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Chapter 1 제약산업의 개요.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Chapter 1 제약산업의 개요."— Presentation transcript:

1 Chapter 1 제약산업의 개요

2 학습목표 제약산업의 역사 및 구조와 특성을 이해한다. 국내외 제약산업 동향을 신약개발 중심으로 알아본다.
글로벌 제약산업의 미래를 전망하고 글로벌 신약개발의 필요성을 이해한다.

3 목차 서론 제약산업의 구조와 특성 글로벌 의약품 시장 동향 글로벌 제약산업의 미래 국내 제약산업 정부의 역할 결론

4 서론 문명발상지 : 인간의 질병으로 치료하는 약의 초기 형태가 관찰됨.
기원전 이집트, 로마시대 : 각종 천연물을 이용하여 인간의 질병을 치료. 대표적인 예: 아편(morphine, codeine) 버드나무 (aspirin) 개똥쑥 (artemisinin) 그림 1.1 아편의 미성숙과실 그림 1.2 아편 미성숙과실 유래 유효성분

5 서론 그림 1.3 Aspirin 발견 경로

6 그림 1.4 개똥쑥 (말라리아치료제 artemisinin 함유 생약)
서론 Youyou Tu : 2015년 노벨 수상자 (중국) 개똥쑥에서 Artemisinin 분리정제. 말라리아 치료제로 사용 그림 1.4 개똥쑥 (말라리아치료제 artemisinin 함유 생약)

7 서론 제약 기업화 : 1800 년대 최초의 의약품 생산 공장 1859년 : 미국 비참(Beecham)
1827년 : 하인리히 머크 (Heinrich Emanuel Merck): 식물의 알칼로이드를 분리하여 치료제로 판매. 현재 독일의 E. Merck 와 미국의 Merck (Merck & Co. Merck Sharp & Dohme, MSD)의 모태 회사. 최초의 의약품 생산 공장 1859년 : 미국 비참(Beecham) 1876년 : 미국 엘라이 릴리 (Eli Lilly) 제약회사 세움 , 연구개발, 생산 판매, 근대적 제약회사의 효시 20세기 일본 제약 회사 설립 : 미국, 유럽, 일본이 전 세계 제약 시장 주도

8 서론 제약 산업 차세대 성장 동력의 하나. 바이오 경제 시대의 핵심 산업
년대 : 합성의약품에 기반한 제약산업 2000년대 초 : 유전자 분석기술의 발달로 바이오 시대에 접어 듬. 2030년 경: 바이오 경제 시대 본격 진입; 제약, 농업, 식품 분야를 포함하여 보건의료, 생물전자, 환경, 에너지를 포함한 포괄적인 기술과 관련됨. 가장 핵심적인 분야는 제약산업임.

9 서론 100년 이상의 제약산업의 전통을 가진 국가들이 주도.
표 1.2 세계 50대 제약사를 보유한 국가순위 순위 국가명 보유회사 대표회사 1위 미국 14개 화이자 일본 11개 다케다 3위 프랑스 3개 사노피 독일 바이엘 5위 영국 2개 글락소스미스클라인 덴마크 노보 노디스크 스위스 노바티스 8위 아일랜드 1개 샤이어 캐나다 Valeant 헝가리 게디온리히터 벨기에 UCB 스페인 Almirall 이스라엘 테바 스웨덴 메다 *출처: 2014Pharmaview|DecisionResourcesGroup 100년 이상의 제약산업의 전통을 가진 국가들이 주도. 제약산업은 오래된 산업이면서 동시에 기존 제약기술을 바탕으로 바이오기술 신기술의 융합을 발전함.

10 서론 제약 산업의 변화 치료 뿐만 아니라 예방, 진단을 포함하는 전방위적인 보건의료산업으로 변화해 감.
기존의 합성물질, 단백질 의약품 기반의 산업  항체치료제, 세포치료제, 치료용 백신, 장기이식기술에 기반한 새로운 제약산업으로 변모. 제약시장의 중심축 이동 서양에서 아시아로 넘어옴. 중국, 브라질, 러시아, 인도의 제약 시장 규모가 커짐.

