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2강 제의. 신화 2.1. 제의 2.2. 신화.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2강 제의. 신화 2.1. 제의 2.2. 신화."— Presentation transcript:

1 2강 제의. 신화 2.1. 제의 2.2. 신화

2 2.1. 제의 ◎ 제의 신의 출현 인간과 신의 만남은 인간에 의해 연출되어서 제의가 되고 굿이 됨 ● 고대 제천 의식 미분화
공동작 신화적 시간의 경험 신명 ▶ 삼국유사 <가락국기> : 이 땅에서 가장 오래된 신맞이 굿

3 2.1. 제의 ▶ 삼국유사 <가락국기> : 이 땅에서 가장 오래된 신맞이 굿
㉠ 개벽한 후로 이곳에 아직 나라의 이름이 없고 또한 군신의 칭호도 없더니 ㉡ 후한 세조 광무제 건무18년 임인 3월 계욕일에 그곳 북쪽 구지에서 무엇을 부 르는 수상한 소리가 났다 ㉢ 촌인 이삼백인이 이곳에 모이니 사람의 소리는 나는 듯 하되 그 형상은 보이지 않고 소리만 내어 말하기를 황천이 나에게 명하기를 이곳에 와서 나라를 새롭 게 하여 임금이 되라 하였으므로 이곳에 일부러 내려왔으니 너희들은 마땅히 봉 상에서 흙을 파면서 노래하여 ‘거북아 거북아 머리를 내밀지 않으면 구어먹으리 라’하고 무도하면 대왕을 맞이하여 환희용약할 것이리라 하였다. ㉣ 구간등이 그 말과 같이 모두 기뻐서 가무하다가 얼마 아니하여 처다보니 자색 줄이 하늘에서 내려와 땅에 닿는지라 줄 끝을 찾아보니 붉은 폭에 금합이 싸여 있었다. 열어보니 해와 같이 둥근 6개의 황금 알이 있었다. ㉤ 그달 보름날에 즉위하였다. 처음으로 나타났다고 하여 휘를 수로라 하고 혹은 수릉이라하며 나라를 대가락 또는 가야국이라고도 일컬으니 곧 육가야의 하나 요 나머지 오인은 각각 가서 오가야의 주가 되었다

4 2.1. 제의 ● Social Drama (Victor Turner)
한 사회 구성원들의 이해 관계와 태도가 상충될 때 발생하는 긴장과 갈등의 해소는 드라마의 전개 과정을 거친다. 정상적이고 규범적인 사회 관계의 위반 > 확대되는 위기 > 위기의 확산을 막기 위한 교정적 행동 > 재통합 / 비극적 결말 통과의례 (Van Gennep) 분리 > 전이 > 통합

5 2.2. 신화 ◎ 신화 ● 국가시조신화 역사적 인물 신화는 역사적 인물이 신격화 된 것
왕들은 신격화를 위해 자신의 이야기를 만들어 냄 역사로 이를 주입 신화에서 갈등과 대립은 역사를 실현시키는 데서 일어남 타고난 신성에 의해 해결 남성이 주인공. 역사를 실현시키는 남성 중심의 신화 ▶ 삼국유사 석탈해

6 2.2. 신화 ● 국가시조신화 ▶ 삼국유사 석탈해 별첨1. 석탈해.hwp

7 2.2. 신화 ● 무속신화(본풀이) 무속신의 내력을 노래 서사무가 전승이 되어야 함 여성이 주인공
역사와 무관. 초역사적 신화로 무속과 굿이 있는 한 존재함 제석본풀이, 세경본풀이, 바리데기 신화 ▶ 세경본풀이 별첨 2.\세경본풀이.hwp ▶ 창세가 별첨 3.창세가.hwp

8 1.1. 문학의 범위 한문학에서 文은 詩와 함께 문학에서 큰 비중을 차지했는데, 내용을 보면 실용적인 글도 적지 않다. ▼
시대가 변하면서, ‘문’이라는 개념은 뒷전으로 밀려나고, 시, 소설, 희곡이 아닌 것 중에는 수필이라고 분류되는 글만이 문학으로 인정 우리가 지금까지 문학으로 간주하지 않았던 것조차 문학으로 간주하고 문학사를 기술할 수 있다는 시각이 대두. 문학의 카테고리가 붕괴되고 있다. 문학만 세계를 만드는 것이 아니라 철학, 역사적 기술 역시 세계를 만드는 것이라는 시각. 텍스트는 사회를 반영하는 것이 아니라 창조하는 것이다.

