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중국민족과 소수민족  2005.3.14..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중국민족과 소수민족  2005.3.14.."— Presentation transcript:

1 중국민족과 소수민족 

2 중국민족의 구성적 특성과 민족관계의 역사적 배경
중국민족의 구성적 특성과 민족관계의 역사적 배경 수직적 고찰(시간의 흐름) Wittfogel의 정복 왕조론 비트포겔 (Wittfogel, Karl August) [ ~ ] 제창자 1949년 비트포겔(K. Wittfogel) 영향 1930년대 인류학에서 논의된 문화변용론(文化變用論)의 영향에서 나온 학설 기준: 만리 장성

3 문화 변용론과 정복 왕조론 행위적 측면: 사람이 어떻게 행동하는가? 특히 사람들이 일상생활에서 어떻게 서로 상호 접촉을 해 나가는가 하는 것을 말함 인지적 측면: 사람들이 어떻게 세상을 보는가? 하는 관점에 관한 것이다. 물질적 측면: 인간이 생산한 모든 물질적 도구들을 말하는 것이다.

4 문화 변용론과 정복 왕조론 둘 이상의 이질적인 문화가 직접적으로 접촉한 결과 그 한쪽 또는 쌍방이 원래의 문화 형태에 변화를 일으키는 현상.

5

6

7 정복왕조론 중국사에서 만리장성의 북쪽에서 유목을 위주로 하는 생활을 하고 있던 민족이 만리장성을 넘어 남하하여 중원의 일부나 전부를 정복하고 세운 왕조 거란족 - 요(遼) 여진족 - 금(金) 몽고족 - 원(元) 여진족 - 후금(後金) → 청(淸) 등

8 정복 왕조론 역대 중국 왕조를 전형적인 중국인 왕조와 정복왕조로 나누고, 이민족이 중원을 정복하였을 경우 문화적으로는 곧 중국화되고 말았다는 종래의 학설에 대하여 이의를 제기하면서, 정복왕조의 경우, 그들 자신의 유목민적인 고유 사회 체제를 유지하면서 농경문화와 상호 적응관계를 가진다는 학설 → 2 원적 통치 체제 ( 북방 민족 통치 체제의 모범 )

9 中華思想에서의 중국민족 수평적 爲政以德而比如北辰(論語; 爲政編) 五族共和國(孫文) 2원론적 대립개념

10 북아시아와 중국 중화사상에서의 북아시아관 야만과 문명

11

12

13 동서 교류에서의 중국 문화의 보편성(비슷한 환경에서 비슷한 문화창조 문화의 개별성 보편성이있지만 똑 같은것은 없다
전파성 예상외의 속도로 전파된다. (붉은털 원숭이) (유리)

14 결론 중화사상에서의 소수민족 이해는 객관성이 없다. 소수민족이란 개념 자체에 문제가 제기된다.
여러 민족들이 동등한 입장에서 공존하는 국가형태라는 기본 배경에서 접근해야한다.


Download ppt "중국민족과 소수민족  2005.3.14.."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