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제 7장 고정관념과 편견.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제 7장 고정관념과 편견."— Presentation transcript:

1 제 7장 고정관념과 편견

2 제 7장 고정관념과 편견 고정관념과 편견 고정관념과 편견의 측정 고정관념과 귀인 피해자에 대한 비난 편견의 원인
편견의 타파. 편견과 행동 한국인의 편견과 그 해소 방안

3 1. 고정관념, 편견, 차별 1)고정관념(stereotype)은 우리가 지닌 어떤 사회집단에 관한 지식, 인상(예컨대, 교수는 깐깐하다; 운동선수는 무식하다, 정치가는 거짓말쟁이 등등). 2) 편견(prejudice)은 어떤 사회집단에 대해 부정적 고정관념을 갖고 그 집단을 혐오함(예컨대, 전라도인은 믿을 수 없다. 경상도는 다혈질, 옹고집, 서울 사람은 깍쟁이).

4 3)차별은 편견을 토대로 타 집단을 차별하고 불이익을 주는 실제 행동을 말한다.
4)정리하면, 고정관념은 우리의 타 집단에 대한 지식이며 이는 긍정적 부정적 내용이 모두 포함된다. 반면, 편견은 우리의 타 집단에 대한 부정적 고정관념을 토대로 그 집단을 싫어하는 태도를 말함. 끝으로 차별이란 부정적 고정관념때문에 그 집단을 차별하고 기피하며 해를 끼치는 행동을 지칭한다. 차별에는 고정관념, 편견이 내재해 있다.

5 5)한국에서의 고정관념 우리는 지역감정에 휩싸여 있다. 이 지역감정은 고정관념, 편견을 토대로 하지만 현재는 정치,경제, 사회에서의 패권을 갖으려는 집단갈등으로 비화되었다. 즉 집단이기주의가 선도하고 지역주민의 고정관념과 편견이 더 심화되는 양상을 이루고 있어서 고정관념에 대한 해소가 어렵게 되었다.

6 6)고정관념은 그의 대상이 되는 집단에게 불안을 야기할 수 있다
6)고정관념은 그의 대상이 되는 집단에게 불안을 야기할 수 있다. Steele & Aronson(1994)은 미국인이 흑인에 대해서 지적으로 열등하다는 고정관념이 어떻게 흑인학생에게 부정적으로 작용하는 지를 실험으로 증명. 흑.백인 대학생에게 검사를 시행하기 전에 한 집단에게는 지능을 알기 위해서라고 말한 반면 다른 집단에게는 검사타당성을 위한 조사라고 말함. 백인은 두 조건에서 성적 차이가 없으나 흑인은 첫째조건에서 부진함. 그 원인은 흑인은 자기들이 열등하다는 사회적 고정관념을 자기들이 입증하면 어떻게 하나 하는 불안이 있다.

7 2. 고정관념과 편견의 측정 1)고전적 조사방법; 어떤 개인이나 집단을 나타내는 형용사검목표(check list)를 만들어 그 집단의 특성을 검목표에 표시하게 함(예컨대, 깐깐하다, 다정하다,신뢰된다. 등의 형용사목록). 2)현대적 조사방법; 암묵적 연합검사(implicit association test)로 측정. 컴퓨터 모니터에 집단명을 먼저 제시하고 다음 긍정적 또는 부정적 형용사를 제시하며 S에게 그 형용사가 집단에게 어울리는가를 판단 하게함. 좋아하는 집단이 긍정적 단어와 쌍을 이루면 반응시간이 짧아지는 원리를 이용한 것임

8 그림. 출신지역에 따른 자기도와 타도에 대한 긍정적인 단어와 부정적인 단어에 대한 피험자의 반응시간

9 3. 고정관념과 귀인 고정관념화(stereotyping)는 일종의 귀인이다. 즉 우리가 어떤 집단이 어떤 성격, 행동 특징을 가졌다고 생각하는 것은 일종의 귀인이다. 고정관념과 편견은 내집단은 좋아하고 외 집단은 싫어하는 태도를 유발하는데 이것은 부정적 고정관념이 외 집단의 특성으로 잘못 귀인하는 과정에서 생긴다. 1)성 고정관념; 고질적이고 역사가 깊은 고정관념중의 하나가 성 고정 관념이다. 여성은 무능력하고 감정적이며 내성적, 지도자의 자질부족으로 폄하하는 내용. 여성의 성공은 운으로 반대로 실패는 그녀의 능력부족으로 귀인.

10 4. 피해자에 대한 비난 1)우리가 편견을 갖고 타 집단을 차별한 후에는 우리가 이를 합리화한다. 이것은 우리가 제 5장에서 우리가 피해를 준 집단을 비하하거나 격하하는 것과 동일하다. 2)피해자 비난하기는 사후해명(hingsight)과 관계가 깊다. 사후해명이란 기정사실은 이것이 미리 결정되어있었던 것으로 착각하는 것. 선거에 당선된 사람을 미리 그가 당선될 운명에 있었던 것으로 간주하는 경향이 있다.

