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제7장 특수교육의 수업관찰과 분석 1.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제7장 특수교육의 수업관찰과 분석 1."— Presentation transcript:

1 제7장 특수교육의 수업관찰과 분석 1

2 1. 수업 관찰과 분석의 목적 ■ (정답) 수업을 통한 특수교육의 질 향상
왜 수업을 관찰하고 분석해야 하는가? ■ (정답) 수업을 통한 특수교육의 질 향상 ■ (풀이) 교사 교육(teacher education)에서              교사 학습(teacher learning)으로의 전환 “한국에서 교사의 학습에 대한 관심은 매우 미미한 수준이다. 교사는 가르치는 자라는 생각과 교사재교육에 대한 부정적 시각이 그 중요한 원인이라 할 수 있다(서경혜, 2006).”

3 1. 수업 관찰과 분석의 목적 ■ 학습의 상황성: 학습 활동과 상황이 학습과 분리될 수 없는 학습의 본질적 구성요소임.
■ 학습의 상황성: 학습 활동과 상황이 학습과 분리될 수 없는 학습의 본질적 구성요소임. • 옛 관점: 모든 상황에 적용될 수 있는 객관적 지식 추구 • 예시: 활동 자료는 학생들이 주위에서 쉽게 볼 수 있는 것이었을 때에 더 효과적이었다(수업 상황에 따라 타당하지 않은 내용일 수 있음) ∴ 교사 학습은 교사의 교육실천의 장(場)에 기반을 두어야 한다.

4 1. 수업 관찰과 분석의 목적 ■ 학습의 사회성: 학습이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해 일어나는 사회적 과정임
• 옛 관점: 학습은 개인의 마음에서 일어나는 개인적 과정 • 예시: 여러 행동수정 이론을 배웠지만 수업 장면을 관찰하면서, ‘나라면 과연 어떻게 대처했을까?’ 라고 생각해 보았다(수업관찰에 참여한 예비교사). ∴ 사회적 상호작용은 개인(교사 or 학생)의 학습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이다.

5 1. 수업 관찰과 분석의 목적 ■ 수업을 통한 특수교육의 질 향상을 위해 교사는 잘 가르치는 방법을 배워야 한다.→ 이 때의 교사는 가르치는 입장이 아니라, 배우는 입장에 있다.→ 교사도 학생처럼 잘 가르치는 방법을 스스로 구성해야 하는 학습자이다. “교사들은 자신(or 동료교사)의 수업을 통해 배우며,   다른 교사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배운다” ∵ 수업을 관찰하고 분석하는 과정 = 수업 상황을 자세히 들여다보는 기회 = 수업의 질 향상을 주제로 상호작용하는 수단

6 2. 수업 관찰과 분석의 내용 ■ 교사가 학생들을 잘 가르치기 위해 무엇을 알고 있어야 하는가? = 교사 학습의 내용은 무엇인가? ■ Shulman(1986)의 교육학적 내용 지식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CK) ■ 특정 교과의 구체적인 내용을 가르치는데 필요한 지식은 단순히 교과 내용 지식과 교육학 지식이 합쳐져서 생겨나는 것이 아니라, 교과 내용 지식과 교육학 지식을 실제 가르치는 장면에서 적용해 보고 반성해 보는 과정을 통해서 만들어진다.

7 2. 수업 관찰과 분석의 내용 ■ 수업에서 관찰하고 분석해 내야 하는 교사 학습의 내용 = 특수학교 교사의 교육학적 내용 지식
: 교과 내용 지식 + 교육학 지식 + 특수교육 지식 : 장애학생에게 특정 교과의 구체적인 내용을 적용해 보고 반성해 보는 과정을 통해서 얻어지는 지식   : 책이나 강의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이론적 지식을 뛰어넘어, 실제 수업 장면을 관찰하고 분석하는 과정을 통해서 찾을 수 있는 실제적 지식

8 2. 수업 관찰과 분석의 내용 ■ 특수학교 교사의 수업능력 평가표(전병운, 2008)
1. 교과내용 및 교수법 이해: 교과내용 이해, 교수법 이해 2. 학생 이해: 발달·학습 특성 이해, 행동 특성 이해 3. 수업 설계: 학습 목표 설정, 교수·학습 과정 구조화, 평가 계획 4. 장애의 다양성을 고려한 학습환경 조성: 심리적 환경  조성, 물리적 환경 구성, 학급운영 및 생활 지도, 장애유형의 다양성 고려, 중증장애학생의 학습 참여 지원 5. 수업 실행: 동기 유발, 수업 전략 적용, 학습 참여 활성화, 언어 사용, 질문하기, 피드백 제공, 매체 활용, 학생 평가 6. 전문성 개발: 수업 반성, 협력체제활용, 전문성 개발 노력

9 3. 수업 관찰과 분석의 방법 배운 대로 가르친다.” “교사는 가르치라는 대로 가르치는 것이 아니라,
■ 교사들이 학생들을 가르치기 위해 배운 모든 교수․학습 이론이 교사 학습에서도 그대로 적용된다. ■ 교사 학습의 방법: 최근 교수․학습 이론으로 활발하게 논의되고 있는 사회적 구성주의 학습 이론의 하나인 인지적 도제(Cognitive Apprenticeship) 학습

