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12장 사회변동과 사회발전.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12장 사회변동과 사회발전."— Presentation transcript:

1 12장 사회변동과 사회발전

2 차 례 1. 사회변동이란 무엇인가 5. 근대화 2. 사회변동의 원인 6. 종속이론 3. 사회변동의 의미
7. 근대화와 개발도상국 4. 사회변동의 제이론

3 1. 사회변동이란 무엇인가 사회환경이 하나의 사회질서에서 다른 사회질서로 대체 되는 과정
환경, 인구, 이데올로기, 테크놀로지, 문화혁신, 사회구조 등과 같은 요인에 의해서 발생 사회의 정치·경제체제나 가치체계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변화하는 과정도 내포

4 2. 사회변동의 원인 물리적 환경 인구 문화혁신 관념 테크놀로지 사회구조

5 4. 사회변동의 제이론 사회진화이론(social evolutionary theory)
19세기 찰스 다윈(C. Darwin)의 생물학적 진화론의 영향을 받아서 형성된 사회변동이론 진화론은 종종 살아 있는 유기체로부터 사회학적 유추를 시도하여 모든 생물체가 단순한 것에서부터 복잡한 것으로 진화해 나가는 과정을 인간사회의 변 동과정에 그대로 적용

6 4. 사회변동의 제이론 스펜서(H. Spencer)의 진화이론
사회를 생물유기체에 비유하여 사회구조의 분화와 통합에 초점을 둔 이론 생물유기체나 사회 모두 그들의 생애주기에 따라 성장 하며, 수와 크기가 증감함과 동시에 구조상으로는 몇 개의 비슷한 부분들로부터 이질적이면서도 상호연 결 된 수많은 부분으로 분화해 간다고 주장 불명확하고 일관성 없는 동질성으로부터 명확하고 일관성 있는 이질성으로 변화하는 과정을 진화로 봄

7 4. 사회변동의 제이론 뒤르켕(E. D rkheim)의 진화이론 사회변동을 사회적 분화와 상호의존성의 시각에서 설 명
전근대사회와 근대사회를 각각 환절적 사회와 유기적 사회로 구분

8 4. 사회변동의 제이론 환절적 사회인 단순사회: 사회구조가 미분화되어 있는 사회로서 분업이 최소한의 정도로만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모든 사람은 공통된 가치를 공유하고 유사한 일을 수행. 개인들 사이의 유사성에서 비롯되는 기계적 연대(mechanical solidarity)가 주요한 특성. 기계적 연 대는 강한 집합의식의 존재를 특징 유기적 사회: 복잡한 분업이 특징. 개성이 발전될 여지 가 충분함. 개인들 사이의 이질성과 분업에 의해 창출 된 상호의존성에 기초하여 성립하는 사회가 유기적 연 대의 사회

9 4. 사회변동의 제이론 신진화이론 인류학자 화이트(L. White)와 스튜워드(J. Steward) 등 이 제창한 이론
스튜어드는 마치 나무가 가지를 치듯이 문화도 여러 갈래로 진화해 간다는 다선진화론을 제창하였으며, 이러한 입장에 기반을 둔 방법론적 접근으로 문화생 태학을 발전시킴

10 4. 사회변동의 제이론 진화이론에 대한 네 가지 비판 사회변동의 방향성에 대하여 의문이 제기
사회변동이 반드시 진보를 뜻하는 것인가에 대해 의문이 제기 사회가 복합적으로 되어 간다는 것이 반드시 인간의 삶을 증진시킨다고 보기 힘들다는 것 진화의 방향이 단일한 직선상에 놓여 있다고 주장하 는 것은 문화상대주의에 도전하는 입장

11 4. 사회변동의 제이론 순환이론 진화이론과 대비되는 순환이론은 역사학자 슈펭글러 (Spengler)가 1926년에 발표한 『서구의 몰락』과 토인 비(Toynbee)가 1947년에 발표한 『역사의 연구』 등을 통해 제시 원래 순환이론은 14세기 아랍인 튀니지의 이븐 할둔 (Ibn Khaldun)이 주창. → 이슬람문명의 흥망성쇠에 관심을 갖고 여러 나라의 흥망사를 비교·설명하면서 사회변화나 문화현상은 유기체의 일생처럼 성장과 쇠퇴를 되풀이한다고 주장

