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난이도 위계 가설.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난이도 위계 가설."— Presentation transcript:

1 난이도 위계 가설

2 난이도 위계 가설 : Prator (1967) (p.186-187)
Hierarchy of Difficulty 두 언어의 차이를 비교해보았을 때 -- 어떤 경우 학습자가 가장 어려워할까? Level 0 ~ Level 5

3 난이도 위계 가설 : Prator (1967) Level 0: 전이. Transfer
Level 1: 병합. 융합. Coalescence Leve1 2: 구별부족. Underdifferentiation Leve1 3: 재해석. Reinterpretation Leve1 4: 과잉구별. 0verdifferentiation Leve1 5: 분리. Split

4 난이도 위계 가설 : Prator (1967) Level 0: 전이. Transfer
차이 없음 Level 1: 병합. 융합. Coalescence L1의 2요소가 L2에서 1요소로 결합됨 LeVel 2: 구별부족. Underdifferentiation L1에서는 있으나 L2에는 없음 Level 3: 재해석. Reinterpretation L2에서 새로운 형태나 새로운 분포로 존재 Leve1 4: 과잉구별. 0verdifferentiation L1에서는 없으나 L2에는 있는 경우 Level 5: 분리. Split

5 0 단계: 전이 (transfer) 긍정적 전이 가장 쉬움 *예 영어와 중국어는 같은 어순
영어를 배우는 중국인학습자는 이에 혼란을 겪지 않는다.

6 1단계: 병합 (coalescence) 어떤 요소가 모국어에서는 두 가지인데 제2언어에서 는 구별 없이 한가지로 쓰는 경우
예: 한국어의 숫자 한국어는 순수한국어로 된 숫자와 한자어로 된 숫자가 서 로 쓰임이 다르다. 영어에서는 한가지 영어를 배우는 한국인 학습자들은 한가지만 쓰면 된다.

7 예: 한국어 vs. 영어 한국어: 영어: 밥/쌀/벼:서로 다른 어휘 rice 영어를 배우는 한국인 학습자
그다지 큰 어려움을 느끼지는 않는다.

8 2단계: 구별부족 (under-differentiation)
모국어에는 있는데, 제2언어에는 존재하지 않음 예: 인칭에 따른 시제 변화 {영어권 학습자가 한국어 배울 때} 한국어: 인칭에 따라 동사를 변화시키지 않는다. 영어권 학습자: 동사 인칭변화가 한국어에 없기 때문에 적 용시켜선 안 된다.

9 *예* 구별부족 한국어의 격조사: 주격. 목적격 등을 나타내는 조사가 존재 영어: 격이 없음 John reads a book.

10 3단계: 재해석 (reinterpretation)
어떤 문법 구조나 음운, 어휘 등이 모국어와 외국어에 모두 존재하기는 하나, 그 양상이 전혀 다른 경우 예: 한국어와 영어의 소유격 한국어 ‘의’ 영어 ’s/ ‘of’

11 4단계: 과잉구별 (over-differentiation)
모국어에는 존재하지 않는 음운이나 어휘, 문법 구조 등이 외국어에 존재하는 경우 영어의 관사/완료 시제 [f] [v] [r] 등의 발음 문법이나 어휘를 새롭게 습득해야 하는 부담

12 5단계; 분리 split 모국어에서는 한가지 방식/ 제2언어에서는 2가지 이 상으로 분화되어 사용되는 것 영어권 한국어 학습자
한국어의 반말과 존댓말 모국어에서는 구분하지 않는 자질의 구분을 새롭게 익혀야 하고 둘 또는 셋 이상의 음운이나 어휘, 문법 등이 갖는 서로 다른 의미 영역 등을 구분하여야 하는 부담 split은 학습자에게 가장 어려운 학습 상황을 초래

13 대조분석 가설 난이도의 위계 (Hierarchy of Difficulty)
Prator (1967) 난이도의 0 단계 모국어와 목표어가 1대인 1 관계 긍정적 전이 난이도의 5 단계 간섭이 가장 많이 일어남