11 2. 제약산업의 구조와 특성 2.1 제약 산업의 환경 변화 인구구조의 변화 기후변화와 신종 질병의 등장 의료 패러다임의 변화
의료비 지출 급증 시장의 급성장 경제성장 판도의 변화

12 2. 제약산업의 구조와 특성 2.2 규제의 변천과 의료정책 의료보건비의 증가 : 선진국들의 수명의 증가와 고령화로 인한 증가
정부의 보건의료예산 빨간불 전국의 약가와 국민 의료비 보상정책의 예산도 하향 조정 신약허가및 산업에 규제 증가  좋은 의약품을 얼마나 저렴하게 공급하는가?  제약산업을 미래 성장 동력으로 육성할 것인가?

13 2. 제약산업의 구조와 특성 2.3 선진국의 제약 산업 구조 주력 의약품, 블록버스터의 특허 만료에 따른 막대한 수익 감소
정부의 보건의료 예산 감소에 따른 제약기업의 과다한 비용 경쟁 선진국의 허가 및 규제에 대한 심사기준이 까다로워 지고 있음 인간유전체 해독 이후 의약과학의 연구 접근 방식에 획기적인 변화가 일어남 제약기업들 사이의 M&A 지속적 증가 : 연구 개발비 부담의 증가와 연구개발 생산성의 감소에서 지속적인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방책 : 제약기업의 다국적 기업화 : 고위험 고부가가치 (High risk High return) : BRICs 국가의 규모가 계속 커짐.

14 Chapter 1 제약산업의 개요 표 1.3 주요 블록버스터의약품의 특허만료 현황 연번 제품명 성분명 개발사 적응증
세계시장규모1) (십억달러) 특허만료2) 1 휴미라 아달리무맙 애보트 류마티스관절염 등 13.0 2016년 2 레미케이드 인플릭시맙 존슨앤존슨 10.2 2013년 3 엔브렐 에타너셉트 암젠 9.1 2012년 4 리툭산 리툭시맙 제넨텍 비호지킨림프종 등 8.7 2015년 5 란투스 인슐린글라진 사노피아벤티스 당뇨병 7.3 6 아바스틴 베바시주맙 대장암 등 6.8 2019년 7 허셉틴 트라스트주맙 유방암 6.7 8 뉴라스타 페그필그라스팀 백혈구 개선 촉진 5.9 9 루센티스 라니비주맙 노바티스 황반변성 4.3 10 아보넥스 인터페론베타-1a 바이오젠아이덱 다발성경화증 3.0 11 휴마로그 인슐리리스프로 릴리 2.8 12 레비프 셀노 2.4 13 에포젠 에포에틴알파 빈혈 2.0 14 뉴포젠 필그라스팀 호중구감소증 1.2 15 세레자임 이미글루세라제 젠자임 고셔병 1.0 1) 2014년 판매실적 기준 2) 미국특허 만료일 : 복수 특허가 존재하는 경우 최종 만료 연도 기재

15 2. 제약산업의 구조와 특성 2.3 선진국의 제약 산업 구조 선진형 제약산업의 구조와 사업모델의 변화
신흥시약에 대한 투자 증대: 본사가 위치한 자국에서 연구개발, 생산, 영업마케팅, 인적자원, 사업규모를 줄임, 신흥시장에 대한 투자를 늘림. 아시아 지역의 사업이 중요해짐. 사업모델의 변화 : 신약연구개발 중심의 모델에서 제네릭의약품, 진단, 예방과 관련한 헬스케어산업으로 변화 기업간 M&A : 경쟁력 있는 의약품을 확보하고 늘어나는 연구개발비 충당.

