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사회학 사회학이란 무엇인가?.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사회학 사회학이란 무엇인가?."— Presentation transcript:

1 사회학 사회학이란 무엇인가?

2 고전사회학 19세기 사회학이 학문으로 태동하면서 어떻게 ‘사회학적 관점’이 형성되었는지를 이해한다.
이를 위해 꽁트, 스펜서, 뒤르케임, 맑스, 베버 등 다섯명의 초기 사회학자들의 생각과 주장을 살펴본다.

3 사회학적 관점의 발달 이론적 지향(관점)과 이론의 차이점 산업혁명으로 초래된 사회변동에 대한 이해
‘이론적 지향(theoretical orientation)’은 현상을 보는 기본적인 입장이 무엇인가를 말하는 것 ‘이론(theory)’은 이러한 ‘이론적 지향’을 바탕으로 하여 특정한 현상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결과가 정리된 것 산업혁명으로 초래된 사회변동에 대한 이해 산업화와 도시화와 관련된 일련의 광범위한 변동 과학적(실증적) 사회분석의 출발: 사회학의 성립

4 오귀스트 꽁트(A. Comte; 1789-1857) 사회를 과학적으로 탐구하는 새로운 과학
자연과학에서 사용하는 방법론을 도입 사회학 용어 처음 사용 인간 사회의 질서와 변동에 대한 실증적 연구 사회정학 사회의 질서와 안정의 문제를 탐구하는 분야 생물학적 유기체적 관점 사회동학 사회진보와 변동의 문제를 참구하는 분야 진화론적 관점

5 허버트 스펜서(H. Spencer; 1820-1903) 사회질서보다는 사회변동에 관심 사회유기체론: 유기체적 속성을 가진 사회
사회진화론: 단순사회(동질적)복합사회(분화와 통합) 분화는 통합을 수반하게 됨

6 에밀 뒤르케임(E. Durkheim; ) 사회는 그 자체가 하나의 ‘사회적 사실’임: 전체(실재)성, 독립성, 구속성 유기체와 마찬가지로 사회라는 전체는 단순히 부분으로 환원되지 않음: 즉 사회가 개인에 미치는 영향을 강조 분업의 발전, 상호의존에 따른 ‘유기적 연대’로서의 집합의식: 前 산업 사회의 혈연, 지연에 기반한 ‘기계적 연대” 분업에 따른 상호의존 자살은 개인적 현상이 아님. 사회적 요인의 영향:아노미적 자살 사회의 통합적 규제 필요성 주장, 도덕교육 강화를 모색

7 사회적 사실이란? 외재성(exteriority) 구속성(constraint) 사물(a thing)
개인의 의식 혹은 사고와 감정과는 별개의 것으로 그 자체가 독립적으로 존재함을 의미 구속성(constraint) 사회적 사실이 개인의 행위에 구속력을 행사함을 의미 사물(a thing) 개인의 입장에서 볼 때 사회적 사실은 그 자체가 하나의 사물과 같이 객체화된 존재 함을 의미 개인에 외재하여 개인에게 구속력을 행사하는 사물

8 집합의식(Collective consciousness)
개인들을 연결시켜 주는 일종의 본드 사람들간에 형성된 사회적 유대 혹은 연대(solidarity) 전통사회의 연대를 ‘기계적 연대’로 표현 산업사회에서 사람들간 유대는 ‘유기적 연대’로 표현 기계적 유대: 혈연이나 지연에 바탕을 둔 자연발생적인 유대감을 의미함 유기적 유대 현대 산업사회에서와 같이 개인들간에 이질성이 높기 때문에 상호의존성이 필요한 상황에서 발생하는 유대감에 해당함

9 anomie 집합의식의 토대 위사회적 규범(norms) 사회적 규범이 잘 지켜질 때 사회적 안정
(예) 자살론-사회적 요인에 따른 국가간 자살률의 차이 기계적 연대에 기초한 사회가 유기적 연대에 기초한 사회로 변화하는 과정 (예) 현대의 산업화 과정