14 4. 모국어의 역할(Role of Native Language)
4.2 오류분석 (Error Analysis) 모국어의 역할에 대한 여러 가지 찬반 논의 L1과 L2차이로 인해 생기는 오류를 어떻게 볼 것인가? 오류를 반드시 극복/ 교정해야 하는가? 그 오류는 항상 모국어에서부터 오는 것인가? 제 2언어 습득 이론에 있어서 가장 큰 이슈

15 4.2 오류분석 (Error Analysis) 오류(Error) vs. 실수(Mistake) 오류(Error)
학습자가 습득한 언어 체계, 학습자 언어(learner language) 또 는 중간언어(interlanguage)로부터 나오는 것 학습자의 입장에서 보면 잘못된 것이 아님 학습자의 언어 지식에서 나오는 체계적인 것 다음 단계로 나아갈 때까지 학습자 자신도 그것이 잘못된 것이 라는 인식이 없음. 반복적으로 사용하게 됨. 실수(Mistake) 학습자의 지식 체계와 달리 한두 번 실수로 나타나는 것 학습자도 그것들이 잘못되었다는 것을 인식할 수 있음 즉각 수정을 할 수도 있다.

16 4.2 오류분석 (Error Analysis) 오류분석 대조분석 학습자의 실수가 아닌 오류를 대상으로 연구
오류가 나오게 된 원인을 밝히는 것이 목표 모국어 이외에 몇 가지 상황에서 오류의 원인을 찾음. 대조분석 학습자의 오류는 모두 모국어에 기인

17 4.2 오류분석 (Error Analysis) 언어간 오류 (Interlingual Error) vs. 언어내 오류 (Intralingual Error) (1) 언어간 오류 (Interlingual Error) 모국어의 전이에 의한 오류 모국어 간섭 초기단계에서 학습자가 제2 언어학습에 모국어를 끌어들이기 때문 대조분석에서 주장하는 모국어의 방해로 생기는 오류 예: 영어를 배우는 한국어 학습자 /f/ 나 /θ/ 등의 발음 한국어에 존재하지 않기 때문

18 4.2 오류분석 (Error Analysis) (2) 언어내 오류 (Intralingual Error)
모국어의 존재나 방해와는 무관 학습하고자 하는 외국어의 규칙을 일반화하는 데서 주로 발생 예: Overgeneralization The girl comed yesterday.

19 학습자 언어 (Learner Language)
학습자의 오류는 당연한 것 오류를 분석 현재 외국어 발달의 단계를 파악할 수 있음 학습자 언어(Learner Language)/ 중간언어 (Interlanguage) 학습자들 개개인이 갖고 있는 외국어의 지식 체계 L1과 L2와도 다름 비문법적인 언어 사용 / 시행착오 현재 습득 단계에서 나름대로 체계적으로 외국어를 사용 하고 있는 것 제2언어 학습이란 학습자가 자신이 알고 있는 여러 가지 지식을 동원하여 목표어에 대한 가설을 의식적으로 검증하는 하나의 언어 체계를 창조적으로 만들어가는 과정으로 이해하기 시작하였다. 즉 모국어에 관한 지식, 목표어 자체에 대한 제한적인 지식, 언어의 의사소통 기능에 관한 지식, 언어 전반에 관한 지식, 그리고 인생, 인간, 전세계에 관한 지식등을 다 이용해서 제2언어를 구축해 가는 창조적 과정이라는 것이다.

20 4.3 학습자 언어 (Learner Language)
Selinker의 중간언어(1972)- Interlanguage 제2언어 학습자의 언어 체계가 모국어와 목표어 둘 다와 다름 구조적으로 이 두 언어의 중간에 위치한 독립적 체계 Nemser의 근사체계(1971)- Approximative System 학습자 언어가 목표어에 계속적으로 유사해져 감 불완전  완전한 상태로 발달 Corder의 개인적 특유 방언(1971)- Idiosyncratic Dialect 학습자의 언어는 특정 개인에게 고유한 것 학습자 언어의 규칙은 그 학습자만의 고유한 특성

21 중간언어(Interlanguage)/ Selinker(1972)
학습자가 목적 언어의 입력과 출력의 중간 과정에서 산출하 는 다양한 언어체계 모국어 화자가 사용하는 규칙의 체계로 접근해 나가는 일련 의 복합적 과정

