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채소병해충 진단과 방제 <가지과 채소의 병해>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채소병해충 진단과 방제 <가지과 채소의 병해>"— Presentation transcript:

1 채소병해충 진단과 방제 <가지과 채소의 병해>
채소병해충 진단과 방제 <가지과 채소의 병해>

2 1. 역병 - 난균류에 속함 : Phytophthora속 - 가지과 채소뿐만 아니라 박과작물에도 심하게 발생하는 병해
  - 가지과 채소뿐만 아니라 박과작물에도 심하게 발생하는 병해   - 우리나라에서는 고추, 토마토, 감자에 제일 심한 피해를 줌   - 병원균의 전염력이 대단히 빨라서 일단 발병되면 급격히 주위로 퍼짐   - 초기방제가 중요하며 토양전염성병으로 약제방제 효과가 떨어짐 병원균     - Phytophthora capsici : 고추, 토마토, 피망, 박과 채소     - P. infestans : 토마토, 감자     - P. nicotiana : 가지

3 2) 병의 증상 및 진단법 3) 발생생태 - 발아초기부터 전 생육기간동안 발병함
    - 발아초기부터 전 생육기간동안 발병함     - 땅과 맞닿는 지제부의 줄기나 과실, 땅에서 가까운 잎에 먼저 발병     - 병환부 표면의 곰팡이는 강우에 의해 옆으로 튀겨나가 확산되거나 물에 씻겨 내려가 주위로 번짐 3) 발생생태   - 병원균은 토양내 병든 식물의 잔재물에 균사, 피낭포자, 난포자의 형태로 월동함 - 난포자는 발아하여 유주자낭을 형성하며 유주자낭에서 2개의 헤엄털을 가진 유주자가 분출하여 토양내 수분을 따라 능동적으로 이동하며 기주체에 도달하여 1차전염원이 됨, 감자의 경우 이병 씨감자가 1차전염원이 되기도 함   - 병원균이 물을 통하여 전염하므로 강우가 잦은 해, 찰흙토양, 배수불량지, 저습지에서 심하게 발병함   - 토양전염성 병해이므로 작물을 연작하면 병원균이 토양내에 축적되어 병발생이 증가함

4 2. 시들음병(위조병) 4) 방제대책 - 작물의 물관부에 병원균이 증식하여 통도조직이 막혀 시드는 병
    - 포장의 배수로 정비 및 고휴재배(15cm)     - 토양표면의 흙이 식물체에 튀지 않도록 멀칭     - 병발생 초기 약제살포 2. 시들음병(위조병)   - 작물의 물관부에 병원균이 증식하여 통도조직이 막혀 시드는 병   - Fusarium oxysporum에 의한 시들음병은 작물에 따라 이름이 달라 시들음병, 덩굴쪼김병(수박, 오이), 위황병(딸기, 무) 등으로 불리워짐   - 연작장해을 일으키는 대표적인 토양병해중 하나로 토마토, 오이, 수박, 멜론에 많은 피해를 주며 딸기, 무, 배추, 시금치 등에도 피해를 줌

5 *분화형 : Forma specialis(f. sp.)
1) 병원균     - Fusarium oxysporum은 불완전균류에 속하며 분생포자, 후막포자, 포자 덩어리인 분생자경속을 형성함     - 병원균은 기주식물에 따라 분화되어 있는 대표적 균이며 같은 과의 식물이라고 하여도 서로 침해하는 병원균의 분화형이 다를 때가 많음 *분화형 : Forma specialis(f. sp.)     - F. oxysporum f. sp. cucumerinum : 오이덩굴쪼김병     - F. oxysporum f. sp. nivenum : 수박덩굴쪼김병     - F. oxysporum f. sp. melonis : 참외덩굴쪼김병(참외, 멜론)     - F. oxysporum f. sp. lycopersici : 토마토시들음병     - F. oxysporum f. sp. fragariae : 딸기시들음병