16 2. 제약산업의 구조와 특성 2.4 신흥국 제약산업 구조 선진형 제약산업의 구조와 사업모델의 변화
Pharmerging Market : BRICs, 인도네시아, 멕시코, 터기, 한국 등 제약산업: 제네릭의약품, 수입의약품 등의 영업주도형, 제품도입형 사업 저위험저부가가치

17 그림 1.4 다국적제약기업의 변천사

18 2. 제약산업의 구조와 특성 2.4 신흥국 제약산업 구조 선진형 제약산업의 구조와 사업모델의 변화 인도
2005년 물질특허제도 도입 (cf. 대한민국은 1987년 도입) 특허 만료 의약품을 대상으로 제네릭의약품 개발 판매, 미국 식약처 인가 신약개발이나 바이오기술 개발 조심스럽게 시작 비용효율적인 합성생산공정운영 선진제약사들의 사업적 합병, 지역투자 미국 식약처 실사 : 품질규정위반 사례 적발, 신뢰성 상실 인구 13억명으로 잠재성 높지만, 경제 발전은 매우 느림.

19 2. 제약산업의 구조와 특성 2.4 신흥국 제약산업 구조 선진형 제약산업의 구조와 사업모델의 변화 중국
경제성장 : 지난 10년 괄목할 경제성장 이룸 합성 제네릭사업 주도 국제 GMP 규격에 못미치는 저품질 의약품 생산이 주류 천연물 제약사 : 동인당 (同仁堂) 제약사, 중의약 의약품 상용화 회사 선진제약사 집중투자 : 연구개발과 생산시설을 중국으로 옮김 선진국에서 훈련받은 과학자들의 귀국 중국정부의 제약산업 지원 활발

20 2. 제약산업의 구조와 특성 2.4 신흥국 제약산업 구조 선진형 제약산업의 구조와 사업모델의 변화 대한민국
전근대적 산업구조 기반 : 제네릭제품에 기반한 사업, 일본 등지에서 신의약품을 도입하여 공급 물질특허제도 도입 (1987년) 후 신약 개발 시작 한국신약개발연구조합 설립 기본 인프라 구축 : 기업과 정부가 중심으로 진행 보건복지부 : ‘2020 제약산업 육성방안’ 발표

21 2. 제약산업의 구조와 특성 2.5 제약산업의 공통적 특성 전자산업 제약산업 기술과 디자인에 기반한 조립사업
라이프사이클 짧음. 이미 정립된 실용기술을 활용하여 제품화하는 프로세스 경쟁자에 의한 특허 침해가 쉬운편임. 소비자가 일반인임 고도의 마케팅비용이 들고 영업이 중요함. 규제가 적음. 과학에 기반한 사업 라이프사이클이 10년 이상 김. 과학적 이론에 기반하여 약이 될 어느정도의 가능성을 바탕으로 특허 등록 후 제한적인 정보를 가지고 전임상과 임상시험이라는 긴 개발과정을 통해 상품화함 여타 산업에 비해 실패확률이 높음 일단 특허를 받으면 경쟁자에 의한 무력화가 어려움.

22 2. 제약산업의 구조와 특성 2.5 제약산업의 공통적 특성 전자산업 제약산업 기술과 디자인에 기반한 조립사업
라이프사이클 짧음. 이미 정립된 실용기술을 활용하여 제품화하는 프로세스 경쟁자에 의한 특허 침해가 쉬운편임. 소비자가 일반인임 고도의 마케팅비용이 들고 영업이 중요함. 규제가 적음. 전문의약품의 일차 선택권은 일반인이 아닌 전문의료인에게 있음. 고도의 마케팅이 필요하지 않고, 비용이 적음. 국가별로 의약품 허가에 대한 매우 까다로운 규정, 약가 결정 프로세스, 보건의료 시스템이 운영됨. 규제에 민감한 산업

23 3. 글로벌 약품시장의 동향 3.1 질병과 의약품의 변천사 19세기
주요 사망원인: 박테리아, 바이러스  설파제, 항생제, 페니실린의 발견으로 감염에 의한 사망률 낮아짐  의약품 시장이 커지게 됨 20세기 만성 생활관련 질병 증가 : 암, 심장병, 고혈압, 당뇨병  성인병 전문 치료제 개발  심장마비 사망률 1960년대에 비해 50% 이상 감소, 암환자 5년 평균 생존율 53%에서 66%로 증가 맞춤 의약품 시대: 글리벡 (Gleevec, Imatinib): 만성백혈병 치료제, 표적치료제, 병원 감염 내성균 증가, 만성질환 대사증후군, 만성 피로증후군 증가 새로운 질병 출현: SARS, H5N1 조류독감바이러스, MERS 지구온난화: 말라리아, 콜레라, 디프테리아, 뎅기열 확산 천식과 기관지염: 알레르기 증가

