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현대 프랑스의 갈등과 통합 제1강 - 프랑스인이란? 프랑스인의 일반적 특징 서강대학교 전종호교수.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현대 프랑스의 갈등과 통합 제1강 - 프랑스인이란? 프랑스인의 일반적 특징 서강대학교 전종호교수."— Presentation transcript:

1 현대 프랑스의 갈등과 통합 제1강 - 프랑스인이란? 프랑스인의 일반적 특징 서강대학교 전종호교수

2 강의 개요 역사적으로 프랑스는 다른 서구 국가에 비해 더 급진적인 사회적인 갈등과 변혁을 겪었다. 프랑스 대혁명과 이후의 공화파와 왕당파의 갈등, 그리고 20세기의 68혁명 등 현대 프랑스 사회는 다른 서구국가에서는 보기 힘든 격렬한 갈등과 통합의 과정을 통해 만들어졌고, 이 과정에서 논의된 담론들은 인류사회의 발전에도 크게 기여했다고 평가된다. 본 강의는 특히 21세기 프랑스를 만든 가장 큰 사건으로 평가 받는 68혁명과 최근의 시사적인 사건으로 프랑스 내의 이슬람 통합문제를 다각적으로 분석하며, 그 갈등의 원인과 진행과정, 결과, 그리고 이것이 한국사회에 던지는 시사점을 이해하려 한다.

3 제1강 - 프랑스인이란? 프랑스인의 일반적 특징 집단의식(기질) mentalité collective은 언어와 마찬가지로 한 문화의 기층을 형성한다. 프랑스인의 기질은 오랜 기간을 통해 서서히 형성, 변천되었으며 2차 세계대전까지 크게 변하지 않았다. 여기에 프랑스인의 행동에 대한 단순화되고 정형화된 이미지가 형성되었다. 그러나 이미지라는 것은 나타난 것보다 더욱 복잡하며, 이의 이해는 한 민족 역사의 어떤 모순점들을 이해하게 하여준다. 특히 프랑스인의 사고방식은 ‘모순으로 형성된 민족’이라고 할 수 있을 정도로 복잡하다. 이의 이해를 위해 귀 미쇼 Guy Michaud와 알렝 킴멜 Alain Kimmel은 프랑스 민족의 역사적인 형성과정과 사회학적인 분석을 제시하였다

4 점진적으로 프랑스 국민을 구성하는 다양한 민족이 형성되었다.
제1강 - 프랑스인이란? 프랑스인의 일반적 특징 프랑스인의 역사적인 구성 프랑스 민족은 단일 민족이 아니다. 프랑스의 지정학적인 위치에서도 볼 수 있듯이, 오랜 기간을 거쳐 정복이나 침략의 형태를 통해 점진적으로 프랑스 국민을 구성하는 다양한 민족이 형성되었다. ㄱ. 원시시대의 인구형성 선사시대: 유럽인의 기반을 구성하고 있는 커다란 세 개의 인구 집단이 프랑스 영토에 연속적으로 정착하였다. 구석기 말엽: 사냥으로 살아가는 유목민인 지중해인 북유럽인 신석기시대 (기원전 6세기 경): 농경민인 알프스인

5 제1강 - 프랑스인이란? 프랑스인의 일반적 특징 이중 알프스 인은 ‘쎌뜨(켈트) Celtes’라는 이름 하에 다른 민족과 섞이면서 프랑스 국민의 저변을 형성하였다. 로마인은 지금의 프랑스 땅을 ‘골 Gaule’이라고 하였는데, 이곳에 사는 쎌트족을 '골루아 Gaulois'라고 하였고 이들은 솔직하고, 쾌활하며, 외설스런 기질을 가졌다고 한다. 이 골족을 프랑스인의 조상으로 간주하는 의견이 있다. 특히 이러한 생각은 19세기 민족적인 단일성과 일치를 강조하는 역사가들에게서 주장되었다. 제3 공화국의 프랑스의 역사교과서는 “우리들의 조상인 골족은...”으로 시작되었다. 이렇게 만들어진 역사교과서가 전 프랑스의 식민지에서 이용되었다는 것은 아이러니이다.

