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중세 세르비아 왕국성립 201003306 조예나 201003814 홍석현 201102182 유지윤.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중세 세르비아 왕국성립 201003306 조예나 201003814 홍석현 201102182 유지윤."— Presentation transcript:

1 중세 세르비아 왕국성립 조예나 홍석현 유지윤

2 목차 1. 중세 유고슬라비아의 정세 2. 세르비아 중세 왕국 - 성립배경 - 스테판 네마냐 - 스테판 네마니치
3. 전성기와 쇠퇴기 4. 중세 세르비아 쇠퇴기 이후..

3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코소보, 보스니아와 헤르체고비나 지역정착
중세 유고슬라비아 정세 세르비아 7c 발칸의 남쪽으로 이주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코소보, 보스니아와 헤르체고비나 지역정착 크로아티아 6~7c발칸반도로 이주 5형제 공동체로 크로아티아 지역거주 보스니아 6c말7c 보스니아지역에 정착 산악지역 주변민족들의 침입 민족정체성 구분 어려움

4 중세 유고슬라비아 정세

5 세르비아 중세 왕국 681년 제1 불가리아제국(시메온&사무엘) 세르비아 지역으로 영토확장 비잔티제국 구원요청후 통치강화
험준한 산악지역 교류 어려움 종교중심 유대성 확대 – 지역, 민족간 유대성 강화 족장들 중심의 정치적 연합체 구성 9c 중엽, 블라스티미르(세르비아 민족 대족장)비잔틴제국과 동맹 현 노비 파자르의 샨자크지방에 라쉬카(Raška)공국 수립 기독교 수용, 제타(Zeta)공국 흡수

6 스테판 네마냐(Stefan Nemanja) 1166-1196
세르비아 중세의 네마니치 왕조 시조 독립 왕조 건설을 위해 비잔틴군과의 전쟁 1186년 제타지역을 비잔틴으로부터 편입 국가와 교회의 강력한 유대관계 형성 은퇴 후 수투데니짜, 힐란다르 사원 건립 등 정교발전과 확대에 주력

7 힐란다르&스투데니짜 사원

8 스테판 네마니치(Stefan Nemanjić) 1196-1228
1217 년, 로마교황 이노센트3세로부터 왕위 부여 세르비아 중세왕국 선포 1222년 성 사바(Sveti Sava)의 도움으로 대관식 치룸 정치적으로 독립왕국 선포 최초의 세르비아 정교회의 독립교구 수립 (불가리아 Ohrid교구소속 → 코소보 지역 Žica) ☞ 세르비아 정교의 기틀 마련

9 최초의 세르비아정교회 독립교구 위치

10 중세 세르비아 전성기&쇠퇴기 두샨시대에 전체 유럽과 소아시아 지역을 상대하는 무역을 통한 부 축적
아드리아 해Ragusa(현재의 Dubrovnik) 중심

11 중세 세르비아 전성기&쇠퇴기 두샨사망(1355) 스테판 우로쉬 집권( ) 왕족과 지방영주들사이의 권력투쟁 오스만터키와의 1,2차 마리짜강 전투 네마니치 왕조멸망

12 쇠퇴기 이후… 오스만 터키 군의 승리 기독교 국가들의 지원과 재건 노력 사라짐 2차 코소보 전투 승리
비잔티 제국의 콘스탄티노플 점령 스메데레보 장악 1878년 3월 스테파노 조약 월 베를린 조약 400여년 동안 터키 지배 하에 존재

13 HVALA LEPO ^.^ 만든이 H.S.H J.Y.N Y.J.Y [출처] ‘유고슬라비아 역사’ - 김철민 /권혁재 교수님
‘역사와 인물로 동유럽 들여다보기’ - 김철민 교수님 H.S.H J.Y.N Y.J.Y


Download ppt "중세 세르비아 왕국성립 201003306 조예나 201003814 홍석현 201102182 유지윤."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