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근대의 교육1: 르네상스-종교개혁-실학주의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근대의 교육1: 르네상스-종교개혁-실학주의"— Presentation transcript:

1 근대의 교육1: 르네상스-종교개혁-실학주의
교육철학 및 교육사 근대의 교육1: 르네상스-종교개혁-실학주의

2 르네상스시대의 교육 르네상스: 15세기 유럽 전역에서 일어난 반중세적인 정신적 자각운동이요 문화운동 →서양 전체 문화의 구조적인 변혁 Renaissance의 어원: 이탈리아어의 ‘Renascita’에서 유래하는데 이 말은 영어의 ‘재생’, ‘부활’(re-birth)의 뜻, 즉 르네상스는 고대 그리스의 학예와 미술, 그리고 철학에서 추구했던 인간중심주의(Humanism)를 부활시키고 재생하자는 문예학상의 운동이었음 이러한 운동을 주도했던 선구적인 인물들: 단테(A. Dante) 페트라르카(F. Petrarch), 복카치오(Boccaccio) 등 인문주의: 고귀한 인간성을 다면적으로 완전하게 실현하는 것을 이상으로 삼는 정신적 흐름 또는 태도

3 새로운 사상의 기초: 고대 사상과 문화예술 (인간성을 참되고도 완전하고도 다면적으로 계발하는 것을 고대 그리스인들이 발견하였다고 보고, 고대인들의 작품들은 위대하고 고귀한 인간 이상의 거울로서 모범적인 것으로 여겨짐) *자유와 자율성의 이념 강조: 고대 그리스인들의 삶의 모습에 따라 삶에 대한 긍정적 태도, 문학과 예술에서 발견되는 미적 감각, 감정과 열정이 주요 관심사로 등장하면서 인간은 이제 하나의 주체로 파악되었고, 개별적 특성이 강조됨 *인간 이성의 가치 재발견→이성에 따를 때 인간은 바른 것과 그른 것을 판단할 수 있는 능력을 소유하게 되고, 선한 것과 악한 것을 구별할 수 있는 눈을 갖게 되고, 그것을 생활에서 실천할 수 있게 된다고 봄 *인간에 대한 르네상스인들의 탐구는 동시에 인간의 자연성에 대한 새롭고 깊은 이해를 갖게 함

4 고대 그리스 사상과 예술에 대한 관심은 자연스럽게 고대 언어를 배워야 할 필요성을 제기했고, 이를 위해 언어 교육이 중요한 교육내용으로 받아들여짐
르네상스 운동이 인간중심주의 사상을 회복하자는 문예학상의 운동이었음에도 불구하고 15세기 중엽 남부 이탈리아에서는 이 운동이 점차 귀족적, 심미적, 향락적인 방향으로 흐르게 되었다. 그러나 16세기에 접어들면서 북유럽에서는 인간중심주의 사상이 사회적∙종교적인 운동으로 전개되면서 사회개혁적인 성향이 강하게 나타났는데 이것은 후에 종교개혁에 결정적인 영향을 끼쳤다.

5 개인적 인문주의 교육 *교육의 목적: 개인적 인문주의 교육은 이탈리아 남부지방을 중심으로 전개되었는데, 주로 사고의 자유, 자기 표현 및 창조적 능력의 실현을 교육의 목적으로 삼았음 →이성인, 자유인 양성 *교육의 내용: 15세기에 개인적 인문주의 교육론자들은 신학 대신에 인문학, 특히 그리스∙로마의 고전문학, 고전예술을 중시했는데 그것은 이것들이 인간의 자연스러운 감정과 성정을 가장 잘 드러낸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그들은 인간의 욕망이나 성정이 결코 나쁜 것이 아니라 하나님이 부여한 자연스런 본성이며 이 자연스런 본성을 드러내는 것이 신의 뜻에 가장 잘 부합하는 것이라고 보았다. 미래나 천국을 이상으로 하지 않고 현세에서의 행복 추구를 중시하며, 세속적이며 정신적, 영적인 것보다는 육체적, 물질적 생활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6 중세 교육방법: 엄한 훈육과 훈련, 비인간적인 취급 그리고 체벌이 중심
16세기 인문주의 교육방법: 인간의 자연스럽고 선천적인 능력을 드러내기 위해서 강압적인 방법이 아닌 자유스런 분위기가 마련되어야 하며 따라서 억압과 체벌 대신 개성과 흥미를 존중 →교육방법의 핵심원칙은 어린이와 학생들을 인간적으로 대우해주는 것: 엄한 훈육에서 벗어나 자연스럽고 온화한 교육, 즐겁고 놀이가 강조되는 수업, 어린이의 영혼을 이해하고 그들의 이해능력을 고려하는 수업을 강조

7 사회적 인문주의 교육 개인적 인문주의 교육: 개인적이고 심미적인 경향, 개인의 자아실현을 목표로 한 운동
사회적 인문주의 교육: 사회개혁적인 성향, 사회적 자아의 실현, 즉 사회의 개혁을 목표로 하였던 교육운동→사회를 개혁하기 위해 대중의 의식을 개혁하는 일의 중요성 언급 사회적 인문주의 운동은 주로 북유럽의 아그리콜라(J. Agricola), 윔펠링(Wimpfeling), 에라스무스(D. Erasmus) 등에 의해 전개되었는데, 이들은 독일과 네덜란드에 인문주의 사상을 보급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음 윔펠링: “세계의 모든 서적, 즉 가장 학술적인 서적, 가장 철저한 연구가 저자의 허영에만 봉사해서 인류의 선을 진보시키지 않고, 또 할 수 없다면 무슨 소용이 있겠는가?”(Wilds, 1942) 고전, 문학, 어학의 연구가 단순히 개인의 문학적인 소양을 높이는 데 목적이 있는 것이 아니라 사회를 개선하고 개혁하는 데 도움을 주어야 한다고 주장했음

8 르네상스 시대 교육의 문제점 1)16세기 인문주의 시대 언어중심 교육은 고대의 정신과 사상을 받아들이려는 목적으로 고전어와 고전문학을 강조하였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고대 언어에 집착하고 언어의 형식에만 치우쳐 교육과 도야는 소홀히 하였고, 실제 삶과도 유리된 결과를 낳았다→언어교육이 인간성의 실현이 아니라 점차 언어자체를 위한 교육으로 변질되어감(언어주의, 형식주의, 현학주의라고 비판 받게 됨) 2)인문주의자들의 삶의 이상이 귀족주의적인 것임→유능한 직업인보다는 뛰어난 예술인과 도야인, 즉 정신적∙언어적 도야, 사교성, 수사학적 달변을 추구함 부유한 시민을 중심으로 펼쳐진 르네상스운동과 인문주의 교육은 새로운 계층구조를 낳음→인문주의자들은 라틴어와 현학적인 지식에 흠뻑 빠져 자신들을 의식적으로 평민계층과 구별

9 3)인문주의 교육은 지나치게 언어교육에 치우쳐 사물과 관련된 내용을 소홀히 한다는 비판을 받음
편중된 언어교육에 대한 비판가들: 영국의 엘리오트(Elyot, ), 스페인의 비베스(J. L. Vives, ), 프랑스의 라블레(F. Rabelais, ), 라무스(P. Ramus, ), 몽떼뉴(M. D. Montaigne, )→지나친 언어교육 비판 다른 한편, 리얼리즘 교육에 대한 깊은 관심표명:교육과정에서 그들은 언어 외에 천문, 지리, 기하, 물리, 음악, 산수, 건축, 광학 등 실제적 사물과 관련이 되면서도 삶에 도움이 되는 실용적인 과목을 강조

10 비토리노(Vittorino de Veltre: 1378-1446)
중세적인 교육내용과 방법에 도전하였던 최초의 인문주의 교육론자 1423년 만투아(Mantua)의 곤자가(Gonzaga)공의 초청으로 궁중학교를 건립하였으며, 그 곳에서 23년 간 교장으로 봉직한 후 일생을 마침 학교는 체벌이 횡행하는 무시무시한 감옥이 되어서는 안 되며 아이들에게 늘 “즐거운 집’(La Casa Giocosa)이 되어야 하는데 이는 강압적인 분위기 속에서는 아동이 지닌 다양한 소질과 능력이 발휘될 수 없다고 생각했기 때문 교육방법: 일방적인 암기나 암송을 지양하고 아이들의 흥미를 돋우는 방법, 체벌보다는 칭찬과 격려가 훨씬 교육적임 체계적인 교육론을 전개한 것은 아니지만 그의 학교관, 아동관, 교육방법관은 중세 교육의 폐단에서 벗어나려는 그의 노력의 소산이라고 볼 수 있다.

11 에라스무스(D. Erasmus: ) 젊은 시절 주로 수도원에서 교육을 받았기 때문에 그의 성품은 다분히 종교적이었다. 옥스퍼드, 캠브리지 대학을 비롯한, 파리, 이탈리아, 스위스, 독일 등의 대학에서 연구하고 가르쳤다. 저서: 『기독교도 전사 교본』, 『우신예찬』, 『공부의 방법』, 『참된 신학의 방법』, 『대화집』, 『기독교군주의 교육』, 『어린이 교육』등이 있는데, 그 중에서 그의 교육사상이 가장 잘 집약되어 있는 저서는 『어린이 교육』이다.

12 인간이해 인간을 인간 그 자체로 이해함으로써 신과의 관련성 속에서만 인간의 존재가치를 찾는 중세적 이해를 거부함
인간의 삶이란 신적이고 초자연적인 것이 아니라 자연적인 것이며 자연적인 것은 중세 시대에 이해된 것과 같이 악의 세계, 저주의 세계, 극복되어야 할 세계가 아니라 인간의 고유한 특성이요 선한 것이다. 자연성은 창조시 인간에게 부여한 ‘배아’와 같은 것이다. 이 배아로 인해 인간은 자신과 자신의 삶에 대한 긍정적인 이해를 갖게 되고, 완전과 완성을 향해 자신을 끊임없이 개선시키는 존재이다.

13 이성 인간을 동물로부터 구별되게 하고 인간을 인간으로 규정하는 가장 본질적인 특징, 즉 인간을 궁극적으로 인간이 되게 하는 지적이고 영적이며 실용적인 힘이라고 봄 선과 악을 판단하는 기준으로서의 역할을 하기 때문에 이성은 인간 안의 신적인 것이라고 생각함→인간은 이성의 통로로 하나님을 알 수 있다고 봄 이성은 선과 악을 분별하는 것에서 더 나아가 인간이 갖고 있는 죄에 대한 경향성 및 악을 저지르려는 마음들과 적극적으로 대결하고 이를 극복하게 하는 힘이 된다고 봄

14 교육의 필요성 이성이 인간에게 처음부터 어떤 완성된 모습으로 주어진 것이라고는 생각하지 않았다→모든 인간은 내부적으로 “이성을 씨앗처럼 품고 있다”. 인간 안에 이성은 ‘씨앗’처럼 주어져서, 시간이 지나면서 완성을 향하여 성숙되고 개발된다. 교육의 필요성: 교육 없이 이성은 이성으로서의 기능을 할 수 없다→ “인간이 인간으로서 태어나는 것이 아니고 인간으로 교육된다는 것이다.”

15 교육의 목적 에라스무스 사상의 핵심: 기독교(경건한 삶 강조)와 인문주의(인간의 존엄성과 자유를 회복하는 것에 관심을 두고 개인의 자유와 이성을 중요시) 통합→양자는 모순과 대립의 관계가 아니라고 봄: 복음이란 하나님의 최고의 계시인 동시에 인문주의 휴머니즘 사상의 극치라고 봄 교육의 근본과제: 인간성과 종교성(경건성)의 통합 두 가지 통로: 1)인간교육: 개인의 인간성 함양과 自由人에로의 도야→기독적인 생활과 세속적인 생활에서 개인의 주체성이 강조됨 2)언어교육: 교회적 전통이나 교리적 독단에서 벗어나 성서의 본래적 의미를 충실히 이해하고, 이성적이고 지혜롭고 경건한 삶을 위해 언어교육이 중요함 교육목적: 경건한 마음의 육성, 도덕정신 함양, 선한 삶의 실천

16 에라스무스의 교육관과 교육방법 1)아이들에게 신체적∙정신적 고통을 가하는 체벌교육에 반대하였는데, 이는 체벌은 아이를 자유인으로 기르기보다는 노예로 기를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했기 때문임 →자유인인 어린이를 부드러움과 존중과 칭찬으로 교육하는 것이 효과적 2)개별학습의 필요성을 강조함: 아동의 능력을 고려하여 가르칠 때 학습의 효과를 높일 수 있음을 통찰함으로써 교사가 아동의 성격을 면밀히 조사하고 연구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고 역설함 3)자연의 순리에 따라 가르쳐야 한다고 봄: 계절의 흐름에 따라 만물이 싹이 트고 자라고 열매 맺듯이 교육에도 자연스런 순서와 절차가 있어야 한다고 보아서 아이들의 발달단계를 무시한 성급한 수업이나 교수는 바람직하지 못하다고 생각했음

17 교육사적 의의 에라스무스 교육사상의 핵심개념인 인간의 자유와 이성은 근세 이후 교육의 기본개념으로 수용됨
인간교육과 언어교육을 두 축으로 삼은 점은 19세기 신인본주의자들에 의해 그 가치가 재평가되고 긍정적으로 수용됨 교육개혁기의 루터(M. Luther)와 깔뱅(J. Calvin)과 같은 종교개혁가 및 사회개혁 사상가들에게 영향을 주었으며, 아동의 세계를 재발견하고 새롭게 해석하려고 했던 아동중심 교육사상가들과 자유주의 사상가들에게도 큰 영향을 끼쳤다. 자연의 원리에 따르는 교육방법은 코메니우스, 루소, 페스탈로치, 프뢰벨 등 자연주의 교육사상가들에 의해 발전적으로 계승됨

18 라블레(F. Rableais: ) 젊은 시절, 수도승으로서, 의학도로서 활동했으며, 노년에는 문필가로서 활약하였음 저서: 『팡타그뤼엘』(Pantagruel), 『가르강튀아』(Gargantua) 등 『팡타그뤼엘』: 순전히 정치적 의도로 쓰여진 책으로서, 토마스 모어의 『유토피아』와 에라스무스의 『기독교군주의 교육』이라는 책을 모방하여 쓴 익살스럽고 풍자적인 책 『가르강튀아』: 파리에 사는 아버지 가르강튀아가 아들 팡타그뤼엘에게 보내는 편지 형식으로 되어 있는데, 그는 아들에게 젊었을 때 풍부한 교양적 지식과 예의는 물론 덕을 배워야 할 것을 당부하고 있다. 그는 아들이 배워야 할 교과목까지도 제시하고 있다. 즉, 그리스어, 라틴어, 히브리어, 칼데아어, 아랍어와 같은 어학, 기하, 산수, 음악, 민법, 천문학, 자연연구, 의술, 성경 등을 공부하여 박식한 사람이 되어야 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 영향: 몽테뉴를 비롯해 로크, 볼테르, 루소 등에게 큰 영향을 줌

19 비베스(J. L. Vives: 1492-1540) 16세기 초반에 활약했던 인문주의 교육사상가
저서: 교육과 관련이 깊은 책→ 『지식입문』과 『교수과목론』 『교수과목론』: 중세시대 이후 교육에 관해 상당히 체계적으로 논한 교육학서로서 평가 받고 있으며, 이 책은 총 5부(제 1부는 교육기원론을, 제 2부는 학교론을, 제 3부는 언어 교육론을, 제 4부는 고등 교육론을, 제 5부는 사회 교육론을 다룸)로 구성되어 있음 교육의 목적: 현실 생활에 충실한 신앙인의 육성

20 비베스의 교육관 중등교육이나 고등교육에 관심을 기울였던 그 당시의 인문주의 교육사상가와는 달리 취학 전 아동교육과 초등교육에 관심을 가짐 신앙심이나 양심은 어린 시절 가정에서 싹트고 자란다고 판단한 그는 가정에서의 부모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것을 누차 강조함 학교에 취학하고 나서도 초등교육이 중등교육보다 더 중요하다고 강조함 교육의 무게를 청소년이나 성인에 두기 보다는 유아 및 아동에게 둔 그의 생각으로부터 아동중심 교육사상의 씨앗을 발견

21 종교개혁시대의 교육-시대적 배경 15세기 이탈리아 남부지방을 중심으로 르네상스 운동이 일어났다면, 16세기에는 독일을 비롯한 북유럽 국가들 안에서 종교개혁 운동(Reformation)이 일어남 르네상스와 종교개혁: 타락하고 부패한 중세문화를 비판했다는 점에서 反 중세적인 운동 르네상스: 문학을 통해 억눌렸던 인간의 성정(性情)을 회복하려는 문예학상의 개혁운동 종교개혁: 구교(가톨릭)를 비판하고 기독교 본래의 순수한 사명을 회복하고자 했던 종교학상의 개혁운동 르네상스: 反 중세를 지향하면서 근대화를 추진하는 데 기여한 바가 크지만 그것은 실제로 소수의 지식인들, 즉 특정의 몇 몇 문인과 예술인들에 의해 시작된 운동임 종교개혁: 중세를 철저하게 부정하면서 근대화를 추구했던 민중과 대중의 자기 각성 운동이며 이러한 종교개혁 운동의 전개에 결정적인 영향을 끼친 인물은 루터였음

22 종교개혁 르네상스정신을 이어받은 종교개혁은 인간의 독자성과 자율성을 강조하며, 전통과 중세적 질서로부터 인간을 해방시키는 움직임을 강화 종교개혁의 중심적 특징: sola fide, sola gratia, sola scriptura→신과 인간의 개인적이고 직접적인 관계와 내면적인 신앙만이 종교적 삶의 바탕이 된다는 점을 강조하며, 개인의 체험과 양심과 이성적 판단과 종교적 책임을 중시(제도적 교회의 전통과 권위의 약화)→종교적 주체로서의 인간의 발견 종교개혁의 역설: 세속화 과정을 촉진시키고, 생활과 의식의 개혁에 큰 영향을 미침 →국민들의 삶과 문화, 언어, 학문 그리고 교육에 이르기까지 전체 삶의 영역에 침투해 그것들을 변화시킴 세속적 삶에 대한 관심의 신학적 근거: 교회 내의 영의 세계의구원만이 아니라 속세의 구원의 중요성제기

23 종교개혁이 교육에 미친 영향 1)종교개혁가들의 성서 번역과 연구활동: 교육을 널리 보급할 수 있는 중요한 계기가 됨⇒교육기회가 전보다 훨씬 넓어짐에 따라 가난하고 소외 받아 온 계층의 아이들도 교육을 받을 수 있게 됨 성서 번역과 연구활동: 모국어 교육을 강화하는 중요한 계기가 됨→ 성서의 내용을 정확히 번역하기 위해서는 정확한 문법의 체계를 갖추어야 했기 때문에 자연히 자기 나라 말에 대한 연구가 활성화될 수밖에 없었음 2)종교개혁가들이 내세운 성서 상의 남녀 평등 사상은 교육분야에서 빈부격차가 없는 평등교육의 이념 실현에 크게 기여함

24 특권계급의 자제를 위한 개인 교수제보다는 공립학교 교육이 요구됨⇒루터를 비롯한 종교개혁가들은 특권계급의 자제에게만 교육의 기회를 주는 것은 종교적으로 잘못된 것이요 경제적으로도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판단했음 3)직업소명설(職業召命設): 깔뱅과 같은 종교개혁가들이 내세웠으며, 이는 직업의 신성함과 소중함을 일깨우고 노동의 가치를 인식시키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으며, 특히 경제분야에서 직업의 귀천의식을 없애는 데 기여 (동영상) 막스 베버: 『프로테스탄티즘의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에서 그 당시 종교개혁가들의 직업에 관한 생각이 그 후 서구인들의 직업관 내지 노동관 형성에 결정적인 영향을 주었다고 분석하였으며, 결국 서구 자본주의 경제발전의 정신적 토대가 되었다고 결론지었다.

25 종교개혁 운동의 교육사적 의의 단순히 구교의 악폐를 시정함으로써 원시 기독 신앙에로 돌아가고자 하는 신앙상의 운동만을 의미하지 않음→ 신앙 운동인 동시에 교육 운동 처음에는 교육이 단지 종교적 목적을 이루기 위한 수단으로 요청되었으나 후에는 종교개혁운동을 주도해 나가는 중요한 사회적 힘으로 작용 구교의 악폐를 시정하는 일은 곧 그 악폐를 인식하지 못하는 대중을 일깨우는 일이었고, 종교개혁가들은 잠자고 있는 대중의 의식을 일깨우기 위해서는 필연적으로 조직적인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봄

26 종교개혁 시대의 교육의 특징 1)만인제사장설과 교육의 대상영역 확대
-모든 기독교인들이 사제의 중재 없이 독자적으로 하나님의 계시를 받을 수 있으며, 성서를 읽고 해석할 수 있음을 천명함 -종교개혁은 사제와 일반 교인 사이의 직분 상의 차이를 부정하였고, 모든 기독교인이 사제와 마찬가지로 하나님의 계시를 받고 사제로서의 직분을 감당해야 한다는 이른 바 ‘만인제사장론’의 개념을 제시 일반 교인들이 제사장으로서의 직분을 감당하기 위해서는 말씀을 이해하고 해석하며, 이를 전할 수 있는 수준에 도달해야 할 것을 요청하는 것이며, 이를 위해 교육이 필수적으로 요청됨→교육의 대상 영역이 소수의 사람들에게서 모든 사람에게로 확대

27 2)성서중심의 신학과 교육의 중요성 -성서에 기록된 대로 믿음은 들음, 즉 말씀을 들음에서 오는 것이므로 믿음과 말씀의 불가분리적 관계를 강조함→이 점이 바로 종교개혁가들이 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였던 근거 -성서를 가장 중심에 놓음으로써 성서에 대한 바른 이해와 바른 해석을 또한 중심에 놓게 됨 -성서를 바로 이해한다는 것은 성서를 바로 이해할 수 있는 교육적인 훈련을 요청 →성서중심신학이 필연적으로 ‘교육’을 중시할 수밖에 없는 신학적 근거

28 3)교육의 장 확대 중세: 교회가 교육의 구심적 역할, 학교는 대부분 교회에 속한 기관이었고, 교회의 교육적 권위는 부모의 교육적 권위에 우선 종교개혁: ‘교육의 장’에 대한 새로운 사고 전개, 그 결과 교육의 장을 ‘교회’에서 ‘가정’과 ‘학교’로 확대함 1)가정: 루터에 의하면 가정은 가장 중요한 교육의 장이며, 부모야말로 최고의 교육적 권위와 책임을 갖고 있음을 신학적으로 정립 ⇒부모의 자녀에 대한 교육이 ‘하나님의 명령’이라고 말하고, 부모는 자녀의 육체적 평안과 세상에서의 안녕만을 책임지는 것이 아니라 동시에 하나님의 대리자로서 그들에게 말씀을 접하게 하고, 이를 통해 자녀의 영적 구원에까지 관여해야 하는 과제를 갖는다고 주장

29 2)학교: 교육의 대상을 소수의 성직자에게 서 모든 사람에게로 확대하고 교육의 목적을 ‘교회’의 유지와 존립 뿐만 아니라 ‘세상나라’의 평화와 질서유지라는 차원으로 확대하여 교회뿐만 아니라 세상을 위한 교육의 필요성을 제시함 통치자들이 국가를 바로 보존해야 할 의무가 있고, 국가를 바로 보존하기 위해서는 성장세대를 바로 교육시키는 것이 필수적이고 따라서 통치자들과 국가에 교육의 의무가 있음을 주장 국가 차원에서 학교를 세우고 그곳에서 모든 시민의 자녀들을 교육시켜야 한다는 공교육 개념제시

30 Luther (1483-1546) 독일의 탁월한 성직자이자 성서학자, 교육분야에도 큰 기여를 하였음
1517년 비텐베르크 교회의 문 위에 95개조의 면죄부에 대한 반박문을 내걸음으로써 로마 가톨릭 교회의 면죄부 정책에 정면으로 도전했고, 이로 인해 종교 재판에 회부되어 파문되었음 프리드리히 황제의 도움으로 안전한 지역에서 종교개혁을 신학적, 이론적으로 뒷받침하는 작업에 일평생을 받침

31 교육에 끼친 가장 큰 공헌은 생명의 위협 속에서도 처음으로 성서를 독일어로 번역한 일이었다
교육에 끼친 가장 큰 공헌은 생명의 위협 속에서도 처음으로 성서를 독일어로 번역한 일이었다. 모국어로 번역된 성서는 사람들에게 널리 읽혀지기 시작했으며, 이러한 현상은 교육의 요구를 더욱 증대시켰다. 성서를 읽히기 위해서는 만인에게 교육의 기회가 주어져야 한다고 생각한 루터는 역사상 최초로 의무교육제도를 주장하였다. 그 당시 많은 부모들은 교육을 사적인 문제로만 생각했으며, 경제 형편이 넉넉하지 못하면 학교에 보내지 않았다. 이러한 이유로 사회에 무지와 편견이 만연되어 있다고 생각한 루터는 강제적이라도 자녀들을 학교에 취학시켜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러한 그의 의무교육제도 안이 구체적으로 실현된 것은 19세기에 와서이다.

