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사회복지란 무엇인가? 경북대학교 사회복지학과 명예교수 박 석 돈 http://www.parksimon.com.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사회복지란 무엇인가? 경북대학교 사회복지학과 명예교수 박 석 돈 http://www.parksimon.com."— Presentation transcript:

1 사회복지란 무엇인가? 경북대학교 사회복지학과 명예교수 박 석 돈

2 Ⅰ. 사회복지 총론 : 개관(槪觀) 사회복지의 의의 사회복지의 기본 이념 사회복지의 목표 사회복지의 전문직성(專門職性)
사회복지의 변천과 미래 전망 사회복지란 무엇인가? 30/53

3 정의 自己生活 자본주의 사회 自己責任原則 불가능 社會, 國家가 責任 Social Welfare 개인의 복지에 대한 사회적 책임
사회복지(社會福祉) Social Welfare 개인의 복지에 대한 사회적 책임 自己生活 自己責任原則 자본주의 사회 불가능 社會, 國家가 責任

4 사회복지란 인간다운 삶(生活) welfare = well + being(안녕) + fare(과정:삶) 경제적 - 소득보장
사회보험, 공공부조 사회적ㆍ문화적 – 사회복지 서비스 의료ㆍ주택ㆍ교육ㆍ환경ㆍ문화ㆍ정보ㆍ각종원조 정서적ㆍ정신적 – 삶(생활) 희로애락 삶(享有)ㆍ느낌(認識)ㆍ나눔(對話)

5 1. 사회복지의 의의 사회복지를 보는 관점 사회복지의 새로운 관점 사회복지의 거시적 관점 vs 미시적 관점
사회복지의 방법론과 이데올로기 사회복지의 새로운 관점 어원(語源)으로 본 사회복지의 관점 사회복지의 이념적 개념 사회복지란 무엇인가? 30/53

6 사회복지의 관점 미시적(microscopic) 이념 : 기술론(방법론)-치료적-소매 거시적(macroscopic) 이념 :
정책론-예방적-도매복지 Wilensky & Lebeaux 잔여적 Residual Ryan 예외주의(선별,선택적) Exceptionalism (selectional) Ralp Pumphrey 동정 Compassion Clarke Chambers 개별화 된 치료 c. Wright Mills 개인적 문제 Troubles Arthur Peal의 “가난의 분류”에서 임상적 Clinical 인 것 제도적 Institutional 보편주의 Universalism 보호 Protection 정치적 행동 사회적 문제 Issues 구조적 Structural 인 것 사회복지란 무엇인가? 30/53

7 1) 사회복지를 보는 관점 거시적(기능적) 관점 vs 미시적(실천적) 관점 제도적 복지 vs 잔여적 복지
사회복지란 무엇인가? 30/53

8 2) 사회복지 방법론과 이데올로기 가난의 책임은 개인에게 있는가? 사회에 있는가? 보편적 복지 선별적 복지 모든 국민을 대상
빈곤은 사회적 책임 제도적 복지 평등·분배를 강조 복지수혜에 대한 Stigma 없음 사회주의적 이념 진보적 좌파 스웨덴, 오스트리아 등 유럽 복지국가들 national minimum 이하의 국민을 대상 빈곤은 개인의 책임 잔여적 복지 자유·성장을 강조 복지 수혜에 Stigma를 갖게 됨 자본주의적 이념 보수적 우파 미국, 일본, 한국 등 자본주의 국가들 사회복지란 무엇인가? 30/53

9 3) 어원(語源)으로 본 사회복지의 개념 사회복지(社會福祉) Social welfare
Social + welfare(wel+being+fare) Welbeing : 안녕(安寧) Fare : 상태, 과정 사회복지란 무엇인가? 30/53

10 사회/복지(社會/福祉) : 복지(福祉) : 행복한 삶 (福 : 복복 / 祉 : 복지) 복(福) : 복(福); 오복(五福)
삶에서 누리는 좋고 만족할 만한 행운, 또는 거기서 얻는 행복 복(福); 오복(五福) 수(壽) : 장수, 오래 사는 것 부(富) : 넉넉한 생활, 넉넉한 재산 강녕(康寧) : 몸이 건강하고 마음이 편안함 신체적 건강. 심리적·정신적·정서적 건강 유호덕(攸好德) : 덕(德)을 좋아하며 즐겨 행하는 일 고종명(考終命) : 제명대로 살다가 편안히 죽는 것 수,부,강녕, 귀(貴), 다자(多子) 사회복지란 무엇인가? 30/53