24 3. 글로벌 약품시장의 동향 3.1 질병과 의약품의 변천사 19세기
주요 사망원인: 박테리아, 바이러스  설파제, 항생제, 페니실린의 발견으로 감염에 의한 사망률 낮아짐  의약품 시장이 커지게 됨 20세기 만성 생활관련 질병 증가 : 암, 심장병, 고혈압, 당뇨병  성인병 전문 치료제 개발  심장마비 사망률 1960년대에 비해 50% 이상 감소, 암환자 5년 평균 생존율 53%에서 66%로 증가 맞춤 의약품 시대: 글리벡 (Gleevec, Imatinib): 만성백혈병 치료제, 표적치료제, 병원 감염 내성균 증가, 만성질환 대사증후군, 만성 피로증후군 증가 새로운 질병 출현: SARS, H5N1 조류독감바이러스, MERS 지구온난화: 말라리아, 콜레라, 디프테리아, 뎅기열 확산 천식과 기관지염: 알레르기 증가

25 3. 글로벌 약품시장의 동향 3.2 의약품 시장의 변천 세계 보건의료산업 시장 규모
2014년: 8000조원, (IT 3800조원, 자동차산업 1800조원) 주요국가: 국가 성장 동력 전략산업으로 집중 육성 제약시장의 성장 : 최근 10년 (2005~2014) 연평균 6.2% 성장 2014년 1조 272억 달러, 향후 5년간 4.8% 성장 예상, 2019년도 1조 2986억 달러 추정 건강관리 중심 건강증진, 치료, 예방, 진단, 처치, 모니터링, 사후관리 질병관리 중심

26 3. 글로벌 약품시장의 동향 3.3 향후동향 의료서비스 공급 제계 변환
병원중심의료  일차의료 중심(만성질환관리 목적) : 의료 불평등 최소화 가치 기반 혁신 헬스케어 패러다임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고 규제당국과 보험당국, 환자 수요에 부응 고객이 요구하는 가치 충족: 내부 외부 역량의 분석, 보유 또는 미보유 기술포트폴리오에 대한 가치평가, 가치 기반의 산업적인 해석과 글로벌 대응이 필요

27 4. 글로벌 제약산업의 미래 글로벌 제약산업 전세계의 제약 시장을 주도하고 있는 대형 제약사 중심의 산업
MSD, GSK, AstraZeneca, BMS, Johnsn & Johnson, Pfizer, Roche, Sanofi 90년대 중반 M&A를 통해 기업체의 특성, 강점을 결합하여 규모의 경제, 실질적 시너지 능력을 가진 초대형 업체로 성장, 변신해 옴 위기: 주력제품의 특허만료, 신약 연구개발 생산성 저하 등으로 인력 감축 진행

28 4. 글로벌 제약산업의 미래 차후 의약품 공급체인과 고객관리를 책임지는 사업 부분의 큰 변화 예상
전문 치료제 특성화 치료 (Specialty therapy) 분야에 집중 가상동물, 가상인간, 가상환자를 활용 산학연과 정부가 더 협력하는 연구개발 모델 단계별 생산량 증대 (Scale up model)이 아닌 소규모 생산시스템 복사 (numbering-up) 기술 지향 생산시설 투자 비용 대비 융통성과 효율화 추구 치료제 개발 중심에서 의료기기 및 의료서비스와 통합 사업구조로 확장 전략

29 4. 글로벌 제약산업의 미래 대형 제약사들의 새로운 사업모델 혁신 신약에 기반한 전문 치료제 개발에 집중하는 기업군
대량판패 (Mass-market) 의약품을 저렴하게 대량 공급하는 기업군 가상회사 (Virtual company) 운영방식 개발기능 중심의 최소 규모 유지 원료생산 위탁 : 외부 전문업체에 CMO (Contract Manufacturing Organization) 위탁 한국을 포함한 신흥국가에서 대형 제약사의 모델을 따라가기에 조심스러움