6 2) 병의 증상 및 진단 3) 발생생태 - 아랫 잎부터 누렇게 변하고 시들며 점차 윗잎으로 번짐
    - 아랫 잎부터 누렇게 변하고 시들며 점차 윗잎으로 번짐 3) 발생생태     - 병원균은 후막포자의 형태로 토양내 생존하며 토양을 통해 전염     - 후막포자는 불량환경에서 최대 십수년간 기주체없이 생존가능하며, 뿌리 분비물질 속에 있는 탄소원이나 질소원을 이용하여 발아하여 식물체 뿌리를 통해 침입함     - 식물체에 침입한 소형분생포자는 물관부의 물을 따라 이동하여 물관부내에서 균사나 포자 혹은 병원균이 분비하는 독소로 물관부를 막히게 함     - 종자를 통해서도 전염됨     - 시들음병균은 고온성 곰팡이로 땅 온도가 높을 때 발육이 좋으며 외류의 경우 20~23℃, 다른 작물의 경우 25~30℃임     - 시들음병균은 부생성이 약하므로 다른 미생물이 잘 살지 않아서 경쟁이 심하지 않은 모래땅의 건조한 환경에서 잘 생존함     - 산성토양에서 번식이 좋고 중성이나 알칼리토양에서는 발병이 적음

7 4) 방제대책 - 종자소독 - 저항성대목을 이용한 접목재배 - 토양내 병원균의 밀도를 낮추기 위한 윤작
    - 종자소독     - 저항성대목을 이용한 접목재배     - 토양내 병원균의 밀도를 낮추기 위한 윤작     - 유기물을 시용하여 토양내 유용미생물의 밀도를 높혀 부생성이 낮은 시들음병균의 상대적 밀도를 줄임     - 토양온도가 20℃를 넘지 않도록 짚 등을 깔아 관리     - 주기적인 관수로 토양수분 유지     - 담수처리, 밀기울처리 등으로 토양을 혐기성으로 만들어 호기성균인 시들음병균의 밀도를 낮춤     - 파종기를 조절하여 고온기를 회피

8 3. 풋마름병(청고병) - 토마토에 피해가 많으며 생육기동안 비가 자주오고 온도가 높은 해에는 발생이 심함 1) 병원균
  - 토마토에 피해가 많으며 생육기동안 비가 자주오고 온도가 높은 해에는 발생이 심함 1) 병원균     - Ralstonia solanacearum(구: Pseudomonas solanacearum)이라는 세균에 의하여 발병되며 기주범위가 대단히 넓어 50과 450종 이상의 기주를 침해하며 주요 기주식물은 토마토, 고추, 감자, 파프리카, 가지, 담배 등의 가지과작물에 많은 피해를 일으킴     - 병원균은 생육적온이 35~37℃나 되는 극고온성인 세균이며 수분이 많은 조건에서 급격히 번식함     - 병원성 여하에 따라 5개의 레이스로 구분함 : 기주작물이 다름     - 레이스 이외에 생태형(biovar)으로 구분하기도 하는데 병원균이 2탄당이나 6탄당의 이용능력에 따라 5개의 biovar로 구분함 : 분포지역이 다름

9 2) 병의 증상 및 진단방법 - 식물전체가 급격히 시드는 것이 특징
    - 식물전체가 급격히 시드는 것이 특징     - 병환부의 줄기를 횡단하면 흐린 점액(세균)이 누출되므로 시험관내에 이병줄기의 횡단면을 담그면 자른 단면에서 담배연기와 같은 세균점액이 누출되는 것을 육안으로 확인 가능함     - 곰팡이에 의한 시들음병은 아랫잎부터 노랗게 시들고 세균병에 의한 풋마름병은 식물체가 급격히 시든다고는 하나 증상만으로 시들음병과 풋마름병을 구별하기 어렵고 보통 토마토 신초부분이 제일 먼저 시들고 식물체 전체가 위조하며 저녁에는 일시적으로 회복함     - 풋마름병원균은 다습한 상태를 좋아하고 35~37℃ 고온에서 증식이 빠르므로 비가 자주 오고 온도가 높은 해에는 걷잡을 수 없이 순식간에 번짐