6 제1강 - 프랑스인이란? 프랑스인의 일반적 특징 ㄴ. 여러 민족의 융합처
유럽의 교차로에 위치한 프랑스의 역사는 종종 급작스러운 피침으로 기록된다. 그러한 외세의 침략은 프랑스 역사의 기본구조를 깊이 변화시키지 않았으며, 오히려 풍부함과 복잡성을 지니게 하였다. 기원전 1세기: 로마인 서기 5세기: 게르만인 서기 10세기: 스칸디나비아 출신의 노르만인

7 제1강 - 프랑스인이란? 프랑스인의 일반적 특징 이 외에도 중심에서 벗어난 지역에는 매우 특이한 성격을 지니 주민들이 존재한다. (브르타뉴인, 알프스인, 플랑드르인, 바스크인, 카탈로니아인) 또한, 전시대에 걸쳐 많은 외국인이 프랑스로 이입하였다. 16세기: 스페인인, 이탈리아인/17세기: 폴란드인/ 19세기: 러시아인 100년 전부터는 외국인 노동자와 피난민들의 이민했다. 최근 50년 동안 이탈리아인, 폴란드인, 스페인인, 포루투갈인 등이 계속해서 이주해왔다. 그리고, 최근에는 북아프리카의 마그렙인, 터키인, 아시아인의 이민이 있었다.

8 제1강 - 프랑스인이란? 프랑스인의 일반적 특징 이처럼 프랑스 민족은 다양한 민족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사고방식 또한 다양하다. 귀 미쇼와 알렝 킴멜은 프랑스인은 역사적으로 프랑스 민족의 형성에 기여한 각 종족 집단의 특성을 갖고 있다고 하였다. 즉, 쎌뜨족으로부터 개인주의를, 시이저의 골 로마인으로부터 법과 질서를 사랑하는 마음을, 게르만족으로부터 조직적인 사고를, 노르만족으로부터 진취적 기질을 이어받았다고 말한다. 그래서 때로는 이러한 모순적인 성격은 이웃나라들을 당황하게 만들었다고 한다. 조직적 사고 프랑스인 진취적 기질 법과 질서 개인 주의

9 역사 -사회학적 접근을 통해 다음과 같이 프랑스인의 복잡한 기질을 분류했다.
제1강 - 프랑스인이란? 프랑스인의 일반적 특징 2. 사회과학적인 접근 귀 미쇼와 알랭 킴멜은 종족적인 기질 이외에도 역사 -사회학적 접근을 통해 다음과 같이 프랑스인의 복잡한 기질을 분류했다. 역사적으로 유럽에 알려져 왔던 프랑스인의 이중적 기질 현대에 이르러 중산계층이 대두되면서 형성된 대조적인 성격

10 제1강 - 프랑스인이란? 프랑스인의 일반적 특징 농민기질 ㄱ. 역사적으로 유럽에 알려져 왔던 프랑스인의 이중적 기질
근원적으로 프랑스인들은 농촌 출신이었다. 1789년 프랑스 대혁명 이후 자신의 작은 농토를 일구고 사는 농민들이 20세기 초까지 프랑스의 대부분의 인구를 형성하였다. 여기에서 프랑스인들의 한 특징적인 기질이 형성된다. 고향 땅에 집착하고 밖으로 나가기 싫어하며 폐쇄적이다. 현실적 인색할 정도로 절약 남을 경계할 정도로 조심성이 많음 전통주의적이며 보수적 농민기질

11 제1강 - 프랑스인이란? 프랑스인의 일반적 특징 기사도기질
중세 이후 프랑스에는 기사, 성주 등의 귀족층이 형성되어 이들의 기질은 프랑스 국민의 기질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 명예를 중시하며 특히 역사상 중요한 순간에 드러나는 이러한 기질은 프랑스인의 농민 적인 사고와 대조된다. 이상주의자이며 쉽게 열광하고 모험정신을 가지고 있다. 지나칠 정도로 관대하나 옳다고 여기는 대의를 위해서는 기꺼이 투쟁할 준비가 되어있다. 규율이 없을 정도로 개인적이다. 불의와 압박에 대해 싸울 때는 기꺼이 혁명적이다.