11 덕(德) : 덕이 있는 사람 큰 사람 베푸는 사람 나누는 사람 선행이 습관이 된 사람. 1. 크다 2. (덕으로)여기다
3. (덕을)베풀다 4. 고맙게 생각하다 5. 오르다, 타다 6. 덕(德), 도덕(道德) 7. 은덕(恩德) 8. 복(福), 행복(幸福) 9. 은혜(恩惠) 10. 선행(善行) 11. 행위(行爲), 절조(節操: 절개와 지조를 아울러 이르는 말) 12. 능력(能力), 작용(作用) 13. 가르침 14. 어진 이, 현자(賢者) 15. 정의(正義) 16. 목성(木星: 별 이름) 17. 주역(周易) 건괘(乾卦)의 상 덕이 있는 사람 큰 사람 베푸는 사람 나누는 사람 선행이 습관이 된 사람. 사회복지란 무엇인가? 30/53

12 Ⅱ. 사회복지의 기본 이념(철학) 인간존중사상 평등사상 국가책임사상 인간애, Humanity
인간의 존엄성(尊嚴性), dignity 생명의 존엄성, sanctity  평등사상 자유권적 기본권 생존권적 기본권 절대적 빈곤, 상대적 빈곤 국가책임사상 연민, 동정심, compassion 박애사상(종교적 동기), 자선(慈善) : 사회적 책임 전문성, 봉사(奉仕) 사회복지란 무엇인가? 30/53

13 Ⅲ. 사회복지의 목표 빈곤문제 가족의 복지기능 상실 사회정의의 실현 인간다운 삶에 대한 재해석 2019-05-05
사회복지란 무엇인가? 30/53

14 빈곤문제(절대적 빈곤) 기준 최초의 체계적 조사 - 1899년 B. S. Rowntree 단순한 육체적 능률을 유지하기 위한
최소한의 생활필수품을 획득하기에 불충분하다면 빈곤하게 살고 있다고 보아야 한다. 빈곤문제(절대적 빈곤) “신체적 건강과 노동력을 유지하는데 필요한 기본적인 필수품을 구입할 수 있는 정도의 비용” 기준 사회복지란 무엇인가? 30/53

15 미국의 영양학자 Atwater의 이론에 따른
단백질과 최소한의 열량 계산 아침 : 오트밀 죽, 탈지 분유 점심 : 빵과 치즈 정찬 : 야채 고기국, 빵, 치즈, 푸딩 저녁 : 빵, 오트밀 죽 최소한의 피복비, 연료비, 잡비, 집세 사치품비, 선물비, 자선비, 문화 활동비 제외 사회복지란 무엇인가? 30/53

16 사회환경과 물가 변동이 급변하는 시대에는 측정 어려움
1936년 “사회적·문화적 요구를 만족시켜야 한다” 신문, 우표, 종이, 라디오, 휴가, 맥주, 담배, 선물 등을 위한 지출까지를 포함하였다. 문제점 측정상 시간과 비용이 과다하게 소요. 따라서 사회환경과 물가 변동이 급변하는 시대에는 측정 어려움 사회복지란 무엇인가? 30/53

17 충분한 열량뿐만 아니라 충분한 다양성이 있어야 한다.
1965년 M. Orshansky 충분한 열량뿐만 아니라 충분한 다양성이 있어야 한다. 열량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영양의 기준도 변화, 발전한다!! 1단계 – 음식물의 열량을 기준 2단계 – 단백질의 섭취량을 기준 3단계 – 비타민, 미네랄, 기타 무기질 영양소의 섭취량을 기준 4단계 – 오늘날, 섬유질의 섭취량, 즉 Diet식을 기준 사회복지란 무엇인가? 30/53