10 칼 맑스(K. Marx; 1818-1883) 사회변동에 초점 역사적 유물론: 경제(하부구조) 결정론
마르크스의 관점은 그의 역사적 유물론 개념에 기초 마르크스에 따르면, 사회변동의 주요 원천은 인간이 가지고 있는 관념이나 가치가 아닌 경제적 영향에 의하여 일차적으로 촉진 이런 주장 때문에 그의 이론은 하부구조를 강조하는 경제결정론이라고 여겨지기도 함 변증법적 계급투쟁의 역사: 생산력과 생산관계가 모순인 자본주의 붕괴를 주장

11 경제결정론 사회구조를 하부구조(Substructure)와 상부구조(superstructure)
하부구조란: 경제 상부구조란: 경제 이외의 모든 구조(정치, 종교 등) 하부구조가 상부구조를 결정하는 방식 비판들; 경제가 나머지 사회구조를 일방적으로 결정(?) 사회현상이 지니는 인과관계는 필연성보다는 개연성을 유지해야 하지만 맑스는 필연성을 강조

12 막스 베버(M. Weber; 1864-1920) [프로테스탄티즘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 근대자본주의 발전에 종교윤리의 영향
소명사상과 금욕정신 상상적 실험-어떤 현상의 주요한 원인이라고 가정된 요소를 상상 속에서 제거 또는 변경시킴으로써 그 요소가 과연 그 현상의 원인이 되었는가를 밝혀보는 방법 관념과 가치(상부구조)중시 경제적 조건과 마찬가지로 사회변동에 많은 영향 관료제 연구: 대규모 조직의 합리적 운영원리로 생각

13 인간행위의 의미에 대한 주관식 해석 인간은 사고하고 추론하는 존재 우리가 행하는 대부분의 것에 의미와 중요성을 부여
따라서, 인간행동을 다루는 모든 학문은 이를 인정 사회학을 사회적 행위의 해석적 이해-연구자가 연구대상자인 개인들의 행위를 그의 경험과 감정에 비추어서 파악하는 방법-를 통해 그 행위의 과정과 결과를 인과적으로 설명하는 학문이라고 규정 사회학의 과제는 행위자가 자신의 행위에 부여하는 주관적 의미를 파악해서 그것의 인과관계를 밝혀내는 것

14 사회학의 범위 인간의 사회적 삶 집단 사회에 대한 연구 사회적 존재로서의 자신의 행동(action)을 연구
개인과 개인이 만나서 형성하는 상호작용(interaction)을 연구 사회에 대한 연구 개인에 대한 연구라면 심리학이 될 것이다. 하지만 사회학에서는 사회구조를 연구

15 사회학적 시각을 발전시키는 일 사회학적으로 사고하는 것을 배우는 일 밀스(Mills, 1970) 상상력을 기르는 것을 의미
넓은 관점으로 바라보기 밀스(Mills, 1970) 사회학적 상상력 <예> 커피 한잔을 마시는 단순한 행위에 대하여 생각해보자.

16 사회학적 상상 자신을 익숙한 것에서 벗어나 사회와 개인의 상호작용을 이해하기 위해 자신을 새롭게 돌아보는 것.
문화초월적이고 역사적 관점을 갖는 것 중요 개인적 용어 X 사람들에게 영향을 끼치거나 제한하는 사회적 동인들(문화, 계층, 그룹….) 예; 계급과 교육문제

17 사회학 관련 학문 인류학 심리학 사회심리학

18 사회심리학 content indivusual social

19 사회적 모형-사회학의 기초 서로 다른 사람의 행동에 서로 다른 초점을 가지고, 행동의 특정한 양상을 설명
카오스나 혼동이 아니고 질서의 이치를 찾고자 함 인간의 사회행동에 대한 패턴이나 규칙성 결론적으로 예측성(Prediction)

