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과학과 기술의 상호작용.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과학과 기술의 상호작용."— Presentation transcript:

1 과학과 기술의 상호작용

2 과학과 기술의 관계에 대한 통념들 전통적인 통념: 과학 vs. 기술 현대적인 통념: 과학기술=과학+기술
“과학 기술 혁명을 거치며 과학과 기술은 결합해서 하나가 되었다.” “현대 기술은 과학의 내용과 방법이 응용된 응용과학이다.” 과학과 기술의 ‘비대칭적’ 이분법: 기술은 과학의 응용? 전자기학전자기술, 재료과학철강기술, 열역학디젤엔진, 고체물리학반도체기술, 분자생물학유전공학, 핵물리학핵발전(폭탄) 수학 문제 풀 때… 이론, 공식 다 알고 있어도 문제 풀기는 어려움!

3 통념 넘어서기 기계로서의 자연 & 자연의 연장으로서의 인공물 지식으로서의 기술 & 실천으로서의 과학
현대 과학의 대상: 실험실에서 ‘인간이 만들어낸’ 자연 자연과학의 연구 대상으로서의 증기기관 지식으로서의 기술 & 실천으로서의 과학 암묵적 지식(Tacit Knowledge)으로서의 기술 기술 지식이 과학에 선행하는 사례들: 금속학, 비행기, 무선전신 공학(Engineering Science): 과학의 직접 응용으로 보이는 경우도 과학 이론은 상당한 변형을 겪으며, 마땅한 과학 이론이 없을 때에는 공학자들이 이론을 직접 만들어 내기도… 실천으로서의 과학: 새로운 자연 현상과 ‘효과’의 창조, 대상의 조작, 기술자의 작업장으로서의 실험실, 암묵적 지식들, 숙련, 훈련

4 과학과 기술의 ‘역사적’ 관계 과학과 기술 (1) 르네상스기
: 상이한 제도적 기반, 목표, 가치체계를 가진 서로 구분되는 실체 (1) 과학과 기술에 종사하는 계층의 차이  역사적으로 서구 사회에서 16-17세기 이전까지 과학과 기술의 교류는 거의 없었음 (2) 자연/인공을 구분하는 아리스토텔레스 자연철학의 영향 르네상스기 이후 이 둘을 가로막는 장벽에 점차 빈틈이 생겨나고 부분적으로 장벽이 허물어지기 시작 (1) 르네상스기 엔지니어의 사회적 지위 향상: 독학으로 학식을 쌓고 대학의 학자들과 교류, 기술적 주제에 관한 책 집필 시작

5 (2) 과학혁명기 (3) 산업혁명기 실험과학의 등장 & 자연과 인공물의 구분 약화
(2) 과학혁명기 실험과학의 등장 & 자연과 인공물의 구분 약화 망원경, 현미경, 진공펌프, 프리즘과 같은 기구들이 자연철학의 중요한 도구로 부각되기 시작  자연철학자, 기구제작자, 기술자 사이의 접점을 만들고 기술이 과학에 침투하는 계기 마련 (3) 산업혁명기 18세기말 영국의 산업도시들(버밍엄, 맨체스터, 리즈, 리버풀, 뉴캐슬, 셰필드, 더비 등)에 다양한 <철학과 문학회>들 설립  지역의 과학자, 엔지니어, 사업가, 자본가들이 서로 교류할 수 있는 “경계 공간”의 역할 (예) 버밍엄의 루나 협회(Lunar Society): 제임스 와트, 조시아 웨지우드, 조셉 프리스틀리, 에라스무스 다윈 등이 플로지스톤 이론, 열이론, 증기기관 등 다양한 과학적, 기술적 문제들을 놓고 토론

6 (4) 19세기말-20세기초 : 새로운 ‘과학적 공학’ 분야(화학공학, 전기공학)의 탄생
(4) 19세기말-20세기초 : 새로운 ‘과학적 공학’ 분야(화학공학, 전기공학)의 탄생 (a) 두 분야에 ‘양다리’를 걸친 사람들이 중요한 역할 Scientist-engineer: 과학을 공부하고 기술적 문제에 관심 가진 사람 Practicing-engineer: 기술 분야에서 활동하면서 자신의 현장경험을 이론화하려 애썼던 사람 (b) 새로운 ‘경계 공간’인 산업체 연구소의 설립 1880년대 독일의 Bayer 같은 화학회사에서 전문 과학자 고용 시작 년대 GE, Du Pont, AT&T에 산업체 연구소 설립 당장의 필요에 따른 연구도 하면서 이와 연관되는 ‘기초’연구도 수행

7 (5) 1970년대 이후 과학과 기술: 전반적인 역사적 경향 1970년대 DNA재조합 실험 이후의 유전공학
(5) 1970년대 이후 1970년대 DNA재조합 실험 이후의 유전공학 1990년대 이후의 나노기술 등 과학과 기술, 연구와 상업화의 간격이 많이 사라짐: 과학연구의 결과물이 곧바로 특허출원의 대상  ‘기술과학(technoscience)’이라는 용어 등장 과학과 기술: 전반적인 역사적 경향 과학과 기술의 관계는 역사적으로 점차 밀접해지고 있음  그러나 과학과 기술간의 관계는 구체적인 분야에 따라 불균등하며, 이 둘이 단순히 합쳐져서 하나가 된 것은 아님!!

8 과학이 기술에, 기술이 과학에 과학이 기술에... 기술이 과학에... 과학과 기술의 다양한 접점
패러데이 실험실의 전자기 유도 효과 → 전동기와 발전기 헤르츠 실험실의 전자기파 효과 → 무선통신 * 그러나, 과학적 효과의 발견이 곧바로 기술로 이어지는 것은 아님 기술이 과학에... 산업혁명기의 증기기관 → 열역학의 주요한 문제 제공 벨의 전화기 → 미세 전류 측정 장치로 개조 통신 위성의 노이즈 분석 → 우주 배경 복사의 발견 과학과 기술의 다양한 접점 과학: 다양한 수준의 이론, 실험실에서의 실천, 기기, 숙련 등의 복합체 기술: 다양한 수준의 지식, 실험, 숙련, 설계 능력, 인공물 등의 복합체 단순결합은 불가능. But 다양한 층위에서 접점 형성 가능 현대에 올수록 둘 사이의 경계가 모호한 새로운 공간(e.g. 기업 연구소, 대학의 반도체 연구소)이 늘어가고 있음 과학자의 실험실에서 발견되는 효과, 기기, 훈련받은 인력 등이 모두, 즉시, 그리고 직접적으로 기술 혁신을 낳지 않음은 명백하다. 실험실에서 발견된 어떤 효과나 물질이 기술화되기까지는 적게는 몇 달, 길게는 수십 년까지의 시간이 걸리며, 또 어떤 연구가 실용성을 띨 것인가조차 처음에는 분명치 않다. 물론, 여전히 대부분의 과학 연구는 직접 산업 기술화되지 않고, 과학 분야의 발전 자체에만 기여한다.


Download ppt "과학과 기술의 상호작용."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