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보건학 총론 - 제3장 건강증진- 의약복지정보계열.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보건학 총론 - 제3장 건강증진- 의약복지정보계열."— Presentation transcript:

1 보건학 총론 - 제3장 건강증진- 의약복지정보계열

2 건강증진 개념 p34 WHO (오타와 현장) ; 건강은 삶의 목적이 아닌 일상생활을 위한 자원이며 건강증진을 사람들이 자신의 건강에 대한 통제력을 증가시키고 건강을 향상시키는 능력을 갖도록 하는 과정이라 정의하고 인간개발을 목적으로 한 정책수립, 생태학적 접근의 보건사업개발, 사회동원 등을 전략으로 건강증진활동을 통해 건강형평에 도달 Green과 Anderson ; 건강에 유익한 행동을 유도하기 위한 건강교육적, 사회적, 환경적 지지의 통합 Pender ; 안녕수준을 증진하고 개인, 가족, 지역사회의 잠재력을 실현하기 위한 방향으로 지시된 활동 O’Donnell ; 최적으 건강상태를 지향하기 위하여 사람들로 하여금 생활양식을 변화시키도록 하는 데 도움을 주는 과학과 기술이다 세계보건기구 ; 개인이나 지역사회로 하여금 건강영향요인들에 대한 통제능력을 증가시키게 함으로써 자기건강능력을 향상시키는 과정 건강증진은 단순히 질병의 치료나 예방과 개인 및 지역사회가 건강잠재력을 충분히 발휘될수 있도록 이를 개발하여 예방의학적, 환경보호적, 행동과학및 보건교육적 수준을 강구

3 건강증진과 보건교육과의 관계 p35 보건교육과 건강증진은 상호보완적
- 건강증진은 건강에 유익한 환경조성, 생활습관 개선등 다양한 수단을 동원하여 건강생활을 실천이고 보건교육은 이 목적을 가능하게 하는 주요수단 건강증진의 핵은 보건교육이고 국민보건의 바탕 미네소타 대학 G. Anderson ; 공중보건활동의 3요소 보건서비스, 보건법규, 보건교육(가장중요, 절대적) 국민건강증진법; 개인 또는 집단의 건강상태, 건강의식수준 등 따라 적절한 보건교육의 국가의 의무로 규정

4 건강증진활동 : 제1차 국제건강증징회의(ottawa 1986)에 건강증진을 위한 5개 기본활동 영역이 제시되어 이후 현재까지 다섯 차례의 건강증진에 대한 국제회의를 개최되어 기본활동 영역이 순차적으로 구체화 건강한 공공정책의 수립 : 건강증진 실현을 위한 입법조치, 재정마련, 조세 및 조직의 변화=> 통합 및 상호보완, 기본활동 기반 건강지향적 환경조성 : 자연적 환경과 사회적 환경의 보전에 지역사회나 국가 및 전세계가 상호보완적 관계유지 지역사회활동 강화 : 지역사회의 적극적인 참여와 사업의 우선순위와 활동범위를 결정하고 전략적 계획과 실천 개인의 기술 개발 : 건강과 환경에 대한 통제능력 향상과 정보의 습득 및 교육으로 만성질환이나 상해, 위기에 대처능력 개발 보건의료사업 방향의 재조정 : 건강문제 유발요인 변화로 치료와 임상서비스 중심에서 생활습관 개선, 환경관리 등 건강증진 방향으로 전환

5 건강증진의 역사적 배경 p36 19세기 : 역학혁명, 전염병의 이해, 질병예방과 관리
1970년대 후반 : 제2의 역학혁명, 건강증진의 시대, 만성질환의 역학적 발견 기초 - 20세기 중반 만성질환의 의료비용상승과 질병예방과 건강증진 중요성 인식 표 3-1건강증진의 역사 참조

6 건강증진사업의 필요성과 원칙p39 건강증진사업의 필요성 국민건강욕구 증대 : 삶의 질향상 추구와 건강관심증대
만성퇴행성 질환 및 사고의 증가로 인한 삶의 질 저하 : 건강에 대한 인식부족과 무절제한 생활 기인 건강향상 및 의료비 절감 효과 ; 건강의식 개선과 건강생활 실천유도 목적 주요원칙 - 지역주민 전체대상 - 건강결정요인, 영향을 미치는 원인에 대한 활동에 초점 - 의사소통, 교육, 법규의 제정, 재정, 조직변화 지역사회개발, 자발적인 지역사회 활동등의 다양한 접근법 병행 - 효과적 구체적인 주민 참여 - 1차 보건의료전문가 건강증진의 활성화

7 건강증진사업의 접근방법 의료전문주의 타파하고 지역주민과 집단의 건강관리능력을 중시, 지역사회 환경, 의사결정과정을 통해 건강한 환경 확보=>건강을 사회적 산물로 인식

8 건강증진사업의 내용

9 각국의 건강증진사업 선진국 대부분 저출산과 인구의 고령화, 만성질환의 유병률증가로 보험재정 심각한 부담
치료중심에서 생활습관개선의 보건의료체제구축 미국 : 전체사망자의 70%가 만성질병인 심혈관질병, 암, 당뇨로 주원인 흡연, 영양및 운동부족 조사=> 만성질병예방에 예산 투입 캐나다 : 1971년 70세 이전 조기사망원인이 환경과 생활습관의 결정요인 => 국가보건정책의 최우선 사업설정 국민건강이란 새로운 개념으로 각종사업을 정부주도로 추진 영국 :국가보건정책 중심전략을 심질환, 뇌졸증, 암, 정신건강,HIV/AIDS및 성건강, 사고의 5대 건강증진 중점영역 일본 : 1970년 후반 국가차원의 국민건강가꾸기운동, 활력있는 인생 80 건강계획, 건강일본 21을 실시 => 개인의 주체적건강실현을 지원하여 국민건강증진을 종합적 추진 우리나라 : 1980년대 일부 대기업 근로자대상으로 시작, 정부차원의한국산업안전공단 건강증진사업모형 개발(1992), 1995년 건강증진법과 지역보건법이 제정, 건강수명의 연장과 건강형평성 제고는 목표

10 그림 3-1 국민건강증진사업의 개념


Download ppt "보건학 총론 - 제3장 건강증진- 의약복지정보계열."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