칙:
원칙:      a) 흥미 있는 부분을 전반부에 배열할 것. b) 관련되는 질문을 한 곳에 묶어 배열하되 간혹 응답의 일관성을 검증하기 위해서 몇 문항은 분리시킬 수 있다.   c) 일반적 질문을 먼저 한 후 특수한 질문으로 넘어갈 것. d) 연구의 핵심이 되는 부분은 설문의 중간 이후에 배치할 것.                        e) 조사목적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부분(e.g. 인구통계적 자료)은 맨 끝으로 배치할 것.

21 3) 작성 요령(계속) ③ 질문용어 혹은 표현방법 a) 질문의 요지를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간단 명료하게 표현할 것.
b) 애매한 표현, 이중의 의미를 갖는 표현(2가지 질문이 합성)은 피할 것.            c) 전문용어는 되도록 삼가되 꼭 필요하다면 정확한 정의를 내릴 것.               d) 보통사람이 이해할 수 있는 수준의 단어나 문장을 사용할 것. e) 상투적 용어나 통상적 관념과 연계되는 용어(loaded term)는 피할 것. f) 개인적 신상(사생활)과 관련된 질문은 삼갈 것. g) 유도적인 질문은 피할 것. h) 정도 혹은 빈도부사를 되도록 피할 것(e.g., 대개, 일반적으로, 자주, 대부분). I) 부정적 어법은 삼갈 것. - “not, ..이 아닌 것은“을 생략하고 이해할 수                                          있으므로.

22 4) 설문에서 측정을 위해 주로 사용되는 척도 ① 리커트 척도(Likert Scale)- 합산 평가방식(summated rating scale) 하나의 주제와 관련된 진술문을 많이 만들고 응답자가 각 질문에 대해 “적극찬성(5)-찬성(4)-중립(3)-반대(2)-적극반대(1)”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도록 하는 측정방법. 단, 진술문의 일부는 긍정문으로 하며 다른 일부분은 부정문으로 서술해서 응답의 일관성이나 신뢰도를 측정할 필요가 있다.

23 4) 설문에서 측정을 위해 주로 사용되는 척도 ② 의미분별 척도(semantic differential scale)- 어떤 대상이나 이슈에 대해 어떤 개념으로 구성된 측정항목상의 의미에 초점을 두고(의미적 공간상에) 태도를 측정하는 방법으로서 주로 양극단의 형용사 쌍(bi-polar adjectives)을 사용한다. 예) 방금 본 광고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좋다    :____: ____: ____: ____: ____: ____ :____:   나쁘다 공정하다:____: ____: ____: ____: ____: ____ :____:   불공정하다 재미있다:____: ____: ____: ____: ____: ____ :____:   재미없다


Download ppt "연구과정의 일반절차 <개요> I. 서론(Introduction) - 문제의 제기, 시안적인 연구문제의 서술"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