12 제1강 - 프랑스인이란? 프랑스인의 일반적 특징 한편, 중세부터 형성된 이러한 프랑스 귀족의 가치체계는 경제적인 이윤창출을 위한 영리활동을 천시해서 프랑스가 앵글로색슨 국가와는 다른 경제 모델을 가지게 하였다. 예를 들어 프랑스에서 소액주주의 상장 주식의 소유 비율은 영미권에 비해 낮다 (1999년 11%, 이는 월스트리트 상장주식의 45-48%를 소액주주가 소유하고 있는 것에 비교된다). 이는 노동이나 부의 실제 창출과 상관없는 대가에 대한 프랑스인의 전통적인 거부를 보여준다. 이는 가톨릭 전통의 영향도 있다.

13 제1강 - 프랑스인이란? 프랑스인의 일반적 특징 보통의 프랑스인 ㄴ. 현대에 이르러 중산계층이 대두되면서 형성된 대조적인 성격
보통의 프랑스인 : 근대에 들어 부르주아 bourgeois들이 지배적인 계층이 되었다. 이들에게서 ‘보통의 프랑스인’의 이미지가 나왔으며 많은 문학가들의 모델이 된다. 명랑하고 낙관적이며 좋은 포도주와 좋은 음식을 즐긴다. 실용적이며 현실적이고 재치 있고 융통성이 있다. 양식(良識)있는 사고와 행동을 한다. 매우 사고(思考)적 이고 외향적이다. 보통의 프랑스인

14 제1강 - 프랑스인이란? 프랑스인의 일반적 특징 파리 사람 농민의 기질 귀족의 기질 부르주아의 기질
국제적인 도시인 파리는 시민들에게 독특한 영향을 끼쳤는데, 이 성격은 18세기 이후 형성된 것으로 전통적인 지방인들과 대조된다. 태평하고, 충동적이며 변덕스럽다. 호기심 많고 놀이를 좋아하며 예술을 즐긴다. 불평 많고 비판하기를 좋아한다. 재치 있는 말과 행동을 잘 한다. 즉, 농민의 보수적인 기질과 쉽게 흥분하고 모험과 공상을 좋아하는 귀족의 기질, 현실적인 부르주아의 기질 등이 융합되어 프랑스인들은 한편 모순적으로 보인다. 또한 남불과 북불 그리고 파리와 지방의 기질 차이도 무시할 수 없다. 농민의 기질 귀족의 기질 부르주아의 기질

15 제1강 - 프랑스인이란? 프랑스인의 일반적 특징 3. 새로운 사고방식
최근 4반세기 동안 프랑스의 일상생활과 사회 속에 깊은 변화가 일어났다. 사회계층의 변형은 예로부터 고착되어온 나라의 기본요소들을 흔들어 놓았다. 그래서 도시인과 시골사람, 파리사람과 지방 사람의 구분이 더 이상 타당할 수 없게 되었다. 이들을 특징짓는 성격들이 사라진 것은 아니지만 현대사회의 조직 속으로 들어옴으로서 수정되었고, 새로운 행동과 태도로 풍요해졌다. 특히 ‘68혁명’은 이후 프랑스사회와 프랑스인의 보수적 색채에 많은 변화를 주었다.

16 제1강 - 프랑스인이란? 프랑스인의 일반적 특징 고착된 스타일의 동요
시골인구가 감소되어감으로 농촌은 외부세계로 넓게 개방되었다. 그래서 협동적 생활방식이 개발되었고 많은 농부들, 특히 젊은 농부들이 기업처럼 그들의 일을 경영하고 있다. 프랑스인의 절약정신이 사라진 것은 아니지만 2차 대전 이후 1971년 석유파동까지 경제호황기였던 ‘영광의 30년’ 동안 프랑스인들이 소비를 미덕으로 삼는 풍조가 점차 보편화되었다.