9 1.2. 국문학의 범위 ◎ 국문학의 범위를 정하는 데 문제되어온 것 ● 한문학
국문학사에서 가장 획기적인 사건 : 한자 유입, 훈민정음 창제 한문 – 조선시대(개화기)까지 한문학의 역사가 있다. 국문 – 세종대왕(1443) 이후 한문학이 국문학일 수 있는가? 한문↔한글 한문은 동아시아 공동의 문자. 써놓은 한문은 거의 한가지이지만, 읽는 한문은 나라마다 다르다. 우리는 우리 음으로 읽으며, 구결을 지어냈고, 토를 단다.

10 1.2. 국문학의 범위 ◎ 국문학의 범위를 정하는 데 문제되어온 것 ● 구비문학 대다수 구비문학 – 선사시대부터 지금까지 갈등
구비문학이 문학인가? 기술(한문+한글)↔구술 일제의 식민지 통치로 인해 국문문학에 정통성을 부여하게 되면서 국문문학 중심이 됨 국문학이 발달된 문학임을 강조하려는 의도가 작용하여, 구비문학을 무엇인가 부족한 문학으로 보아 민속학의 소관이라고 하기도 함.

11 1.2. 국문학의 범위 ◎ 국문학의 범위를 정하는 데 문제되어온 것 ● 국문학의 범위 말로 된 문학인 구비문학
문어체 글로 된 한문학 구어체 글로 된 국문문학 : 고전문학/현대문학

12 1.3. 갈래 ◎ 갈래 일정한 군집의 작품들이 공유하는 문학적 관습의 체계.
개별 작품의 존재를 지탱하는 초개인적 준거의 모형. 우리가 문학 작품을 이해한다는 것은 텍스트의 액면적 의미뿐만 아니라, 해당 작품을 둘러싼 문학상의 관습과 기대를 참조하면서 그것을 인간 경험의 어떤 모습으로 살려내는 일에 해당. 작자 역시 자신이 속한 문학 세계의 관습과 방법을 습득하고 때로는 변용하면서 경험, 상상을 작품화한다. 그리고 그 소산인 작품은 다시 기존의 관습, 규준에 작용하는 새로운 인소가 된다.

13 1.3. 갈래 ◎ 갈래 작가, 작품, 독자를 매개하면서 인간 경험의 예술적 형상화를 인도하는 여러 층위의 관습들이 일정한 연관을 갖추고 다수의 작품에 공통적으로 나타날 때 갈래(장르)라고 부른다. 일정 범위의 작품들을 완전무결하게 귀일시키는 특성, 원리의 조직체라기보다 친족적 유사성을 지닌 다수의 작품에서 추출되는 범례적 일반형.

14 1.3. 갈래 ● 4분법 갈래론 문학작품의 형성 원리 및 존재 방식을 크게 네 개의 특성 또는 범주로 나누고, 이로써 다양한 역사적 갈래들의 속성 및 상호 관계를 설명하려는 이론. 좌표적 개념틀. 서정 : 작품외적 세계의 개입이 없이 이루어지는 세계의 자아화 나의 자기표현, 일인칭 현재시제의 문학 (고려가요, 향가, 시조, 대부분의 현대시 등) 교술 : 작품외적 세계의 개입으로 이루어지는 자아의 세계화 의론(교훈, 이념의 전달이 주) 기술(사실 기록 및 경험의 서술이 주) (수필, 한문문학의 文류, 가사 등)

15 1.3. 갈래 ● 4분법 갈래론 서사 : 작품외적 자아의 개입으로 이루어지는 자아와 세계의 대결
(전설, 민담, 고전소설, 신소설, 현대소설 등) 희곡 : 작품외적 자아의 개입 없이 이루어지는 자아와 세계의 대결 (탈춤, 꼭두각시놀음, 창극, 신파극, 현대극 등)


Download ppt "2강 제의. 신화 2.1. 제의 2.2. 신화."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