30 4. 글로벌 제약산업의 미래 한국을 포함한 신흥국가 4가지 시나리오
기존 대형산업모델로서 새로운 미래의 경쟁사업 모델 형태를 추구 비교적 작은 규모로 기업은 혁신적 신약개발을 도모하고 정부와 적극적인 민관 파트너십을 추구하는 형태 약가 압력을 극복하기 위해 틈새시장 (Niche market)에만 주력하는 형태 신약 개발은 공공기관을 통해 하고 기업은 마지막 확인 임상과 생산, 허가, 사업을 책임지는 형태

31 5. 국내 제약 산업 1999년 SK 케미컬 : 선플라주 항암제 (Sunpla injection) 국내 허가 (국산 신약 1호) 전주기 신약개발 코스 완주 2000년도 국내외 연구개발 아웃소싱, 기술도입 및 기울이전 글로벌파트너링 시작 화합물 신약과 바이오신약의 단독연구 비중이 가장 높음 천연물신약: 주로 라이센싱 인을 통해 개발됨 2004년 : LG생명과학 ‘팩티브’ 미국 FDA 승인 그후 매년 2~3개의 신약이 지속적으로 개발됨

32 Chapter 1 제약산업의 개요 그림 1.5 국내 신약 개발 변천사

33 5. 국내 제약 산업 1999년 SK 케미컬 : 선플라주 항암제 (Sunpla injection) 국내 허가 (국산 신약 1호) 전주기 신약개발 코스 완주 2000년도 국내외 연구개발 아웃소싱, 기술도입 및 기울이전 글로벌파트너링 시작 화합물 신약과 바이오신약의 단독연구 비중이 가장 높음 천연물신약: 주로 라이센싱 인을 통해 개발됨 2004년 : LG생명과학 ‘팩티브’ 미국 FDA 승인 그후 매년 2~3개의 신약이 지속적으로 개발됨

34 Chapter 1 제약산업의 개요 그림 1.6 국내 의약품 시장 증가율 *출처: 식품의약품안전처

35 그림 1.7 제약산업은 대한민국의 차세대 성장동력산업
Chapter 1 제약산업의 개요 “정부 재정 여건이 어려울수록 우리가 강점을 가진 분야를 선택하고 집중 투자하라(이장무 국가과학기술심의회 공동위원장, ) 그림 1.7 제약산업은 대한민국의 차세대 성장동력산업

36 5. 국내 제약 산업 꾸준한 R&D 투자와 신약개발한 경험이 축적되어 있음
세계 8위 수준의 기술 경쟁력을 갖고 있고 잠재적 발전 가능성이 큼 글로벌 신약연구개발 임상자금을 확보하기 위해 해외 기술수출을 시도해야함 선순환적인 시약개발 경쟁력 구조: 독점적 신약의 세계시장 공급  막대한 수익  연구개발에 재투자  독점적 신약개발  (반복) 국내 제약 시장은 한계에 와있음  글로벌 신약개발을 통한 다국적제약기업이 탄생해야함 삼성경제연구소 : 제약산업이 차세대 신성장 동력사업으로 성장 가능성 높음 글로벌 블록버스터급 신약 출시 : 자동차 수출 규모의 30%에 육박하는 수출 효자 상품으로 자리매김 됨  국가 경쟁력 확보에 크게 기여 국민의 건강와 생명을 수입의약품에만 의존할 수 없음

37 5. 정부의 역할 민관 협력 프로그램이 중요 신약개발 효율성 개선 노력 (미국 식약처, Critical Path Initiative) 바이오마커 개발과 활용에 대한 연구 임상 시험 방법과 프로세스 현대화 연구 바이오인포매틱스의 적극적 활용 연구 생산 기술 개선연구


Download ppt "Chapter 1 제약산업의 개요."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