10 3) 발생생태 4) 방제방법 - 병원균은 토양내 장기간 생존하는 전형적인 토양세균임
    - 병원균은 토양내 장기간 생존하는 전형적인 토양세균임     - 토양내 깊이 뻗어있는 잡초의 뿌리 근처나 토양내 식물체 잔재물에 생존하고 있다가 토양내 수분이 많아지고 온도가 높아지면 침입     - 대부분의 세균병은 주로 상처나 기주식물의 자연개구를 통해 침입하므로 지하부에 상처가 나지 않도록 정식시 주의해야 함 4) 방제방법     - 발병하면 방제하기가 불가능함     - 저항성대목 사용     - 토양수분에 매우 민감한 세균이므로 과도한 관수는 금물     - 이병주에서 생긴 병원세균 점액은 효과적인 2차전염원이 되므로 물방울에 튀겨 포장주위로 확산되지 않도록 주의

11 4. 잿빛곰팡이병(灰色微病, 회색곰팡이병) - 토마토, 고추, 가지, 감자 등의 가지과작물과 오이 등의 박과채소, 딸기,
 4. 잿빛곰팡이병(灰色微病, 회색곰팡이병)   - 토마토, 고추, 가지, 감자 등의 가지과작물과 오이 등의 박과채소, 딸기, 들깨, 화훼류 등 많은 작물에 발병하는 기주범위가 광범위하고 포자형성이 왕성하여 일단 발병한 후 저온(10~20℃)이 계속되면 심하게 번짐   - 토마토, 오이, 딸기 등을 겨울철에 촉성, 반촉성으로 재배하는 시설재배시 많이 발병함

12 1) 병원균     - 불완전균에 속하는 Botrytis cinerea는 기주범위가 대단히 넓어 채소, 전작, 화훼 등 거의 모든 작물에 발병함     - 잿빛의 분생포자를 형성하여 병환부에 쥐털모양으로 형성되며 생육후기에는 곤충껍데기 모양의 흑색 균핵을 형성하여 불량환경에 잘 견디는 내구체 역할을 함     - 병원균은 20~30℃에서 잘 생육하며, 병 발생에 직접 관여하는 분생포자 형성은 10~20℃의 저온에서 가장 왕성함  2) 병의 증상 및 진단방법     - 열매의 끝, 열매줄기의 화판, 잎의 끝에서 병징이 시작됨     - 처음에는 수침상의 작은 반점이 생겨 급격히 확대되면서 병환부 표면에 수많은 잿빛의 곰팡이 가루가 밀생함

13 3) 발생생태 4) 방제방법 - 병원균은 토양내에서 장기간 생존할 수 없으며 이병식물의 잔재물에 균사, 포자, 균핵의
   - 병원균은 토양내에서 장기간 생존할 수 없으며 이병식물의 잔재물에 균사, 포자, 균핵의 형태로 월동     - 병원균의 포자는 온도가 낮고(15℃ 내외) 습도가 매우 높아 포화습도에 가까운 상태가 9시간 이상 지속될 때 발아하여 상처부위나 각피를 뚫고 침입     - 저온기에 시설재배시 병원균 발아에 적합한 조건이 되기 쉬워 많이 발생하며 특히 온도가 15℃ 내외이고 시설내 비닐천정에 이슬맺힐 정도로 포화습도 상태가 계속되면 급격히 발생함 4) 방제방법    - 시설내 온습도 관리가 중요하며 특히 높은 습도에서 발병이 심하므로 습기를 제거하고 온도를 높이는 조치가 필요함    - 약제살포시 살포효과를 높이기 위해 침투이행성 약제와 적용범위가 넓은 광범위 약제를 교호살포하며 습도에 민감한 병원균이므로 약제는 수화제보다 훈연제, 분제, 미립제, 고농도 극미량살포제 등을 살포하고 심한 경우에는 3~4일 간격으로 3~4회 집중적으로 살포함