18 빈곤계층은 언제나 상대적으로 열등한 위치에 있다. 소득의 불평등 분배를 전제로 한 평등이념이 등장
절대빈곤이 만연하던 영국의 경우 1899년 York주민의 9.9%가 빈곤상태 1936년 York주민의 3.9%가 빈곤상태 1950년 York주민의 1.7%가 빈곤상태 사회전체가 골고루 소득이 상승했다면 빈곤계층은 언제나 상대적으로 열등한 위치에 있다. 즉, 상대적 빈곤이 중요하게 된다. 소득의 불평등 분배를 전제로 한 평등이념이 등장 사회복지란 무엇인가? 30/53

19 1950-60년대 사회복지의 다양한 발전 복지국가의 기틀 마련 사회복지의 사회문제 대인서비스 2019-05-05
사회복지란 무엇인가? 30/53

20 2. 가족 복지 기능의 상실 대인사회서비스에 관심 요보호대상자들을 가능한 한 지역사회 속에서 도움을 받도록 인도 전통적인
사회복지사업 요보호 노인이나 아동, 장애인 등 사회적 약자를 주로 시설에 수용 보호 1960년대 이후 사회복지사업 지역사회 속에서, 가족이나 지역주민의 도움으로 문제 해결 대인사회서비스에 관심 요보호대상자들을 가능한 한 지역사회 속에서 도움을 받도록 인도 오늘날 선진국 정상화 이념에서 나온 것임 사회복지란 무엇인가? 30/53

21 경제적 지원만으로는 인간다운 삶을 누릴 수 없다.
일상에서 누군가의 도움이 필요하다. 닐 길버트 혼 외 출생 및 이혼율의 증가, 맞벌이 부부의 증가는 대인 서비스 방법을 필요로 한다. 사회복지란 무엇인가? 30/53

22 3. 사회정의의 실현 사회정의 : (국어사전) Miller : Rawls : 일반인의 통념으로 판단한 올바른 사회적 윤리.
모든 사람이 한결같이 인간다운 생활을 누릴 수 있도록 보장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며, 법 앞에서의 평등이나 정당한 보수 등이 이에 속한다. Miller : 사회구성원 사이에서 혜택이나 부담이 공정하게 배분된 상태 Rawls : 사회의 모든 기본가치, 즉 자유와 기회, 소득과 부, 인간적 존엄성은 평등하게 분배되어야 한다. 사회복지란 무엇인가? 30/53

23 OECD국가의 사회복지지출(단위:% of GDP)
1980 1990 2000 2005 2007 스웨덴 27.1 30.2 28.9 29.7 27.3 노르웨이 16.9 22.3 22.0 21.9 20.8 핀랜드 18.0 24.2 24.3 26.1 24.9 덴마크 24.8 25.1 26.2 27.5 아이슬랜드 -- 13.7 15.3 14.6 프랑스 27.9 29.2 28.4 독일 22.7 26.3 26.8 25.2 네델란드 25.6 19.8 20.9 20.1 이태리 19.9 23.3 25.0 오스트리아 22.6 23.9 17.7 17.0 26.4 캐나다 18.1 16.5 미국 13.1 13.4 14.5 15.9 16.2 영국 16.7 17 19 21.1 20.5 일본 10.6 11.4 18.6 18.7 호주 13.6 16.0 한국 2.9 5 6.9 7.5 터키 4.3 7.6 10.5 멕시코 3.6 5.8 7.0 7.2 OECD평균 16 19.4 20.6 19.3 사회복지란 무엇인가? 30/53

24 OECD국가의 1인당 GDP 2005 2007 2010 스웨덴 31,358 33,354 32,354 노르웨이 39,169 40,422 38,656 핀랜드 28,836 29,796 덴마크 30,219 31,501 29,575 아이슬랜드 -- 프랑스 40,591 독일 26,641 28,339 28,434 네델란드 30,638 32,797 32,215 이태리 25,989 26,563 24,711 오스트리아 30,324 32,289 32,065 캐나다 30,735 31,627 30,853 미국 37,641 38,642 38,938 영국 36,298 일본 27,140 28,347 26,309 호주 31,209 32,424 32,273 한국 20,918 22,973 24,815 터키 멕시코 10,438 11,135 10,451 OECD평균 26,211 27,389 26,175 사회복지란 무엇인가? 30/53