32 기존교육기관 비판 1)기존교육기관은 스콜라철학을 지나치게 강조했는데, 루터에게 그것은 퇴폐적인 철학의 방법이었음
2)수사학을 과대평가했는데, 이것은 사람이 자신의 서투른 재주를 지나치게 자만하게 했음 3)기존의 대학들은 ‘부정의 소굴’

33 루터의 대안 루터는 교육이 제 기능을 다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교육을 교황의 통제로부터 벗어나도록 해야 한다고 생각했으며, 오히려 정부가 학교를 설립하고 관장해야 한다고 주장⇒ 이러한 그의 생각은 국가가 교육에 대한 책임을 져야 한다는 국가의 공교육 책임론으로 발전하게 됨 교육에 관한 여러 편의 논문과 설교문: “독일 기독교 귀족에게 보내는 글”, “시의회 의원들에게 기독교 학교를 건립 운영하도록 호소하는 글”, “자녀들을 학교에 보내야 할 부모의 의무에 관한 설교” 등

34 교육의 필요성 인간의 존재는 먼저 하나님 앞에 선 존재(coram Deo)이면서, 동시에 세상 앞에 서 있는 존재(coram mundo)라는 양면을 지닌 존재이기에 인간은 영의 나라와 세상의 나라 두 나라에 동시에 속한다고 봄 ‘영의 나라’의 존립에 있어 복음과 성서를 핵심적인 요소로 보고, 성서의 바른 이해와 바른 가르침을 위해 언어가 필요하고 그에 따라 교육이 필수 불가결하다고 봄 ‘세상의 나라’의 존립과 발전을 위해서도 교육이 필수적: 교육이 없다면, “야만스러운 짐승처럼 서로 물고 뜯고 죽이고 …그리하여 인간세상은 무질서가 횡행하는 세상이 되어 버릴 것”

35 교육목적 모든 인간이 하나님의 자녀가 되는 것 하나님의 자녀(신을 섬기고 세상에서 올바로 사는 자): 학생들을 기독교적인 경건함으로 이끌고, 세상에서 유익을 끼치며 살도록 교육하는 것 의사, 법률가, 교사 등 세속적인 직업을 갖고 그 안에서 신의 자녀로서 올바로 사는 것을 가르치는 것

36 교육내용 교육의 핵심내용: 성서와 교리문답 『소교리문답서』(1529): 성서의 핵심내용과 기독교의 주요교리를 정리
교리문답서: 교회의 교육뿐 아니라 가정교육의 지침서 좁은 의미의 기독교 교육이 아니라 일반교육을 포함하는 넓은 의미의 기독교 교육: 성경, 교리문답 외에 7자유교과, 역사, 언어 등도 포함 초등학교: 라틴어, 역사, 음악, 종교, 특히 음악을 권장→음악은 어린이의 도덕적 감정을 고취시키기 때문 대학: 종교적 성직 지원자들을 준비시키기 위해 성경연구 외에 라틴어, 그리스어, 히브리어, 수사학, 논리학, 그리고 시 등

37 교육방법 중세와 인문주의 시대의 주요 교육방법: 외우기(대부분의 언어교과서는 통째로 외우어져야 했음)
루터의 교육방법: 외우는 내용을 제대로 알지 못하면서 단순히 기계적으로 암기하는 것이 얼마나 무익한지를 비판→중요한 것은 다루어지는 내용을 듣고 외우는 것이 아니라 이에서 더 나아가 그 뜻을 바로 이해하는 것→기존의 교육방법인 ‘읽어주기’, ‘외우기’에 ‘설명하기’의 방법을 추가 소크라테스의 문답법이 학생의 이해수준에 맞추어 학습을 유도할 수 있는 적절한 방법이라고 보고, 교리문답서를 문답법의 형식에 따라 가르치도록 펴냄

38 멜란히톤(Melanchthon: 1497-1560) 신교 최초의 조직적인 신학자이자 공립학교 제도를 확립한 교육개혁가
루터를 만나기 전까지만 해도 에라스무스의 추종자였으나 1518년 루터가 있는 비텐베르크대학 교수가 되면서 루터의 열렬한 추종자가 되어 루터와 함께 종교개혁 운동에 참여하였으며, 평생 동안 루터의 충실한 대변자로서 살았음 종교개혁 운동에 참여하면서도 여러 권의 책을 써냈는데, 1521년에 쓴 『신학요론』은 그 당시 베스트셀러로 읽혔으며, 대학교의 교재로도 쓰임 『방문자들을 위한 지침서』: 주로 루터의 교육이념을 구체적으로 실현하기 위한 내용들, 특히 공립학교 건립 및 운영에 대한 구체적인 지침과 방침을 제시

39 종교개혁기의 교육(종합) 초등교육의 실시를 강화 개신교 지도자 양성을 위한 학교를 설립하였음
공교육제도의 실시를 주장하여 근대 공교육의 기본 원칙을 확립하는데 도움을 줌 개신교에서의 교육목적은 교회와 국가 안에서 맡은 바 소명을 다할 수 있는 유용한 인간을 만드는 데 둠 그 결과 종교개혁기의 교육사상가들은 과학보다는 신학을, 자연보다는 초자연을 우위에 둠 그러나 교육의 내용과 방법은 여전히 언어주의 암기와 훈련위주 형식적 교육을 표방했음

40 17세기 실학주의 교육 등장배경 15세기 르네상스와 16세기 종교개혁은 유럽인들의 사고방식과 생활방식에 혁명적 변화를 가져왔음
사람들은 신 중심적 사고방식에서 벗어나 자유롭게 생각하고 표현할 수 있게 되었으며, 전통과 구습에 얽매이지 않고 자유롭게 탐구하고 연구할 수 있게 되었음 그러나 교육계에서는 교육내용과 방법이 여전히 구습에서 벗어나지 못하여 여전히 인문학적 서적에만 의존하고 있었으며 암기 위주의 교육방법이 사용되었다. 말하자면 16세기까지만 해도 전통적인 형식주의(formalism)교육에서 벗어나지 못했음 이러한 형식주의 교육은 자연과학의 발달과 새로운 진리탐구 방법론의 영향으로 성립한 실학주의 교육(realistic education)이 등장하면서부터 비로소 달라지기 시작함

41 (1)과학의 발달과 지리상의 발견 화이트헤드(A.N. Whitehead): 17세기를 ‘천재들- 브라에(T. Brahe), 케플러(J. Kepler)를 비롯한 천문학자들, 갈릴레오(G. Galileo), 뉴턴(I. Newton) 등의 천체물리학자들 –의 시기라 부름 과학자들의 과학적 발견과 발명: 종교학상의 진리를 무너뜨리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그 당시 사람들의 가치관과 인생관을 바꾸는 데도 결정적인 역할을 했음 지리상의 발견: 마르코 폴로(Marco Polo)의 『동방견문록』의 발간, 디아스(B. Dias)의 희망봉의 발견, 그리고 콜럼부스(C. Columbus)의 신대륙의 발견은 사람들의 세계관과 인생관을 바꾸는 데 영향을 주었을 뿐만 아니라 이방의 문화를 접할 수 있는 중요한 계기를 마련해 줌

42 바르톨로뮤 디아스의 희망봉의 발견 Cape Town 근처 해발 256M(840ft), 아프리카 대륙 최남단의 아굴라스곶의 북서쪽 160km 지점. 대서양과 인도양 사이를 항해할 때 기점으로 표시.

43 (2)새로운 진리인식의 방법의 출현 새로운 진리탐구 방법의 등장: 베이컨(F. Bacon)에 의해 시작된 귀납법(inductive method)과 데까르뜨에 의해 시작된 연역법(deductive method) 귀납법: 경험론자들이 사용했던 진리인식 방법으로, 개개의 사물이나 현상을 관찰하고 실험함으로써 보편적인 결론을 이끌어 내려는 방법 귀납법의 장점: 관찰하지 못한 부분들을 관찰함으로써 우리의 그릇된 편견과 선입견을 제거할 수 있고, 그렇게 함으로써 앎의 영역을 끊임없이 넓혀 갈 수 있다는 점 베이컨은 『신기관』(Novum Organum)이라는 책에서, 참된 진리를 탐구해 가기 위해서는 우선 우리가 가지고 있는 편견들, 즉 우상(idola)을 제거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44 귀납법 감각적 경험과 귀납적 추론을 통해 참된 진리를 탐구하고 지식의 영역을 무한대로 넓혀 갈 수 있다는 베이컨의 생각은 사회 저변에 만연된 중세적 몽매성과 무지와 편견을 몰아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그의 방법론은 근대 자연과학의 발전을 가속화시키는 원동력이 되었으며, 과학과 기술에 대한 낙관론을 낳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영향: 홉스(T. Hobbes)와 흄(D. Hume)을 비롯한 경험론자들에게 영향을 주었으며, 벤담(J. Bentham)과 밀(J. S. Mill)과 같은 공리주의 사상가들에게도 영향을 주었다.

45 연역법 연역법은 주로 합리론자들의 진리탐구 방법론으로 사용했던 것으로서, 보편적이고 일반적인 명제를 제시하고 그것에 따라 개개의 사물이나 현상을 설명해 가는 추론방법이다. 데까르뜨: 감각을 통해 얻은 지식이란 믿을 만한 것이 못 된다고 보고, 방법적 회의를 통해 연역적 추론을 해 가다 보면 그 누구도 의심할 수 없는 확실하고 절대적인 진리에 다다를 수 있다고 믿었다. 그래서 그는 “나는 생각한다. 그러므로 나는 존재한다”(Cogito ergo sum)는 명제로부터 진리를 연역적으로 추론해 내려고 하였다. 영향: 빠스깔(B. Pascal), 라이프니츠(G.W. Leibniz), 스피노자(Spinoza), 칸트(I. Kant)와 같은 사상가들에게 영향을 줌 과학적인 발견과 발명 그리고 새로운 진리 인식론의 출현으로 이제 사람들은 관념적이고 추상적인 것으로부터 진리를 구하기보다는 경험적이고 구체적이고 실제적인 것에서 진리를 구하려고 하였다. 이러한 분위기는 교육이론 및 실제에도 영향을 주었는데, 이 때 출현한 것이 바로 실학주의 교육론이다.

46 리얼리즘 시대의 교육 1)실학주의 교육론과 교육의 유형 :
일반적으로 실학주의 교육론은 교육의 이론과 실제에 있어서 형식보다는 실제를, 관념보다는 구체적인 사물을, 고전문학보다는 자연과학적인 교과들을, 언어보다는 실천과 행동을 중시하는 교육운동 및 교육이론 실학주의 교육론은 강조하는 내용이 무엇이냐에 따라 인문적 실학주의, 사회적 실학주의 그리고 감각적 실학주의 교육으로 구분

47 2)인문적 실학주의(humanistic realism)
고전을 중시하되 그것을 실생활에 활용하고 응용해야 할 것을 강조했던 교육이론 ▶고전을 중시했다는 점에서는 인문주의적 성격이 강했으나, 고전의 형식 자체보다는 내용을 중시하고 그 내용을 실제 생활에 응용하고 활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는 점에서 실학주의적 성격이 더 강함. 유창한 언어나 문장의 구사를 중시했던 키케로주의를 타파하고 고전의 의미를 재발견하고 실천해야 할 것을 강조: 이 교육이론은 언어주의와 형식주의가 안고 있는 한계를 극복하고 실천과 실제를 중시 대표적 사상가: 영국의 밀튼

48 밀튼(J. Milton: ) 탁월한 시인인 동시에 정치이론가, 신학자, 교사, 문법과 논리학의 교과서 저자, 그리고 교육개혁가 문학작품 이외에도 많은 산문을 썼는데, 그 중에서 『실낙원』은 영어권에서 쓰여진 작품 중 가장 아름다운 서사시로 간주됨 43세에 두 눈을 실명한 존 밀튼은 자신의 시를 딸에게 받아 적게 하여 1667년에 완성하게 되는데, 이 『실낙원』은 구약성경의 창세기에 나오는 낙원상실(樂園喪失)을 모티프로 삼아 인류의 타락과 속죄의 가능성이란 주제를 지옥, 천국, 지상을 무대로 펼친 장편시 한 수강생(Silly Sally)이 이렇게 적었다. “밀튼, 당신은 눈이 멀어 실낙원을 쓰고, 저는 이제야 비로소 눈을 뜨고 당신의 시를 읽습니다.” 밀튼에 의하면, “마음의 평화란 생의 갈등이 없는 데서 오는 것이 아니라 그 갈등을 이겨내는 능력에서 온다.”

49

50 『교육론』: 르네상스시대의 키케로주의의 폐단을 지적하고, 광범위한 인문주의를 교육 실제에 적용하려고 하였음
교육목적: 1)신의 인식을 통해 인간의 타락을 교정하는 것 2)교양교육을 받은 사람을 양성하는 것 교육목적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인문적인 교과목에 대한 교수, 체계적인 훈련, 섭생(攝生)을 시켜야 한다고 생각 교과목: 문법, 위대한 교육문헌, 산수와 기하학, 종교와 성서 이야기, 농업과 지리, 의학, 윤리학, 경제학, 희극과 비극작품, 정치학과 법학, 신학과 교회사, 역사와 영웅시, 논리학과 수사학, 작문 등. 신체훈련을 통해 건강, 용기, 인내심을 기를 수 있다고 보았다. 심신의 조화로운 발달을 위해 섭생이 중요하기는 하지만 식사는 평범하고 건강에 좋으며 적당한 것이면 충분하다고 생각했다.

51 교육방식: 전통적인 방식에서 벗어나야 한다. 예컨대, 서적을 넓고 철저하게 읽어야 하며, 일방적인 교수보다는 교사와 학생 간의 토론수업이 학습의 효과를 높이는 좋은 방법이라고 주장
밀튼의 교육사상에 인문주의적 요소와 실학주의적인 요소가 동시에 담겨 있다는 점에서 교육사가들은 그의 교육사상을 인문적 실학주의라고 부르지만, 실제로 그의 사상은 인문주의 교육과 실학주의 교육을 연결하는 징검다리의 역할을 했다고 말하는 것이 더 적절한 표현이 될 것이다.

52 사회적 실학주의(social realism)
*교육내용: 서적에 의한 교육을 배격하고, 사회생활을 통해 얻어지는 실제적인 경험을 중시한 교육사상 →서적의 가치를 완전히 무시한 것은 아니며, 단지 서적을 통해서만 배우려는 그 당시의 고답적인 풍조를 못마땅하게 생각했던 것임. 실제 생활을 통해서 배우고 익힌 경험이 서적을 통해서 배우고 익힌 지식보다는 훨씬 효용성이 있고 쓸모가 있다고 판단했던 것→이러한 점에서 사회적 실학주의는 고전을 강조했던 인문적 실학주의보다 한층 더 실학적인 성격이 강한 교육이론 교육의 중요한 목표: 실제 생활을 통해 폭넓은 지식과 교양을 겸비한 사람, 즉 신사(gentleman)를 길러내는 일

53 *교육내용: 신사를 길러내기 위한 교과목 -여행을 통해 풍부한 지식과 경험을 쌓아야 한다. -실제 생활에 도움을 주는 교과목을 배우고 익혀야 한다. -사회생활에 직접 관련된 교과목일수록 더 가치 있는 것이다. -라틴어나 그리스어보다는 현대적인 언어, 사교에 필요한 춤과 음악, 심신을 단련하기 위해 펜싱, 그리고 생계를 버는 데 필요한 실용적인 지식 등을 강조 대표적 교육사상가: 몽테뉴와 로크

54 몽테뉴(M. E. Montaigne: ) 16세기 후반에 활약했던 인문주의자로 평가 받기도 하지만 서적을 통해 익히고 배운 지식이 사회적으로 쓸모 있는 것이 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는 점에서 17세기 사회적 실학주의의 선구자 저서: 전문적인 교육사상가는 아니었지만 여러 에세이들을 통해 교육에 관한 놀라운 통찰을 보여주었다. 그가 『수상록』에서 교육문제에 관해 직접 거론한 것은 “아동교육에 관하여”, “현학에 관하여”, “아이들에 관한 아버지의 애정에 관하여” 등이다.

55 교육의 목적: 현학적이고 박식한 사람을 길러내는 것이 아니라 이해력과 양심을 가진 신사를 길러내는 것
사회적으로 유능한 신사를 길러내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다양한 교과목과 지식을 습득해야 하지만 이것들이 모든 이들에게 똑같이 주어져서는 안 된다. 왜냐하면 지식이란 마치 칼과 같은 것이어서 판단력과 선의지가 부족한 사람들에게 제공되면 위험한 결과를 가져올 수도 있기 때문→실제로 사람들 중에는 많은 지식을 가졌기 때문에 더 큰 범죄를 저지르거나 불행해지는 경우가 있다.

56 서적을 통해 지식을 얻되 그 지식이 쓸모 있는 것이 되어야 한다.
신사란 모름지기 풍부한 지식을 습득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그 지식을 유용하고 가치 있게 써야 한다고 경고하고 있다. 영향: 셰익스피어를 비롯한 많은 문필가들로부터 호평을 받았으며, 데까르뜨, 빠스깔 같은 프랑스 사상가들로부터 찬사를 받았다. 특히 로크는 자신의 저서 『교육에 관한 성찰』에서 그의 교육사상이 몽테뉴의 교육사상에 크게 의존하였음을 고백하였다.

57 • 로크(John Locke: )) 베이컨의 경험론을 계승한 철학자이며, 몽테뉴의 사회적 실학주의 교육사상을 계승한 교육사상가 대표적 저서: 『관용론』( ), 『시민정부론』(1690), 『인간오성론』(1690), 『교육에 관한 성찰』(1693) 등 『인간오성론』, 『교육에 관한 성찰』: 교육사상의 정수를 담고 있는 책 『인간오성론』: 인간의 본성은 본래 타고나는 것이 아니라 후천적인 경험을 통해 만들어진다는 ‘백지설’(Tabula rasa)을 주장, “인간의 마음은 출생 시 백지(白紙)와 같다” Tabula rasa는 라틴어로 ‘아무것도 써 있지 않은 한 작은 백지’라는 뜻⇒어린이가 태어날 때는 마음이 백지와 같다고 생각, 즉 생득적 관념이란 있을 수 없다고 주장.

58 마음의 여러 가지 능력들: 지각, 분별, 비교, 사고, 회상
지식이란 이러한 능력들이 외부 사물로부터 얻은 지각 인상들의 원자료에 따라 연습될 때 얻어진다고 봄 사람의 됨됨이, 즉 인격이라는 것도 감각적 경험의 산물이라고 봄⇒우리가 태어나서 무엇을 보고, 듣고, 경험하느냐가 우리들의 사람 됨됨이를 결정한다고 봄 감각적 경험을 중시했다는 점에서 그는 베이컨의 경험론을 계승한 철학자이며, 감각적 실학주의 교육론의 선구자 1693년에 저술한 『교육에 관한 성찰』은 광범위한 주제를 다루고 있는데, 특이한 점은 신체교육에 대해 많은 지면을 할애하여 설명했다는 점

59 교육의 궁극적 목적: 사회적으로 유능한 신사를 길러내는 일
신사를 길러내기 위해서는 지육(知育)∙덕육(德育)∙체육(體育) 모두 필요, 그 중에서도 체육이 중요하다고 봄(라틴어의 속담 “건강한 신체에 건전한 정신이 깃든다”에 근거) ⇒이것은 신체건강이 마음이나 정신건강의 기초가 된다는 점을 재천명한 것임 신사가 되기 위해 갖추어야 할 덕목: 덕, 지혜, 예의, 학문을 고루 겸비해야 하는데, 이러한 것들 중에서 덕이 신사가 먼저 갖추어야 할 제 1요소라고 생각→왜냐하면 덕의 성취가 크면 클수록 다른 것들의 성취가 쉬워진다고 여겼기 때문

60 신사를 육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교과목: 읽기, 쓰기, 그리기를 비롯해 언어, 시작과 감상, 산수, 지리, 역사, 기하학, 윤리학, 시민법, 헌법, 수사학, 논리학, 자연철학, 그리스어, 춤, 음악, 펜싱, 승마, 수공예, 회화, 레크리에이션, 부기, 여행 등 교육의 대상: 다양한 교과목이 모든 계층의 아이들에게 적용될 필요는 없다고 생각, 그의 관심은 어디까지나 부유한 가정의 자제들이었음 로크의 교육관: 지나치게 귀족주의적이고 교사 중심적이며 너무 많은 교과목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비판을 받았지만, 그는 영국 교육의 정신적 지주가 되었으며, 그가 정립한 신사도는 영국의 국경을 넘어 세계적인 인간상이 되었음

61 감각적 실학주의(sense realism)
모든 교육의 기초: 감각을 통해 받아들이는 경험 교육목적: 자연과학의 지식과 연구방법을 교육에 도입하여 자연법칙을 발견하고 인간생활을 향상시키는 것 교육방법: 감각을 통해 사물을 인식하는 능력을 신장시키기 위하여 표본을 통한 관찰학습 및 교육을 중요시 대표적 교육사상가: 코메니우스

62 J. A. Comenius(1592-1670)의 교육사상 생애
17세기 유럽(체코)의 교육개혁가인 동시에 종교지도자 생애: 20세 때 헤르본(Herbon) 대학(깔뱅주의 아카데미)에 입학하여 라트케(W. Ratke)의 교육사상을 접하게 되었으며, 하이델베르크 대학에서는 베이컨의 영향을 받음 라트케(W. Ratke): 라틴어 문법학자로 교육에서 모국어 사용을 신봉(언어교수법 개발), 교육에서 강제를 혐오, 무의미한 암기 반대하고 실험적인 학습체계 선호(베이컨의 경험을 통한 학습원리를 교육문제에 적용), 학생의 흥미를 강조, 정확한 방법론 없으면 교육에서의 진정한 진보는 이루어질 수 없다고 주장 베이컨의 경험론의 영향을 받아 지식은 힘이라고 믿었고 따라서 유용한 교과의 연구를 강조, 베이컨처럼 인문과학이 아니라 과학을 통한 진보를 신뢰 저서: 교육에 관한 책, 『열려진 언어의 문』(1631), 『빛의 길』(1641), 『범교육론』(1650)『대교수학』(1657), 『세계도회』(1658) 등

63 범교육론(Pampaedia) 1)범교육론: pampaedia= pam(보편적) + paideia(교육)⇒전체의 교육
*‘전체의 교육’이란? 코메니우스의 교육사상의 핵심이며, “모든 사람에게”, “모든 것”을, “모든 방법으로 철저하게” 가르쳐 신의 형상을 닮은 인간을 키우는 것이 목적(범교육학): 전 인류에게 전체의 모든 것을 포괄적으로 가르쳐야 한다는 것이 중요한 내용임 범교육론은 인간에게 전체에 대한 진정한 지식을 가르치고, 인간을 전체 내의 바른 위치에로 인도하는 것 모든 사람이 학교에 가야 하는 이유: “살아가기 위해서는 인생에 필요한 모든 것을 알아야 하며, 따라서 교육의 내용은 자연, 인간, 신을 포함해야 하며 이성, 언어, 의식적인 활동을 개발해야” 하기 때문⇒교육의 길이 임의로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라 만물이라는 전체 그 자체로부터 나오는 것임을 의미

64 범지학(pansophia) 2)범지학(pansophia): 모든 것을 포괄하는 학문
범지학은 가시적인 것과 비가시적인 것을 모두 포괄하는 것이며, 마치 야곱의 사다리처럼 가시적인 것에서 비가시적인 것으로 나아가는 것으로서 마침내 영원에 접근하는 것 구체적으로 모든 사물의 질서를 반영하는 명제를 내세워서 교육을 통하여 우리를 인간 정신의 명료함, 단순함, 그리고 통일성으로 인도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네 가지 요소: 1)빛의 불꽃으로서 보편성을 띤 교과서와 사전 2)빛의 받침대로서의 학교 3)빛의 관리자로서의 교사의 강의 4)빛을 위한 기름으로서의 통일된 언어

65 『대교수학』 교육에 관련된 세계 최초의 교육학서로서 체계적인 교수이론을 전개한 책
총 4편으로 구성, 제 1편은 교육의 본질과 목적, 제 2편은 일반 교수론, 제 3편은 도덕교육 및 종교교육, 제 4편은 학교체제를 다룸 교육의 단계제시: 학생의 지적∙도덕적 발달단계를 고려하여 학제를 4단계의 단선형 학제 주장 ▶어머니 무릎학교, 모국어학교, 라틴어학교, 대학으로 구분- 각 단계는 6년(가장 근대적인 학제의 모체가 됨)

66 교육 사닥다리와 교육과정 1. 어머니 무릎학교(1-6세, 유아기)→ 어머니는 최초의 교사(어머니가 되기 위해 많은 것을 배워야 한다), 가정은 최초의 학교이며, 건강, 일상언어, 도덕 및 신앙, 자연계의 사실과 진리 2. 모국어학교(7-12세, 아동기) → 모든 학생이 의무적으로 다녀야 하는 학교, 모국어 교육중시, 종교, 산수, 역사, 지리, 미술, 물리 3. 라틴어학교(13-18세, 소년기) →라틴어, 그리스어, 히브리어, 수학, 윤리학, 7자유과, 물리학, 지리학, 도덕, 종교 4. 대학(19-24, 청년기) →이 교육은 보편적이고 인류를 위한 것이어야 하며, 모든 방면의 지식, 여행과 고전을 중시, 사회의 지도자 양성, 독창적 연구와 여러 나라의 이상과 도덕을 연구할 것을 권장 *여행의 가치: 단순한 놀이나 휴식이 아니라 배운 것을 직접적으로 확인하고 관찰하는 것, 대학의 마지막 학년은 여행을 하면서 보내도록 되어 있다.