14 - 고추에서 역병과 더불어 가장 피해가 큰 병해임
 5. 탄저병  - 고추에서 역병과 더불어 가장 피해가 큰 병해임   - 예전에는 생육후기 붉은 고추에서만 발생하였으나 최근에는 풋고추나 육묘시 어린묘에도 발생함   - 고온 및 잦은 강우시 발생이 심함 1) 병원균     - Colletotrichum속에 속하는 4종의 곰팡이에 의해 발병한다. : C. acutatum, C. gloeosporioides, C. dematum, C. cocodes     - 발육적온은 비교적 고온(28~32℃)이고, 병원균의 포자는 끈끈한 점질물에 쌓여 있으므로 바람에 의한 비산은 불가능하며 비바람, 폭풍우, 태풍 등 외부의 물리적인 힘에 의하여 공중으로 날아 주위로 퍼져 병을 일으킴

15 2) 병의 증상 및 진단방법 3) 발생생태 - 잎, 줄기, 과실에 발생하며 잎에는 청록색 윤문이 생겨 확대되고 줄기와 과실에는
    - 잎, 줄기, 과실에 발생하며 잎에는 청록색 윤문이 생겨 확대되고 줄기와 과실에는 엿빛의 수침상 작은 반점이 생겨 확대됨     - 병든 부위는 다소 움푹해지고 병반상에 형성된 홍색~흑색의 분생포자층에 의하여 진단이 가능함 3) 발생생태     - 병원균은 종자나 이병잔재물에서 월동하여 전염원이 됨     - 토양에서의 생존기간은 길지 않음     - 병원균은 병환부에 끈끈한 점질물로 쌓여 있으므로 비바람 등 외부로부터 물리적인 힘에 의하여 이탈하여 공기전염됨     - 28℃ 이상의 고온과 생육기에 비가 잦고 태풍이 많이 오는 해에 발생이 심함

16 4) 방제방법 - 병든 부위는 일찍 제거하고 수확 후 병든 식물체의 잔재물은 모두 없애 전염원을 제거함
 4) 방제방법     - 병든 부위는 일찍 제거하고 수확 후 병든 식물체의 잔재물은 모두 없애 전염원을 제거함     - 병원균이 비바람, 태풍, 폭풍우 등에 의하여 비산침입하므로 약제살포는 강우 후 즉시 이루어져야 효과적임     - 발병초기나 예방적으로 약제를 살포해야 효과적임

17 6. 잎곰팡이병(엽미병) - 토마토에만 발병하고 시설 및 포장에서 온도가 낮고 다습할 때 발생함
  - 토마토에만 발병하고 시설 및 포장에서 온도가 낮고 다습할 때 발생함   - 병원균의 증식이 대단위로 이루어져 병발생 초기 병원균 밀도가 낮을 때 방제하지 않으면 큰 피해를 줌 1) 병원균     - Fulvia fulva(구: Cladosporium fulvum)로 불완전균에 속하고 병반 뒷면에 비로도 모양의 부드러운 곰팡이가 이 균의 분생포자임     - 병원균의 발육적온은 20~25℃이며 다습한 상태를 좋아함

18 2) 병징 3) 전염방법 및 발병유인 4) 방제방법 - 잎의 뒷면에 타원형의 병반이 생기며 옅은 갈색의 곰팡이로 덮이게 되고
    - 잎의 뒷면에 타원형의 병반이 생기며 옅은 갈색의 곰팡이로 덮이게 되고 병든 잎의 겉면은 병반부가 황화하며 점차 안쪽으로 말림 3) 전염방법 및 발병유인     - 종자나 병든 식물체의 잔재물에서 월동하여 1차 전염원이 되며 2차적으로는 잎뒷면에 형성된 분생포자가 바람에 날려 공기전염함     - 20℃ 내외에서 과습한 조건이나 밀식에 의해 통풍이 나쁜 포장, 식물체가 쇠약한 경우 발생함 4) 방제방법     - 종자전염하므로 종자소독     - 이병잔재물 조기 제거     - 토마토 시설재배시 온도가 너무 내려가지 않도록 하고 다습하지 않도록 함

