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화장품 수출 애로사항과 수출시장 다변화를 위한 제안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화장품 수출 애로사항과 수출시장 다변화를 위한 제안"— Presentation transcript:

1 화장품 수출 애로사항과 수출시장 다변화를 위한 제안
화장품 수출 애로사항과 수출시장 다변화를 위한 제안 ㈜코스메랩 박진영

2 K-POP, 한류와 함께 성장한 K-Beauty
시장 규모의 성장과 경쟁 심화로 품질 향상과 가성비 향상 직접종사자 일자리 창출 36만명(보건산업진흥원) 이제는 유럽과 미국에서도 “K-Beauty” 시장이 본격화 문화 산업과 바이오 기술이 접목된 미래 고부가 가치 산업

3 2017년 전체 산업 대비 한국 화장품 수출액 전체 수출액 대비 0.86% - $4.952.141(단위/천 달러)
전년 대비 약 20% 성장타 산업 수출액과 비교: 농수산식품의 60%, 가전의 51%, 휴대폰의 65%, 의약품의 153%, 5대 유망소비재의 18.5% 반도체/전자/조선/자동차 산업 이을 미래 먹거리 산업, 국가 차원에서 “삼성”과 같은 화장품 브랜드를 만들기 위한 제도적 장치의 수정/신설이 필요

4 2017년 화장품 국가별 수출 현황 중화권(중국+홍콩) 이 63%로 과반 상회
그러나 최근 정치적/경제적 이슈로 신규 대체 시장의 필요성 대두 소비력/시장규모를 고려=> 현실적인 대안은 미국/유럽 시장 지리적 이점과 비슷한 문화적 공감대로 비교적 쉽게 큰 매출을 달성한 중화권 그러나 유럽/미국 좀 더 본질적인 전략이 필요 -> “브랜드” 라는 큰 틀에서 접근해야

5 중소 브랜드들의 해외 유통망 진입과 문제점 각 국가 시장 특성을 고려해 제품 개발 “문화/기후/인종”
화장품 인증 - 기획 단계에서부터 성분/제품 고려 그 후 값 비싼 해외 인증비용 발생 기획에서 개발/제조 후 해외 유통망 입점 과정 – 시간과 비용 소모 유통망에 입점 후에도 많은 비용 발생 – 테스터, 집기, 마케팅 비용 최근 인기 한국 제품을 해외 유명 유통사가 COPY 유통사 + 한국 제조사 = 유통사 자체 PB 브랜드 어렵게 입점한 토종 브랜드사 타격 – 유망 중소 기업들의 몰락 반도체/전자의 “삼성”과 같은 토종 화장품 브랜드의 등장을 막는 자충 수

6 우후죽순으로 생겨나는 제조사 OEM/ODM 사업에만 몰두

7 해외 국가별 화장품 인증제도

8 유럽인증 CPNP 1) 기간 2) 비용 3) 필수 준비사항 및 절차 ⦁ 소요기간: 등록 완료되기까지 통상 4~6개월 소요.
다만, 필요서류가 완벽하게 구비된 경우 3개월 이내로 단축 가능 ⦁ 유효기간: 한번 등록 시 중간에 갱신할 필요 없이 영구적이지만 제품 내 변경사항 발생 시 관련 내용을 업데이트해야 함. 2) 비용 ⦁ RP 비용: 대략 연간 EUR 2,000~5,000 ⦁ CPNP 컨설팅, 등록 비용 및 Challenge Test: 품목 당 EUR 800~1,500 ⦁ 추가 테스트 비용: Open Test, Patch Test, SPF 테스트 등은 테스트 종류에 따라 별도의 비용 발생 3) 필수 준비사항 및 절차 ⦁ RP(Responsible Person / 현지 법정 책임자) 지정 ⦁ 성분 검토 및 서류 준비: 금지 및 규제 성분 검토 및 필요 서류 준비 ⦁ Challenge Test: 방부력 테스트 진행 (약 2개월 정도 소요) ⦁ 라벨링: EU 규정 준수하여 제품이 유통되는 국가의 언어로 번역 ⦁ 제품정보파일 작성 및 등록: 제품 정보 파일 (PIF)을 작성 후 등록 ⦁ 등록번호 부여받은 후 EU 시장에 판매 가능