67 교육의 목적 교육의 기본사상: 경신의 신앙을 바탕으로 자연주의적 방법채택)
교육의 목적: 행복(신과 함께 영원한 행복을 누리는 것) ☞만인에게 행복의 수단인 교육이 제공되어야 한다. 교육의 목적은 어린이에 대한 이해, 인간관과 깊은 관계가 있다. 인간관: 인간은 신의 형상을 닮은 존재로 창조됨 신의 형상을 닮은 인간의 특징: 1)신이 창조한 자연세계를 구성하고 있는 모든 사물들을 인식하고 이해할 수 있는 ‘이성’ 2)모든 피조물들의 지배자로서 자신뿐만 아니라 다른 모든 생명체들이 자신의 목적에 다라 조화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지혜롭게 인도하는 ‘도덕성’ 3)신과의 관계에 있어 신에 대한 복종과 경건하고 겸손한 자세인 ‘경건성’

68 인생의 궁극적인 목적이 이 세상이 아니라 다음 세상에 있다고 봄 →이것은 우리의 성품에 의해서 증명된다고 생각
영원을 준비하는 3가지 단계 1) 체계적인 교육: 인간은 합리적 존재이기 때문에 세상을 구성하고 있는 것에 대해 알아야 하며 여기에는 자신에 관한 지식도 포함됨 2) 덕 또는 도덕: 인간은 모든 피조물을 다스리는 피조물답게 행동해야 하며 인간이 자기존엄성을 가지려면 자기를 통제할 수 있어야 함 3) 종교 또는 경건: 인간은 신을 닮도록 창조되었기 때문에 신을 향하도록 되어야 함(이 세 가지는 인간에 대한 자연적인 요구라고 봄) 이러한 영원을 준비하는데 필요한 3가지 단계가 목적의 위계를 형성한다고 말할 수 있다. ▶이성과 도덕성과 경건성: 코메니우스에게 있어서 인간 삶을 통해 실현되어야 하는 근본적 과제이며 동시에 교육의 근본과제

69 교육의 내용 교육목적에 따라 교육내용을 세 영역으로 구분 1)정신교육: 지식교육, 작업 및 기예교육, 언어교육
*인간의 3가지 이성적 기능, 즉 생각하기(두뇌), 행동하기(손), 말하기(혀) ⇒인간이 살아가기 위한 가장 본래적인 기능으로 사고(logica)하고, 품위 있는 행위(pramatica)를 하고, 정확한 언어(grammatica)로 말하기 위한 것 (1)지식교육: 시각과 청각을 매개로 자연과 사회의 제 사물 및 제 현상을 학습하는 것 ⇒자연학, 광학, 천문학, 지리학, 연대학, 역사학, 가정학, 정치학 등 (2)작업 및 기예교육: 어린이의 정서함양과 활동성을 기르는 교육⇒변증법, 산수, 기하, 음악, 수공업 (3)언어교육: 문법과 수사학, 시

70 2)도덕교육: 도덕성 “인간 안에 덕의 씨가 심겨져 있기 때문에 그것이 잘 계발된다면, 자연은 인간을 축복된 삶으로 인도할 것이다”라는 키케로의 말을 인용하며 도덕교육의 필요성 제시 인간 안에는 선한 도덕성과 함께 부패와 파멸을 초래할 수 있는 악한 성향이 내재되어 있다고 보고, 악을 멀리 하고 덕을 키우기 위해서도 도덕교육이 필요하다고 주장 3)종교교육: 경건성 코메니우스 교육내용의 핵심⇒모든 인간에게 내재되어 있는 경건 혹은 신앙은 한 개인의 온전한 생활의 형태이자 실재로서 진실된 마음의 결정체의 기반이 되기 때문

71 orbis sensualium pictus
『세계도회』(Orbis Pictus, 1658): 이 책은 본래 학생의 감각 발달을 촉진시키고, 라틴어를 효과적으로 가르치기 위하여 삽화를 삽입해 넣은 세계 최초의 교과서 지식의 출발점을 인간의 감각기관으로 봄: 아리스토텔레스의 공리인 “감각기관을 통하지 않고서는 어떠한 것도 이해하지 못한다”를 인용하여 지식형성의 1차적 원리로 정립⇒교육이란 감각기관을 잘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가르치는 것 유아기의 언어 입문 및 초등학교 통합교과서: 150개의 그림이 들어있는 삽화 독본으로서 각 장마다 주어진 주제에 따라 설명과 적합한 삽화가 들어있는 시각적 교재의 효시

72 orbis sensualium pictus
[목 차] 1. 신, 세계, 하늘, 불, 공기, 물, 구름, 대지, 대지와 농작물 2. 금속, 돌, 수목, 과수, 꽃, 야채, 곡물, 관목, 동물과 새, 가금 3. 곤충, 인간, 양서류, 인간연령의 7단계, 인간의 신체, 머리,손 4. 목축, 조원, 농경, 제분업, 고기잡이, 기계도구, 목욕당, 시계, 5. 종이, 인쇄술, 학교, 악기, 철학, 측량술, 지구, 윤리학, 영지, 6. 근면, 절제, 용기, 인내, 인간성, 결혼, 관대, 양친, 주종사회..

73 세계도회 교사: 이리로 오렴, 현명해지기 위해서는 공부를 해야 한단다. 학생: 현명해진다는 것은 어떤 건가요?
교사: 이리로 오렴, 현명해지기 위해서는 공부를 해야 한단다.   학생: 현명해진다는 것은 어떤 건가요? 교사: 필요한 모든 것을 올바르게 이해하고, 올바르게 행동하고, 올바르게 말하는 것이란다. 학생: 그런 것을 누가 가르쳐주나요? 교사: 신의 도움을 받아 내가 가르쳐준단다. 학생: 어떻게요? 교사: 내가 모든 사물을 통해 이끌어주마. 내가 모든 것을 제시하고 그 이름을 가르쳐주겠다. 학생: 알겠습니다. 저를 신의 이름으로 이끌어주세요.

74 세계도회 세계도회의 기본원리: 어린이들의 감각적 지각력과 기능을 중시
예)어린이들에게 말을 가르칠 때, 교사가 실제로 본 것을 분명하게 제시하면, 그들은 즉각적으로 언어나 행위로 반응한다. 세계도회는 아이들이 그림을 좋아하고 그림으로 제시된 것을 보며 즐거워 한다는 것을 이용하였다. 사물로 향하는 아동의 주의력을 자극해서 그것을 한층 예리하게 하는데 도움을 주고, 지식이 감각이나 실물에 의한 방법으로 이루어진다는 것을 이용하였다. 이러한 언어와 사물의 대응관계를 통해서 어린이는 둘 사이의 관계를 이해할 수 있게 된다.

75 권근의 입학도설 양촌(陽村) 권근(權近:1352∼1409)이 1390년(공양왕 2) 익주(益州)에 적거(謫居)할 때 저술
중국 송나라 주돈이(周敦)의 《태극도설(太極圖說)》을 본뜨고 주자(朱子)의 장구(章句)를 참작하여 그림을 그린 후, 선현(先賢)의 격언을 인용하여 그 뜻을 해석 이 밖에도 저자와 내학자 (來學者)와의 문답을 부기하고 여러 경전(經傳)에서 자료를 뽑아 그림을 그리고 저자의 의견을 붙임 1397년(태조 6)에 간행된 후 여러 차례 간행됨 권근의 입학도설이 코메니우스의 세계도회보다 270년 정도 앞섰지만 세계적인 인정을 받은 것은 후자임

76 입학도설의 내용 「천인심성합일사상(天人心性合一思想)」: 성리학을 심성론의 측면에서 이해
『대학』과 『중용』: 학문하는 순서와 방법을 이해 『논어(論語)』와 『맹자(孟子)』: 유학사상의 중핵적인 가치인 인(仁)에 대하여 가르침 오경전체(五經全體)의 관계 이해 이상의 내용을 가르쳐 주는데 있어 수고 없이 눈으로 보면 곧 마음으로 깨달을 수 있게 하도록 40여 개의 「도설」을 그리고, 그림에 대한 해설을 붙인 다음, 질의응답을 통하여 그 요점을 재정리 이 도설은 추상화된 개념을 구체적으로, 복잡하고 심오한 이치들을 단순화하여 체계적으로 부분과 부분, 부분과 전체에 대한 관계를 도면으로 그리고 핵심적인 개념은 흑백색 또는 동그라미나 네모 속에 넣어 그를 더욱 강조하여 눈에 띄기 쉽게 하였으며, 문자를 파자(破字)로 풀어 각 획에 의미를 부여하여 쉽게 파악하도록 함

77 교육의 방법 어린이에 대한 이해: 긍정적, 낙관적으로 이해 →어린이는 창조질서 안의 타락하지 않은 선한 존재, 조화와 질서 안의 존재, 꽃피우고 가꾸어야 할 인간적 소질과 능력을 잉태한 존재/어른들은 이 세상의 죄악에 물든 철저히 타락된 상태에 있는 존재 어린이들: 어른들의 교사요 모범→어린이의 가치와 존엄성을 높이 평가(관찰의 결과로 어린이는 ‘어른의 축소’가 아니라는 결론을 얻음) 기억을 강조한 비베스에게 영향 받음: 연습은 어린이의 기억을 강화하며, 어린 시절에 올바른 지적 습관을 형성하면 성인 생활에서 무한한 이익을 얻을 것이라고 생각

78 “인간은 교육받지 않으면 인간이 될 수 없는 교육적 존재(animal disciplinable)이다”(교수학, 45) → 1540년 독일과 1553년 프랑스에서 각각 발견된 늑대소년의 예는 인간이 교육이 없이는 동물로 밖에는 살 수 없다는 점을 확인시켜 줌 어린이는 변화할 수 있는 무한한 가능성을 갖고 태어난다. 갓 태어난 어린아이는 생물학적인 무의 상태 또는 미결정의 상태이며 이로부터 어린이가 모든 것을 배우고 받아들일 수 있는 능력을 갖고 있다☞아리스토텔레스, 로크와 함께 능력심리학 신봉 행동의 중요성 강조: 행동에 의한 학습은 그의 사상의 열쇠⇒쓰기를 통해서 쓰는 것을 배우고, 추론을 통해서 추론하는 것을 배움 행동만으로는 불충분⇒비판적이고 사변적인 능력(건전한 판단의 기초를 제공하는 이성의 기능)을 계발

79 『대교수학』(Didactica magna, 1657) -교육학의 기본원리
▶합자연의 원리(객관적 자연주의): 자연의 원리에 따라 어린이의 특성과 이해능력을 고려하면서도 신이 부여한 어린이의 소질을 키워주는 교육 ▶직관의 원리: 경험주의 원리 ▶훈육(訓育): 품성, 도덕 등을 가르쳐 기름 교육방법의 개선에 큰 관심을 가짐→ 교육에 있어서 강제배격 학습이 신속하고 유쾌하고 철저히 이루어지기 위해서 교수법의 혁명이 일어나야 할 것을 주장

80 교수법의 원칙 교육 방법을 자연현상의 관찰에서 얻은 법칙에서 유도함
1)자연에는 때가 있듯이, 가르치는 데에도 적당한 시기가 고려되어야 한다. 아동에 대한 과학적인 관찰을 통해 학습의 시기, 정도, 분량을 정해야 한다. 2)자연은 비약하지 않듯이, 가르치는 일도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자연은 한번 어떤 일을 시작하면 그 작용이 끝날 때까지 멈추지 않는다. 3)자연이 불필요한 것을 반복하지 않듯이, 교육도 실생활에 유용하고 가치 있는 것을 가르쳐야 한다

81 4)좋은 교수법은 언어 이전에 사물이나 모형을 먼저 제시할 때 가능하다→먼저 사물을 이해하도록 가르치고 나서 그것을 언어로 표현하도록 하고 문법보다 적절한 작품을 통해서 언어를 배워야 한다. 5)가장 좋은 교수법은 교사가 적게 가르치고 학습자가 많이 배우게 하는 방법이다→학교가 유쾌하고 자유롭기 위한 3가지 개선책 (1)하루의 수업시간은 4시간, 같은 시간만큼 독립적인 공부 (2)암기는 아주 중요한 것만 하고 나머지는 학습자 스스로 함 (3)모든 수업활동을 학습자의 능력에 맞게 해야 함 6)교수는 아동의 흥미와 욕구를 불러일으키고 유쾌한 것이 되어야 한다.

82 교육사적 의미 17세기 리얼리즘의 중심에 있으면서 리얼리즘 교육학의 기초를 놓음
교육학적 특징, 즉 ‘인간발달 단계에 기초한 교육’, ‘자연을 기초로 한 교육학’ 등 코메니우스의 교육에 대한 성찰과 탁견 그리고 교육적 제안들의 영향 18세기 계몽주의 및 자연주의 교육사상(루소) 19세기 신인본주의(페스탈로치와 프뢰벨 등) 20세기의 프래그머티즘(듀이) 등의 교육사상 (17세기 이후 교육사상의 흐름을 형성하는 데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침) 자연의 원리에 따르는 교육, 아동존중의 교육사상, 평화 애호적인 교육사상, 그리고 새로운 교수법 등은 오늘날에도 끊임없는 논의의 대상이 되고 있으며 새롭게 해석되고 있음 학교교육의 중요성을 인식

83 근대의 교육 2 계몽주의-국가주의-신인문주의

84 1. 계몽주의의 시대적 배경 15c 인문주의, 16c 신교주의, 17c 실학주의, 18c 계몽사상(Enlightenment)출현-유럽에서 일어난 지적 운동 계몽: 글자 그대로 ‘꿈에서 깨어난다는 것’을 의미, 즉 계몽이란 몽매함, 구습, 무지, 편견, 권위에서 벗어난다는 뜻 계몽사상 -모든 전통의 구속이나 속박에서 벗어나 자유롭게 사고하고 연구하고 나아가 기존의 구습, 학문, 종교, 도덕 등을 비판하고 개선할 수 있는 지적인 수준을 고양시키려 했던 사상 -신, 이성, 자연, 인간 등의 개념을 하나의 세계관으로 통합한 사상으로, 철학, 예술, 정치, 교육 등에 혁명적인 발전을 가져옴

85 계몽사상의 핵심: 이성중심이며, 이성의 힘에 의해 유용한 지식을 얻고 자유를 통해 행복을 얻을 수 있다고 봄
계몽사상의 뿌리: 고대 그리스 철학자들(자연의 규칙성을 발견하고 인간의 지적 능력을 높이 평가) 계몽주의의 신앙: -자연: 합리적 질서, 보편적 법칙으로 인간 세계에 적용될 수 있다고 봄 -이성: 표준을 적용하는 수단 -진보: 불가피한 개념으로 18세기의 기조 칸트: 계몽사상을 인간이 유아기에서 걸어 나와 이성에 의지하는 사상운동으로 봄

86 계몽주의자들 신앙을 탄압했던 종교적 권위주의에 도전 사회적 불평등을 가져오는 그릇된 제도를 고발
시민의 자유와 인권을 짓밟는 정치적 전제주의에 강력하게 저항 ▶한편으로는 정치적 혁명운동으로 ▶다른 한편으로는 사회개혁운동으로 전개됨 계몽주의 사상가: 볼테르(F. M. A. Voltaire), 디드로(D. Diderot), 흄(D. Hume), 칸트(I. Kant), 몽테스키외(C. L. de S. Montesquieu), 스미스(A. Smith) 등

87 계몽사상이 교육에 미친 영향 개인주의: 개인의 존엄성과 그 가치를 강조, 천부인권 존중, 아동존중교육론
합리주의: 합리적이고 비판적인 이성의 계발-도구적 이성의 성격 평등주의 교육론: 인간은 이성을 지니고 있다는 점에서 존엄한 존재이며 동시에 평등한 존재-보편적 교육론으로 발전 자연주의: 천부인권-자연권존중-자연권 사상의 기초. 개인의 권리와 경험, 흥미 존중, 개인의 자연적 발달 존중(아동중심교육) 교육만능론: 교육에 의한 사회개조 가능성 확신 실증주의적 사고: 과학적 실리주의 형성에 영향

88 2. 계몽사상의 두 가지 특성 1)합리주의(rationalism)지향
이치에 맞도록 생각하는 힘, 즉 이성을 가장 중시하는 사상 이성, 또는 지성의 힘: 18세기 유럽인들이 정치적 절대주의에 반대하여 자신이 인권을 가진 존재로서 그 누구에 의해서도 부당하게 처우 받아서는 안됨을 인식하고 자각하게 함 이상적인 사회의 건설: 이성의 힘에 비추어서 모든 제도, 사상, 관습, 몽매한 요소들을 철저하게 비판함으로써 이상적 사회를 만들어 갈 수 있다고 봄 이성, 합리성: 사회진보와 역사 발전의 원동력이라고 믿게 되었으며 이러한 믿음은 낙관주의적 인생관과 세계관을 낳는 계기가 됨

89 2)자연주의(naturalism)지향 자연법사상에 기초하여 자연의 빛에 비추어 인간을 본래 자유롭고 평등한 존재로 봄⇒인간은 인권을 가진 존재로서 타인에 의해서 부당하게 처우 받거나 그의 인권이 양도될 수 없는 존재 ▶왕권신수설(王權神授說)이나 정치적 절대주의에 반대하는 정치상의 자연주의를 표명한 것 로크: 『시민정부론』(Two Treatises of Government, 1690)에서 시민의 자연권을 옹호 몽테스키외: 『법의 정신』(L’Esprit des lois, 1748)에서 삼권분립의 법적 근거를 마련하고자 시도 루소(J. J. Rousseau): 『사회계약론』(The Social Contract, 1690)에서 국민이 최고의 주권자로서 그의 주권은 양도될 수 없음을 천명

90 3. 계몽주의시대의 교육 1)합리주의 교육 인간의 이성에 대한 신뢰는 절대적
계몽주의 교육의 핵심: 모든 문제를 이성의 힘으로 해결하려 하였으므로, 교육은 인간의 이성을 일깨우고 올바로 사용하도록 하는 것에 모아짐 교육의 역할과 기능 중시⇒교육이야말로 대중의 계몽정신을 불러일으키고 고무시키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고 봄 ▶이성을 구사함으로써 합리적으로 생각하고 판단하고 행동할 수 있는 사람을 길러내는 일이 그릇된 전통, 관습, 미신, 권위주의로부터 벗어날 수 있는 지름길이라고 생각

91 2)자연주의 교육 인간의 이성에 대한 신뢰는 모든 비이성적이고 비합리적인 것을 배척하는 것⇒계몽주의자들은 당시 문명사회의 부패와 타락을 지적하고, 특히 불평등한 사회를 불합리한 것으로 받아들이고 그것을 개혁하고자 했음 당시의 계층사회(자연의 빛에 비추어 볼 때 인간은 본래 자유롭고 평등한 존재임에도 불구하고)는 자연의 질서를 거역한 잘못된 인위적 사회구조로 파악⇒자연의 질서에 순응하는 교육의 필요성 제기 인위적이고 전통적인 교육을 비판하고, 어린이들의 자연성에 기초한 교육 강조⇒기존 사회의 부도덕과 불합리에서 탈피하여 어린이의 자연적 소질과 능력을 키워주고 자연스런 방법으로 교육하는 새로운 교육방법 제시

92 18세기: 철학적으로 이성과 합리성이 지배했던 시대이기는 했지만, 교육사적으로 루소에 의해 주도되었던 자연주의 교육사상이 풍미했던 시대
1)자연에 일치하는 교육: 자연의 법칙을 교육의 과정에 적용, 응용⇒자연주의는 라트케와 같은 실학주의 교육사상가들의 사상을 계승 2)인위적인 것에 반대하여 자연에로 돌아간다는 것을 뜻하므로 자연주의자들은 아동에 대한 인위적인 환경과 훈련을 공격하고 아동의 자연스러운 자발성을 해치는 요소를 비판 3)목표: 인간의 자연스런 본성을 최대로 드러내는 것 아동의 자연스런 본성이 최대로 드러나게 하기 위해 가능한 한 많은 자유를 주어야 하며 간섭을 최소화해야 한다⇒자연주의 교육론은 19세기 계발주의 교육론의 선구인 동시에 20세기 자유주의 교육사상의 선구

93 3)시민교육 및 직업교육 18세기 계몽주의: 시민(Bourgeois)의 세기
소위 제 3의 계층이라고 불리는 시민들이 사회의 중심 세력이 되어 정치, 경제, 사회, 문화를 이끄는 계층이 됨⇒18세기 교육의 중심은 계몽된 ‘시민’을 키우는 것(사회의 변혁을 책임질 수 있는 시민양성) 계몽된 시민: 이성을 바탕으로 주체적으로 살아가며 사회에 대한 책임을 지는 유능한 사회구성원이면서 동시에 시민이란 자기분야에서 자질을 갖추고 일하는 유능하고 유용한 직업인⇒ 교사, 지식인, 정치가, 사업가 등 시민교육이란 동시에 훌륭한 직업교육을 의미

94 시민교육 시민교육은 인간교육의 테두리 안에서 이루어진다.
사회의 요구나 지위에 적합한 교육보다는 인간의 지위에 적합한 교육을 강조 ▶특정한 지위에 알맞은 교육을 받은 사람은, 그 지위를 얻지 못하거나 벗어나게 되면 아무 쓸모 없는 인간이 될 가능성이 많다. 인간교육: 우리가 무엇을 하든지 언제 어디서나 절대로 잃어버릴 염려가 없는 그런 지위를 얻을 수 있는 교육 시민교육의 궁극적 목적: 사회의 한 가운데서 살아가는 자연인, 즉 시민을 양성하는 것

95 4. 계몽주의 교육의 특징 교육의 목적: 개인의 이성을 발달시켜 모든 측면을 객관적으로 비판하는 능력을 함양
이성의 능력을 강화시키면 시킬수록 합리적인 판단능력이 커질 것이며, 나아가 사회개혁 및 사회진보의 가능성도 확대된다고 봄 이성의 능력을 키우기 위해서는 철학을 비롯하여 자연과학, 정치, 경제, 미술, 문학, 사교상의 예법을 가르쳐야 한다. 철학을 가장 중요한 교과목으로 제시⇒철학은 이치를 탐구하는 학문으로서 합리적인 능력을 기르는 데 가장 효과적이고 적합한 분야 교육방법: 객관적인 관찰과 경험을 통한 합리적 이성의 발달 중시

96 칸트(I. Kant: 1724-1804) 인식론 분야: 데까르뜨의 합리론과 베이컨의 경험론을 비판적으로 종합
윤리학 분야: 행위의 결과만을 중시한 목적론적 윤리학설을 비판하고 행위의 동기를 중시하는 의무론적 윤리학설의 체계를 완성 유럽 계몽사상을 대표하는 철학자로서 중세의 사상가들이 남긴 그릇된 유산을 청산하는 데 크게 기여→인간이 자신의 이성에 의해 외부의 도움 없이도 지식과 행동의 원리들에 의해 살아갈 수 있다는 자율성을 강조한 철학자 교육론의 전제: 인간만이 교육을 필요로 하는 존재 “인간은 교육을 필요로 하는 유일한 존재이다. 여기서 교육은 교양과 더불어 양육(養育), 훈육(訓育), 교수 활동으로 이해해야 한다. 교육에 따라 차례로 인간은 유아, 아동 그리고 학생이 된다”(Kant, §1).

