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문화의 맥락화 문화관광론.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문화의 맥락화 문화관광론."— Presentation transcript:

1 문화의 맥락화 문화관광론

2 목차 맥락과 문화 음악의 맥락화: 매개의 문제 문화유물론 일상으로서의 문화: 공동문화의 문제 감정의 구조: 맥락화 문제 I.
II. 음악의 맥락화: 매개의 문제 III. 문화유물론 IV. 일상으로서의 문화: 공동문화의 문제 V. 감정의 구조: 맥락화 문제

3 I. 맥락과 문화 0. 맥락 1) context: 어떤 일이나 사물이 서로 연관되어 이루는 줄거리
2) 맥락 이해의 기능: 시간 속에서 대상의 이면의 흐름을 파악 3) 맥락의 실체: 사건의 배경, 원인, 전개 등의 흐름

4 I. 맥락과 문화 1. 기존 문화의 이론화 2. 그 후의 문화의 이론화
-문화의 연구 초점: 문화가 사회변동, 사회화, 일상생활에서의 역할 2. 그 후의 문화의 이론화 1) 마르크스주의 이론가: 문화형식(예술, 문학 등)과 문화간의 관계를 해명하고자 미학적 문제에 기반한 문화이론 제기 2) 그람시(마르크스주의자), 베버, 짐멜, 파슨스(사회학자) : 문화의 자율성 증대와 이 문제를 다룰 분석적 개념을 발전시킬 필요가 있다는 데 깊은 관심을 가짐

5 I. 맥락과 문화 3. 문화의 자율성과 그것의 토대가 되는 사회적 맥락간의 연관관계 추적 실패 -모호하게 철학적으로 이론화
-문화산업이나 핵심적 가치체계와 같은 균질화를 특징으로 하는 개념에 동화됨 *결과: 문화와 사회간 역사적 관계, 능동적 인간행위자 관련 개념 제거 4. 문화의 이론화 -Who, What, relation(행위자와 문화적 전통 및 특정 사회구성체와의 관계) *문화의 생산과 재생산을 통제하는 메커니즘은 무엇인가? *사회집단의 미시적 수준과 전체 사회의 거시적 수준간의 연관관계 성격? -문화의 외적 구성요소와 내적 구성요소? *문화 구성요소: 기술, 상징, 언어, 예술, 가치, 규범

6 I. 맥락과 문화 5. 문화의 구성요소 물질문화 생활에 필요한 재화(의식주 관련)과 기술
-요소: 음식, 의복, 주택, 기술, 무기 등 비물질 문화 제도 구성원의 행위를 규제하거나 규정하는 규범 ㄸ 원리 -요소: 가족, 친족, 혼인, 정치, 경제, 법률, 교육 등 제도 관념 개인이나 집단이 가지는 의미나 가치(행위의 방향을 제시) -요소: 신화, 전설, 철학, 언어, 문화, 예술 등 Baldridge, J. V 의 문화분류 1) 경험적 문화: 주어진 자연 및 사회적 환경에서 얻은 기술과 지식의 축적 2) 심미적 문화: 아름다움에 대한 미적 기준을 제시 3) 규범적 문화: 행동의 가치를 제시하고 판단 기준을 제공

7 II. 음악의 맥락화: 매개의 문제 1. 문화, 예술, 음악에 대한 연구 1) 예술가의 사회적 배경과 예술형식의 상응유형 탐구
-아도르노: 종래의 방법을 mediation through the social whole 로 대체 *미적 내용과 사회적 맥락의 관계는 변증법적인 것임 *음악연구를 통해 외적인 사회적 힘들(사회적 맥락)이 음악구조에 어떻게 진입하여 그것의 내적인 형식적 속성들을 틀 짓는지의 문제를 제기  음악은 사회의 ‘생애과정’을 간접적으로 거의 무의식적으로 묘사하며, 현실을 표현하고, 해석하고, 비판한다고 주장 왜? 음악형식은 사회의 이율배반을 내화하고 있고, 음악의 언어는 현존 사회의 모순과 결합을 ‘묘사하기’ 때문  사회적 모순은 음악형식 속으로 ‘침전’되고 음악은 이런 방식으로 긴장들과 대립하고 또 그것을 극복할 필요성을 표현한다.

8 II. 음악의 맥락화: 매개의 문제 1. 문화, 예술, 음악에 대한 연구  음악은 그 자신의 내적 동학을 통해,
즉 단순화된 의사소통 양식을 거부하고 또 시장원리에의 순응을 거부하는 것을 통해 ‘주체의 해방’을 확인함 음악형식 내의 ‘균열’과 ‘분열’은 ‘문화의 약속’ 즉 자유의 약속, 다시 말해 유토피아를 위한 투쟁을 선포함 고전음악 (베토벤) 속에서 -역동적 긴장: 사회문제를 상징 -교향곡의 재현부의 ‘긍정적 제스처’ 속에서 인간해방에 대한 찬양