9 중국 위생허가 인증 소요 시간 -허가제: 약 12개월 소요 (수입 특수 화장품 -염모, 펌, 미백, 자외선 차단 4가지)
-등록제: 약 7~8개월 소요 (수입 비 특수 화장품-특수 외 모두 제품) **허가제 및 등록제는 진행 절차가 같으며 등록제 진행 시의 시험 & 검측 그리고 기술 심사 기간은 허가제 보다 짧음 2. 비용 품목 당 대략 200~300만원 3. 주의 및 특기 사항 -사전 검토(신청 기업의 제조판매업 등록증 보유 여부, 제조업체 ISO 또는 GMP보유 여부 확인) -중국 내에 있는 독립 법인 업체를 통해서야 신청 가능(재중책임회사 위임) -중국어 라벨 필요 -위생허가 연장관련, 2018년 11월 10일로부터 위생허가 연장 제도 폐기, 11월 10일 전 신청 품목은 4년 유효기간 지난 후 재 신청해야 하며 11월 10일 이후 신청 품목의 허가 유효성은 영구적임

10 사우디 아라비아 SASO 인증 소요 시간 -서류 준비 약 15일 -테스트 진행 약 45일 2. 비용
-품목 당 테스트 비용은 약 50만원 -선적 전 검사 비용 및 CoC발행 비용은 인보이스 금액에 따라 다릅니다.(아래 참고) 3. 주의 및 특기 사항 - 수입 자 사우디 아라비아 SFDA 등록가능여부 먼저 확인 -아랍어 라벨 필요 -인증 유효 기간은 영구적임

11 베트남 인증 소요 시간 -한국에서 서류 취합 약 2개월 소요 -베트남 현지에 제품 검사 및 인증 약 2~3개월 소요 2. 비용
-품목 당 15만원 3. 주의 및 특기 사항 -현지에 유통 책임이 있는 기업 또는 개인 사업자의 사업등록증 필요 -베트남어 라벨 필요 -인증 유효기간은 5년이며 갱신 시 동일 절차 진행

12 인도네시아 BPOM 인증 절차 1) 기간 2) 비용 3) 필수 준비사항 및 절차
⦁ 소요기간: 등록 완료되기까지 통상 3개월에서 6개월 소요 (인도네시아 현지 등록 작업) 다만, 필요서류가 완벽하게 구비된 경우 3개월 이내로 단축 가능 ⦁ 유효기간: 한번 등록 시 중간에 갱신할 필요 없이 영구적이지만 제품 내 변경사항 발생 시 관련 내용을 업데이트해야 함. 2) 비용 ⦁ CFS 발급 비용: 자유판매증명서(제조판매) 제조사 1개당 원~17.000원 ⦁ 변호사 공증 비용: 수권서, 공급 확인서 영문 변호사 공증 비용 1개 문서당 약 5만원 ⦁ 주한 인도네시아 대사관 영사 확인 비용: 문서 1개당 미화 $125 (수권서, 공급 확인서, CFS) 3) 필수 준비사항 및 절차 ⦁ 자유판매증서(CFS), 공급 확인서, 수권서 준비 ⦁ 수권서, 공급 확인서는 변호사 영문 공증 후 외교부 영사 인증 ⦁ 자유판매증명서는 발급 후 바로 외교부 영사 인증 ⦁ 영사 인증 완료된 수권서, 공급 확인서, CFS를 주한 인도네시아 대사관에서 영사 인증 ⦁ 영사 인증이 완료된 모든 서류를 인도네시아 현지 파트너에게 전달 ⦁ 현지에서 BPOM 인증 등록 절차 진행

13 국가별 인허가 규정에 관한 교육과 지원 국가별 화장품 수입허가 취득을 위한 교육과정 온라인교육 과정 및 오프라인 교육과정
해외 화장품 허가 비용 보조금 지원 및 관리 (허가취득 후 수출증가실적 보고 관리) 다양한 비관세장벽 철폐 및 경감을 위한 협의진행

14 해외 유명 유통사 자체 PB 브랜드 실정 Made in Korea

15 한국 브랜드로 채워진 해외 K-beauty 섹션

16 Made in Korea 자체 PB 상품으로 채워진 현재의 K-beauty 섹션

17 해외 유명 유통사 자체 PB 브랜드 실정

18 해외 유명 유통사 자체 PB 브랜드 실정

19 해외 유명 유통사 자체 PB 브랜드 실정 선명한 Made in Korea 를 확인 할 수 있다

20 해외 유명 유통사 자체 PB 브랜드 실정 선명한 Made in Korea 를 확인 할 수 있다

21 제조원 표기를 자율적으로 할 수 없을까? 화장품 제조원과 제조판매원의 동반성장 모색 해외 유통채널에서 한국브랜드의 정착
중소기업 브랜드의 해외유통에서 PB제품화 방지 한국 이외의 국가에서는 제조원 정보 보호

22 감사합니다


Download ppt "화장품 수출 애로사항과 수출시장 다변화를 위한 제안"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