25 사회복지란 무엇인가? 30/53

26 1인당 GDP vs 담세율(2010) 조세부담율 국민부담율 1인당 GDP 덴마크 48.1 48.9 29,575 핀란드 31.3
43.0 29,796 노르웨이 35.2 43.4 38,656 스웨덴 36.6 48.2 32,354 오스트리아 27.3 41.9 32,065 벨기에 31.0 44.4 ---- 독일 21.9 36.2 28,434 네델란드 25.1 38.0 32,215 스위스 22.7 29.7 호주 30.6 32,273 캐나다 28.4 33.3 30,853 아일랜드 27.6 32.2 뉴질랜드 36.7 36.0 미국 28.3 38,938 일본 17.7 27.9 26,309 한국 21.1 28.7 24,815 OECD평균 26.8 36.8 26,175 1인당 GDP vs 담세율(2010) 사회복지란 무엇인가? 30/53

27 1인당GDP vs 담세율(2010) 국민부담율 담세율 사회복지란 무엇인가? 30/53

28 → 사름 → 삶 → 사람 희노애락이 있어야(존재) 희노애락을 느껴야(향유) 희노애락을 나누어야(대화)
4. 인간다운 삶에 대한 재해석 → 사름 → 삶 → 사람 희노애락이 있어야(존재) 희노애락을 느껴야(향유) 희노애락을 나누어야(대화) 사회복지란 무엇인가? 30/53

29 Ⅳ. 거시적 접근방법 미시적 접근방법 정책 Social Policy 행정 Social Work Administration
Ⅳ. 거시적 접근방법 정책 Social Policy 행정 Social Work Administration 조사 Social Work Research 운동 Social Action, 운동 Movement 미시적 접근방법 사회복지실천이론(Case Work, Group Work, Community Organization, Social Development), 사회복지실천기술(치료기술) 사회복지란 무엇인가? 30/53 사회복지란 무엇인가? 18/47

30 Ⅳ. 사회복지의 방법 미시적 방법 거시적 방법 사회복지실천 이론 Theory of Social Work Practice
사회복지실천기술 Skill of Social Work Practice(techniques, Art) 거시적 방법 사회복지정책 Social Policy 사회복지행정 Social Administration 사회복지조사 Social Research 사회복지행동 Social Action, 사회복지운동 Social Movement 사회복지란 무엇인가? 30/53

31 사회복지의 분야 거시적 복지 – 사회, 전체 국민 : 보편적 복지 사회보험(연금, 건강, 산재, 고용보험)
거시적 복지 – 사회, 전체 국민 : 보편적 복지 사회보험(연금, 건강, 산재, 고용보험) 미시적 복지 – 사회적 약자 : 선별적 복지 (공공부조, 사회복지서비스) 개인, 집단, 문제영역, 계층, 지역 사회복지란 무엇인가? 30/53

32 사회복지란 무엇인가? 30/53

33 좀 쉬었다 합시다.... 수고했습니다. 사회복지란 무엇인가? 30/53

34 Ⅳ. 사회복지의 전문직성 사회복지의 실천체계 사회복지사제도의 의의 사회복지사의 자격 2019-05-05
사회복지란 무엇인가? 30/53

35 사회복지사가 갖추어야 할 조건 가치체계 70% 지식체계 20% 기술체계 10% 사회복지 실천이론 사회복지 실천기술
노인, 아동, 가족, 장애인, 저소득층, 사회복지행정, 사회복지정책, 사회복지 역사, 사회복지조사… 가치체계 70% 인간존중정신 인간애(人間愛) 사회복지란 무엇인가? 30/53

36 사회복지사가 갖추어야 할 조건 가치체계 70% 지식체계 20% 기술체계 10% 심리학, 정신의학, 교육학…
사회학, 심리학, 정치학, 경제학, 의학, 생물학, 법학, 문화인류학..... 가치체계 70% 철학, 신학, 윤리학, 인간학, 법학… 사회복지란 무엇인가? 30/53

37 불교의 삼시(三施) : 보시(布施) 보시(布施) : 재시(財施) : 법시(法施) : 무외시(無畏施) :
깨끗한(순수한) 마음으로 법(法)이나 재물(財物)을 아낌없이 여러 사람에게 베풂. 재시(財施) : 가난한 사람에게 재산, 입을 것, 먹을 것을 베풂. 법시(法施) : 앓는 이나 외로운 이에게 기쁨을 베풂. 남에게 타일러 깨달음을 베풂. 무외시(無畏施) : 중생을 온갖 두려움에서 구하여 건져 줌. 사회복지란 무엇인가? 30/53

