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조기 작업치료가 일상생활활동 수행에 미치는 영향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조기 작업치료가 일상생활활동 수행에 미치는 영향"— Presentation transcript:

1 조기 작업치료가 일상생활활동 수행에 미치는 영향
65세 이상 뇌졸중 환자에서 조기 작업치료가 일상생활활동 수행에 미치는 영향 노인작업치료 – 김형민교수님 작업치료과 조아라 성덕대학

2 연구목적 연구방법 연구결과 고 찰 결 론 성덕대학

3 연구목적 인지기능이 양호한 65세 이상과 65세 미만인 뇌졸중 환자들을 대상으로
일상생활활동과 운동 기능의 회복, 재활의학과로의 전과까지 소요된 기간, 재활의학과 재원기간을 통해 조기 작업치료가 65세 이상의 노인 뇌졸중 환자에게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4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대구 지역에 소재한 종합병원 재활의학과 입원한 뇌졸중 환자대상으로 대상자 선정기준
자기공명영상이나 컴퓨터단층촬영판독을 통해 뇌졸중으로 진단 받은 자 중, 1. 발병 후 1개월 미만으로 뇌졸중의 기왕력이 없는 자 2. 시지각 검사도구인 성인용 Motor Free Visual Perception Test (MVPT) 상 마비측에 시각 무시가 없는 자 3. 한국판 간이 정신상태검사 (Korean Version of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MMSE-K) 에서 24점 이상인 자

5 연구방법 2. 연구 기간 및 방법 연구 기간 : 2007년 1월 ~ 2007년 12월
재활의학과 입원환자 재상으로 2인의 작업치료사가 평가 실시 MVPT, MMSE 실시하여 대상자 선정기준을 만족한 자들을 대상. 입-퇴원시 일상생활활동의 독립도를 알아보기 위해 변형된 바델지수를, 운동기능의 향상을 알아보기 위해 Motricity Index, Fugl – Meyer Assessment를 평가.

6 연구방법 3. 연구 도구 1) 변형된 바델지수 2) Motricity Index
일상샐활 활동수행 독립성평가. 대한 뇌신경 재활연구소에서 제 5판 MBI를 수정 번안한 한국판 바델지수. 국내 뇌졸중 환자의 장애를 객곽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장애 평가방법. 2) Motricity Index The Medical Reasearch Council System 척도를 수정하여 뇌졸중 환자들의 상지와 하지의 운동기능 손상의 심각도를 측정하는 평가도구. 3) Fugl – Meyer Assessment 뇌졸중 이후의 운동기능, 균형, 감각과 관절기능의 일부를 측정하기 위해 고안되었으며, Brunnstrom의 편마비 분류를 적용.

7 연구방법 4. 자료처리 및 분석 방법 자료분석은 SPSS 15.0 version을 이용하여 통계처리.
65세 이상군과 65세 미만군의 운동회복, 일상생활활동의 독립성, 재원기간, 재활기간은 독립-T 검정실시. 유의수준은 < 0.05

8 연구결과 1. 일반적 특성 일반적 특성 구분 인원수 (%) 성별 원인 마비측 병변 부위 대상자 수 연령평균 재활 이전 기간
26 (65.0) 14 (35.0) 원인 경색 31 (77.5) 출혈 9 (22.5) 마비측 오른쪽 16 (40.0) 왼쪽 24 (60.0) 병변 부위 중대뇌 19 (47.5) 연수 12 (30.0) 기저핵 8 (20.0) 기타 1 (2.5) 대상자 수 연령평균 재활 이전 기간 재활의학과 입원기간 65세 미만 20 51.70±8.24 20.55±8.93 46.95±13.02 65세 이상 69.60±4.01 13.26±4.63 38.50±24.28

9 연구결과 2. 연령군별 운동 회복, 일상생활활동, 전과기간과 재활기간 비교 65세 이상군 (n=20) 65세 미만군 P MBI
입원시 67.75±19.27 56.35±25.32 0.06 퇴원시 91.40± 8.11 81.60±20.99 0.03* 변화 23.65±15.95 25.25±13.30 0.39 FMA(상지) 33.05±23.71 19.37±21.07 43.50±24.96 36.55±24.71 0.19* 10.45± 8.62 17.00±15.44 0.05 MI(퇴원시) 상지 57.40±18.33 54.75±22.01 0.34 하지 62.00±13.24 64.65±11.50 0.25 전과기간 (일) 13.26± 4.63 20.55± 8.93 0.01* 재활기간 (일) 38.50±24.28 46.95±13.02 0.09

10 고찰 연령이 뇌졸중 환자들의 기능적 회복에 영향을 준다는 다른 연구들의 결과를 살펴볼 때,
실험군의 인지 기능이 결과에 영향을 미쳤음을 짐작해 볼 수 있다. 인지 기능이 양호한 경우에는 연령이 높은 노인 환자들도 조기에 적절한 치료를 통해 기능적인 회복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노인 인구의 기능 변화에 연령뿐 아니라 성별도 영향을 미친다는 여려 연구들이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작은 표본 수와 남,녀의 성비가 일정하지 않은 관계로 이 부분 까지 살펴볼 수 없는 제한점이 있었다.

11 결론 65세 이상의 노인 뇌졸중 환자들의 경우에도 인지 기능이 양호한 경우 조기 작업치료를 통해 운동기능과 일상생활 활동의 독립성 향상을 기대할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향후 연구에는 노인층을 좀 더 세분화 하여 65세 이상의 고령층과 80세 이상의 초고령층을 대상으로 한 추후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12 발표를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성덕대학


Download ppt "조기 작업치료가 일상생활활동 수행에 미치는 영향"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