10 3. 수업 관찰과 분석의 방법 ■ 인지적 도제 학습 : 전통적 도제방법의 장점을 살려 현실과 괴리되지 않은 실제 상황에서 전문가의 과제수행 과정을 관찰하고 실제로 과제를 수행해 보는 가운데 자신의 지식 상태의 변화를 경험할 수 있도록 하는 것(김용욱, 2005). ■ 인지적 도제 학습의 주요한 교수 방법: 모델링, 코칭, 스캐폴딩, 명료화, 반성, 탐구(신재한, 2006).   : 구체적으로 수업 관찰과 분석을 어떻게 해야 하는가에 대한 방법을 안내해 준다.

11 3. 수업 관찰과 분석의 방법 ■ 모델링(Modeling): 다양한 실제 상황에서 전문가가 직접 과제를 수행하고, 초보자가 그 수행 과정을 관찰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 ■ 코칭(Coaching): 모델링을 통하여 이해의 기반을 형성한 후 초보자가 과제를 직접 수행하면서 필요에 따라 전문가의 도움을 제공받는 활동을 의미. ■ 스캐폴딩(Scaffolding): 코칭의 과정에서 초보자의 과제 수행을 보조하기 위해 도움을 제공하되, 초보자 스스로 과제를 잘 수행해 감에 따라 도움을 점차적으로 줄여감.

12 3. 수업 관찰과 분석의 방법 ■ 명료화(Articulation): 학습자가 학습 과제에 대해 자신이 구성한 지식과 이해 그리고 수행에 대해 시범을 보이거나 명료하게 설명하도록 하는 과정 ■ 반성(Reflection): 과제에 대한 자신의 수행 과정을 되돌아보고 다른 사람과 비교해 보고, 이를 통해 새로운 각도에서 자신을 보게 되고, 새로운 방법을 개발하게 됨. ■ 탐구(Exploration): 학습자 스스로 개인적 관심을 규명하고 개인적인 목표를 설정하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질문이나 문제 만드는 방법을 배우고 스스로 독립적인 지식을 찾아감.

13 3. 수업 관찰과 분석의 방법 ■ 어떻게 수업을 관찰하고 분석해야 하는가?
  : 전문가와 초보자 사이에서 모델링, 코칭, 스캐폴딩, 등의 과정이 끊임없이 일어나도록 하는 것 •모델링: 경력있는 선배 교사의 수업 관찰하기 •코칭: 후배 교사의 수업 관찰하고 이야기해 주기 •스캐폴딩: 수업을 계획하고 실행하는 과정에서 도움을 주되, 점차 혼자 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여가기 •명료화: 왜 수업을 이렇게 했는지를 설명해 보기 •반성: 자신의 수업을 동료교사의 수업과 비교해 보기 •탐구: 새로운 문제 의식을 가지고 수업 관찰하기

14 3. 수업 관찰과 분석의 방법 ■ 양적 접근 방법 ■ 질적 접근 방법 • 평정척을 활용한 방법 • 범주 체계를 활용한 방법
• 분석 필터를 활용한 방법 ■ 질적 접근 방법 • 주요 사건 파악 방법 • 일화 기록법 • 질적 방법의 계량화

15 4. 수업 관찰과 분석의 실제 ■ 양적 수업 관찰과 분석의 실제
: 특수학급 수학 수업에서의 발문 분석 연구(전병운 외, 2006) • 특수학급 교사들은 학생들이 보다 높은 수준의 사고를 할 수 있도록 수렴과 발문과 확산적 발문 혹은 낮은 수준의 발문과 높은 수준의 발문을 균형있게 제공할 필요가 있다. • 특수학급 교사들은 발문 후에 학생이 충분히 생각하고 답할 수 있도록 기다리는 시간을 증가시켜야 할 필요가 있다. • 특수학급 교사들은 개별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발문과 학생이 비언어적인 표현을 통해서도 반응할 수 있는 발문을 적극적으로 사용할 필요가 있다.

16 4. 수업 관찰과 분석의 실제 ■ 질적 수업 관찰과 분석의 실제 : 특수학급에서의 개별화 교육
• 학습 목표의 개별화: 학생이 할 수 있는 선정하기 • 학습 내용의 개별화: 학생에게 알맞은 양으로 줄여주기 • 학습 자료의 개별화: 참여를 가능하게 하는 활동 자료 • 교사의 개별적인 지도: 혼자서 할 수 있도록 도와주기 • 흥미에 따른 개별화: 좋아하는 것과 필요한 것의 조절 • 평가의 개별화: 조그만 변화도 지나치지 않기

17 연구과제 1. 수업 관찰과 분석은 교수 이론과 교수 실제를 연결하는 데에 어떤 역할을 하는지 알아보자.
2. 자신이 수업 관찰과 분석을 하게 된다면, 어떤 주제로 어떻게 해야 하는지에 대하여 생각해 보자. 17


Download ppt "제7장 특수교육의 수업관찰과 분석 1."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