97 훈육의 필요성: 훈련되지 않은 여러 가지 힘들, 즉 충동, 본능, 욕구들이 제때에 훈육되지 않는다면 공동체의 질서를 파괴할 수 있기 때문
이상적인 인간: 먼저 훈육되어야 하며, 풍부한 교양, 명석한 지혜를 가지고 있어야 하며, 또한 도덕적으로 훈련이 되어 있어야 함(칸트에게 있어서 훈육, 교양, 지혜는 교육받은 사람의 이상) 이상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학생이 공부하는 일에 전심전력하도록 지도해야 한다. ‘방심은 교육의 적’: 사람은 마음이 풀리게 되면 실수를 하거나 본래의 목표로부터 이탈할 가능성이 높다. 칸트는 어떠한 일이든지 마음을 모으고 힘을 다하지 않는다면 그 일을 성취할 수 없다고 지적하였다.

98 칸트의 계몽의 개념- sapere aude! 계몽의 금언: “계몽은 인간 그 자신이 책임이 있는 후견인의 상태로부터의 벗어남이다. 후견인의 상태는 타자의 도움 없이는 자신의 오성을 사용할 수 없는 상태이다. 그 원인이 오성의 불충분함에 연결된 것이 아니라 타자의 도움 없이 자기 스스로 사용할 결단력과 용기의 불충분함에 연결될 때 후견인에게 그 책임이 돌아간다. 너 자신의 오성을 스스로 사용하도록 용기를 가져라!” 후견인의 통제 하에서 자신의 미성년으로부터 나가기 위해서는 자신의 오성을 사용하는 것으로 충분하다⇒교육에 의해서 우리의 오성을 사용함으로 오류와 잘못을 피할 수 있다. 프랑수아 프루스트: “계몽은 이성의 그리고 이성에 의한 교육이다. 조명된 이성은 이성으로 교육받은 이성, 외적이고 감각적인 계시를 필요로 하지 않고 스스로 영적 진리들과 관계를 맺을 수 있는 성년의 이성이다.” 이성은 가르치는 자이면서 동시에 가르치는 내용인 것이다. 이성을 교육하기 위해서 이성은 자신 말고 다른 것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99 J. J. Rousseau(1712-1778)의 교육사상 1. 볼테르 vs 루소
Voltaire Rousseau 사상 문명의 유익성 (계몽주의) 원시생활의 순수성 (자연적 낭만주의) 진보관 진보를 신뢰 진보를 환상으로 봄, 문명생활이 오히려 인간을 퇴보시킨다고 봄 교육관 인간정신을 계몽시키는 일→ 인간이 교육을 통하여 과거를 이해해야만 과거의 잘못을 되풀이 하지 않는다고 봄 어린이가 심정의 지혜에 의존하도록 도와주는 일→이런 교육이 이루어져야만 사회의 거짓된 기준에 의해 타락하지 않는다고 주장

100 2. 아동관 1)성선설 인간관: “조물주가 만물을 창조할 때는 모든 것이 선하지만, 인간의 손에 넘어오면 모든 것이 타락한다”(『에밀』)⇒인간의 본성은 선하므로 이에 따라 세워야 할 자연적인 사회를 지향 인간의 선성: 도덕적 선이나 착한 사람의 행동 또는 칸트의 선의지가 아니라, 인간이 태어날 때 지니고 있는 자연성⇒인간의 본성은 자연성이고 자연성은 선이다. 어린이는 본래 자연적으로 선한 존재였으나 인간이 만든 세계 속에 들어 왔을 때에 타락한다(인간의 역사와 문명이 인간세계를 타락의 상태로 이끌었다). ▶교육적 과제: -인간을 자연상태에 두고, 타락의 세계에 접하지 않도록 어린이를 보호하고 지키는 것 -악의 요소인 현재 문명사회의 강제적인 교화를 배제하고 선한 자연성의 성장을 돕는 일

101 2)자연인 자연인: 인간 존재(Sein)의 특성을 밝히는 핵심개념이면서 동시에 인간이 도달해야 할 당위(Sollen)적 과제⇒인간의 선한 자연성이 성장하면서 타락의 세계에 물들어 자연성을 상실할 수 있기 때문에 자연성의 보존 및 획득은 인간의 과제 자연인의 특성: 그 자체가 절대적 선인 동시에 자기완성능력 자연인의 두 종류 1)자연적 자유인: 사회 속에 생활하면서 자기의 눈으로 보고, 자기의 감정으로 느끼고, 자기의 이성에 비추어 판단하고 행동하는 인간 2)도덕적 자유인: 이성적이고 합리적인 사고를 바탕으로 타인과 도덕적 관계를 맺고, 인간존중 사상에 입각하여 인간과 사회의 평등과 자유를 소중히 여기며 그것을 추구하는 인간 『에밀』이 추구하는 인간상: 사회로부터 고립되는 인간이 아니라 원시적인 자연상태에서 간직하고 있을 것으로 보는 자유평등한 인간의 존재상⇒시민사회의 실현자

102 3)감성과 이성의 조화 계몽주의자로서의 루소: 이성에 대한 깊은 신뢰⇒이성을 바탕으로 무지몽매에서 깨우치고 불합리한 세계의 개혁을 위해 노력 감성적 차원의 강조: 감성은 이성 못지 않게 인간의 인격형성을 위해 중요한 요인으로 봄 완전한 인간의 모습: 이성과 감성의 조화⇒건조하고 메마른 이성중심주의와 낭만과 폭풍의 감성중심주의에서 탈피하여 조화와 균형을 추구 이성과 감성을 발달단계적 측면에서 이해: 어린이는 아직 지적인 미성숙의 단계로서 이성보다는 감성의 영역이 발달 감성: 이성 이전에 인간을 지배하는 자연적 속성, 즉 생각하기에 앞서 느끼기 때문에 어린이 단계에서 감성은 어린이의 삶에 있어서 중요한 특징이고 그의 행동의 일차적 동기가 됨

103 4)어린이성(어린이의 독자성) 전통적 아동관 비판: “사람들은 어린이를 전혀 알지 못한다. 어린이에 대한 생각이 잘못되었기 때문에 나아가면 갈수록 점점 정도를 벗어나게 된다. 가장 현명하다는 사람들까지도 어린이가 무엇을 배울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해 생각하지 않고 어른들이 알아야 할 것에 대해서만 열중하고 있다. 그들은 언제나 어린이 속에서 어른을 찾고 어른이 되기 전의 어린이의 모습을 생각하지 않는다. 이것이야말로 내가 정성을 쏟아 연구한 결과다”(『에밀』, 8쪽) ▶어른들은 어린이의 특성에 전혀 관심이 없었고, 어른의 축소판으로서 불완전한 어른, 어른의 부속물, 어른의 명령에 무조건 따라야 하는 자, 동물적인 충동에 이끌리어 살아가는 자로 간주 어린이성: “어린이는 동물로도 어른으로도 존재하지 않는다”, “어린이는 어린이여야만 한다”⇒어린이는 성장 발달하는 존재요, 어린이가 어른이 되는 것은 그러한 성장과 발달의 결과임 어린이의 각 발달단계가 고유한 가치와 의미가 있으며, 각 발달단계에 적합한 교육을 통해 최대의 성장과 성숙을 찾아야 함

104 5)어린이의 권리발견 아동의 권리: “아동들은 인간으로서 또 자유인으로서 태어났다. 그들의 자유는 그들의 것이고, 그들 이외의 어떤 사람도 그것을 마음대로 처분할 권리를 갖고 있지 않다”(『사회계약론』). 아동을 단지 어른들의 부속물로서 인간적인 가치를 부여하지 않으려는 당시 사회 풍토에 대항해 아동이 그 자체로서 독자적인 가치와 의미를 지니고 있는 존재로서 파악되어야 한다고 봄(능동적 아동관) 아동의 고유한 특성을 발견하고 아동의 고유한 권리를 주장⇒루소를 “아동의 발견자”로 평가

105 3. 루소의 자연주의 교육사상 1)자연개념 문명인: 사회적 조건에 의해 구속당하고 제약받고 있는 인간
“자연으로 돌아가라”: 인간이 만든 타락한 악의 상태를 떠나 본래의 자연적이고 선한 상태를 회복해야 함 문명인: 사회적 조건에 의해 구속당하고 제약받고 있는 인간 자연인: 사회적 제약에서 벗어나 완전히 자기자신을 위해 살아가는 자기목적적인 인간 인간의 성장과 발달: 자연법칙의 원리에 따라 이루어짐 참되고 순수하고, 생명력 있고, 비인위적인 특성 인류의 근원적 최초의 상태(인위적이고 부도덕하고 타락한 사회, 문화, 문명에 대비하여) 자연상태: 반사회적, 반문명적인 의미

106 2)루소의 자연주의 교육 교육의 출발점: 아동의 상태와 소질 및 발달
교육의 목적: 아동의 천부적인 소질과 능력을 키워 주는 것 교육내용: 전통적이고 인위적인 지식체계를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자연스러운 생활세계를 매개하는 것(어린이들의 경험과 생활세계) 교육방법: -일체의 인위적인 것을 배제하고 자연스럽게 교육 -어린이의 신체적, 정서적, 지적 발달에 기초하여 교육을 하고, 아동 개개인의 개성을 존중하고, 아동의 생활과 활동을 중심으로 교육 교사의 역할: 정원사에 비유-자연적 성장을 이끌어주고 사회 안에서 능력과 신분에 맞는 자리를 차지하도록 준비시킴 이상적인 학교: 개인적 특성과 인간으로서의 보편적 특성이 다 같이 올바르게 존중되는 곳

107 교육의 세 종류 “교육의 근원은 자연과 인간과 사물이다.” 1)자연의 교육: 우리의 능력과 기관의 내적 발달-자발적 성숙
2)인간의 교육: 이 발달을 어떻게 이용할 것인지를 가르쳐 주는 것-자연에 의한 교육에 의존 3)사물의 교육: 우리에게 영향을 미치는 대상들에 대한 우리 자신의 경험으로부터 얻는 것-경험 통해 획득 “이 세 가지 교육 중에서 자연의 교육은 우리의 힘으로는 어떻게 할 수가 없다. 사물의 교육은 어느 정도까지는 우리가 좌우할 수 있지만 우리가 마음대로 할 수 있는 유일한 교육은 인간의 교육뿐이다.” 완전한 교육을 위해서는 세 가지 교육이 일치되어야 하기 때문에 우리의 힘이 미치지 않는 자연의 교육 쪽으로 다른 두 가지 교육을 일치시키지 않으면 안 된다.

108 소극적 교육negative education
루소의 자연주의 교육사상의 핵심: 인간 내부에 있는 천성 계발 밖에서 성장세대 안으로 무엇인가를 주입시키거나 계도하는 것이 아니라 성장세대의 내면 안에 있는 것을 확인하고 밖으로 끄집어내어 그것을 계발시키는 것 소극적 교육: 학습자에게 외적인 것을 적극적으로 집어넣는 것이 아니라 사회 안에 있는 반교육적인 것들이 영향을 미치지 못하도록 막는 것(교사의 지배와 간섭이 최소화) ▶아무런 교육도 하지 않는 것이 아니라, 교육에 방해되는 요인들을 막아 주고, 교육적 환경을 마련해 주고, 자연의 질서에 따라 조급하지 않고 인내하며 가르치고, 성장세대의 소질이 무엇인가 확인하여 그것을 계발시키는 ‘기르는 교육’

109 ▶교사가 의도하는 대로 학생들을 가르치고 원하는 방향으로 이끌어 가는 ‘만드는 교육’과는 분명히 구별됨
▶단순한 방임적 교육의 형태가 아니라, 지시 일변도의 교육을 배척하고 명령과 교훈 같은 직접적인 간섭을 배제함으로써 아동의 자유를 보장하고, 궁극적으로 어린이의 자유의지를 자극하여 자립심 함양 소극적 교육의 본보기: 아이를 도시가 아니라 시골에 데려가서 교육 가장 크고 가장 중요하고 가장 유익한 교육전체의 규칙: “시간을 아끼지 말고 버려라”→교육에 있어서 모든 잘못은 서두르는 데서 비롯(유아교육과 아동교육에서는 시간을 아낌없이 희생해야 한다. 그러면 나중에 더 많은 좋은 결과를 가져올 것이다.) ▶자연적 발달에 따라 끈기 있게 기다릴 것을 당부 미덕이나 진리를 가르칠 것이 아니라 악으로부터 마음을, 오류로부터 정신을 보호해 주어야 한다고 주장

110 4. 발달단계에 따른 교육 1)유아기(Infancy, 0-2세): 신체발달기(the age of growth)
-주변에 있는 사물들과 사람들을 모방하고 반응하는 법을 배우는 시기 -적응을 위한 양육과 신체의 발육을 위한 신체 및 건강교육 -교육의 핵심개념: 운동성(mobility) -필요성의 법칙이 지배함: 어린이가 무엇을 욕구한다는 것은 그것을 필요로 한다는 사실을 뜻하기 때문에 어린이는 그것을 취해야 한다(“어린이는 순종하므로 행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필요하기 때문에 욕구하고 행동한다.”) -가능하면 많은 자유를 주어야 하며, 자유스런 성장의 발달을 저해하는 요소를 제거해야 함 -어머니의 역할이 중요: 아이를 유모나 가정교사에게 맡기는 것은 자연의 이법에 어긋나는 것이며 또한 아이의 자연스런 성장을 막는 인위적인 지적이고 도덕적인 교육도 삼가야 함

111 2)아동기(Childhood, 3-12세): 감각발달기(the age of sensation)
-언어의 습득과 오관의 발달이 이루어지는 중요한 시기 ▶감각 훈련: 눈, 코, 입, 귀 등 감각기관의 훈련은 사고력과 판단력을 키우고 이성의 기초가 됨 -언어와 오관의 발달은 책을 통해서가 아니라 직접적인 경험을 통해서 이루어져야 함: 서적은 이해할 수 없는 토막 지식의 집합이기 때문에 소용이 없으며, 실제 삶과 관련된 생활교육의 중요성 역설→이 시기에 독서는 도움을 주기보다는 재앙이 된다. -놀이를 통한 자발적 학습: 아동은 여러 가지 인상을 받아들일 수 있는 유연성을 가지고 있지만 무의미한 정보나 사실을 암기해서는 안 된다. -우화를 들려 주는 것에 반대: “아이에게는 있는 그대로의 진실을 이야기해야 한다. 진실에 베일을 씌우면 아이는 애써 그것을 벗기려 하지 않는다”⇒우화를 읽는 아이들은 거의 언제나 작가의 의도와는 반대되는 생각을 한다(아이는 까마귀를 비웃고 여우를 좋아한다).

112 여우와 까마귀

113 -아동은 너무 많은 것을 배워서도 안 된다. ▶어린 시절에 너무 많은 지식과 정보를 배운 어린이는 정작 공부를 해야 할 시기에 탐구를 외면해 버리기 때문 ▶정확하고 명료한 관념만 전달→이성이나 판단은 천천히 획득되기 때문 -이 시기에 지적 호기심을 가지고 공부하는 습관을 가지도록 해주는 것이 중요: “학문을 사랑하는 취향을 갖는 것이다. 취미가 좀더 발달했을 때 학문을 배우기 위한 방법을 가르치는 것이 중요하다. 이것이야말로 확실히 모든 좋은 교육의 근본원칙이다.” -필요성의 교육이 지배함 -소극적 교육 -교육의 핵심개념: 감수성(sensibility)

114 -소극적 윤리 강조: 타인에게 이익을 주려는 것보다 해를 끼치지 않는 것이 선행되어야 한다.
모든 나이의 사람에게 가장 중요한 교훈, 그것은 누구에게도 결코 해를 끼쳐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좋은 일을 하라는 교훈 조차도 금방 말한 교훈에 종속되지 않으면 위험하고 잘못되고 모순적인 것이 된다. 가장 숭고한 미덕은 소극적인 것이다. 그것은 가장 어려운 것이다.

115 3)소년기(Boyhood, 13-15세): 이성발달기(the age of reason)
-적극적 교육(지식을 배우는 시기): 理性에 눈을 뜨기 시작하기 때문에 비로소 사물교육, 지식교육 및 기능교육이 가능하게 됨 ▶교과목: 천문학, 물리, 지리 등 자연과학과 수공 -교사나 책을 통해서가 아니라 실물교육을 통해 스스로 발견하도록 -책: 디포(Defeo)의 『로빈슨크루소』(Robinson Cruso) ▶에밀이 읽어야 할 유일한 교과서: 이 책은 자연의 순리를 깨닫게 하고 그 순리에 따라 살아갈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기 때문 -유용성의 법칙이 지배: 아이들이 사물을 제대로 이해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실제로 경험하도록 하고 직접 만들어 보도록 해야 한다. ▶자연과학과 실물교육에 필요한 교과만을 가르쳐야지 역사, 형이상학, 도덕과 같은 교과들을 부과해서는 안 된다. -교육의 핵심개념: 지성(mentality)

116 4)청소년기(Adolescence, 16-20세): 정념발달기(the age of passion)
-실제 사회에 접근: 인간관계와 사회제도에 관한 지식 ▶복잡한 인간관계를 바르게 이해하기 위한 교과목: 사회학, 심리학, 윤리학, 정치학 -제 2의 탄생이 이루어지는 사춘기 ▶어린 시기를 벗어나 성인으로서의 남성과 여성의 역할을 익히고, 인간의 사회적 관계에도 관심을 기울이는 시기 ▶사랑의 법칙이 지배함: 異性에 눈뜨는 시기로 타인에 대한 애정과 함께 사회적이고 도덕적인 존재로서 필요한 자질을 쌓는 시기 -감성교육, 도덕교육, 종교교육 -교육의 핵심개념: 도덕성(morality)

117 5)청년기(20세 이후): 시민교육의 시기, 배우자를 발견하고, 가족, 국가, 사회 등에 대한 이해를 깊이 하며 새로운 가정을 꾸리고 독립하며 마무리를 하는 시기
인간의 발달과정에 대한 루소의 기본원리: 출생에서 성인에 이르기까지 어린이의 성장과정을 인류의 발전단계와 동일시 ▶”개체발생은 계통발생을 되풀이한다”(하나의 생명체가 태어나는 과정에서 그가 속한 종족이 밟아왔던 진화의 단계를 모두 경험한다)는 생물학의 기본원리를 원용한 것

118 이상적인 여성관과 여성교육관 『에밀』, 제 5부: 에밀의 배우자가 될 소피(Sophie)의 교육과정과 결혼생활을 다룸
여러 곳에서 이상적인 여성이 지녀야 할 덕목들, 자질들, 능력들을 제시 이상적인 여성: 건강한 여자, 근면한 여자, 온유한 여자, 아름다운 여자, 존경 받는 여자, 미덕을 사랑하는 여자 또 이상적인 여성은 기지, 통찰력, 섬세한 관찰력과 같은 기질도 겸해야 한다고 봄 여성은 남자의 생활을 도와주는 존재

119 결혼생활이 지속되기 위해서는 존경의 감정이 필수적임을 강조: “사랑은 불안한 것이지만 존경은 믿을 수 있는 것이다
결혼생활이 지속되기 위해서는 존경의 감정이 필수적임을 강조: “사랑은 불안한 것이지만 존경은 믿을 수 있는 것이다. 존경심이 없는 사랑은 결코 참된 마음 속에 존재할 수 없다. 왜냐하면 인간은 누구나 다른 사람 속에서 자기가 존경하는 자질들을 사랑하기 때문이다.” 루소는 부부간의 사랑이 유지되기 위해서는 약간의 거리를 두어야 하며, 겸손해야 하며, 정숙해야 하고, 사랑을 의심하지 않도록 조심해야 하며, 스스로를 존경해야 한다고 덧붙이고 있다.