12 4. 사회변동의 제이론 파레토(V. Pareto): 이탈리아 사회학자. 1935년 『일반 사회학 개론』에서 엘리트 순환이론
(사자형 인간 vs 여우형 인간) 슈펭글러(Spengler): 문명의 운명은 바로 숙명(destiny) 의 문제라고 언급. 각각의 문명은 생물유기체와 비슷 하며 출생, 성숙, 노년, 사망으로 이어지는 어떤 생활 주기를 가지고 있음. → 모든 창조적 활동은 생활주기 의 초기단계에서 발생하며 그 문명이 성숙함에 따라 원래의 영감을 잃고 보다 세속적이 되며 종국에 가서 는 몰락함

13 4. 사회변동의 제이론 토인비(A. Toynbee): 역사학자. 세계의 문명을 21개로 나누어서 이들 문명의 동태를 밝히면서 역시 순환론 적 관점을 보여 줌. 문명도 발생, 성장, 쇠퇴(정체) 및 해체의 과정을 겪는다고 봄.

14 4. 사회변동의 제이론 기능주의이론 균형이론이라고도 부르는 기능주의이론은 사회를 균형잡힌 체계로 보고 사회변동을 생물유기체의 개체 유지과정으로부터 유추하여 설명한 이론

15 4. 사회변동의 제이론 갈등이론(conflict theory)
기능주의이론이 사회체계 내의 통합적이고 안정적인 과정을 강조한 반면, 이 이론은 불안정과 투쟁 그리고 사회적 와해를 야기하는 힘을 강조. 대표적인 인물은 마르크스(K. Marx) 마르크스: 대자연과 마찬가지로 인간사회도 끊임없이 변동, 발전한다고 봄. 특히 사회변동을 계급 간의 갈등 으로 이해 → 모든 사회는 하부구조와 상부구조로 이 루어짐 다렌도르프(R. Dahrendorf): 분배관계에서 갈등 발생

16 4. 사회변동의 제이론 사회심리학이론 헤이건(E. Hagen)
경제발전을 기술적 진보에서 비롯되는 일인당 국민소 득의 지속적 증대로 규정 → 창조적 퍼스낼리티에 의해 이루어진다고 봄 경제성장과정은 장기간에 걸쳐 특수한 사회적 맥락에 서 출현하는 창조적 개인들, 즉 외국문물 접촉자, 새로 운 지식과 자본에 접근 가능한 자 등과 밀접하게 관련

17 4. 사회변동의 제이론 창조적 퍼스낼리티의 소유자는 그의 사회적 환경이 자신을 소중히 여긴다고 믿고 있으며, 그러한 평가는 자신의 성취에 의존하여 나타나므로, 그의 가치를 확인받으려는 욕구에서 열심히 무엇인가를 성취 맥클러랜드(D. C. McClelland): 경제발전에 관심을 두고 사회변동의 주요 동인으로 성취지향적 퍼스낼리 티를 강조

18 4. 사회변동의 제이론 기술결정론과 문화결정론 기술결정론(technological determinism)
사회변동의 요인으로써 기술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입 장인데, 때에 따라서는 경제결정론과 같은 의미로 쓰임. 대표적인 학자로 마르크스가 있음 마르크스: 사회변동의 원인을 생산양식의 변화에서 찾 음. 즉, 각 사회는 발전단계에 상응하는 물질적 생산력 을 가지고 있고, 생산력은 생산관계를 결정하는데 생산 관계가 한 사회의 전체 구조를 형성

19 4. 사회변동의 제이론 문화결정론(cultural determinism) 문화가 경제·정치제도를 결정한다는 입장
베버(M. Weber): 비물질문화, 즉 정신생활이 사회변동 에 더 중요하다는 입장. 근면과 금욕, 검약을 강조하는 프로테스탄티즘, 특히 칼뱅주의 교리에 포함된 기독교 적 윤리와 가치가 산업혁명에 결정적인 영향을 끼침과 동시에 서구 자본주의 발전에 커다란 기여를 하였다고 주장

20 5. 근대화 근대화의 정의 근대화 (近代化, modernization)라는 개념은 산업화와 밀접히 관련됨은 물론, 서구화와 동일시되는 개념 산업화 이전의 전통사회인 전근대사회가 서구 선진공 업사회로 변화해 가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경제적· 정치적·사회적·문화적 변동의 과정

21 5. 근대화 근대화이론 근대화 개념은 서구사회가 전근대사회에서 근대사회 로 이행해 오는 과정에서 보여 준 몇 가지 특징을 경 험적 기초로 하여 형성 서구사회의 모습이 전 세계 어디서나 실현되어야 할 최종적인 목표이자 전형적인 모습으로 여겨 옴 근대화는 서구화와 등치되는 개념으로 근대화 과정에 서 모든 사회가 일련의 비슷한 경로를 밟는다는 점에 서 단선적 변동론