38 그리스도교의 사랑 하느님 사랑 인간(이웃) 애주애인(愛主愛人) 동일시(同一視) 2019-05-05
사회복지란 무엇인가? 30/53

39 불교의 자비(慈悲) : 나눔 내용 사회사업 불교 능력(能力) 전문적(專門的) 서비스 법시(法施) 재물(財物) 시간(時間)
인적(人的) 서비스 물적(物的) 사회사업 불교 재시(財施) 무외시 (無畏施) 법시(法施) 사회복지란 무엇인가? 30/53

40 사회복지사 전문직; Profession Vocation Business(이익창출)≠profession(봉사)
전문적인 지식이나 기술이 필요한 직업. White collar Vocation 직업, 장사, 일, 신의 부르심(神命), 천직(天職), 사명(Mission) (특정의 직업에 대한) 적성, 재능, 소질. Business(이익창출)≠profession(봉사) job, occupation, work, Blue collar Gray collar 사회복지란 무엇인가? 30/53

41 Ⅰ. 전문직: Profession 전문적인 지식이나 기술이 필요한 직업.
1. 전문직의 조건 W.A.Friedland & R.Z.Apte Special competence(특별한 능력) Distinct techniques(탁월한 기술, 확실한 기술) Practitioner :실천가(실력향상을 위해 끊임 없이 노력하는), 전문직 종사자 전문지식과 기술 책임성 사회복지란 무엇인가? 30/53

42 2. 전문직과 실무교육 전문직(Profession) : 실무교육 없는 전문직 : 사회복지사, 교수 가치관, 이론, 실천기술
성직자 : (聖) 이론교육과 실무교육을 병행 법률가(판사•검사•변호사) : (正義)사법연수원 의사 : (생명)인턴, 레지던트 교육자 : (人格)초•중•고등학교 교사-교생실습 실무교육 없는 전문직 : 사회복지사, 교수 ※실무교육(실습)이 없으면 수 많은 시행착오를 겪게 된다. 사회복지란 무엇인가? 30/53

43 사회복지사업의 전문직성 고도의 개인적 책임감을 수반하는 지적 활동이다. 계속적인 실험과 연구를 통하여 새로운 지식을 습득한다.
이론을 실제에 적용한다. 전문화된 교육적 훈련의 소지와 그 전달성. 전문직업의 조직성과 이익의 향상 공공복지에 대한 깊은 관심과 사회적 목적의 성취 사회복지란 무엇인가? 30/53

44 개인적 책임감을 수반하는 지적 활동 사회복지사업은 심리학, 사회학을 비롯하여 의학, 생물학, 철학, 정치학, 경제학, 정신분석학---등 여러 인접학문의 지식을 바탕으로 해서 개인, 집단, 지역사회를 실제로 다룰 수 있는 사회복지사업의 고유한 이론과 기술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사회복지사는 구체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 최선을 다 하고 클라이언트에 대한 직무수행의 책임을 진다. 사회복지란 무엇인가? 30/53

45 Ⅱ. 사회복지사제도 1. 사회복지사제도의 변천과정 연도 제도의 내용 1970. 4 1983. 5. 1999. 4.
2005. 「사회복지종사자」 자격제도 신설 「사회복지사」로 명칭변경(1,2,3급으로 구분) 2003년부터 1급은 국가시험으로 ※「사회복지학과 졸업」→「이수과목」기준 제1회 「사회복지사」1급 국가시험 시행 시험과목(필수) 변경 사회복지란 무엇인가? 30/53

46 2. 사회복지관련교과목 필수(10)과목 사회복지개론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사회복지정책론 사회복지법제 사회복지실천론
사회복지실천기술론 사회복지조사론 사회복지행정론 지역사회복지론 사회복지현장실습 사회복지란 무엇인가? 30/53

47 3. 선택과목 중 4과목 이상 아동복지론/ 청소년복지론/ 노인복지론/ 장애인복지론/ 여성복지론/ 가족복지론/ 사회문제론/
자원봉사론/ 정신보건사회복지론/ 사회복지지도감독론/ 산업복지론 / 의료사회사업론/ 학교사회사업론/ 정신건강론/ 교정복지론/ 사회보장론/ 사회복지자료분석론/ 프로그램개발과 평가/ 사회복지발달사/ 사회복지윤리와 철학/ 사회복지란 무엇인가? 30/53