19 7. 겹둥근무늬병(輪文病) - 토마토, 감자의 생육기간동안 흔히 볼 수 있는 병해로 온도가 비교적 높고 건조할 때 잘 발생함
 7. 겹둥근무늬병(輪文病)   - 토마토, 감자의 생육기간동안 흔히 볼 수 있는 병해로 온도가 비교적 높고 건조할 때 잘 발생함 병원균     - Altenaria solani라는 불완전균이며 26~28℃에서 생육이 좋음  2) 병징     - 잎에 암갈색 파상의 겹둥근무늬가 생기는 것인 특징

20 3) 전염경로 및 발병유인 4) 방제방법 - 종자나 병든 부위에서 월동하여 1차 전염원이 되며 2차 전염원은 병반상에 생긴
 3) 전염경로 및 발병유인     - 종자나 병든 부위에서 월동하여 1차 전염원이 되며 2차 전염원은 병반상에 생긴 흑색곰팡이(분생포자)가 바람에 날려 공기전염함     - 27℃ 내외로 기온이 다소 높고 건조할 때 발생이 많으며 생육후기에 영양상태가 나빠져 생육이 쇠퇴하면 발생하기 쉬움  4) 방제방법     - 종자소독, 왕성한 생육유도, 병든 부위 조기 제거

21 8. 균핵병 - 시설재배시 온도가 낮고 습도가 높을 때 발생 - 잿빛곰팡이병과 발생생태가 비슷함 1) 병원균
 8. 균핵병   - 시설재배시 온도가 낮고 습도가 높을 때 발생   - 잿빛곰팡이병과 발생생태가 비슷함 1) 병원균     - Sclerotinia sclerotiorum은 자낭균에 속하며 균핵과 자낭, 자낭포자를 형성함     - 균핵은 토양표면에서 겨울철을 보내는 내구체 역할을 하며 2~5년간 생존이 가능함     - 병원균의 발육적온은 20℃ 내외이며 다습한 조건을 좋아함  2) 병의 증상 및 진단방법     - 주로 줄기나 곁가지에 발생함     - 병든 부위는 수침상이 되고 급격히 시들며 후에는 황갈색으로 되어 눈처럼 흰곰팡이 덩어리가 생기며 쥐똥모양의 균핵으로 변하여 병환부에 붙어있음

22 3) 발생생태 4) 방제방법 - 1차 전염원은 토양표면의 균핵이 발아하여 만들어진 자낭포자가 비산하여 공기전염함
    - 1차 전염원은 토양표면의 균핵이 발아하여 만들어진 자낭포자가 비산하여 공기전염함     - 무가온시설재배시 기온이 낮고 다습하면 발생이 많아지고 연작하면 전염원의 밀도가 증가하여 병발생도 증가함 4) 방제방법     - 화본과작물로 윤작, 토양을 깊이 갈아 균핵을 묻어버림, 담수처리

23 9. 흰가루병(白紛病) - 고추의 경우 일반포장에서도 많이 발생하지만 토마토, 가지를 시설재배하는 경우 발생이 많음
  - 고추의 경우 일반포장에서도 많이 발생하지만 토마토, 가지를 시설재배하는 경우 발생이 많음   - 특히 온도가 비교적 낮고 건조한 조건에서 많이 발생함  1) 병원균     - 고추의 병원균은 Leveillula taurica이며 다른 흰가루병균과 달리 내부기생성이며 발병적온은 15~28℃이며, 토마토와 가지는 Erysiphe cichoracearum에 의해 발병하며 발병적온은 25~28℃임     - Leveillula taurica는 엽육조직에 균사가 침입해 들어가 뿌리를 박고 잎뒷면의 숨구멍으로분생자경을 내어 그 끝에 포자를 형성함 - 비닐하우스에서는 자낭세대(유성세대)를 경과하지 않고 분생포자세대(무성세대)만으로 생활사가 형성되므로 빠른 속도로 포자가 전반되기 때문에 병이 만연될 위험이 큼