120 5. 루소의 교육사상의 문제점 불명료한 자연의 개념 교육개혁의 실현 가능성 문제 인간 발달 단계에 대한 의문
남녀구별교육 및 보수적 여성교육론의 문제 개인교사의 권위 행사에 대한 역설 등의 문제들에 대해 정당화를 시도하지 않았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121 6. 교육사적 의미 아동의 발견자로서 아동중심 교육사상의 기초를 마련한 인물
전통적인 교사중심의 만드는 교육을 비판하고, 아동으로부터 출발하는, 아동의 소질과 능력을 키워 주는 기르는 교육이라는 새로운 교육패러다임 창출 『에밀』에서 보여준 교육적 이상과 아이디어들은 당대에는 물론 후대의 위대한 교육사상가들에게 심대한 영향을 미침: 바제도우(논문 “범애자에게 고함”, 범애학교 설립)와 잘쯔만(범애주의 운동)-루소의 교육사상에 기초하여 교육을 개혁하려는 운동이 일어남 칸트-에밀을 통해 인간성을 배움 루소의 낭만적 자연주의 교육사상의 계보: 페스탈로찌, 헤르바르트, 프뢰벨, 몬테소리, 듀이, 엘렌 케이(『아동의 세기』)등

122 국가주의시대의 교육 1. 19세기의 시대적 배경 19세기: 단일한 개념으로 규정하기 힘든 복잡한 시대
(1)정치적 측면: 제국주의가 등장하여 영토 확장과 식민지 확보에 혈안(국민국가nation-state의 발흥) (2)학문적 측면: 인간에 관한 과학적 지식의 확장 예)헤르바르트의 ‘학습심리학’, 다윈의 ‘진화론’, 제임스의 ‘심리학’ (3)경제적 측면: 산업혁명의 결과 가내 수공업에서 공장제 기계공업에로의 변화가 이루어짐에 따라 초기 자본주의 경제체제가 성립됨⇒기계를 사용함으로써 대량생산을 해낼 수 있었고 국부창출의 원동력이 됨

123 산업혁명: 부의 불평등한 분배로 부익부 빈익빈 현상 초래, 급기야는 자본가와 노동자 간의 극심한 대립과 반목 초래
▶산업혁명에 성공한 유럽 국가들 안에서 소수의 자본가들의 다수 노동자의 임금 착취 만연 계급(유산자와 무산자)의 양극화: 경제적 불평등은 물론이고 사회적 부조리를 낳았으며, 실업률의 증가, 빈곤과 기아의 만연, 범죄율의 증가라는 심각한 사회문제 양산 ▶일부 의식이 있는 지식인들이 사회혁명을 주창 

124 1) 국가주의 사상의 출현 개인의 이익보다는 국가나 민족 전체의 이익을 우위에 두는 이념 및 사상
국가의 이익이 그 어느 것보다도 우선하기 때문에 국민 개개인은 언제나 국가 전체 이익을 위해서 희생해야 한다는 논리를 내세움

125 2)사회개혁사상의 출현 산업혁명이 가져온 모순과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하는 사회개혁 사상이 등장 1. 사회주의 사상
2. 공리주의 사상

126 사회주의 초기 자본주의가 가져온 폐해와 모순을 타파하고 새로운 국가를 건설해야 할 것을 역설한 사회혁명 사상이며, 이러한 사상은 프랑스의 생시몽(C.H. Saint-Simon), 푸리에(C. Fourier), 영국의 오웬에 의해 시작되었으나 이것을 계승 발전시킨 것은 마르크스와 엥겔스 마르크스: 생시몽, 푸리에, 오웬의 사회주의를 공상적 사회주의라고 명명함으로써 자신들의 과학적 사회주의와 구별 공상적 사회주의자들: 자본주의 사회가 정치적으로나 경제적으로 모순에 가득 차 있기는 하지만 노동자들의 근로조건을 개선하거나 의식을 바꿈으로써 사회를 점진적으로 개선해 갈 수 있다고 믿음

127 마르크스와 엥겔스: 공상적 사회주의의 실현의 어려움 지적
『공산당 선언』(Communist Menifesto, 1848): 사회혁명에 대한 구체적인 이념과 목표와 방법을 제시 사회혁명의 방법: 부조리하고 불평등한 자본주의를 타도하기 위해서는 착취 받고 있는 노동자와 농민들이 대동 단결하여 ‘폭력혁명’을 일으켜야 한다고 주장 급진적인 사회혁명사상: 20세기 초 레닌, 마오쩌뚱과 같은 정치인들에 의해 부분적으로 실현됨

128 공리주의 본래 초기 자본주의가 낳은 구조적 문제점을 비판하고 이를 개선하려고 했다는 점에서 사회개혁 사상
벤담과 밀: 소수의 사람만이 행복하고 다수의 사람들이 불행한 초기 자본주의 사회는 개선되어야 한다⇒ ‘최대다수의 최대행복’의 원리에 입각하여 행동할 때 이상적인 사회가 실현될 수 있다고 봄 어떤 행동이 특정한 개인이나 특정 집단의 이익을 증진시키기보다는 사회 전체의 이익을 증진시켰을 때 비로소 그 행위가 도덕적으로 정당화됨 행위의 결과를 중시했기 때문에 흔히 목적론적 또는 결과론적 윤리설로 불림

129 (3) 반이성주의 사상의 출현 19세기 말엽: 계몽사상이 내세운 주지주의와 헤겔이 주장한 이성주의를 비판하는 反주지주의 및 反이성주의 사상이 등장(유물론, 생철학, 실존주의 등) *유물론: 포이어바흐(Feuerbach)가 주창한 이론이지만, 이를 새로운 차원으로 발전시킨 사상가는 마르크스 마르크스의 유물론:헤겔의 변증법사상을 수용하면서도 역사를 움직이는 원동력이 정신이나 이성이 아니라 물질적인 것, 즉 경제관계라고 주장 유물사관 또는 변증법적 유물론: 마르크스는 유물론적 관점에서 인간과 역사를 해석하였음⇒역사는 물질의 변증법적 발전과정

130 생철학 인간의 생명현상을 가장 중시하는 사상 쇼펜하우어, 니체, 베르그송 등의 사상가들에 의해 전개되었는데, 이들은 인간의 삶이란 지성, 이성, 합리성으로만 설명될 수 없는 복잡한 현상이라고 주장 인간과 역사를 움직이는 원초적인 힘은 이성과 정신이라고 주장한 헤겔의 이성주의 및 역사주의 사상을 반박하고 인간과 역사를 움직이는 원초적인 힘은 바로 의지라고 주장

131 실존철학 생철학의 영향을 받아 성립한 사상으로, 전쟁과 산업화로 인해 상실되거나 왜곡된 인간 본래의 모습(실존)을 찾으려는 휴머니즘의 운동 인간 실존의 회복을 통해 인류를 구원할 수 있다고 외친 사상가로는 키에르케고어, 니체 등 키에르케고어: ‘신 앞에 선 단독자’로서 자신의 죄를 진심으로 뉘우칠 때 인간 본연의 순수한 모습, 즉 실존을 회복할 수 있다고 주장 니체: 초인과 영원회귀 사상을 통해 세계를 구원할 수 있다고 주장 영향: 하이데거, 야스퍼스, 싸르뜨르 등 현대 실존주의 사상가들에게 큰 영향을 줌.

132 2. 국가주의 교육 1)등장배경 및 특징 (1)민족국가의 출현
근대 초엽 민족단위의 국가가 형성되면서 이들 국가들은 17, 18세기에 이르러 확연한 영토와 경제적 부를 축적함 막강한 군사력을 가지면서 완전하고 힘있는 국가로 성장, 발달하게 됨 ▶국가주의 또는 국민주의 교육사상의 등장: 유럽 지역에서 국가가 필요로 하는 인재 양성 목적 ▶국가의식, 애국심 고취, 시민교육강화(예, 피히테의 『독일국민에게 고함』)→국가의 수호

133 2)나폴레옹 전쟁 나폴레옹의 침략에 대한 유럽 국가들의 방안: 대외적- 국가 조직 및 체제 정비를 통해 부국강병
대내적- 국민정신과 민족정신을 앙양시키기 위한 방안 모색 ▶유럽의 국가주의 국가들: 교육을 국가가 관리하고, 교육제도를 재조직하고, 의무교육제도를 실행하는 등 교육계에 큰 변화가 일어남(바로 이때부터 공교육(公敎育)이 본격적으로 강화되기 시작) 교육내용: 국민의 의지를 결속시키고 애국심을 고취시키기 위해 지리학, 언어학, 역사학 등의 교과학습을 중요시 교육목적, 내용, 방법, 제도 등을 국가의 이익과 발전을 위해 재조직하고 통제하였으므로 여기에 개인의 자유, 인권, 창의성, 자율성은 개입될 여지가 없었음 

134 2)국가주의 교육사상가 피히테(J.G. Fichte: 1762-1814)
국가주의 교육사상가: 독일의 피히테(J.G. Fichte: ), 헤겔(G. W. F. Hegel), 덴마크의 그룬드비히(Grundvig), 프랑스의 샬로테(La Chalotais), 영국의 랑카스터(J. Lancaster), 오웬(R. Owen), 미국의 제퍼슨(T. Jefferson)과 만(T. Mann) 등   피히테의 저서:『독일 국민에게 고함』은 년 베를린에서 프랑스 점령군의 삼엄한 감시 하에서 생명의 위험을 무릅쓰고 행한 14차례의 강연을 묶어 출판한 책 교육적 이상과 방법을 제시: 독일국민이 프랑스군에게 점령당하여 치욕적인 삶을 살게 된 것은 독일 민족이 지나치게 이기주의적이며, 진리에 대해 무관심하기 때문이라고 진단하고 이 이기심이 국민 개개인을 도덕적으로 타락시키고 정부를 부패하게 만들었다고 비판함

135 피히테의 교육사상 타락한 독일 국민을 구원하기 위한 유일한 방법은 새로운 교육 종래의 교육목적과 방법이 개선되어야 함을 주장
새로운 교육: 인간을 새롭게 형성해 가는 도덕 교육 ▶특정 계급만을 위한 교육이 아니라 국민 전체를 위한 교육이며, 소수의 학자만을 길러내려는 교육이 아니라 참된 인간을 만들어 내려는 교육(새로운 인간상: 도덕적인 인간) 도덕적인 인간 육성을 위한 교과목: 철학, 시, 살아있는 언어의 중요성 ▶철학과 교육은 불가분의 관계를 가지며, 국민이 교육을 받지 않으면 철학을 이해할 수가 없고, 철학이 없으면 교육이 완전해질 수 없다고 강조( 『독일 국민에게 고함』 제 5강 )

136 조국애가 국가보다 더 높은 개념→조국애가 국가를 지배해야 함
교육: 모든 국민에게 조국애를 가르치고 고무시켜야 함 페스탈로치가 제시한 교육과정 및 교육방법 채택(조국을 구하기 위해) ▶페스탈로치의 민중교육론을 높이 평가하고 그의 교육방법이 민중교육을 일반화하고 사회 전반에 만연되어 있는 계급의 격차를 해소하는 데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믿음 페스탈로치의 노작교육론(勞作敎育論)에 대해서도 긍정적으로 평가

137 국민교육의 궁극적 목적: 도덕적인 인간 육성 ▶어린이가 장차 도덕적인 인간이 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경제적으로 자립할 수 있는 노동능력도 갖추어야 한다고 봄 ▶생계 때문에 부정한 유혹에 빠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노동의 가치와 근로의 습관을 가지도록 가르쳐야 함 ▶학교 안에서 학습과 노작이 결합된 교과로서 농업, 수공, 원예, 목축 등을 가르쳐야 한다고 주장 교육이념: (새로운 국민교육제도를 통해) 새로운 인간 형성, 이를 통한 사회 개조, 민족 구원 국가주의, 전체주의, 국수주의를 반대한 사상가였음에도 불구하고 책 전체를 통해 애국심과 조국애를 지나치게 강조함으로써 그의 사상 속에 어떤 위험성도 가지게 됨

138 오웬(Owen: 1771-1858) 웨일즈 출신의 사업가이며 사회주의 개혁가
10세 때까지 학교교육을 받았으며, 그 후에는 주로 도제로서 직조공장에서 일을 배웠고, 19세 때에는 라나크셔(Lanarkshire)공장을 매입하여 탁월한 운영능력을 발휘하여 사업에 성공했으며 아동과 청년들의 교육에도 지대한 관심을 기울였음 성격형성학원과 영국 최초의 유아학교: 이 지방의 무지하고 빈곤한 노동자와 그들의 자식을 위해서 자신의 공장 안에 설립 사회개혁의 방법추구: 자라나는 세대의 성격을 바르게 형성하는 일이야말로 사회개혁의 첫걸음 환경에 의한 성격 형성의 중요성 강조←로크의 백지설

139 성격형성학원 “최선의 인격에서 최악의 인격에 이르기까지, 가장 무지한 인격에서 가장 계발된 인격에 이르기까지 어떠한 일반적인 인격일지라도 어떠한 공동체이건, 세계 전체이건 적절한 수단에 의해 만들어질 수 있다. 이 수단은 대부분 인간사에서 영향력을 발휘하는 사람들의 통제하에 있다.” 학원개설의 목적: 불우한 환경과 여건을 개선하지 않고는 아이들에게 좋은 성격을 가지게 할 수 없으며 나아가 사회를 개혁할 수 없다는 신념을 실현하기 위함 ▶열악하고 조잡한 학교 시설을 개선하기 위해 전기시설을 비롯한 통풍시설을 갖춘 교실과 넓은 운동장을 만들어 제공 성격형성 교육의 대상: 모든 국민들(특정한 학교나 지역만이 아니라 그리고 빈부귀천의 차이가 없이 주어져야 함) ▶개인의 행복은 공동체의 행복에 달려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

140 국민교육 국민교육제도의 조직 역설 : 영국 국민의 3/4이 가난한 노동계급에 속한다고 말하면서 이들의 성격은 현재 적절한 안내나 지도 없이 제멋대로 형성되고 있다고 보고 그냥 방치할 경우 가장 나쁜, 그리고 가장 위험한 국민이 될 수 있기 때문에 모든 국민들에게 무상으로 교육받을 수 있는 기회가 주어져야 한다(『새로운 사회관』)고 주장 국민교육: -남녀노소, 종교적, 파당적, 차별 없이 이루어져야 하며, 생활과 직결된 것 -지∙덕∙체를 겸비한 전인격적인 성격을 형성하기 위한 것이어야 하며, 국민적 이기주의나 증오심을 유발시키는 교육이어서는 안되며 가난한 계급의 자녀들에게는 무상으로 주어져야 함

141 유아교육 유아의 성격 형성을 위한 유아학교(Infant School) 설립(1816)
▶이것은 오늘날 유치원에 해당하는 것으로 프뢰벨이 세운 유치원(Kindergarten)보다 24년이나 앞섬 유아학교 설립을 통해 실현하고자 했던 두 가지 교육목적: 1.가난한 계층의 자제들을 보호 2.그들의 건강한 성격 형성(산업혁명 이후 대다수 노동자계급의 유아들은 가정의 보호를 제대로 받지 못하고 방치되었다. 유아교육이 성인교육의 기초가 된다고 믿었던 오웬은 가난한 가정형편으로 인해 유아들이 방치되는 일은 사회적으로 불행한 일이라고 봄) 노동자의 자녀를 1세에서 3세까지, 그리고 4세에서 6세까지 두 반을 편성하여 유아들을 교육 ▶교육방법: 일방적인 주입식 교육보다는 유아가 가진 능력을 최대로 발휘하도록 도와야 한다는 계발교육 중시

142 신인문주의 시대의 교육의 배경 1)汎愛主義 학파의 뒤를 이어 18 세기 후반 ~ 19c 독일을 중심으로 일어난 일련의 교육사조 및 운동 * 범애주의(Philanthropism): 18세기에 독일에서 종교, 국가, 계급에 상관 없이 인간에 대한 넓은 사랑을 기반으로, 보편 교육을 통해 행복한 시민을 만드는데 일차적 관심을 지닌 교육사조 2)철학상, 문예상의 낭만주의가 교육상 신인문주의로 대두-감성과 비합리적 측면 강조-개인성에 대한 새로운 이해가 등장 3)계몽사조에 반대하고 정의, 인간성, 역사, 민족을 중심으로 한 사조-참된 인간성을 사고하는 이성이나 추상적인 도덕법칙에서 찾지 않고 인간의 내면으로부터의 창조적인 자기표현에서 찾으려고 함 4)고대 그리스 세계를 동경하여 또 다시 그 이상적 생활을 실현해 보자는 교육사조 5)19세기 사상가들의 주요관심사: 언어, 인간

143 신인문주의 교육의 특징 1. 조화로운 전인교육 합리주의 교육론과 주지주의적 교육론 비판
▶이성과 지성의 계발 및 도야를 지나치게 강조함으로써 절름발이 인간 육성 신인문주의 교육:지∙정∙의를 고루 겸비한 전인육성 ▶이성과 합리성을 강조하는 계몽주의와 감성과 비합리성을 강조하는 낭만주의의 조화 추구 인간의 자연성에 대한 긍정적 평가와 인간에 대한 낙관적이고 이상적인 생각이 뒷받침 외부에서 작용해 들어오는 교육보다는 내부에 있는 것을 끌어내어 도야하는 내적 도야의 개념이 중요성을 지니게 됨

144 2. 언어교육 인간의 내적 힘의 조화롭고 완전한 도야의 모범: 고대 그리스
⇒고대 그리스와 그리스 언어에 다시 관심을 기울이고 언어교육 강조(순수언어적 관심보다는 교육적 관심) ⇒희랍 고전 시대의 문학, 사상, 인생관, 세계관의 부활-고전의 참 정신 획득(고대 작품, 고대 정신과 접하면서 언어가 아니라 그리스의 정신을 배우고, 이것으로부터 내적인 힘의 도야의 가능성 추구) ⇒고전주의에 대한 자각적인 비판과 선택을 중시-문화사상의 내용에 중점

145 3. 인간교육 18-19세기 초 국가주의자들: 국가적 이상을 실현하기 위해 교육제도를 조직하고 교육환경 개선에 관심을 가짐
신인문주의자들: 인간 발달의 법칙에 합치하도록 교육과정 자체 개혁 계몽주의 시대의 교육 비판: 각 직업 분야에서 유능한 시민, 직업인 양성, 즉 신분특수적인 직업교육보다 모든 사람을 인간으로 키우는 인간교육의 중요성 역설 ▶시민, 의사, 수공업자, 농민이 아니라 무엇보다 인간으로 교육되어야 함 인간으로 도야된 사람들이 또한 직업인으로서 사회와 국가에 잘 봉사할 수 있다⇒교육의 가치가 외적 차원에서 내적 차원으로 전환

146 교육: 외부에서 성인의 표준을 강제하는 대신에 내부에서 아동의 내면세계를 계발해 내는 것
주지주의, 합리주의, 반민족주의, 반국가주의 주정주의, 역사주의, 민족주의, 국가주의의 형태 교육목적: (심미적, 문예적 특징, 문학과 미술 등의 내용에서 참다운 인간성을 찾아) 근대인으로서의 고귀하고 원만한 인간성 양성 대표적 사상가: 페스탈로치, 헤르바르트, 프뢰벨 등 

147 신인문주의 교육의 내용 1)인간성 존중(인성주의): 인간성의 발휘를 목적으로 하는 주관주의 사상인 동시에 개인 완성주의이자 자유주의 사상 2)인간성의 조화로운 발달 지향: 자연성과 이성의 통합을 위해 고대 그리스 문학사상 중시 (3)심미적, 예술적 가치 지향: 단순한 미가 아니라 *도덕적 선을 포함하는 심미적 가치 4)비합리적 태도: 합리주의에 반하는 비합리주의가 아니라 합리성만으로는 이해하지 못하는 삶의 측면을 무시하지 않는다는 뜻(삶에 있어서 자연성을 존중하고 유기적 인생관 중시)

148 신인문주의 교육의 분류 1)심미주의, 문예주의 교육 : 신인문주의에 기초를 두고 주정적 측면을 가미한 교육사조
2)이성적 도덕주의 교육 : 칸트와 헤르바르트에 의한 교육 3)사회적 인문주의 교육 : 페스탈로치와 그의 학파에 의한 교육사상 4)국가주의 교육 : 피히테의「독일 국민에게 고함」과 푸이의「국가교육론에서 강조된 교육사상」 5) 과학적 실리주의 교육 : 스펜서에 의해 강조된 교육 6)기 타: 프뢰벨의 유치원 교육

149 J. H. Pestalozzi(1746-1827)의 교육사상 1. 생애
목사가 되기 위해 신학공부 교육이론가라기보다는 교육실천가이며, 특권계층 자제들의 교사가 아니라 고아들의 아버지 어릴 때 과보호를 받아 동년배 친구들을 거의 갖지 못했으며 부끄러움이 많고 내성적 청소년 시절 루소의 『에밀』과 『사회계약론』을 읽고 큰 감명을 받음 18세 때 루소의 『에밀』을 읽고 인간의 선한 본성을 굳게 믿었으며 죽을 때까지 이러한 신념을 지킴 1774년 노이호프(Neuhof)에 학교를 세워 운영했는데, 학생은 대부분 고아와 빈자의 자녀들이었음 학교 운영에 실패하긴 했지만 어린이는 집단 속에서 효과적으로 학습해야 한다는 것을 발견 1780년에는 친구의 권유로 집필활동을 시작했는데 이때 『은자의 황혼』을 썼으며, 1781년에는 그의 교육소설인 『린하르트와 겔트루트』를 발표

150 슈탄츠(Stans)의 고아원 책임자(1799년): 전쟁고아들을 가르치고 지도⇒가정의 중요성, 가정과 학교 간의 협력의 필요성을 깨달았으며, 사랑의 중요성을 절감
▶사랑이 없이는 제아무리 체계적인 교수를 한다고 하더라도, 참된 교육을 해낼 수 없으며 이러한 사랑을 실천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장소가 바로 가정⇒ 학교교육의 중요성을 경시한 것이 아니라 가정교육이 모든 교육의 기초가 되어야 한다고 생각 저서: 『게트루트는 그의 아이들을 어떻게 가르치나』(1801) 발표 ▶직관을 이용한 실물교수법을 고안, 이를 전파하기 위해 처음에는 부르그돌프에서, 나중에는 이페르돈(Yverdon) 학교에서 교사교육을 함 ▶이때 독일의 헤르바르트, 미국의 만(H. Mann), 버나드(H. Barnard), 맥루어(W. Maclure) 등이 이 학교를 방문 교성(敎聖): 교육적 사랑이 성자의 경지에 들어갔다는 것을 의미

151 ◆가정부 바벨리(Babeli): 부친이 일찍 세상을 떠남으로써 페스탈로치의 양육과 교육에 많은 영향을 미친 사람(교육소설인 『린하르트와 게르트루트』, 『게르트루트는 어떻게 그의 자녀를 가르치는가』 등은 바벨리를 모델로 해서 모성의 위대한 교육적 힘을 찬양한 것임) 낮은 신분의 한 여인에게서 나타난 위대한 인간의 힘이 페스탈로치에게 인간성에 대한 위대한 체험을 하게 만들었으며, 일생에 걸쳐서 빈민아동을 위한 교육에 헌신하게 만듦 교육적 노력의 원천: “한 미천한 여인이 죽을 때까지 평생 나에게 사랑을 베풀었던 것처럼 나도 죽음에 이르기까지 빈민에게 사랑의 손길을 뻗치자.” ◆그의 조부(시골목사): 농민들의 삶을 세심하게 살펴보도록 권유→ 편견에 찬 학교교육 때문에 농촌 아이들이 정신적으로 얼마나 위축되어 있으며 또한 가혹한 노동으로 신체발달이 얼마나 저해되었는지를 유심히 관찰 조부의 세심한 교육적 배려: ‘눈에 보이지 않는 하나님’을 사랑하는 방법으로 ‘눈에 보이는 형제’를 사랑하는 빈민교육의 길을 택함

152 2. 사상적 배경 산업시대의 사회문제들과 대중교육의 필요성 인식 코메니우스에 비해서 인간유기체적 자연성을 강조
로크에게서 세계에 대한 감각적 경험의 중요성과 감각자료의 분석, 비교, 연합, 조정에 따른 지식의 형성이론을 취했으며, 신체의 중요성 수용 루소의 아동에 대한 견해, 자기개발의 가치, 기본적 교육기관으로서의 가정의 역할, 관찰과 경험의 중요성을 수용하였으나, 훈련 없는 자연의 가치나 자연상태를 이상사회와 동일시하는 것은 배격 루소의 낭만적인 사회관과 이상적인 자연관에서 벗어나 구체적이고 과학적인 사회와 자연을 구명(종교적 경건, 도덕성 등이 고양되는 윤리 사회)

153 루소의 개인주의를 넘어서 아동은 지적, 정신적, 성장의 자극을 위해 사회에 의존해야 한다고 주장→교육은 사회상태에서 이루어지며 사회개혁의 수단이어야 한다고 봄(개인과 사회의 조화로운 발달 강조) 범애학파로부터 인도주의적 이상, 중립적인 종교교수와 활동에 의한 학습방법 등을 수용 신인문주의로부터 정의적 측면의 중요성과 인간성의 조화적 발달에 대한 주장 수용

154 페스탈로찌와 루소의 교육사상 비교 공통점: 인간의 자연은 선하다고 봄
차이점: 인간성을 실현하는 방법/사상/실천관계는 서로 다른 입장 루소: 기성사회의 부패와 타락을 제거하는데 파괴적인 방법을 제시 페스탈로치: 적극적으로 새로운 인간사회를 건설하는데 주력

155 3. 인간관 세 가지 상태, 즉 자연적, 사회적, 도덕적 상태가 존재
1)자연상태의 인간: 동물적 충동에 따라 이기적인 삶을 영위, 한편으로는 자연 질서에 순응하며 살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자연질서를 파괴하고 타락한 행동을 하기도 함 2)사회적 상태: 이기심으로 야기된 폭력행위를 법으로 규제하는 상태, 즉 자연적 욕구의 충족에서 오는 무질서를 방지하기 위해 협약으로서의 법을 만들어 이를 강제로 준수케 하는 상태 3)도덕적 상태: 인간이 자연상태나 사회적 상태에서 벗어나 내면세계의 숭고한 요청에 따라 자신을 정화하고 순화하여 도달하는 상태, 그것은 관습적이고 강제적인 것이 아니라 내면적이고 자율적인 것이다. “인간은 동물적 욕구의 충족, 사회적 관계의 정립에 만족하지 못하고 자신의 내면적 순화를 갈구하는 힘, 즉 도덕적 진리를 내면 깊숙이 간직하고 있다.”