22 5. 근대화 호설리츠(B. F. Hoselitz)의 근대화이론: 근대화란 전통적 인 유형의 제거, 즉 전통사회에서 지배적으로 나타나는 행위특성의 제거 혹은 수정을 의미 스멜서의 근대화이론: 파슨스나 스멜서(N. J. Smelser)와 같은 기능주의적 근대화론자들은 근대화를 사회의 구조 및 기능의 분화를 특징으로 하는 한편, 통합된 것으로 파 악

23 6. 종속이론 종속이론(從屬理論, dependency theory)
1960년대에 들어와서 라틴아메리카 대륙의 학자들이 라틴아메리카의 발전문제를 다루면서 제시한 이론. 서구 세계가 제3세계의 발전이론으로 제시한 근대화 론으로는 라틴아메리카의 발전문제를 제대로 설명하 지 못한다는 비판적 인식에 바탕 라틴아메리카 발전정책의 근간이 되어 온 근대화론에 대한 부정에서 출발. 제3세계 나라들의 저발전의 원인 이 그들 사회 내부의 전통적 구조에 있다고 보는 근대 화론을 거부하고, 오히려 제3세계의 저발전은 선진자 본주의 국가들과의 경제적 종속관계 때문이라고 봄

24 6. 종속이론 중심-주변관계 소수의 선진산업국가들은 세계의 정치, 경제, 사회적 중심을 형성하고 전세계를 통하여 다양화된 기술을 근간으로 재화와 용역을 생산하며 그들 자신에게 유리한 무역 많은 저발전국들은 그만큼 악조건에 있으며 세계 정 치, 경제체계의 주변에 위치. 그들은 자본, 기술, 고급 인력이 부족하고 1차 산업의 수출에만 의존 주변부 국가들은 계속 저발전 상태에 머무는 반면 중 심부 국가들은 더욱 부유해짐

25 6. 종속이론 프랑크의 가설 종속이론의 대표적 학자인 프랑크(A. G. Frank)는 세계자본주의 확대과정에서 저발전이 생겨났고, 선진 국과 저발전국 간 종속적 관계가 지속되고 있는 오늘 날에도 저발전의 발전 내지 저발전의 심화가 이루어 지고 있다고 주장

26 6. 종속이론 푸르타도(C. Furtado) 의 저발전과정론 저발전과정론을 3단계로 나눔 비교우위단계 수입대체단계
다국적기업의 확산단계

27 6. 종속이론 종속적 발전이론 월러스틴(I. Wallerstein)은 저발전에 관한 세계체제이 론을 제시하여 종속적발전의 가능성을 이론화. 세계 체제의 주변부에 위치하는 제3세계가 중심부와의 관 계에서 종속성을 면치 못한다는 사실은 부인할 수 없 지만, 1960년대 중반 이후로 제3세계 일부 국가들에 서는 저발전의 심화 대신 발전이 이루어졌음에 주목 한국, 타이완, 브라질, 멕시코, 아르헨티나와 같은 후 기-후발형 신흥공업국가들의 경우, 괄목할 만한 자본 축적이 생산구조의 분화와 함께 이루어지면서 전반적 으로 경제규모가 커지고 소득이 증대하는 결과를 초 래

28 7. 근대화와 개발도상국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많은 아시아·아프리카·라틴아메리 카의 식민지 국가들은 신생국으로 독립. 빈곤한 삶과 낙후된 사회체제, 후진적인 정치구조를 바꾸기 위해 이들 대다수 제3세계 국가(개발도상국)들은 서구선진공 업국들이 밟아 왔던 근대화를 자신들이 답습해야 할 모델로 인식 대다수 개발도상국들은 근대화를 추진하는 과정에서 자국 내의 전통에 기반을 둔 세력들과의 갈등이 불거지 기도 함

29 7. 근대화와 개발도상국 서구사회에 비하여 근대화의 출발이 늦은 일부 개발도상 국들에서 근대화의 필요성은 소수의 통치자들에 의해 강하게 추진 근대화에 대한 저항, 군부 쿠데타를 통한 근대화 추진 등 의 문제는 결국 개발도상국 사회에서 근대화의 필요성이 너무나 절박하였고, 선진국들이 오랜 시간에 걸쳐 이룬 근대화의 목표를 단시일 내에 달성하려는 과정에서 빚어 진 부산물


Download ppt "12장 사회변동과 사회발전."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