20 Q: 사회행동에 존재하는 규칙성을 예를 들어보시오?

21 다양한 단계(level)에서 사회검토 전체로서의 사회 사회적 기관들 사회적 관계들 거시단계
어떤 종류의 사회인가? 사회를 변화하게 하는 요인은 무엇인가? 가족이나 교회 같은 상호 관련된 기관들의 수 사회적 기관들 어떻게 이 특정한 기관이 작용하는가? 어떻게 이것이 등장하는가? 기관은 사회의 중요한 결과이므로 단지 전체 그림의 부분으로서가 아닌 그 자체의 권리로 연구될 수 있다. 사회적 관계들

22 사회적 행동의 설명 자연주의적 설명 개인주의적 설명 완전히 사회적 현실의 왜곡된 상을 제시 현상유지 상태를 고수한다는 것
개인의 심리학적 구성의 면에서 행동을 설명 광범위한 사회차원에서 원인을 살펴보지 않고, 자신들의 불행에 대해 개인을 비난하기 때문에 때때로 피해자를 비난하는 설명으로 알려진다.

23 사회학적 관점 다양한 관점이나 견해 서로 다른 관점이 존재
같은 사건을 서로 다른 관점에서 그것을 보는 두 사람들에게 의미가 완전히 다른 것 특정한 방식으로 세계를 보고 설명하는 방식 서로 다른 관점이 존재 사회적 삶이 사회로부터 나오고 허위의 사고를 폭로하는 리서치 리포트를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분야의 적절한 관심사를 해명하는 것을 도움

24 구조주의 구조적 일치 이론 각 사회가 특정한 방식으로 그 구성원의 행동을 구조화하고 연결하는 규칙과 가치를 이루고 있다는 것이 논쟁의 출발점 사회화를 통해, 새로운 사회구성원이 문화를 내재화하고 규칙과 가치에 순응 기대되는 행동에 대한 일치를 보장하고 그럼으로써 사회질서를 보증한다. 기능주의가 대표적인 예

25 기능주의의 주요요소 각 사회는 생존하기 위해서 충족되어져야만 하는 특정한 사회적 욕구나 기능적 필요조건을 갖는다.
사회는 기능을 수행할 구조나 기관을 발전시키는 것에 의해 이 사회적 욕구를 충족시킨다. 사회는 전반적으로 상호 관련되고 상호 의존적인 부분으로 구성된다. 전체 사회는 가치의 일치에 의해 함께 유지된다.

26 구조 갈등이론 사회가 행동의 구조를 조직하고 제한하는 것에 의해 행동을 결정
사람들은 사회화를 통해 그들이 배우는 규범이나 가치에 의해서 뿐만 아니라 또한 사회의 불평등의 위치에 의해 제약

27 상징적 상호작용론 이 관점은 개인들 사이의 상호작용이 어떻게 작용하는지 결정하기 전에 서로의 행동에 의미를 부여하는 방식에 초점 개인들 사이의 작은 규모의 상호작용에 토대 상징적 상호작용론은 해석 이론의 예 의미는 상호작용을 하는 동안 출현

28 민속방법론 현상학과 훗설 가핑클의 민생방법론 인간의 본질에 대한 물음으로 출발되었다.
인간의 일상생활에서 이루어지는 사소한 사건들이 실질적으로 인간에게 중요한 의미이다.

29 페미니즘 이론 자유 페미니즘 급진적 페미니즘 마르크스주의 페미니즘 가부장제, 즉 남성지배가 여성의 종속과 불평등의 기본적 이유
여성의 열등한 위치를 자본가 계급의 착취의 결과

30 포스트모더니즘 TP

31 Q; 이상의 관점들에서 당신이 도출한 전망을 무엇인가?

32 왜? 사회학적 관점인가? Sociological perspectives can thus give us tools for looking at the world.


Download ppt "사회학 사회학이란 무엇인가?."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