156 기초도야 이념-세 가지 삼위일체론 첫째, 지육, 덕육, 체육의 삼위일체
둘째, 수, 형, 어의 삼위일체: 이것은 교육 내용 가운데 가장 기본이 되는 것 셋째, 직관, 언어, 사고의 삼위일체: 우리의 인식과정을 자연스럽게 정리한 교수방법▶먼저 직관적으로 사물을 파악하고, 다음은 사물을 언어로 정확하게 표현하고, 끝으로 다듬어진 언어표현을 통하여 논리적 사고력을 함양

157 4. 교육 목적 전인(whole man)의 개발: 인간 정신의 내면력을 Head, Hand, Heart, 즉 3H 로 구분하여 이들의 조화적 발달을 도모하고 인간개혁을 통한 사회개혁을 목표 ▶자연적 유기체로서의 인간의 지적∙신체적∙도덕적 측면을 조화롭게 발전시켜 나가는 것 학습의 완성에 있지 않고 생활에 대한 준비에 있음 인간성의 발전: 무율단계→타율단계→자율단계 참된 교육: 인간의 인격을 완성하고 도덕적 상태에 도달하도록 돕는 것 ▶자연의 길을 모방하고, 타고난 선한 자연의 힘을 발전시키며, 인격을 완성함으로써 개인적으로 행복하고 사회적으로 쓸모 있는 인간

158 보편적 인간성: “왕좌 위에 앉아 있으나 초가의 그늘에 누워 있으나 인간으로서의 본성은 다 같다.”
페스탈로치의 평생의 고민: “인간은 자기가 태어난 계층에 알맞은 교육을 받아야 할 것인가, 그렇지 않으면 만인에게 평등한 인간교육을 받도록 해야 할 것인가?” 교육의 목적: 특정한 신분이나 직업에 얽매여 있는 기계적 인간보다 폭넓은 교양을 통하여 인간성을 스스로 계발해 나가는 인간존재

159 5. 교육내용 *인간의 머리, 손, 가슴을 교육시키기 위한 교육내용 1)머리(지식)의 발달: 실물학습, 특히 수학과 지리
2)손(신체)의 발달: 노작교육(가난한 아이들과 고아들을 위해 직업교육의 필요성 절감)-노동을 통해 학습, 과학적 영농기술 개발 *노작교육: 기초도야의 이념 중 기술적 능력을 길러줌으로써 지적 ·도덕적 능력의 도야에 기반이 된다고 생각 

160 페스탈로치 노작교육 사상 인간에게 공통으로 평등하게 내재하는 지성력, 기술력, 심정력과 같은 능력의 조화로운 자기발전의 교육목적을 실현하는 것 노작교육사상의 특징 1)사회생활을 반영하는 활동에 참여하되, 작업하여 무엇인가를 만들어내는 활동 2)다양한 정신적 특성을 신장시킬 목적으로 이루어지는 육체적 활동 3)일정한 절차나 기술에 익숙하게 하면서도 개인적인 변용이나 집단적인 협동의 가능성을 열어주는 활동 따라서 노작교육은 능동적인 작업을 통하여 각 교과 내용을 학생들의 구체적인 경험과 관련시켜 줌으로써, 각 교과에서 추구하는 이해와 안목의 형성에 기여한다. 노작교육은 삶의 경험을 특정한 관점에서 구조화한 각 교과 내용을 통합한다는 측면에서 중요한 교육적 가치를 갖는다.

161 3)가슴(정서)의 발달: 정서와 감정발달 ▶정서적 안정이 어린이 교육의 핵심적 요소 ▶가슴교육을 위해서는 이웃사람과 신을 향한 마음이 존재해야 한다→가정교육 "가정의 단란함이 이 세상에서 가장 빛나는 기쁨이다. 그리고 자녀를 보는 즐거움은 사람의 가장 거룩한 즐거움이다.” ▶사랑, 신뢰, 감사의 마음이 일어나도록 하기 위해서는 기독교 신앙이 필요함을 역설 →가정이야말로 사랑, 신뢰, 감사의 마음을 배울 수 있는 가장 좋은 장소 가정교육: 도덕교육의 터전, 실물교육의 장

162 6. 교 육 방 법 ◆두 가지 교육방법 1)일반적 방법: 정서적으로 안정된 학습환경을 만들어 주는 것, 즉 정서적 안정, 신뢰, 애정을 교사가 학생에게 제공하는 것 2)특수한 방법: 그림이나 말(단어)이 아닌 사물을 이용하는 감각수업, 이것은 시각과 청각을 이용하는 것으로 세 가지 형태의 학습, 즉 수, 형태, 언어의 학습을 의미(“인간의 모든 인식은 수, 형, 어로부터 출발한다.”) 수, 형태, 언어는 일반적으로 모든 사상의 외적 특성을 총체적으로 나타내는 것 수의 교육: 얼마나 많은 사물이 눈 앞에 보이는가?-사고의 명확성, 논리적 사고력 증진 형태교육: 그것들이 어떻게 보이는가? -감각경험을 통해 직접적 연구, 직관력과 공간감각을 길러줌 언어교육: 그것들의 명칭은 무엇인가? –경험, 사고 느낀 바를 올바르게 표현해 주는 도구

163 아동중심교육: 아동의 능력에 가장 적합한 방법으로 아동이 자신을 개발하도록 적당한 환경의 제공
실물교수 강조: 단어와 실물의 결합, 단순에서 복잡으로→ 실물학습에 참여한 어린이들은 사물을 정확하게 그리고 명료하게 이해할 수 있게 됨(암기 대신에 경험을 통해 대상으로 나아감) 합자연의 원리와 직관의 원리를 강조 : 관찰과 감각적 인상의 작용이 외적 자연을 명료화한다는 주장에서 실재의 이해를 위한 심리주의적 원리를 인정 아동의 본성에서 나오는 내적 동기와 준비도를 강조하는 루소의 자연의 방법과 코메니우스의 자연관찰에 의한 교수방법의 원리와 일치함

164 학습에 관련된 활동에 아동이 능동적으로 참여하여, 현실생활의 실제와 분리된 교수방법을 배제한 점에서 루소의 견해와 구별됨
직관의 원리: 외적 인상의 수동적인 수용보다는 감각적 직관을 능동적으로 개념적 사고로 구성하도록 조력할 것을 주장하여 인간 내적 자연의 단순한 표출보다 발동하려는 감정과 의지에 따른 표현을 강조하는 점에서 코메니우스의 견해와 구별됨→형태, 수, 언어의 세 가지 측면에서 파악하는 일이 기초 직관의 ABC: 기본적인 요소들을 처음에는 따로따로, 다음엔 서로 관련 지어 감으로 점차 아동의 마음을 형성시켜 주어야 한다.

165 7. 교 육 원 리 (1)안방교육의 원리: 가정은 인간형성의 요람, 인간에게 있어서 가정적 관계는 가장 우선적이고 자연적인 관계이므로 인간교육은 생활의 근거지이자 사랑이 충만한 안방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태어나고, 양육되고, 성격이 만들어지고, 기초적인 생활습관이 형성되는 등 이후 삶의 기초가 형성 -기본적인 언어와 행동양식과 가치규범을 배우며, 가족과의 공동생활을 통해서 이웃에 대한 사랑과 신에 대한 신앙을 배움 (2)일반도야의 원리: 신인본주의자들과 마찬가지로 인간의 신체적, 지적, 도덕적 힘을 조화롭게 계발시키는 인간교육이 시민적 자질과 기술적 능력을 키워 주는 직업교육보다 앞서야 한다고 봄 ▶학교가 읽기, 쓰기, 셈하기 등의 기능을 가르치는 것보다 먼저 인간됨을 가르치는 인간학교이어야 한다고 주장

166 (3)자기계발의 원리: 교육이란 가치, 기능, 행동양식, 지식, 기능 등을 밖에서 안으로 주입하는 것이 아니고, 안에 지니고 있는 내면적 힘, 소질을 스스로 계발, 발전시키도록 돕는 행위(합자연 교육의 핵심)→교육의 적극적 측면강조 (4)도덕교육 중시의 원리: Head, Hand, Heart로 특징지어지는 지능력, 기능력, 심정력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보고, 지∙체∙덕의 조화로운 발달을 인간교육의 기본으로 생각, 그 가운데서도 도덕성 함양을 인간교육의 핵심으로 간주: “교육에서 제일 중요한 것은 손도 아니요, 머리도 아니요, 가슴이다.” (5)직관의 원리: 지식교육을 반대하고 직관교육을 강조 내적 직관: 자신의 마음의 눈으로 세계의 본질을 체험하는 것 외적 직관: 우리들의 감각기관을 통해 외계의 인상을 수용하는 것 직관에 의한 실물교육은 코메니우스의 실물교육과 루소의 감각교육을 확대∙발전시킨 이론(구체적 사물을 접하고 실제 일을 행함으로써 효과를 거둘 수 있다고 봄)

167 8. 교육사적 의미 인간애와 인류애에 기본을 둔 교육실천가 및 사회개혁가
인간의 빈곤은 본질적으로 정신의 빈곤에 기인한다고 보았으며 교육이 정신의 빈곤을 제거할 수 있다고 믿었으며, 보편교육의 이념과 방법을 확인하는데 기여함 보편교육은 사랑과 신뢰에 기본을 둔 가정교육에서 시작되는 것으로 보고 이를 기초도야로 생각했으며, 가정에서 어머니와 자녀의 애정적 관계를 중요시함 노작, 수공훈련 등 공리적, 직업적 교육관 등 생활중심 교육 강조

168 학습심리의 필요성 인식-일반적 교육방법, 즉 정서적으로 안정된 학습환경의 창조는 현대의 아동심리학의 출현을 예견
사랑과 이해에 기본을 둔 도덕교육 중시 종교교육: 교리문답과 성서의 기억에 의한 형식적 방법 배격, 종교적 감정과 경건심의 고취 중시 사범교육의 필요성 인식→ 교사교육 강조 나토르프의 사회주의 학설과 교육심리학 연구에 영향을 미침 직관주의 교육학설이 여러 나라로 전파되고, 보통교육(빈민학교, 가정교육, 노작교육, 고아교육, 감화교육)에 영향을 줌

169 J.F. Herbart(1776-1841)의 교육사상 1. 생애와 저서
독일의 철학자이며 교육학자로서 피히테의 제자 예나대학 재학 중 피히테의 제자가 되었으며, 1799년에는 페스탈로치의 교육사상에 심취하여 부르그돌프 학교를 방문하기도 함 년까지 게팅엔 대학에서 교육학을 가르쳤으며, 주저인 『교육목적으로부터 연역된 일반교육학』(1806) 발표 1809년 칸트 후임으로 쾨니스베르크 대학 철학과 교수가 됨 이 대학에서 철학, 심리학, 교육학에 관한 책들 저술 주요저서: 『교육학강의 개요』, 『일반교육학의 개요』 슐라이어마허와 함께 교육학의 학문적 기초를 놓음 칸트의 후계자인 동시에 칸트 비판가로서 이상주의 교육비판 교육실천을 기초로 하면서도 동시에 교육현상을 설명할 수 있는 교육이론을 체계적으로 정리함

170 페스탈로치가 교육을 관찰과 실험으로 발전시킨 것을 이성과 비판으로 이론화시킴
페스탈로치가 교실의 경험에서 교육원리를 이끌어 내는 데 반해 대학교수로서 이론적 검증을 통해 교육학을 발전시킴 어린이가 지닌 선천적인 능력과 재능의 조화로운 발달을 지향하는 페스탈로치의 교육목적을 비판적으로 검토 인간의 정신을 하나의 통일체로 작용한다고 보면서 여러 가지 능력으로 분리될 수 없다고 봄 분열되지 않은 인격의 발달과 사회적인 도덕성 계발 강조

171 2. 교육목적 모든 교육의 문제: 왜 인간을 교육하는가?(교육목적의 탐구로부터 시작)
교육의 최고목적: 도덕성의 실현(견고한 도덕적 품성의 도야)→ 페스탈로치(도덕적 인간의 형성을 교육의 최고목표로 삼음)와 일맥상통 도덕성: 인간 삶의 궁극적인 최고의 목적 도덕성: 통찰+의지+순종(사물현상에 대한 통찰과 그것을 바탕으로 형성된 의지, 그리고 의지에 자신을 스스로 복종하는 것) 교육에 의해 올바른 통찰과 의지형성이 가능하다고 믿음- 교육을 통해 학습자가 올바른 판단능력을 형성하고 선한 의지를 획득할 수 있다고 봄 교육적 과제: 다면적 관심(흥미)과 도덕적 인격의 강화

172 교육의 첫 번째 과제- 다면성(일반교육학) ◆다면적 관심- 다면성과 관심으로 나눔
학생들의 배움의 기본 움직임을 ‘사고체계’ 또는 ‘다면성’이라는 개념으로 설명 가. 다면성: 심화(새로운 내용의 인지 및 획득)+숙고(획득된 내용을 반성→기존의 표상과 새로운 표상의 유화조건, 즉 흥미발생의 조건 심화(전심): 자기를 비우고 대상에 주의를 집중시키는 작용, 고재를 공부할 때, 일시적으로 다른 모든 것으로부터 사고를 멀리하고 개개의 대상에 집중하여 그것을 명확하게 파악하는 심적 상태 숙고: 전심에서 파악한 대상들을 반성을 통해 통일하는 작용이며, 전심에 의해 얻어진 개별적 표상들을 올바른 관계로 결합하여 통일하는 작용

173 ▶새로운 것을 배웠을 때 학생들은 그들의 표상을 심화하고 새롭게 학습한 것을 기존의 표상체계에 배열하고 정돈할 때 숙고하게 됨
전심과 숙고: 서로 다른 대상들을 배제하기 때문에 동시에 이 둘은 함께 존재할 수 없고 교호적으로 작용 전심과 숙고: 무한한 상호작용을 통하여 교수의 직접적인 목적인 다면적 흥미의 기반을 구축 전심과 숙고의 두 가지 상태(정적인 것과 동적인 것)→ 네 가지로 분화시킴: 명료, 연합, 체계, 방법(네 가지 구성요소는 서로 관련되며 학생들의 사고과정을 형성)

174 다면성의 네 가지 구성요소 1)명료(정적 심화)의 단계: 대상을 뚜렷하게 인식하는 것(개별대상의 특징이 분석됨)
▶주요과제: 대상을 구성하는 모든 요소들을 분리해 다른 요소들과 분명히 구별 짓는 것 2)연합(동적 심화)의 단계: 학습자는 이미 파악된 요소들 모두를 배열해 일치성과 상이성이 분명히 드러나게 함 ▶종합과 숙고가 나타남(신, 구 관념을 결합하여 인식하는 것)

175 3)체계(정적 숙고)단계: 연합된 관념을 질서 있게 체계적으로 조직하는 것( 요소들의 집합체가 논리적인 조합을 바탕으로 적절한 개념이 형성됨)
4)방법(동적 숙고)단계: 이미 획득된 체계를 바탕으로 유사한 다른 사례에 적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체계화된 지식을 활용하고 응용하는 것) ▶체계형성에서 훈련된 방법적 사고는 이미 파악된 것들과 내적인 연관을 맺으며, 그 안에 있는 일반적인 것을 유사한 상황에 적용하도록 함 ☞이렇게 하여 형성된 사고체계를 기초로 학생들은 통찰에 다다르고 그것을 바탕으로 의지를 형성하고 행동하게 됨

176 다면성 구성요소(네 가지 사고체계 ): 후에 수업의 방법 또는 단계로 오해되어 수용되었고, 이로부터 형식단계가 성립(그의 수업이론이 형식단계설로 알려짐)
일반교육학에서 사고체계가 수업의 방법 또는 단계가 아니라 수업의 목적임을 분명히 함 사고체계: 객관적 대상을 내면화할 수 있는 능력 교사의 역할: 학생들의 사고 수준과 특성을 파악해 학생들로 하여금 사고체계를 형성하도록 해야 함 사고체계 자체가 목적이 아니라 그것이 지향하는 것은 학생들이 그것을 바탕으로 흥미를 갖도록 하는 것

177 나. 흥미(관심) 흥미 또는 관심(interesse): 수업시간에 학생들의 주의를 이끌어내기 위한 교수방법적인 개념이 아니라 교육과 수업의 목적임 ‘교육에 있어서의 코페르니쿠스적 전환’(교육학자 놀H. Nohl):“교사들이 효과적으로 강의하기 위해 학생들의 흥미와 관심을 끌도록 하여야 한다는 것은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진 수업원칙이다. 이 원칙에서는 수업이 목적이고, 관심이 수단인 것처럼 여겨지고 있다. 이러한 관계는 이제 바꾸어져야 한다. 수업은 학생들의 관심을 불러일으키는데 기여해야 한다. 수업은 일정기간 동안만 진행되지만, 관심은 학생의 일평생의 삶 동안 유지되어야 한다.” →수업과 관심(흥미)의 관계를 완전히 전복

178 루소처럼 좋은 교수는 어린이의 흥미(interest)와 함께 시작한다고 믿음
▶사고의 영역에만 머무는 것이 아니라 기대하고, 요구하고, 행위 하는 것까지 포함해서 인간 삶을 이끄는 힘(관심은 인간을 어떤 행위로 이끄는 적극적인 정신행위) 관심의 성격: 영속성, 직접성, 다양성 인간의 흥미는 다양하다는 사실과 그런 흥미들은 주로 두 가지 원천에서 나타난다는 사실을 발견 인식적 관심: 인간과 사물과의 관계에서 나타남→어떤 대상과 사물을 파악 참여적 관심: 인간과 인간의 사회적 관계에서 나타남→인간과 사회에 대해 적극적 관심을 보임 그러한 관심들이 다면적(경험적, 사변적, 심미적, 동정적, 사회적, 종교적)이면서도, 어느 측면에도 치우치지 않는 균형을 이루어야 한다고 강조

179 흥미의 두 가지 유형: 1)자발적 흥미: 어린이가 자연스럽게 자기의 관심과 일치하는 것에 주의를 기울이는 경우에 발생하는 흥미 2)강제적 흥미: 타율적으로 흥미가 발생하도록 유인하여 주의를 기울일 경우에 발생하는 흥미→ 장애가 큰 학습상황에서 어린이의 흥미가 부족하다면 새로운 흥미를 가지도록 유도하는 일이 교사의 역할

180 헤르바르트의 교육학: 철학적 교육학 교육의 목적은 철학 특히 인간의 행위를 문제 삼는 또는 덕을 문제 삼는 윤리학으로부터 제시될 수밖에 없다→교육의 유일하고도 최고의 목적을 도덕성에 두기 위해 도덕이 관념의 차원에서만 의미를 갖는 것이 아니라 현실적으로 가능할 수 있는 조건을 추구 이런 아이디어는 일반실천철학에서 구체화: 종래의 윤리학에서 제 1 원리로 고려하였던 선과 덕 그리고 의무는 의지에 기초한다→의지만이 도덕적으로 가치 있는 것 교육학 체계의 중심개념: 덕→ 인격 가운데서부터 견고한 현실에 이르기까지 발전한 내면적 자유의 이념 의지가 오성에 따라서 자기를 방향 잡을 수 있을 때 비로소 인간은 내면적으로 자유로울 수 있다→교육학의 과제는 의지와오성이 일치하도록 오성을 형성하는 일이고, 그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 교육적 교수이다.

181 교육의 두 번째 과제- 도덕적 성격의 강화 도덕성: 인간이 자신의 선한 의지에 따라 결정하고 그러한 결정에 스스로 복종하는 것
▶그것은 인간의 선한 의지를 기초로 한다는 점에서 자의적 의지와는 구분되고, 자율성을 기초로 한다는 점에서 타율적인 법칙에 복종한다는 것과도 구분됨 인격자: 사회내적 존재로서 타인들의 삶에 대한 관심과 책임의식을 지닌 사람(↔이기적 존재) 도덕적 인격: 자율적인 선한 의지를 소유하는 것과 공동체적 존재로서의 책임의식을 소유한 상태

182 3. 교육의 방법 교육의 기본개념을 확인하고 교육현상을 해명하는 데 깊은 관심을 기울임 교육: 감독, 수업, 훈육
1)감독(관리): 유아기 때 어린이이의 그릇된 행동을 고치며 질서 있고 순종적인 생활을 하도록 지도하는 것, 조기사회화를 통해 교육의 기초를 다지는 준비과정 적극적 관리: 일정한 과업을 제공하여 어린이의 활동을 격려하는 거 소극적 관리: 위협, 감시, 금지,명령, 처벌 등의 외형적인 수단을 동원하여 충동을 억제하는 방법 ▶이런 관리방식은 다음에 오는 교수와 훈련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 학습자의 행위를 의도적으로 통제하고 질서를 잡아 나가는 것을 목적으로 함

183 2)교수(수업): 학생들로 하여금 올바른 인식과 태도와 의지를 소유하도록 하는 것
교수는 질서 잡힌 사상권과 다면적 흥미의 육성으로서 여러 통찰과 질서 잡힌 사상권을 창조하고 성장하는 의지에 영향을 미침→ 교수는 사고권을 형성하고 확장하여 감정과 의지를 일으키면서 도덕적 성격을 형성하는 방법 교수단계설: 다면적 흥미의 발달을 교수의 직접적인 목표라고 했는데, 이런 흥미들을 발달시키는 순서에 따라 기존의 표상과 새로운 표상을 결합시키는 방법으로 고안해 낸 것

184 헤르바르트 학파의 교수 5단계설 학습: 머리 속에서 얻은 관념이 새로운 지식이나 정보와 결합할 때 일어남→ 후에 그의 제자들에 의해 5단계로 체계화됨 수업의 5단계: 준비, 제시, 연합, 일반화, 응용의 단계 1)준비: 아동이 새로운 재료에 흥미를 갖고 이해할 수 있도록 과거의 경험을 상기시키는 과정 2)제시: 신 개념에 쉽게 동화하도록 새로운 재료를 학생들에게 구체적으로 제시하는 과정 3)연합: 옛 관념과 새 관념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새로운 경험을 이해하는 과정 4)일반화: 분석된 내용으로부터 일반적인 규칙, 법칙, 원리를 형성하는 과정 5)응용: 일반화된 관념을 적용하고 검사해 보는 과정 ♣교수와 수업을 심리학적인 원리에 따라 체계적으로 밟아 나갈 때 학습목표가 효과적으로 달성될 수 있다는 생각은 교육방법을 과학화하려는 학자들에게 큰 영향을 주었다.

185 3)훈육(훈련): 인식을 바탕으로 형성된 의지에 순종하도록 지도하는 것
훈련은 교수행위처럼 교재를 매개로 하지 않고 직접적으로 어린이의 심정을 도야하며 도덕적 품성을 기르고자 하는 교육활동이다. 훈련은 교수처럼 지식이나 기능의 전달을 통해 목적을 달성하려고 하지 않고 직접적으로 어린이의 심정을 도야하여 목적을 성취하고자 하는 점에서 교수와 다르다. 훈련은 관리처럼 일시적인 교정에 의해 단편적인 효과를 노리지 않고 영속적인 도야를 목적으로 한다는 점에서 관리와 다르다. 훈련은 강고한 의지의 도야이다. 훈련 시에 교사는 더 이상 교육자가 아니며 친밀한 원조자가 된다. 훈련은 근본적으로 개인적인 행위이므로 평등한 인간관계하에서 성립되는 것이다.