11 3)Janoff & Bulman(1985)의 사후해명에 대한 실험
3)Janoff & Bulman(1985)의 사후해명에 대한 실험. 남녀가 데이트하는 장면을 묘사한 글을 두 집단의 S에게 제시하되 한 집단에게는 마지막에 남자가 여자를 강간했다는 내용을 제시한다. 다른 S에게는 남자가 여자를 집까지 배웅했다라는 지시를 준다. 그런 후 E는 S에게 마지막 결말을 잊으라고 지시한 후 그 데이트에서 발생할 수 있는 사건을 예측 하게함. 강간의 결말을 들었던 S는 그와 관련된 여자의 부도덕한 행동을 더 많이 예측함(예컨대. 여자가 키스를 허락했다, 너무 헤프게 행동했다 등)

12 5. 편견의 원인 편견은 선천적으로 타고 나는 것이 아니라 후천적으로 학습한 것이다.
1) 정치경제적 경쟁; 미국에서의 중국인에 대한 편견은 경제적 여건에 따라서 달라졌다. 한국의 지역감정도 처음에는 편견 수준이었으나 지금은 정치경제위치에서의 주도권 싸움으로 탈바꿈함. 2)전위된 공격; 피지배자가 지배자를 공격할 수 없을 때에는 제 3의 희생양을 만드는 경향이 있다. 독일인이 2차 대전 때 유태인을 차별한 것은 1차 대전 때 독일이 연합국에 패배한 분노를 전위시킬 희생양이 필요했기 때문임.

13 미국에서 경제적 불황시에 흑인에 대한 테러행위가 높았다
미국에서 경제적 불황시에 흑인에 대한 테러행위가 높았다. Hoveland & Sears(1940)는 미국 남부 14개 주에서 목화값과 백인의 흑인에 대한 폭행간의 관계를 49년간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 의미 있는 상관계수를 얻음. 즉 목화값이 하락한 해에는 폭행사건이 더 증가함. 3)성격; 권위주의 성격과 편견은 밀접한 관계가 있다(Adorno와 그의 동료들,1950). 권위주의자들은 고집이 세고 경직된 사고를 하며, 변화를 싫어함. Adorno는 권위주의자들은 유태인, 흑인뿐만 아니라 모든 소수민족을 싫어함을 발견. 구소련의 권위주의자들은 민주화를 반대하고 공산당을 지지함. 미국의 경우와 대조.

14 4)사회규범에 대한 동조; 편견의 습득은 동조로 설명할 수 있다
4)사회규범에 대한 동조; 편견의 습득은 동조로 설명할 수 있다. 우리가 유태인에 대해 편견을 가진 뉴욕으로 이사가면 그래서 반 유태인 태도를 가진 사람과 접촉하면 할 수록 우리는 유태인에 대한 편견을 가진다. Pettigrew(1959)는 미국의 남부나 북부인의 F척도 상에 차이가 없지만 두 지역에서 흑인에 대한 태도에 큰 차이가 나는 것은 노예해방문제로 남북전쟁이 발발했고 남부가 패배한 것이 주 원인이라고 말함. 흑백인간의 경제적 갈등은 북부가 남부 보다 더 심했다.

15 5) West Virginia의 광산촌에서 흑백인간의 갈등은 지하에서는 없지만 지상에서만 존재함(편견이 동조임을 지적함).
6) 2차 대전 때 흑백인의 혼성부대가 조직되어 전쟁에 나갔을 때 두 종족간의 편견이 많이 해소됨. 이는 갈등 하는 두 집단이 상호 같은 신분에서 접촉하고 협동하면 고정관념, 편견이 많이 해소됨을 암시하는 결과임.

16 6. 편견의 타파 1)편견타파의 학습; Elliot의 학급실험. 차별 당하는 것이 얼마나 심리적인 충격인가를 실제로 경험하게 하여 이를 불식시키려 노력함. 2)집단간 접촉; 미국 사회가 인종의 용광로로 불리지만 실제 인종끼리 따로따로 어울린다. 상호간의 접촉을 늘리면 편견이 제거된다(접촉가설). 그러나 서로 동등한 신분에서 접촉해야한다(백인 주인과 흑인 하녀가 접촉하는 것은 무효과). 2)서로 협동적인 관계로 접촉 해야함. Aronson등의 조각 그림 맞추기 작업의 효과. 3)재범주화의 중요성. 이태리 시에나 마을의 예

17 7. 편견과 행동 1)태도가 행동을 바꾼다는 패러다임이 한 때 심리학계에 팽배. 그에 따라 편견을 해소하는 방법은 태도변화에 주력해왔다. 그러나 이것이 반대로 될 수 있음을 발견 2)1954년 미국 대법원이 인종분리 정책은 위헌이라고 판정. 그러나 당시 유명한 사회학자인 Sumner가 국법이 시민법을 바꿀 수 없을 것이라고 말하여 법이 효력이 없으리라고 가정. 3)그러나 그 후의 인종통합교육과 통합거주 정책은 시민의 흑인에 대한 태도를 극적으로 변화시켜서 “국법이 시민법을 바꿀 수 있다”는 패러다임이 생겨남.

18 8.한국인의 편견과 해소방안 1)지역 감정의 해소 방안. 법적으로 지역출신에 의한 편파적 인사를 금하는 법의 제정의 필요성
2)여성 차별 및 남아선호사상의 철폐;한국인의 고질적 남아선호사상으로 성별분포가 크게 편파 되어 사회적 분쟁의 소지가 크다. 태아의 성감별, 인공유산을 법적으로 금하는 법을 제정해야 한다.


Download ppt "제 7장 고정관념과 편견."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