24 3) 발생생태 4) 방제방법 2) 병의 증상 및 진단방법 - 보통은 식물의 표면에 흡기를 박고 영양원을 취하는 외부기생균임
 2) 병의 증상 및 진단방법     - 보통은 식물의 표면에 흡기를 박고 영양원을 취하는 외부기생균임 3) 발생생태     - 병든 식물체의 잔재물에서 균사나 자낭각으로 월동함     - 비교적 서늘하고 공기중의 습도가 낮을 때 발생이 많음 4) 방제방법     - 오이, 상추, 장미의 경우 난황유이용(0.3%: 식용유 60ml + 노른자 1개/20L)

25 10. 잘록병(立枯病) : damping-off
  - 육묘시 모판에서 발생하는 병해로 특히 습기가 많은 토양에서 많이 발생하며 가지과 작물의 발아기간이 타과에 비해 길기 때문에 토양 또는 종자내에 존재 하는 병원균에 이병되기 쉬움 1) 병원균     - Rhizoctonia solani, Pythium spp., Fusarium oxysporum 3종에 의해 발생하며 3가지 모두 토양내에 서식하며 종자내부에 기생하여 잘록병을 일으키기도 함     - 3종의 균은 각기 다른 환경에서 발생하는데 R. solani는 저온하 약간 건조한 상태에서, Pythium spp.는 저온 혹은 고온시 토양내 수분함량이 과다할 때, F. oxysporum은 토양 온도가 20℃이상의 고온이고 건조한 토양에서 발생함     - 이들 3종의 균들은 서로 길항작용이 있어 동일장소에서 복합적으로 병을 일으키는 경우는 거의 없음     - 3종중 R. solani에 의한 잘록증상이 가장 흔하고 다음으로 Pythium spp. 순임

26 2) 병징 3) 발생생태 4) 방제방법 - 잘록병은 어린모의 줄기가 목질화되기 전에 발생하며 작물이 성장하면 저항성으로 됨
    - 잘록병은 어린모의 줄기가 목질화되기 전에 발생하며 작물이 성장하면 저항성으로 됨 3) 발생생태     - 3종 모두 토양전염하지만 종자전염도 가능함     - F. oxysporum은 균사나 분생포자로, R. solani는 균사로, Pythium spp.는 운동성이 있는 유주자가 토양수분을 따라 이동하여 전염     - 땅온도가 15~20℃일 때 발생이 많으며 투광량 부족 혹은 밀식에 의하여 모가 유자랄 때 발생하기 쉬움 4) 방제방법     - 건전종자 사용 혹은 종자소독

27 11. 세균성점무늬병(斑點細菌病) : bacterial spot
  - 국지적으로 고추에 많이 발생하며 때때로 큰 피해를 주기도 하며, 생육기에 비가 많이 와서 다습한 날이 계속되면 심하게 발생하여 잎이 모두 떨어져버리는 경우도 있음 1) 병원균     - Xanthomonas vesicatoria(Xanthomonas campestris pv. vesicatoria)라는 세균에 의해 발병하며 기주에 따라 레이스가 달라지며 외국에는 7종, 우리나라에는 2종이 알려져 있음  2) 병의 증상 및 진단법     - 잎, 잎자루, 줄기, 과경 및 과실에 발생하며, 잎에서는 암갈색의 원형 또는 부정형의 작은 점무늬를 나타내고 암갈색 점무늬의 주위에 담황색 띠(halo)를 동반함

28 3) 발생생태 4) 방제방법 - 토양내 병든 식물조직의 잔재물에서 월동하여 1차전염원이 되지만 종자전염이 일반적임
    - 토양내 병든 식물조직의 잔재물에서 월동하여 1차전염원이 되지만 종자전염이 일반적임 - 2차전염원은 병환부의 병원균이 빗물에 의하여 주위로 확산됨     - 25℃ 내외의 서늘하고 다습한 환경에서 발병함 4) 방제방법     - 종자소독


Download ppt "채소병해충 진단과 방제 <가지과 채소의 병해>"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