186 4. 교수학 교수학의 핵심내용: 어떻게 학생들에게 다면적인 관심을 갖게 하고, 도덕적인 인격을 갖추게 할 수 있는가?
교수학: ‘수업이 바탕이 되는 교육에 관한 이론, 교육적인 수업에 관한 이론(좁은 의미에서의 가르치고 배우는 것에 관한 이론인 수업이론이 아님) ♣교육적인 수업 첫째, 교육적인 효과를 거두지 못하는 단순한 지식전달 중심의 수업이 아니라 교육 내용 또는 지식이 ‘사례’나 ‘문제’를 바탕으로 명료하게 전달되어 ‘참된 설득력’을 획득하는데 기여하는 것

187 그러한 설득력 있는 설명을 바탕으로 학생을 교육목적인 ‘다면적 관심’에로 이끌 수 있고, 그것을 바탕으로 학생들은 독자적으로 자신의 삶을 개척해 나갈 수 있게 된다고 주장
둘째, 교육적인 수업은 이해를 위한 수업이다. “수업은 이해될 수 있고, 설득력을 지닌 것이어야 한다. 그렇지 못한 수업은 학생을 지루하게 만든다.” 수업에서 학생을 지루하게 만드는 것은 “수업활동 중 가장 큰 죄악이다!” ▶명료한 설명을 바탕으로 학생들은 체계적인 사고와 판단능력을 형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설명내용에 관심을 기울이게 됨(바른 판단과 도덕적 인간으로 성장)

188 5. 학문적 교육학의 정립 교육학 분야에 끼친 가장 큰 공헌: 타학문의 주변학으로 푸대접을 받아 온 교육학을 하나의 독립과학으로 체계화한 점 교육학의 체계화: 목적을 규정하는 윤리학과 방법을 규정하는 심리학을 기초로 체계화 ◆교수행위 비교육적 교수: 단순히 지식과 기능의 전달만을 목적으로 함 교육적 교수: 그런 일에만 머무르지 않고 의지를 도야하여 도덕적 품성을 형성하는 일을 목적으로 함 올바른 교육은 교육적 교수를 통해야 한다.

189 교육현상: 다른 학문이 설명할 수 없는 교육학의 고유한 대상 영역이라고 보고, 교육과 교육학의 자율성 문제를 제기
▶“교육학이 자신의 고유한 개념들에 대해 숙고하고, 독자적인 사고를 개발시킨다면, 그리고 그것을 통해 다른 학문들의 지배를 받지 않고 연구의 중심이 된다면 더 좋을 것이다- 모든 학문들이 자신의 고유한 법칙에 따라 움직인다면, 다른 학문들과의 우호적인 관계가 정립될 수 있을 것이다.”

190 학문으로서의 교육학의 자율성의 근거 1)교육학은 기성세대가 성장세대를 가르치고 키우는 ‘교육’이라는 고유한 연구대상을 갖고 있다. 2)교육학은 교육현상을 파악하는 방법적 차원에서 사변적인 철학이나 경험과학들과 구별된다. 교육에 대한 철학적인 해명을 바탕으로 교육의 본질적 과제를 밝히고 교육의 기본개념을 제시함 ▶교육철학적 해명은 교육자에게 교육적 관점과 시각을 제공하여 올바른 교육실천을 가능하게 하는 기초가 된다고 봄

191 6. 교육사적 의의 교육학을 과학적으로 체계화한 최초의 인물로서 교육학의 학적 토대를 형성
자신의 분석적, 비판적 정신에 의해, 그리고 사변과 경험, 이론과 실제의 결합에 의해 당시의 교육이론을 체계화하는데 기여 그의 심리학이 교수론을 학술적으로 기초지움→ 심리학적 통찰 없이는 어떤 교육도 이해할 수 없다고 하면서 교육이 심리학적 기능에 의존해야 함을 강조  영향: 헤르바르트주의(Herbartianism)가 되어 독일과 미국에 널리 알려지게 됨 독일: 칠러(T. Ziller), 스토이(K. V. Stoy), 랑게(Lange) 등이 그의 교육이론을 계승 미국: 1892년 전국 헤르바르트 학회가 결성됨

192 Fr. W. A. Fröbel( ) 생애와 저서 프뢰벨은 출생 후 9개월 만에 어머니를 여의고 편애가 심한 계모의 손에서 자랐기 때문에 그의 어린 시절은 우울했다. 많은 시간을 자연 속에서 지냈으며, 자연이 지닌 신비를 체험 유년기와 아동기의 이러한 경험들은 그의 교육사상 형성에 지속적인 영향을 주었다. 1805년 페스탈로치를 찾아가 2년 동안 머물면서 많은 것을 배움(페스탈로치의 충실한 추종자)→이곳에서 어머니에 의한 어린이의 조기교육의 중요성을 깨닫게 됨 열성적인 친구들과 카일하우(Keilhau)에 ‘보편적인 독일연구소’를 창설하였으며, 이 연구소를 널리 알리기 위해 1826년 『인간의 교육』 (Die Menschenerziehung )을 저술

193 1837년 블랑켄부르크에 세계 최초의 유치원을 세움(‘어린이의 정원’이라는 뜻을 가진 ‘Kindergarten’이라고 명명)
유아들이 사용할 많은 교육 재료들 개발→ 기하학적 형태를 이용해 많은 은물(恩物)을 제작 프뢰벨은 헤르바르트와 마찬가지로 페스탈로치의 이론을 발전시킨 사상가 헤르바르트가 교수의 방법과 활동에 관심을 둔 것과는 달리 프뢰벨은 유아의 발달과 활동에 관심을 기울였음 헤르바르트의 엄격한 지적 훈련 방식을 반대하고 아동의 자발성과 창의성을 존중하는 부드러운 교육방법 선호 중등교육 과정에 있는 청소년들에게 관심을 가지기보다는 유아들에게 특별한 관심을 가짐 ▶유아에게 관심을 가지게 된 가장 큰 이유: 인간의 선천적인 능력의 계발은 중등교육을 통해서가 아니라 유아교육을 통해서 더 잘 실현될 수 있다고 생각했기 때문(유아기에 무엇을 보고 듣고 경험하느냐가 인간 삶의 질을 결정한다고 믿음)

194 교육내용 인간의 사명: 인간은 신에 의해 창조되었으며, 모든 것의 존재 근원 또한 ‘신’이기 때문에 인간은 신적인 것을 인식하여야 하고, 신적인 것을 실현할 것을 사명으로 해야 한다. 인간의 세 욕구 1)자기내면적인 생명을 지향하는 욕구(안식) 2)외계 및 외계의 본질을 자신 속에 넣으려고 하는 욕구(인식) 3)내면적인 것을 직접 나타내는 욕구(표현) ▶통일성 원리를 구성하는 세 가지 요소인 신, 인간, 자연과 관계됨 ▶교육의 내용: 종교(안식), 자연(안식과 인식), 수학, 언어, 예술(표현)

195 유아교육사상-유아관 유아: 신성을 소유한 존재 신성: 활동충동, 작업충동, 창조충동
신성은 유아로 하여금 끊임없이 활동하게 하고, 내면적인 것을 창조적으로 표현하게 하는 등 생명활동의 근본동기가 됨 유아의 창조적 활동 및 작업충동: 유아로 하여금 자발적인 행동에로 이끈다. 유아의 특징: 외부로부터의 힘에 의한 간섭보다는, 내적인 동기를 기초로 자기의 흥미와 자기의 힘에 의해 자발적으로 놀이하고 작업하고 행동하는 것(유아의 자발성은 성장발전의 에너지로서의 역할)

196 유아교육의 목적 유아들이 신의 법칙 또는 자연의 법칙을 깨우치고, 자기 내부에 잠재해 있는 신성을 표현하는 것
자연교육과 인간교육: 이것을 가능하게 하는 통로 1)자연교육: 자연관찰을 통해 자연의 법칙을 깨닫고, 노작과 작업(도안과 자연 가꾸기, 동식물 기르기 등)을 통해 어린이 내부의 창조성과 자발성을 표현하도록 하는 것 2)인간교육: 신이 부여한 어린이의 천성, 소질, 가능성을 계발하는 것이요, 내면 세계를 적극적으로 밖으로 표현하는 것

197 1)일차적으로 내적인 것의 인식과 실현, 즉 신적인 것의 실현을 위한 교육
▶내적인 것, 즉 타고난 본질에 기초를 두고 그것이 잘 실현되도록 도와주고 보호해야 하는 것 ▶교육이 내적인 것을 고려하지 않고 외적으로 규정하는 모습일 때는 부정적이고 방해적, 파괴적으로 작용하게 되는 것이라고 경고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어린이의 본질을 신적인 것으로 파악하는 아동관에 근거하여 수동적이고 추종적인 교육을 주장

198 2)추종적인 교육에서 규정적 교육으로의 전환, 나아가 이들 양자의 결합을 시도→이 전환은 인간의 발달 단계와 관련됨
루소를 계승하여 어린이 교육은 필연적으로 소극적이어야 하며, 안내하고 보호하는 것이어야지 규정적, 단언적, 간섭하는 것이어서는 안 된다(두 가지 예외: 자명한 진리를 가르칠 때와 경험에 의해 확립된 이상적 가치를 가르칠 때). 순수하게 규정적, 요구적, 명령적인 인간에 대한 교육의 방법은 본래 명확한 자기 의식의 각성이 있고서 신과 인간의 합일적 생명의 개시와 더불어 아버지와 자식, 제자와 스승의 상호 이해와 공동의 생명이 개시된 후에 비로소 시작된다. ▶진리가 전체의 본질과 개인의 본성에서 인도되고 인식되기 때문 명령적, 규정적 교육을 인정하고 있다고 해서 어린이의 내적인 필요와 요구에 반하는, 이중적으로 부과하는 교육을 말하는 것은 아님

199 추종적 교육과 규정적 교육만으로 인간의 교육을 말하지는 않는다. 이들 두 교육이 통일을 이루어야 한다.
▶내적인 것과 외적인 것이 통일을 이루지 못하고 어느 한 쪽의 것만 강조하게 될 때는 참된 교육이 될 수 없기 때문 상황에 따라 추종적 교육을 혹을 규정적 교육을 취하는 것만으로는 통일을 이루는 것이 아니다. 두 가지 교육에 대한 주의 깊은 관찰은 추종적 교육과 규정적 교육 모두의 필요성을 인정하면서 이들이 제 3의 것에서 통일을 이룰 것을 보여준다. 추종적 교육, 규정적 교육 그리고 이들의 통일: 놀이의 중요성과 의미를 밝히는 기초 발달순응적 교육: “교육, 교수 그리고 교훈은 본래적∙실질적으로 그 근본 특징에 있어서 필연적으로 발달순응적이어야 하며 결코 명령적∙규정적 간섭이어서는 안 된다.”

200 인간 발달 단계: 유아, 유년, 소년, 청년, 노년 각 단계는 서로 완전히 구분되는 것이 아니고 상호 침투를 해 가면서 연속적으로 발전하는 것으로 봄 인간 발달 단계 중에서 특히 이른 시기의 발달을 중요시하고 있는데, 이 이른 시기의 발달과 관련하여 이들 견해가 주는 시사가 크기 때문 유아기: “주로 다만 살아가기 위한 것뿐인 생명의 단계 내지 생명 그 자체의 단계, 내적인 것을 바깥에 나타낸다는 것을 주로 하는 단계 소년기: 주로 외적인 것을 내면화하는 단계, 즉 학습의 단계” 발달단계의 특징에 따라서 추종적 혹은 규정적인 교육이 그리고 이들이 결합된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인간의 본질에 따르는 추종적인 교육을 위주로 하는 교육, 이는 독자적인 능력, 신적인 본질을 지닌 인간이라는 것에 기초한 것이지만, 교육의 출발점을 인간의 내적인 필요와 요구에 두어야 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201 유아교육의 방법적 원리- 1)통일의 원리 : “정신계와 자연계 그리고 개인과 사회간에는 분할이 없는 하나의 대통일체로서의 세계 또는 우주”, “우주에는 근본이 되는 힘, 즉 절대적인 것”이 있는바 그 절대적인 것이 신이라고 믿음 ▶자연과 정신을 분리 또는 대립하는 것으로 보지 않고 양자는 그 근원에 있어서 하나로 합일한다고 믿음 ▶세계의 전체를 하나의 조화, 통일된 전체로서의 유기체로 보고 그 중심 또는 근원으로서의 신이라고 한 그의 사상체계는 종교적, 철학적, 낭만주의적 세계관에 서 있음

202 2)자기 활동의 원리 교육은 ‘창조적인 자기활동의 과정’: 교육의 방법으로 자기활동과 창의성을 중시
내적 능력을 발달시키는 데 자기활동이 필수적이라고 생각했으며, 이것은 신적 원리가 요구하는 것이라고 생각 ‘신성’을 계발하기 위해서는 타율적이고 간섭적인 교육은 거부되어야 한다. 자기발달의 원리 즉, 자기활동이란 자기자신의 동기에 의해서 결정되고, 자기자신의 흥미로부터 생기는 것이며, 자기자신의 힘에 의해서 지지되는 것이다. 교육의 과제: 아동의 모든 흥미와 욕구에 따른 창조적 활동에 따라 교육되어야 한다.

203 3)놀이(play) 및 작업의 원리 어린이들이 자신의 신성을 표현하는 대표적인 통로는 놀이이다.
“놀이란 아이들이 자기의 내적 세계를 스스로 표현하는 것, 자기의 내적 본질의 필요와 요구에 의해서 내면 세계를 외부로 표현하는 것이다. 놀이는 아동기의 가장 순수한 정신적 산물이며 인간 생활 전체의 모범이다. 모든 선의 원천은 놀이 속에 있고 놀이로부터 나온다.” 놀이란 어린이가 자기의 내면 세계를 밖으로 표현하는 것이요, 어린이의 원초적 충동(활동, 작업, 창조)의 표현이다. 놀이는 그 자체가 기쁨이고 자유이고 만족이고 평안이요, 모든 선의 원천이다. 놀이는 몸과 마음과 정신을 발달시키고 강하게 하는 교육적 의미를 지님

204 ◆운동적인 놀이와 작업적인 놀이 운동적 놀이: 행진, 뛰기, 무용 등 작업적 놀이: 은물(Gifts of God: 아동이 신으로부터 받은 선물)을 가지고 여러 가지 형태를 구성하는 탁상놀이→유아가 갖고 있는 창조적인 충동을 건전하게 육성할 수 있도록 유아가 스스로 창조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도구 ♣은물: 기하학적인 형태의 것으로, 형체→면→선→점→선→면→형체의 체계를 갖추고 있다. 은물은 공, 원통, 정육면체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은물의 특성: 무엇인가를 창조하기 위한 것이기 때문에 기성품이나 완성품이 아니라, 창조성, 다양성, 개방성, 기초성 아동들은 이 은물을 통하여 감각기관을 훈련하고 우주의 이법을 깨닫고 신성을 인식한다. ‘은물’을 통하여 아동의 신성을 계발하려 했기 때문에 후세의 학자들은 그의 사상을 ‘상징주의’라고 명명

205 ♣작업: 어린이 내부에 있는 신성의 표현 어린이들의 기본특징: 신이 연속적으로 창조하고 끊임없이 활동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어린이들은 창조적으로 활동 은물과 마찬가지로 작업표 역시 형체, 면, 선, 점의 원리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되어 있다. 단순한 것에서 시작하여 복잡한 것으로 발전하는 형태 작업의 종류: 구멍 뚫기, 바느질하기, 그리기, 색칠하기, 매트 짜기, 종이 접기 등

206 4)연속적인 발달의 원리 인간의 생활 성장은 각 단계에 있어서 끊임없는 연속과 계속이지 단절이나 비약이 없다는 것
유년다운 생활을 함으로써 소년이 되고, 청년으로서의 생활을 영위함으로써 성인이 되는 것이다. 아동의 생활은 어른들의 생활이 아닌 아동 그 자체를 둘러싼 생활임을 강조함으로써 교육의 미래생활에 대한 준비설을 부정

207 5)노작교육의 원리 아동의 모든 단순한 생산활동을 노작으로 보고 생명 그 자체를 활동·노작·창조라고 봄
인간의 사명은 행동을 통하여 신성(神性)을 표현하는 것이며, 이 신성이 숨겨져 있는 인간은 노동을 함으로써 그리고 행위를 통하여 자신의 내적 본질을 구체적으로 표현하게 된다. 인간의 사명을 신성의 표현이라고 보았기 때문에 그의 노작의 원리는 인간 생명의 원리이며 생명의 발전을 위한 교육원리라는 것이다. 생명 발전의 과정이 노작이기 때문에 노작 교육이 곧 인간 교육이라 할 수 있다(페스탈로치의 노작교육사상을 계승, 발전시킨 것이다).

208 프뢰벨의 교육사적 의의 1)유치원의 창시자: 유치원은 아동시대의 ‘자유공화국’으로 유치원의 목적은 성인들로부터 아동을 보호하고 잘못 이해된 자유의 무법학교로부터 진실한 학교를 보호하는 것 2)유치원의 전신인 1839년 장난감 중심의 ‘유아교육 지도자 강습소’를 개설하여 유아 40명을 모아 ‘조그마한 어린이 작업소’를 만든 것이 유치원의 전신이 됨 3)교수의 기본원칙으로서 사회화의 의의를 인정한 최초의 교육사상가 4)자기표현의 활동을 중시한 것으로 아동교육에 있어서 유희의 본질적 요소와 자기활동을 중시한 점이 교육에 공헌하였음 영향: 프뢰벨이 창설한 유치원이 미국 공립유치원의 기초가 되었고 이탈리아 여류교육가 M. Montessori의 ‘아동의 집’ 창설에 영향을 주었음

209 교육사적 의의와 한계 1)유아교육의 본질을 재정립(유아를 보육의 대상에서 교육의 대상으로 인식의 전환을 이룸)하고, 유아교육은 부녀자의 사명이라는 생각에서 부모교육의 중요성을 일깨움 2)사랑을 전제한 모성애적 보살핌에 의해서 유아의 생활은 유지될 수 있으며, 유아양육은 모성애적 본성의 발휘에서 가능하다고 봄 3)몸, 마음, 정신의 균형과 조화를 중시하여 전인교육의 바탕을 마련해 줌 4)유희를 자기 표현의 가장 가치 있는 교육으로 생각하여 놀이와 게임의 중요성을 일깨움

210 5)아동교육은 그들의 활동, 욕구, 흥미에 의거하여 자유롭고 자발적인 성장과 타율적 강제가 아닌 자율적, 자발적인 계발을 중시
6)근대교육에 있어서 개성존중, 아동중심주의 등의 교육사조가 프뢰벨에서 구체화됨 7)교육은 자연적 과정을 따라야 한다는 점과 행함으로써 배운다는 점을 강조 8)자기활동·연속발전·개성화·사회화·직관·노작·생활경험 등은 현대교육의 바탕을 이루게 함 9)프뢰벨의 유치원 교육의 발달로 말미암아 여교사의 양성과 보모양성을 위한 교육기관이 발달하게 됨 10)여성을 교육의 주체자로서 인식시켜, 여성해방에도 큰 역할

211 프뢰벨의 교육이론에 관한 연구 수용과 비판이라는 두 측면에서 동시에 이루어져 왔음
1)프뢰벨의 교육이론의 적극적 수용 및 발전시키려고 한 학자들: 프뢰벨 교육이론에서 신비주의적 측면은 도외시하고, 아동의 유희적 관심에 기초를 둔 자발적 활동의 발달과 아동에 대한 프뢰벨의 사랑에서 우러나온 교육방법상의 통찰에 관심을 집중하였음 2)듀이의 비판: 프뢰벨은 아이의 타고난 능력이 중요하다는 것을 인정하였고, 아이들을 사랑으로 돌보았으며, 아이들에 대하여 연구하도록 사람들을 종용하였으며, 이러한 것은 현대교육에서 성장의 개념에 관한 일반적인 인식을 가져오는 데에 큰 영향을 끼쳤다. ▶그러나 발달에 관한 프뢰벨의 설명방식, 그리고 발달을 촉진하는 교육방법에 관한 그의 생각은 그가 발달을 개성의 잠재적 원리의 자연적 발현으로 생각했다는 사실로 말미암아, 그릇된 방향으로 나아갔다고 비판 ▶ 프뢰벨은 성장은 성장이요, 발달은 발달이라는 점을 올바르게 인식하지 못했고, 올바른 의미에서의 발달 대신에, 일찍이 볼 수 없었던, 임의적이고 외부적인 강요에 의한 통제식 교육이 자리잡게 되었다는 것이다.

212 프뢰벨의 교육이론을 수용한 사람과 듀이가 프뢰벨의 교육이론을 파악하고 있는 관점의 차이는 상징이다.
프뢰벨의 교육이론에서 상징을 도외시한 사람들은 본성과 양육을 사실적 관계로 파악하였다고 볼 수 있다. 상징을 부각시킨 듀이는 프뢰벨의 교육이론을 양육의 측면에서 파악하였다고 볼 수 있다. 프뢰벨의 교육이론을 수용한 사람들은 과연 양육과 본성의 관계를 올바르게 파악하였는가? 듀이는 프뢰벨의 교육이론을 올바르게 파악하고 비판하였는가는 의심의 여지가 있다.

213 프뢰벨의 교육이론에서 양육과 본성의 관계를 파악하고, 파악된 관점에 의해서 프뢰벨의 교육이론을 재해석 해 볼 필요가 있다.
프뢰벨에게 있어서 인간교육의 목표는 신적인 본질을 함양하고 그것을 인간의 삶 속에서 표현하는 것이다. 프뢰벨은 인간의 본성은 신의 활동의 외적 표현이라고 하였다. 이와 같이 프뢰벨은 그의 교육이론에서 양육적인 측면과 본성적인 측면을 다 같이 강조하고 있다. 프뢰벨의 교육이론에서 양육과 본성의 관계는 어디까지나 보편적인 인간의 형성이라고 하는 거시적인 양육의 관점 아래서 이루어진다.

214 프뢰벨 사후, 마렌홀츠 뷰로 남작 부인에 의해 유치원 교육이 유럽과 미국으로 보급되어 오늘에 이르렀다.
교육은 자기에게 주어진 사명을 다하기 위해 도와주는 작업이며, 인간의 이와 같은 본질은 태어나는 순간부터 놀이를 통해 기르지 않으면 안 된다고 보면서 이를 위한 유구로 은물을 고안해 냈다. 유아에게 관심을 갖게 된 이유: 1)프뢰벨은 아이들이 장난감을 가지고 노는 동안에 협동심과 사회성이 자연스럽게 발달할 수 있다고 봄 유아의 놀이나 활동은 모두 자기의 본질을 나타내는 것이며 교육은 유아의 성장과 발달에 따라 자기활동, 작업, 사회, 개성의 제반 원리에 입각해서 아동중심으로 해 가야 한다고 주장 2)전쟁 중에 가장 보호받지 못한 부류의 사람이 유아라고 생각했기 때문→ 그가 세운 유치원은 교육만을 위한 기관이 아니라 전쟁의 와중에서 유아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소로서의 역할을 하기도 했다.