9 II. 음악의 맥락화: 매개의 문제 1. 문화, 예술, 음악에 대한 연구 2) 후기 고전음악 작곡
-실용적으로 자본주의 소비시장에 순응하며, 좀 더 ‘편파적이고’, 덜 자율적이고, ‘퇴락한’ 음악을 생산 이제 음악은 사회를 ‘역동적인 전체로서’ 표현하지 못하고 오히려 ‘열련의 상황’으로 묘사함 3) 예술의 구분: 아도르노 (1) 진보적 예술: 소비주의 문화의 수용을 거부하는 예술 (2) 반동적 예술: 자본주의적 합리성에 굴복한 예술 4) 예술작품과 맥락 -예술작품이 자신의 자율적인 영역 내에 존재하기는 하지만 동시에 사회에, 즉 특정한 생산양식과 그것이 수반하는 사회구조에 의존성

10 III. 문화유물론 문화적 마르크스주의 1) 개념: 총체성, 매개, 실천, 문화의 물질성과 같은 개념을 통해
토대-상부구조 모델을 재평가하는 목적의 시각 2) 그람시 (1) 기여: 문화가 근대사회의 경제구조와 정치구조로부터 찾는 대표적인 자율성을 강조  사회변동과 사회통합에서 문화가 수행하는 역할 규명 (2) 강조: 문화의 규범적 요소-능동적 행위자는 가치를 성찰적 으로 내면화하기 때문 3) 프랑크푸르트학파 -문화산업: 일반 대중의 의식을 지배하는 이데올로기로서 사회 위에 군림하여 하향식으로 작동 2. 정통 마르크스주의 문화이론 1) 접근: 문화생산을 계급이해와 직접적으로 일치시킴 2) 이론가: 루카치, 앙탈, 하우저

11 III. 문화유물론 3. 문화유물론 1) 개념: 맥락화 이론으로 비판이론의 내재적 비판과 그람시의
객관적이고 역사에 기반한 분석간의 다리 놓음 2) 윌리엄스 -문화유물론 과제: 작품이 만들어지고 처분되는 구체적 관계를 분석 -문화: 생산적 실천 그 자체의 양식 -문화적인 것과 사회적인 것 간의 연관관계에 대하여 경제적 생산과 문화적 생산 모두 복잡한 형태의 행위들을 수반하는 실천의 양식들로 파악

12 IV. 일상으로서의 문화: 공동문화의 문제 문화의 의미에 대한 논쟁: 영국
1) Arnold, Mathew & Ruskin, John: 19ㅅ 작가 (1) 문화: 이상적 가치 영역(목적의 숭고함, 형식의 아름다움) (2) 비문화: 기계적, 탈인간화된 산업사회의 비문화 2) 리비스 -Mass civilization and minority culture(1930) -연구중점: 문화를 특정한 사회-역사적 구조 내에서 맥락화 시도 -문화: 민중적 전통의 측면에서 진정한 가치의 기반으로 간주된 보통 사람들의 삶이 어우러지는 공동체 및 장소와 관련된 인식으로 정의 -근대문화: 적극적 규범적 역할을 할 수 없다고 주장 파편화되고 원자화된 문화는 문학의 진정한 ‘살아 있 는 전통’을 쇠퇴시키고 명석하고 교육받은 유력한 독자층을 붕괴시킨다고 봄

13 IV. 일상으로서의 문화: 공동문화의 문제 문화의 의미에 대한 논쟁: 영국 3) T. S. Eliot
The idea of a Christian society(1939), Notes towards a definition of culture(1948) 문화: 상이한 사회집단과 세대들을 특징짓는 ‘감정과 행위의 양식’으로 정의; 문화를 지속성과 전통과 연계시킴 -문화가치: 관료제적, 회일적인 대중사회의 발전 속에서 창조적인 문화적 가치가 경력하게 위협받고 있다고 봄 4) Williams Culture and society(1955), The long revolution(1961) 기계론적 토대-상부구조모델 거부 문화: 의사소통 관계에 참여하는 사람들의 배후에 위치한다고 암시 문화개념을 획일적, 응집적이기 때문에 문화적 차원, 제도, 형식 등을 둘러싼 투쟁을 주변화함

14 V. 감정의 구조: 맥락화의 문제 1. 감정구조와 문화 1) Williams
(1) 감정구조: 모든 실제 공동체들 속에서 공동체를 사로잡고 있는 매우 심원하고 광범위한 감정 -기능: 물질적 힘(사회구조, 사회제도)를 자유롭게 넘나들면 시대를 분석함 -효과: 상이한 사회집단들이 활동하는 사회공간을 평준화 (2) 문화: 하나의 물질적 생산과정, 즉 사회질서가 ‘소통되고 재생산되고 경험되고 탐구되는 하나의 의미체계’ (3) 헤게모니: 문화주의적 측면에서 실천, 가치, 욕구를 축으로 구축된 살아있는 과정으로 정의

15 V. 감정의 구조: 맥락화의 문제 1. 감정구조와 문화 1) Williams (4) 문화적 생산의 3 수준
-잔여문화 수준: 과거문화들로 구성되어 현재 삶을 인도 -신생문화 수준: 지배문화에 대립 또 대안을 제공할 수 있는 새롭게 발전하는 관행, 의미, 가치들 -지배문화 수준: 대안적이고 대립적인 가치들을 통합하고자 하는 많은 관행과 경험들 속에 확산된 문화 (5) 비판 -맥락화의 문제 부적절? -사회집단간의 사회적 투쟁이 갖는 문제를 다루지 않음? -계급과 집단이 문화와 문화형식의 창조에서 수행하는 역할? -개념의 추상성? * 제도, 이데올로기, 행위자(수동성, 능동성), 문화


Download ppt "문화의 맥락화 문화관광론."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