17 제1강 - 프랑스인이란? 프랑스인의 일반적 특징 전통적인 중산층 즉, 부르주아 계급도 광범위하게 다양화된 ‘중산층’으로 대체 되었다. 비록 여론 조사에서 가정의 정신으로 돌아가려는 경향이 우선하지만, 불안정한 ‘동거’, 부모의 이혼으로 흔들리는 아이들, 독신 모(母), 독신 부(父)의 증가로 프랑스 가정은 급격히 동요한다.

18 ‘시민연대연합 Pacte civil de solidarité’
제1강 - 프랑스인이란? 프랑스인의 일반적 특징 ‘시민연대연합 Pacte civil de solidarité’ 1999년 10월에 공포된 법으로 동성, 이성을 불문하고 18세 이상의 인척 관계가 아닌 두 성인에게 공동의 삶을 이룰 수 있는 권리를 인정하는 법으로, 동거중인 커플이 팍스를 신청하면 세금문제와 상속에서 법적인 보호를 받을 수 있다. 이는 동거가 일반화 된 프랑스의 현실을 반영한 것이다.

19 제1강 - 프랑스인이란? 프랑스인의 일반적 특징 파리의 생활은 이미 한가히 소요하는 시간을 거의 허용치 않고 있다. 그리고 빈정거리고 풍자적인 정신이 프랑스 안에 지속되고 있다면 그것은 이미 파리 사람들의 전유물이 아니다. 오늘날 많은 대도시들은 수도와 같은 리듬으로 살고 있고 도시생활은 획일화되어 간다. 프랑스인들은 아직도 좋은 포도주를 곁들인 좋은 식사를 사랑하고 있지만, 그러나 젊은이들은 맥도날드에 드나들고 콜라를 마신다.

20 제1강 - 프랑스인이란? 프랑스인의 일반적 특징 새로운 행동 방식
개방 : 교통, 통신수단과 매스미디어의 발달로 프랑스인의 시야는 넓어졌고 이제는 지구촌의 리듬으로 살고 있다. 전에는 한곳에 정착하기를 좋아하는 사람으로 알려졌지만 이제 프랑스인은 세계를 누비며 여행하기 시작했고 유럽건설에 큰 관심을 보이고 있다. 연대의식 : 특히 1980년대 나타난 개인주의가 오늘날에는 새로운 형태를 취하고 있다. 즉 경쟁의 정신과 차이의 요구가 그것이다. 그러나 동시에 개인의 사교성이 집단의 연대성(클럽, 연합회, 팀 정신)으로 바뀌었다.

21 제1강 - 프랑스인이란? 프랑스인의 일반적 특징 4. 유럽의 다른 국가와 비교한 프랑스인의 사고방식
프랑스의 여론조사기관인 Infratest Burke는 1998년 독일, 벨기에, 스페인, 프랑스, 이태리, 네델란드, 영국, 스웨덴 인들의 가치관에 대한 조사를 하였다. 각 국민들이 중시하는 총 36개의 주요 덕목들의 순위를 조사한 후, 이 덕목들을 좌우로 자유 Liberté와 규율 Ordre, 상하로 개인주의 Individualisme과 집단주의 Collectivité에 해당되는 도표에 배치하였다.

22 제1강 - 프랑스인이란? 프랑스인의 일반적 특징 이러한 결과 매우 재미있는 현상이 발견되었는데, 우선 프랑스인과 가장 유사한 사고방식을 가진 국민은 스웨덴 인이며 가장 반대되는 성향을 가진 국민이 독일인이라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프랑스인은 자유주의자이고 개인주의자라고 할 수 있다.

23 참고 문헌 http://www.asterix.com/
Mermet, Gérard, Franscopie : Comment vivient les français?, Larousse, 1998, pp Michaud, Guy, Kimmel, Alain, Le Nouveau guide France, Hachette, 1994 서울대학교 불어권 문화연구소, 『프랑스 하나 그리고 여럿』, 강, (특히 3부의 김정희, 「프랑스식 자본주의」를 참조하세요. )


Download ppt "현대 프랑스의 갈등과 통합 제1강 - 프랑스인이란? 프랑스인의 일반적 특징 서강대학교 전종호교수."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