215 현대의 교육

216 1. 시대적 배경 20세기: 다양한 사상과 이데올로기가 출현한 시대
◆국가주의 이데올로기의 지속적 강화: 막강한 군사력과 경제력을 바탕으로 세계 정치 무대에서 자국의 이익을 최우선시하는 정책을 끊임없이 강화해 나감 교육의 중요한 목적: 국가에 대한 애국심과 충성심을 발휘할 수 있는 인재양성 ▶공교육 제도 강화, 의무교육제도 확대 ◆사회주의 국가들: 자본주의의 모순 및 문제점을 비판하고 새로운 사회의 건설→사회적 부의 재분배에 관심 파시즘(fascism)체제: 세계 경제공황( )으로 인해 생겨났으며 자유 민주주의와 사회주의 체제가 드러낸 문제점을 동시에 비판하면서 개인의 자유보다는 민족 전체의 이익을 중시하는 전체주의 이념을 강화

217 ◆냉전체제(Cold War): 2차 세계대전 후 양극화→미국과 소련을 중심 축으로 한 군사적, 이념적 대립
미국을 주축으로 한 자유민주주의 진영과 소련을 주축으로 한 사회주의 진영은 각각 나토(NATO)와 바르샤바 조약기구를 결성해 이데올로기적인 극한 대립을 벌임 냉전체제는 1962년 쿠바사태가 평화적으로 해결되기 전까지 계속되었다. 교육의 본래적 기능 상실: 교육은 국제정치 무대에서 자국의 이념적이고 군사적인 우위를 지키기 위한 도구 내지 수단으로 기능

218 냉전체제 종식: 최근에 소련이 해체되고 동유럽의 공산주의 국가들이 붕괴되면서 냉전체제 종식
냉전체제 종식 후 새로운 문제들: ▶지역간의 크고 작은 분쟁들, 부족과 민족간의 대립이 상존 ▶남북문제, 공해문제, 인구문제, 식량문제, 에너지 문제 등 ▶과학기술 문명의 급속한 발전에 따른 비인간화 현상 기계문명: 물질적 풍요를 가져다 주었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인간의 정체성을 뒤흔들어 놓는 결과를 초래 현대 대중: 기계화, 물량화, 규격화, 자기 주체성을 상실한 채 표류 새로운 교육의 방향의 모색: 오늘날 서양의 많은 나라들은 형식적인 학교교육이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데 한계가 있음을 지적 대안학교운동: 최근에 서양 각 국에서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전개되고 있는 노력의 일환

219 20세기 초의 교육개혁운동 1. 독일의 교육개혁운동 신교육운동(New Education Movement): 1900년대를 전후하여 유럽에서는 교육내용을 개선하려는 운동 선구적 인물: 영국의 세실 레디(Cecil Reddie), 프랑스의 도모랭(J. E. Domolin), 독일의 리츠(H. Lietz), 비네켄(G. Wyneken), 게헤프(P. Gheeb), 켈젠슈타이너(G. Kerschensteiner) 등 독일의 교육개혁운동가들: 기존의 학교체제가 지닌 문제점을 부분적으로 개선하기보다는 오히려 새로운 교육이념과 목적을 가진 학교를 건립하여 운영했다는 점에서 그 역사적 의의가 큼 독일의 교육개혁운동의 세 가지 방향: 전원기숙학교 운동, 노작학교 운동, 예술교육 운동

220 1)전원기숙학교 도심지에 있는 학교가 아니라 전원에 세워진 학교
주로 리츠, 비네켄, 게헤프 등과 같은 교육개혁가들에 의해 확산 전통적인 학교와는 달리 학생들의 자발적인 활동을 발달시키는 것을 목표로 함 자발적인 활동을 이끌어 내기 위한 방법으로 학생들에게 편안하고 친숙한 자연 환경 제공 교사와 학생 모두가 함께 공동생활을 하면서 가르치고 배우는 형식을 갖추게 됨

221 2)노작학교 운동 ‘노작’(勞作), 즉 노동을 중시하는 교육운동
독일에서 이 노작학교의 개념은 19세기 말 서적만을 중시하는 ‘학습학교’(Lernshule))에 대한 비판으로 등장했으며, 1차 세계대전 이후에는 이것이 하나의 학교교육 운동으로 전개됨 노작학교 운동의 두 가지 방향: 게르센슈타이너에 의한 것, 가후디히(H. Gaudig)에 의한 것 (1)게르센슈타이너: 교과서 중심의 학교교육을 비판하고 학생의 고유한 활동을 자극하기 위한 방법으로 수공(手工: Handarbeit)을 강조→ 수공이 단지 직업을 위한 수단이라기보다는 인격을 도야하기 위한 방법이라고 간주

222 (2)가후디히: 게르센슈타이너의 수공적 노작의 가치를 부인하지는 않았지만 수공이 노작교육의 본질적인 요소는 아니라고 봄→ 손으로 하는 작업이 중요한 것은 사실이지만 그것은 어디까지나 노작교육의 일부에 지나지 않기 때문에 육체적인 수공을 중시하는 ‘노작학교’보다는 정신을 자유롭게 하는 ‘노작학교’를 강조함 노작학교 운동은 제 1차 세계대전 후 유럽의 여러 나라 교육계에 영향을 주었으며 특히 전통적인 교과서 중심의 교육과 교사 중심의 교육이 안고 있던 문제점들을 극복하는 데 영향을 줌

223 3)예술교육 운동 위대한 예술작품에 대한 감상이나 이해의 수준을 벗어나지 못했던 전통적 예술교육에 대한 비판(기껏해야 위대한 예술작품을 모방하는 수준에 머물고 있었음) 20세기에 접어들면서 아동은 단순한 예술의 감상자로서가 아니라 창작자로서 인정받기 시작 ▶그 때까지만 해도 아동은 예술의 가장자리로 철저하게 밀려나 있었으며 아동의 작품은 평가의 대상에서 제외되었지만 아동의 자발성과 자기표현 능력을 중시하는 새로운 예술교육 운동이 일면서 아동은 예술가로서 인정 받게 되었으며, 아동의 예술작품들이 아동의 정신능력을 계발하는 데 큰 영향을 준다는 인식이 확산되기 시작 예술교육운동의 기본 과제: 예술을 통해 자유롭고 기쁨에 넘치며 생동감 넘치는 인간, 창조적인 인간을 길러내는 것 영향: -대도시의 여러 교육개혁운동에 자극을 주었으며, 특히 학교의 교육과정을 개혁하기 위한 교육원리들을 제공 -노래, 그림, 조형예술, 글짓기, 체육 등 예술관련 과목의 내용과 방법을 크게 변화시켰으며, 이 과목들이 학교에서 정규교과로 채택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함

224 2. 미국의 어린이 해방 운동 아동해방운동: 1900년대를 전후하여 미국에서는 교육방법을 개선하려는 아동해방운동이 전개됨
선구적인 교육사상가는: 파커(F.W. Parker), 듀이(John Dewey) 파커: 1875년 메사추세츠 주 퀸시의 교육장이 되어 프뢰벨의 교육사상을 학교교육에 적용 1883년부터 1889년까지 일리노이 주 쿠크 카운티 사범학교의 교장으로서 프뢰벨주의에 의한 교육운동을 본격적으로 전개 사범학교의 부속학교인 ‘파커학교’를 개교하여 아동중심의 교육, 생활중심의 교육을 전개 학교를 이미 논리적으로 체계화되어 있는 교과를 학습하는 곳이 아니라, 아동 자신이 스스로 학습하는 곳으로 봄(전통적인 학교관과는 전혀 다름) 파커의 교육개혁운동의 영향: 듀이에게 영향을 주었으며 진보주의 교육운동의 기초

225 듀이: 1896년 시카고 대학교 안에 부설 초등학교인 ‘듀이학교’를 설립하여 운영했는데, 이 학교는 전통적인 학교들과는 완전히 다른 새로운 철학에 기초해 운영됨
성인중심, 교재중심의 교육이 아닌 아동중심, 생활중심, 흥미중심의 교육을 통해 기존의 교육개념, 학교관, 교수관, 학습관을 변경 영향: 진보주의 교육이론가들에 의해 계승 예)챠일즈(J.L Childs), 보드(B.H. Bode), 킬패트릭(W.H. Kilpatrick), 카운츠(G. Counts), 테일러(H. Taylor), 라웁(R.B. Raup)

226 ▶진보주의자들: 1019년 진보주의 교육협회를 결성하여 자신들의 교육적 신념을 학교교육에 적용시키기 시작
▶흥미와 욕구가 모든 학습의 기초가 되어야 하며 아동의 생활경험이 지식의 토대가 되어야 한다고 주장 ▶교육이 제대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학교가 민주화되어야 한다고 주장 진보주의자의 주장: 사회적 지지와 공감을 얻어 미국 전역으로 확산 권위주의적인 교사 대신에 민주적인 교사 주입식 수업 대신에 탐구중심의 수업이 진행 훈육과 체벌 대신에 사랑과 합리적 설득 ▶학교는 아주 행복하고 매력적인 장소로 변모해 감

227 진보주의 교육에 대한 비판 1910년대에서 1920년대 말엽 진보주의 교육은 교육이론가들로부터 비판을 받기 시작
예)베글리(W.C. Bagley)를 중심으로 한 본질주의(essentialism) 교육론자들, 허친스(R.M. Hutchins)를 중심으로 한 항존주의(perennialism) 교육론자들은 진보주의 교육이 학습자의 흥미와 요구를 지나치게 강조함으로써 일선 학교에서 기초학력의 저하를 가져오게 했고, 교육의 주도권을 학생에게 넘기라고 주장하다 보니 결국 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상실해 버리는 결과를 낳았다고 비판 진보주의가 당장 당면한 현실문제 해결을 위한 지식과 방법을 전수하는 데 급급한 나머지 사회적 가치 및 문화적 전통을 소홀하게 여기는 풍토를 낳게 했다고 비판 1929년에 시작된 미국의 경제대공황, 제 2차 세계대전에 대한 위기감의 고조로 교육계에서 보수적인 입장을 취했던 전통적인 교육이론가들이 진보주의 세력을 더욱 거세게 비판함에 따라 1955년 진보주의 교육협회가 해체됨 1957년 소련의 인공위성 스푸트닉(Sputnik)1호의 발사로 인한 충격으로 말미암아 진보주의 교육운동은 급격히 퇴조함

228 20세기의 교육사상가 존 듀이(John Dewey, 1859-1952)
 20세기 미국을 대표하는 실용주의 철학자이며 진보주의 교육운동의 선구자 전통적인 학교관, 교사관, 교재관, 학습관을 바꾸어 놓았으며, 교육방법을 개선하고 학교를 민주화하는 데 크게 기여 ‘실험학교’(Laboratory School) 또는 ‘듀이학교’(Dewey School) 창설: 1896년 시카고 대학 내에 대학부설 초등학교를 세움 시카고 대학시절의 저서: “나의 교육신조”(My Pedagogic Creed, 1897), 『학교와 사회』(The School and Society, 1899), 『아동과 교육과정』(Child and the Curriculum, 1902)등 콜럼비아 대학시절의 중요한 저서들: 『교육의 도덕적 원리』(Moral Principle in Education, 1909), 『사고하는 방법』(How we think, 1910), 『내일의 학교』(Schools of Tomorrow, 1915), 『민주주의와 교육』(Democracy and Education, 1916), 『경험과 교육』(Experience and Education, 1938)등→진보주의 교육운동에 큰 영향을 줌

229 교육학 관계 저술 이외의 책들: 『철학의 개조』(1920), 『인간성과 행위』(1922), 『경험과 자연』(1925), 『확실성의 탐구』(1929), 『경험으로서의 예술』(1934), 『공통의 신앙』(1934) 등 사상적 배경: 헤겔의 변증법 사상, 다윈의 생물학적 진화론, 퍼어스와 제임스의 실용주의로부터 큰 영향을 받음 헤겔→ 문화와 사회는 끊임없이 변화 발전한다는 진보관을 수용 다윈의 『종의 기원』→ 인간존재가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자신의 경험을 끊임없이 갱신해 가는 과정이라고 보게 됨 퍼어스와 제임스→실험적 방법의 중요성과 가치를 배우고 이것을 교육실제에 적용 실험적 방법을 적용함으로써 고정된 사상, 가치, 이념, 관습을 개선하고 나아가 좀 더 진보된 사회(민주주의 사회)를 만들어 갈 수 있다고 믿음

230 교육사상이 가장 체계적으로 진술된 저서: 『민주주의와 교육』(1916)
▶전통적인 교육의 개념을 비판하고 새로운 교육개념을 수립 “교육이란 경험을 개조 또는 재조직함으로써 경험의 의미를 더해 주고 후속하는 경험의 방향을 안내할 능력을 증진시키는 것이다”(Boydston, ed., 1880) 교육이란 경험을 끊임없이 성장시켜 나가는 과정이기 때문에 교육의 목적이 고정되어서는 안 된다. 좋은 교육목적이란 개인의 내재적 활동들과 관련되어야 하며 학생들의 능력을 해방시켜 주는 것이어야 한다. 교육목적: 사회적 능률, 훌륭한 시민성, 교양 등으로 이것들은 서로 독립적으로 길러져서는 안 되며 반드시 유기적으로 통합되어야 한다. 전통적인 교육방법들은 유기적 통합을 어렵게 하고 아동의 자연스런 성장을 막았다고 비판→ 아동이 스스로 자신의 교육적 경험을 넓혀 가도록 하기 위해서는 아동의 내적 욕구, 흥미, 그리고 활동을 존중해 주어야 한다. 영향: 경험중심, 흥미중심, 활동중심의 교육론은 교실을 활력이 넘치는 장소로 만들었으며 학교를 민주화하는 데 크게 기여

231 슈타이너(Rudolf Steiner: 1861-1925)
전인교육을 목표로 하는 자유 발도르프학교: 개혁교육자인 슈타이너의 삼기화(三技化) 이념과 인지학적 인간이해에 기초하여 설립 ▶머리만이 아니라 인간이 가지고 있는 신체, 영혼, 정신의 세 구조가 하나의 전체로 작용할 때, 참다운 인간존재가 가능해짐을 의미 발도르프의 교육원리에 있어 슈타이너는 그것을 하나의 예술로 간주 ▶유아에게 있어 교육이란 내재되어 있는 잠재성을 발견하며 생활에서의 리듬을 찾도록 하는 것의 주된 노력 ▶공간의 질서, 시간의 질서, 영혼의 질서라고 명명될 수 있으며 그 속에서 유아는 본보기와 모방의 원리를 체득하고 예술적 교육을 인지하게 되는 것

232 인간중심주의 사고에 기초한 슈타이너의 사상은 독일에서 1차 세계대전 이후 사회적∙경제적∙정치적 문제에 봉착하여 새로운 교육의 필요성이 대두되면서 근 반향을 불러일으킴
슈타이너교육(발도르프교육)의 목적:인간은 이미 완성된 형태→완성된 형태로써 균형이 깨지지 않도록 조화로운 삶을 추구하고 그것을 위한 교육을 하는 것 ‘예술과 교육’을 접목: 예술 자체가 교육 교육이 곧 예술인 교육을 통하여 몸과 정신 그리고 영혼의 균형과 조화를 추구하는 것: 미술, 음악, 무용 등의 예술들을 접목시킨 교육을 진행 ‘에포프수업’: 언어교육, 과학교육, 역사교육 등을 다양하게 진행하는데, 다른 교육과 다른 점은 이런 교육들이 계속 이어지는 것이 아니라 4주-8주 정도 진행되다가 대략 두 달간 국어, 수학, 과학 등의 수업을 하지 않고 다시 두 달 후에 4주-8주간 수업을 진행하는 식으로 수업이 이루어짐→ ‘주기집중교육’(이렇게 교육을 하는 것은 진정한 깨달음이란 망각을 통해서 무의식 속에서 이루어지는 것이라 믿기 때문)

233 포르맨수업: 조화 및 균형을 추구 오이리트미: 슈타이너교육에서 매주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며, 청각적으로 울리는 소리가 몸의 동작으로 형상화되어 시각적으로 보여지는 예술 ▶단순한 몸의 움직임이 아닌 언어와 음악 속에 살아 있는 창조의 힘을 형상화함으로써 인간의 몸과 영혼을 우주와 연결되게 하는 예술행위라고 표현한다. 듀이와 슈타이너의 차이점과 공통점 차이점: 철학적 입장, 인간관, 교육관 공통점: 전통적인 학교교육의 문제점을 지적, 인간관(아동관), 교육목적, 교육내용 및 교육방법, 교사관에 있어서 전통적 교육이론에서와는 다른 입장을 가지고 개혁적인 교육실천을 이끌어 내는 데 기여 이들의 교육사상은 20세기 초 세계적인 교육개혁운동 속에서 이해할 수 있다. 또한 이들의 교육사상은 현재 우리 교육이 노정하고 있는 문제에도 많은 것을 시사하는 점에서 현재성도 지닌다.

234 슈타이너 학교  슈타이너 학교 현판식 장면

235 경기도 양평군 옥천면에 장애아동과 비장애아동이 함께하며 발도르프교육을 생활화하는 ‘슈타이너 학교’가 문을 열었다.
루돌프 슈타이너(1861~1925)는 1919년 독일 슈트가르트 시에 아이들의 정신과 영혼적인 소질과 재능을 중심으로 창조적인 능력과 체험력을 길러주는 공동체적 교육방법의 새로운 학교를 설립하였다. 슈타이너 학교 설립자이자 대표교사인 김은영씨는 지난 2007년 8월 발도르프 특수교육 연구회 발족과 함께 2008년 1월 학교설립 준비 위원회를 구성, 1년여 준비기간 끝에 지난 2월28일 개교식과 함께 3월6일 입학식을 가졌다.  개교식에는 전국에서 특수교육과 전인교육을 추구하는 150여명의 교사와 학부모들이 몰려 슈타이너 학교에 대한 전국적인 관심도를 알 수 있었다.

236 슈타이너학교 개교식 장면

237 김은영교사는 홍익대에서 미술을 전공하고 단국대 대학원에서 특수교육을 전공했다. 
15년간 특수교사로 일하던 중 발도르프교육과 인지학에 매료되어 5년간 독일의 비텐 안넨 발도르프 사법대학에서 유학한 후 스코틀랜드 뉴튼 디 ‘캠프힐(장애인공동체)에서 6개월간 체험학습을 하고 돌아왔다.  그는 ’캠프힐에서 온 편지‘라는 체험기를 책으로 묶여 발도로프 교육을 소개하기도 했다. 슈타이너 학교에는 획일적인 내신 성적도 없고, 몰입식 수업도 없으며, 사교육도 없고 학생의 개성과 교육기관의 특성을 무시하는 일제 고사도 없다. ‘발도로프 아줌마’라고 칭하는 김교사의 교육에 대한 열정과 신념의 결정체인 자연친화적 가치관과 평등한 공동체를 지향하는 ‘일상의 삶속에 발도로프 교육’만이 있을 뿐이다.

238 고정관념을 깨고 대안교육을 실천하는 일은 엄청 어렵다. 
슈타이너 학교에서는 학교 교사와 아이들, 그리고 가끔 학부모까지도 참여하는 연중 전일제 체험학습이 집행된다. 개별화교육계획(IEP)를 바탕으로 각 학년에 적합한 체험학습 요소를 추출, 그것들을 음악, 예술, 생활, 자아, 환경체험, 역사 등 다양한 영역으로 분류하여 학습을 실시한다.

239 3)몬테소리(M. Montessori: 1870-1953)
이탈리아의 여류 교육사상가로서 유럽의 신교육운동을 주도했던 인물 20세기 초반 듀이가 미국에서 아동해방운동을 전개하고 있을 때 이탈리아의 몬테소리는 전통적인 지식 위주의 기계적인 교육, 일방적인 교육, 권위주의적인 교육을 비판하고 아동중심의 교육, 활동중심의 교육을 전개 그녀의 교육이론은 전통적인 교육이 가진 한계를 극복하려고 하였던 그 당시의 교육개혁운동과 맥을 같이 한다는 점에서 교육사적으로 중요한 평가를 받고 있음 몬테소리는 1896년 의학박사 학위를 취득함으로써 이탈리아 최초의 여의사가 되었다. 1896년부터 1897년 사이에 그녀는 의사로서의 길을 포기하고 교육자로서의 길을 걷게 된다. 로마대학의 정신병원에서 잠시 일을 하게 되었는데, 이 때 그녀는 병원에 수용되어 있는 정신지체아들을 관찰할 기회가 있었다. 정신지체아들의 행동을 면밀히 관찰한 후 정신지체는 의학이 다루어야 할 문제가 아니라 교육학이 다루어야 할 문제라는 확신을 갖게 되었다. 그 후 그녀는 아동에 대한 과학적 연구를 본격적으로 시작하였다.

240 학문적 배경 프랑스 의사이면서 정신지체아 교육에 공헌한 이따르(G. Itard: )와 세갱(E. Seguin: )의 의학적-치료교육에 관한 저술을 연구 이따르: 다양한 교구(敎具)를 활용하여 정신지체아의 감각들을 자극하고 강화함으로써 정신지체아를 정상아의 수준으로 끌어올릴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해 냈던 인물 세갱(이따르의 제자): 정신지체아의 감각과 동작을 체계적으로 연구하고 훈련시킴으로써 정신지체아를 치유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열어 준 인물 몬테소리는 이 두 학자의 연구에 크게 감명을 받았으며 이것을 바탕으로 자신의 교육방법을 심화, 확장시켜 나감 당시 범죄 심리학자인 롬부로소(G. Lombroso)와 최초로 실험심리학 교실을 만든 교육 인간학자인 세르기(G, Sergi)에게서 큰 영향을 받았다. 몬테소리는 이 두 사람의 영향으로 자신의 사회개혁사상을 정립하였으며 인간 존재에 대한 이해의 지평을 넓힐 수 있었다.

241 교육사업 1907년 로마의 산 로렌조(San Lorenzo)에 ‘어린이 집’을 개원
신체는 건강하지만 보호받지 못하는 저소득층의 2-6세에 해당하는 아동들을 돌보기 위해 보모를 구하고 기부금을 모았으며 아이들이 사용할 교구를 직접 제작 그녀가 직접 제작한 교구: ‘몬테소리 교구’ ‘어린이 집’의 운영의 대 성공: 이탈리아를 비롯하여, 스위스, 영국, 아르헨티나, 프랑스, 미국 등 유럽의 여러 나라를 순회하며 강연→ 몬테소리 운동이 하나의 교육운동으로 전개되었으며 몬테소리 교육방법이 여러 나라에 도입됨 유럽 각국에 ‘아동의 집’이 건립되었으며, 1929년에는 국제몬테소리협회가 결성됨 저서: 『과학적 교육학의 방법론』(1909), 『몬테소리 핸드북』 (1914), 『학교에서의 자율교육』(1916), 『진보적인 몬테소리 교육방법』(The Advanced Montessori Method, 1917~18), 『교회 안에서 사는 어린이』(1922), 『아동기의 비밀』 (The Secret of Childhood〉(1936), 『새로운 세계를 위한 교육』(Education for a New World, 1946), 『인간의 잠재력 교육』(To Educate the Human Potential, 1948), 『집중력 있는 사고』(La mente assorbente, 1949) 등

242 몬테소리 교육사상의 핵심 아동관에 잘 드러나 있음
“어린이의 집”을 운영하는 가운데 아동들에 대한 관찰과 실험을 통하여 아동을 무한한 잠재능력을 가진 존재로 파악 ▶아동은 단지 수동적인 존재가 아니라 자기 스스로 성장하려는 내적 생명력을 가진 존재 아동에게 어떤 조건이나 기회만 부여해 준다면 그 생명력이 샘솟을 것이라고 믿음 교육의 사명: 아동을 존중하는 교육의 출발점이 되어야 하며, 아동의 내적 생명력과 자발적인 능력을 길러 주는 것

243 아동의 몇 가지 특징들 아동은 성장해 가는 과정에서 ‘민감기’, ‘집중현상’, ‘정상화’의 특징을 보인다.
민감기: 지적인 흡수력이 강한 시기→ 발달 단계에 따라 아동은 질서, 감각, 언어에 대해 민감하게 반응한다. 교사가 해야 할 일은 아동이 민감한 반응을 보이면서 자기의 활동을 계속 지속해 갈 수 있도록 환경을 조성하고 돕는 것 집중현상: 아동에게 최적의 환경을 마련해 주면 아동은 자연히 사물과 언어에 대한 강한 ‘집중현상’을 나타내 보인다→ 실제로 아동은 최적의 환경이 제공될 때 자기의 내적인 욕구를 최대한으로 발휘하면서 자기활동을 지속해 간다. 정상화: 최적의 학습환경을 제공함으로써 아동을 정상화의 단계로 끌어올릴 수 있다. 최적의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한 방법으로 특별한 교구의 활용을 제안→ 교구는 아동의 발달단계에서 나타나는 민감한 반응에 잘 어울릴 수 있도록 다양하고도 세부적 단계로 구분하여 제작, 제공해야 한다.

244 장점과 한계 몬테소리의 교육이론: 아동의 교육조건에 대한 과학적인 관찰과 실험을 통해 이루어졌다는 점에서 상당한 호소력과 설득력을 지님 교육이론 및 교육방법의 한계: 정신장애가 있는 아이들을 치료하기 위해 개발한 교육방법들이 과연 정상적인 아동들에게도 적용될 수 있는가 하는 일반화의 문제 그녀가 개발한 교구가 정해진 목적과 정해진 방법에 따라서만 사용되어야 한다고 할 때 이것이 과연 몬테소리가 본래부터 강조했던 자발성의 원리를 실현하는 데 어느 정도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인지에 대한 문제

245


Download ppt "근대의 교육1: 르네상스-종교개혁-실학주의"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