22 중간언어(Interlanguage)/ Selinker(1972)
중간언어 산출의 5개 인지과정 1) L1의 전이 L1패턴을 L2에 적용 2) 언어 규칙의 과잉일반화 3) 훈련의 전이 가능성 적절치 못한 교수법에 의한 교실학습의 폐해 4) 의사소통 전략 바꾸어 말하기, 회피, L1으로 code switching 5) L2의 학습전략 학습자 나름의 규칙에 대한 가설을 형성, 검증하면서 발생

23 중간언어(Interlanguage), Selinker(1972)
중간언어의 발달과정 vs. 제1 언어의 발달 과정 모든 중간언어는 초보적/불안정한 언어형태 내적인 체계성 보유 화석화가 일어날 수 있다 제2 언어의 전반적 습득과정 변이어들의 체계적인 전이 과정 *화석화 (Fossilization) : 틀린 언어 형태가 비교적 영구적으로 학습 자의 제2언어 능력의 한 부분이 되어 지속 적으로 나타나는 현상

24 습득과 학습 (p.182) 습득과 학습의 분리 가설 (The Acquisition/Learning Distinction Hypothesis) 습득(acquisition) 자연스러운 환경에서 의 의사 소통. 무의 식적. 학습(learning): 교실과 같은 언어 학습 환경. 의식적

25 습득과 학습의 가장 큰 차이? 학습의 과정 습득: 학습: 모국어의 습득과 유사하게 언어의 형식보다는 의미에 초점
외국어를 사용하는 가운데 자연스럽게 일어나는 것. 학습: 형식에 초점을 두고 문법을 외우는 등의 학습 의식적인 과정으로 일어나는 것.

26 학습  습득? 교실과 같은 환경에서 학습을 통해 배운 지식 학습으로 얻어진 지식 습득된 지식으로 변경될까?

27 학습  습득? 교실과 같은 환경에서 학습을 통해 배운 지식 결코 습득으로 전환되지는 않는다.
습득된 지식과는 다르게 사용된다.

28 언어의 사용에 있어서 무의식/자동적으로 사용되는 지식
암시적 지식 vs. 명시적 지식 Bialystok (1990) 두 가지의 습득 지식 암시적 지식(implicit knowledge) 명시적 지식(explicit knowledge) 언어의 사용에 있어서 무의식/자동적으로 사용되는 지식 언어에 관해서 의식적으로 알고 있는 지식

29 암시적 지식 vs. 명시적 지식 학습자들의 연습(practice) 암시적 지식으로 전환 가능
Bialystok (1990) 상호 작용을 하며 서로 전환될 수 있는 지식이다. 아직까지도 제 2언어 습득의 분야에서 논란의 대상 학습자들의 연습(practice) 암시적 지식으로 전환 가능

30 입력 가설 (The Input Hypothesis)
-Krashen 크라센 제2언어를 어떻게 습득해야 할까? 수준에 맞는 단계별 입력 이해 가능한 입력(comprehensible input)

31 이해 가능한 입력(comprehensible input)

32 이해 가능한 입력이란? 학습자의 현재 언어 능력보다는 바로 한 단계 위의 입력 i + 1

33 교사는? 학습자들에게 발화를 절대 강요하지 않는다.
이해 가능한 입력을 학습자들이 받아 들이기만 하면 외국어의 습득이 이루어진다. 처음에 듣기를 통하여 외국어의 입력을 접한다. 최초로 말을 하기 시작하는 순간까지의 기간을 침묵 기(silent period). 교사는 학습자들의 이런 침묵기를 인정해야 한다 침묵기동안 학습자들은 이해 가능한 입력을 통하여 외국어의 구조를 내재화 시킨다.

