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EMC 분석 (WAPLE).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EMC 분석 (WAPLE)."— Presentation transcript:

1 EMC 분석 (WAPLE)

2 EMC 분석 결과(WAPLE) 공지천 강우사상

3 EMC 분석 결과(WAPLE) 공지천 강우사상 3

4 𝐿 𝑧𝑑 = 𝑛=1 𝑁 𝑃 𝑛 𝑡 × 𝑹 𝒛,𝑛 × 𝑬𝑴𝑪 𝒛,𝑛 𝑁 𝑑
토지피복별 발생원단위 산정 방법 1. 유량가중평균농도 2. 유출율 1) 강우사상별 유량가중평균농도(EMCx) 산정 : 측정된 자료를 바탕으로 강우사상별 각 오염원에 대한 EMCx 를 산정 1) 강우사상별 유량가중평균농도(Rx) 산정 : 측정된 자료를 바탕으로 강우사상별 각 오염원에 대한 Rx 를 산정 2) 강우계급별 EMCy 산정 : 해당 강우계급에 속하는 강우사상별 EMCx를 산술평균하여 강우계급별 EMCy를 산정 2) 강우계급별 Ry 산정 : 해당 강우계급에 속하는 강우사상별 Rx를 산술평균하여 강우계급별 Ry 를 산정 3) 토지피복별 EMCz 산정 : 강우계급별 EMCy와 10년 총 강수량에 대한 각 강우계급의 10년 동안의 총 강수량(총 강수량에 대한 각 강우계급별 총 강수량의 비율)를 이용하여 토지피복별 EMCz를 산정 3) 토지피복별 Rz 산정 : 강우계급별 Ry와 10년 총 강수량에 대한 각 강우계급의 10년 동안의 총 강수량(총 강수량에 대한 각 강우계급별 총 강수량의 비율)를 이용하여 토지피복별 Rz 를 산정 * 강우계급: 0~10mm / 10~30mm / 30~50mm / 50mm 이상 3. 토지피복별 발생원단위 𝐿 𝑧𝑑 = 𝑛=1 𝑁 𝑃 𝑛 𝑡 × 𝑹 𝒛,𝑛 × 𝑬𝑴𝑪 𝒛,𝑛 𝑁 𝑑 Lzd: 토지피복별 발생원단위(kg/km2/일), N: 최근 10년간 발생한 강우사상 개수, Pt: 최근 10년간 발생한 강우사상별 총강우량(mm), EMCz: 토지피복별 유량가중평균농도, Rz: 토지피복분류별 유출율, Nd: 최근 10년의 총 일수 4

5 토지피복별 발생원단위 산정 방법 유량가중평균농도 1) EMCx 2) 강우계급 3) EMCy 4) EMCZ 유량(m3/sec)
42mm 21mm 8mm 28mm 36mm 61mm 8mm E1 E2 E3 E4 E5 E6 E7 1) EMCx EMCx1 EMCx2 EMCx3 EMCx4 EMCx5 EMCx6 EMCx7 (강우사상별 EMC-유량가중평균) 2) 강우계급 10mm 이하 10~30mm 30~50mm 50mm 이상 3) EMCy EMCy1 EMCy2 EMCy3 EMCy4 (강우계급별 EMC-산술평균) 4) EMCZ 𝑬𝑴𝑪 𝒁 = 𝒎=𝟏 𝑴 ( 𝑬𝑴𝑪 𝒚,𝒎 × 𝒇 𝒚,𝒎 ) M : 강우계급의 수 Fy : 최근 10년간 강우자료로부터 산정한 강우계급별 총강우량의 비율 (토지피복별 EMC)

6 토지피복별 발생원단위 산정 방법 유출율 1) Rx 2) 강우계급 3) Ry 4) RZ 유량(m3/sec) 42mm 21mm
𝑹 𝒁 = 𝒎=𝟏 𝑴 ( 𝑹 𝒚,𝒎 × 𝒇 𝒚,𝒎 ) M : 강우계급의 수 Fy : 최근 10년간 강우자료로부터 산정한 강우계급별 총강우량의 비율 (토지피복별 R)

7 𝐿 𝑧𝑑 = 𝑛=1 𝑁 𝑃 𝑛 𝑡 × 𝑹 𝒛,𝑛 × 𝑬𝑴𝑪 𝒛,𝑛 𝑁 𝑑
토지피복별 발생원단위 산정 방법 1. 유량가중평균농도 2. 유출율 3. 토지피복별 발생원단위 𝐿 𝑧𝑑 = 𝑛=1 𝑁 𝑃 𝑛 𝑡 × 𝑹 𝒛,𝑛 × 𝑬𝑴𝑪 𝒛,𝑛 𝑁 𝑑 (kg/km2/일) Lzd: 토지피복별 발생원단위(kg/km2/일), N: 최근 10년간 발생한 강우사상 개수, Pt: 최근 10년간 발생한 강우사상별 총강우량(mm), EMCz: 토지피복별 유량가중평균농도, Rz: 토지피복분류별 유출율, Nd: 최근 10년의 총 일수

8 WHAT 시스템 Eckhardt Filter를 이용한 기저유출 분리 BFImax (개선된 WHAT(WAPLE에 적용됨))
𝒃 𝒌 = 𝟏− 𝑩𝑭𝑰 𝒎𝒂𝒙 ∗𝒂∗ 𝒃 𝒌−𝟏 + 𝟏−𝒂 ∗ 𝑩𝑭𝑰 𝒎𝒂𝒙 ∗ 𝒚 𝒌 /(𝟏−𝒂∗ 𝑩𝑭𝑰 𝒎𝒂𝒙 ) bk : k시간의 기저유출, bk-1 : k-1시간의 기저유출, yk : k시간의 전체유량 BFImax : 기저유출 기여도의 최대치, a : 필터 인자 BFImax (개선된 WHAT(WAPLE에 적용됨)) BFImax (기존의 WHAT) 기저유출 분리를 위한 변수로 유량에 대한 기저유출 기여도의 최대치 여러 수문곡선에 대한 개별 BFImax를 산정 산정된 BFImax를 각각의 수문곡선에 적용하여 기저유출 분리 감수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수문곡선(=BFImax가 산정되지 못한 수문곡선)의 경우 해당 수문곡선의 앞뒤 수문곡선의 BFImax값을 반영 기저유출 분리를 위한 변수로 유량에 대한 기저유출 기여도의 최대치 대수층 특성에 따라 사용자가 입력 모든 수문곡선에 하나의 BFImax값 적용 (한계) BFImax 변수 값(Eckhardt, 2004) 항시 하천이 흐르고 공극이 많은 대수층 : 0.8 단속적으로 하천이 흐르고 공극이 많은 대수층 : 0.5 항시 하천이 흐르고 암반으로 구성된 대수층 : 0.25


Download ppt "EMC 분석 (WAPLE)."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