48 4. 1급 국가시험과목 사회복지기초 사회복지실천 사회복지정책과 제도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사회복지조사론 사회복지실천론
사회복지실천기술론 지역사회복지론 사회복지정책과 제도 사회복지정책론 사회복지행정론 사회복지법제론 (사회보장론 포함) 사회복지란 무엇인가? 30/53

49 5. 사회복지사자격 획득방법 전문대, 대학(필수 10, 선택4) 대학원(필수 6, 선택 2)
5. 사회복지사자격 획득방법 전문대, 대학(필수 10, 선택4) 대학원(필수 6, 선택 2) 학점은행제(대졸자는 필수 10, 선택 4) 사이버대학(사회복지과목 이수) 사회복지사 양성과정(시설종사자 12주, 24주 과정; 공무원과정(8급, 3년 이상, 4주) 사회복지란 무엇인가? 30/53 사회복지란 무엇인가? 18/47

50 사회복지사업의 분야 방법 : 실천분야 : 문제영역 : 개별사회사업, 집단사회사업, 지역사회복지
사회복지사업의 분야 방법 : 개별사회사업, 집단사회사업, 지역사회복지 실천분야 : School Social Work, Health Care(의료복지), Occupational Social Work. 문제영역 : 정신건강, 알코올/약물 중독, 교정사회사업, 지적 장애, 장애인복지 사회복지란 무엇인가? 30/53 사회복지란 무엇인가? 18/47

51 인구집단 : 방법론적 기능 : 지역 : 아동복지, 노인복지, 청소년복지
Clinical(임상) Social Work, Social Planning, Community Organization and Development, Social Research, Social Work Education, Social Work Administration, 사례관리 지역 : Rural(농촌), Urban(도시), Neighborhood 사회복지란 무엇인가? 30/53

52 대상의 규모(Size of Target) :
대상의 규모(Size of Target) : 개인( micro), 가족(mezzo), 집단 또는 조직(macro) 특수치료요법 : 행동수정요법, 자아심리요법, 게스탈트심리요법 A. Minahan & A. Pincus, “Conceptual Frameworks for Social Work Practice”, ‘Social Work’, Vol.22 No.5(1977),p.351. 사회복지란 무엇인가? 30/53 사회복지란 무엇인가? 18/47

53 Ⅴ. 사회복지의 변천과 미래 전망 제1의 길 : 보수주의(우파)의 길 제2의 길 : 사회민주주의(좌파)의 길
절대다수의 절대빈곤이 사회문제의 핵심 사회보험, 공공부조, 사회복지시설 수용 보호 제2의 길 : 사회민주주의(좌파)의 길 가족의 복지기능 상실이 주된 문제 수발서비스, 전문적 서비스 제3의 길 : 신자유주의(우파 or 신중도 좌파)의 길 비인간적 삶이 이 시대의 문제 핵심 이웃끼리의 삶의 나눔 자원봉사활동, 공공모금활동 사회복지란 무엇인가? 30/53

54 복지 이데올로기의 변화와 복지의 변화형태 복지문제 서비스 내용 전달주체 재정 이데올로기 제1단계 빈곤 사회보험, 공공부조,
시설수용 공행정체계, 민간시설 국가, 자치단체, 민간법인 제1의 길 : 보수주의(우파) 제2단계 가족의 복지기능 상실 수발서비스, 전문적 서비스 전문사회복지사, 일반사회복지사, 자원봉사자 제2의 길 : 사회 민주주의 (좌파) 제3단계 비인간적인 삶 삶의 나눔 전문사회복지사, 일반사회복지사, 자원봉사자, 지역주민 민간법인, 공동모금 제3의 길 : 신자유주의 (신중도좌파) 사회복지란 무엇인가? 30/53

55 수고했습니다.... 수고했습니다. 사회복지란 무엇인가? 30/53


Download ppt "사회복지란 무엇인가? 경북대학교 사회복지학과 명예교수 박 석 돈 http://www.parksimon.com."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