34 동기부여 (p.188) -도구적 동기 취업, 성적, 해외유학 -융합적 동기 동기는 성공의 원인인 동시에 결과이다
이민, 사회적인 구성원 동기는 성공의 원인인 동시에 결과이다

35 정의적 요인 (p.183) 학습자가 갖고 있는 정의적 측면의 영향
정의적 여과 장치 가설 (The Affective Filter Hypothesis) 모든 학습자가 외국어 학습에 성공할까? 성공적? 실패? 이러한 개인차? 학습자가 갖고 있는 정의적 측면의 영향

36 학습자 걱정이나 불안감, 자신감 및 동기의 부족

37 Krashen : 입력 가설 제2언어 학습도 기본적으로 모국어학습과 맥락을 같 이 한다.
이해가능한 입력자료를 언어습득의 가장 중요 요소. 자연스러운 의사소통상황을 통해 언어를 습득

38 의사소통 중심의 접근법 (P.185-186) 의사 소통 중심 교수법
Communicative Language Teaching; CLT 구조주의 언어학적 접근과는 다른 관점에서 언어의 의사 소통 기능(communicative function)에 중점을 둔 다.   영어의 문법에 대한 정확한 지식보다는 의사소통을 위한 유창성(fluency)을 강조한다.

39 의사소통 중심의 접근법 (P.185-186) 언어를 의미 전달의 수단
언어 사용에서 상호 작용과 의사 소통을 위한 목적이 가장 중요 의사 소통 기능에 역점을 두어 영어를 가르치는 것을 강조한다. 의사 소통 중심 교수법은 1960년대 후반 영국에서 외 국어로서 영어를 가르치는 새로운 교수법을 구안하려 는 노력의 결실로 등장한 방법으로 교수 요목의 개발 에도 큰 공헌을 하였다.

40 상호작용 가설 (Interaction Hypothesis)
Long(1980): 상호 작용 가설(Interaction Hypothesis) 입력의 제공만으로는 외국어 습득이 불가능 비원어민 화자와 원어민 화자, 또는 비원어민 화자 상호 간 의 대화 필요 대화자간의 상호 작용이 효과적인 외국어 습득의 수단 언어교실 문법 구조나 언어 형식을 ‘연습’하는 환경이 아니다. 교실 내 대화와 그 밖의 상호작용적인 의사소통이 언어 규칙을 전시키는 토대가 된다. 교실 내에서 교사와 학습자 간의 상호작용이 무엇보다 중요함.

41 8. 상호작용 가설 (Interaction Hypothesis)
의미의 협상 (Negotiation of Meaning) 상호 작용 속에 포함되어 있는 의미의 협상 실제 상호 작용에서 흔히 찾아볼 수 있는 현상 대화의 참여자들이 서로의 발화를 이해하고 적절한 반응 을 보이기 위하여 잠시 대화의 흐름을 중단 자신과 상대의 이해를 점검하는 과정 확인 수정 재차 질문 중단

42 의미의 협상 (Negotiation of Meaning)
의사소통 장애시 극복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들 (예) 특정한 발화에 대하여 의문을 제기 : You say there’s been a lot of talk about what? 상대의 도움을 요청 : Could you spell one of those words for me? 이 협상 과정을 통하여 비원어민 화자는 원어민 화자와 대화를 유지 자신의 메시지를 전달 상대의 메시지를 이해  제2언어 의사 소통 능력을 키워가는 것

43 Long의 상호작용 가설 1. 상호작용 중의 수정은 서로의 대화를 이해 가능하게 해 준다.
1. 상호작용 중의 수정은 서로의 대화를 이해 가능하게 해 준다. 2. 상호작용적 수정은 습득을 증진시킨다. 언어교실 상호작용으로 이루어진 작은 사회적 상황 입력과 상호작용을 위한 최적의 환경

44 의사소통능력(p.189-190) Canale과 Swain (1980)의 정의 의사 소통 능력(3가지)
  의사 소통 능력(3가지) 문법성 판단 능력(grammatical competence) 사회언어학적 능력(sociolinguistic competence), 사회언어학적으로 타당하며 용인될 수 있는 가를 판별 전략적 능력(strategic competence)이 포함된 개념이다. 대화자들이 대화를 시작하고, 끝내고, 유지하고, 수정하면서 대화 나 담화를 막힘 없이 지속하여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45 과제(연습문제) P. 191 #4~6


Download ppt "난이도 위계 가설."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