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현대사회의 이해 주. 일탈과 범죄 배 상 훈 사회화, 일탈, 범죄 범죄와 공간의 사회학 사이코패스와 프로파일러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현대사회의 이해 주. 일탈과 범죄 배 상 훈 사회화, 일탈, 범죄 범죄와 공간의 사회학 사이코패스와 프로파일러"— Presentation transcript:

1 현대사회의 이해 1 2 3 2주. 일탈과 범죄 배 상 훈 사회화, 일탈, 범죄 범죄와 공간의 사회학 사이코패스와 프로파일러
교시: 사회화, 일탈, 범죄 2 교시: 범죄와 공간의 사회학 3 교시: 사이코패스와 프로파일러

2 생각해보기 범죄의 의미 공포와 개인화, 누가 누구를 무섭게 하는가? 위험사회, 사고사회

3 학습내용 1. 일탈행동 1) 규범과 일탈 '사회적인 규범이 있다'는 것은, 규범을 위반/파괴하는 행동이 존재한다는 것을 전제로 하는데 이런 행동이 일탈행위 가치와 규범의 목적은 사회질서의 유지 사회의 가치나 규범으로부터 벗어난 행동이 곧 '일탈' 일탈행동 <deviant behavior> (逸脫行動) 사람들의 기대에 어긋난 행동 사회적 규범으로부터의 이탈 (민습, 원규, 법규범 등을 지키지 않는 것) 사회적 역할/가치를 받아들이지 않아 충실히 역할수행을 하지 않는 경우 사회적 가치를 내면화하지 못하는 경우 범죄·비행·마약·알코올 중독·매춘·폭력뿐 아니라 속어·은어·비어의 사용 신의 모독, 정치·경제에 관한 과격한 언동도 포함

4 1. 일탈행동 2) 일탈행동에 대한 이론적 접근1 특정한 인간이 왜, 어떻게 일탈자가 되었는가 1. 개인주의적 접근
일탈을 생물학적/심리적 문제(개인적인 차원의 문제)로 인식 일탈행위의 원인을 생물학적 특성/유전적인 결함/정신적인 결함에서 찾음 심리학적 이론에 의하면 일탈자는 초자아(super ego)의 미발달로 인해 동물적인/원시적인 충동을 적절히 통제하지 못해 일어난다고 설명 프로이트는 자아를 id(libido), ego, super-ego 등 세 가지로 나눔 여기에서 id와 ego를 조정하는 역할을 하는 자아가 super-ego 사회적으로 통제/제약되는 자아가 초자아인데 이것이 바로 양심. 프로이트에 의하면 범죄/일탈은 초자아를 발전시키지 못하기 때문에 -> 사회화 과정에 실패하기 때문에 발생한다고 봄 초자아가 미발달로 범죄나 일탈이 발생한다는 것 -> 범죄는 개인적인 자아의 문제라는 것

5 1. 일탈행동 2) 일탈행동에 대한 이론적 접근1 2. 개인주의적 접근의 이론적 한계
개인주의적 접근은 개인이 일탈자가 되는데 있어서 작용하는 개인의 생물학적/심리학적 특성은 밝혀주지만, 일탈의 양과 질이 왜 지역간/사회간에 다른 차이를 나타내는가 하는 이른바 '일탈의 사회성'에 대해서는 적절한 설명을 하지 못하고 있음. 개인주의적 일탈이론은 이데올로기 측면에서 '현상유지적'이고 '보수적'이기 때문에, 일탈자는 모두가 개인적인 결함을 소유한 자로 파악함으로써 일탈의 궁극적 책임을 모두 개인에게로 돌리고 있음. -> 따라서 일탈에 대한 사회의 책임에 대해서는 눈감고 있음

6 1. 일탈행동 3) 일탈행동에 대한 이론적 접근2 1. 구조기능주의적 접근
구조기능이론은 일탈의 원인을 개인이 아니라 사회에서 찾음. Robert Merton 일탈의 원인이 "사회성원이 추구하는 문화적 가치와 그 목표를 달성하는 수단으로서의 행동을 규제하는 제도적 규범이 늘 통합되어 있지 않은 것"에 있다고 봄 일탈의 원인을 인간의 생물학적 요인보다는 사회구조적인 측면으로 설명 사회문화적 요소 가운데 가장 중요한 두 가지는 문화적 목표(cultural goals) 목표 달성을 위한 제도화된 수단(institutionalized means) 문화적 목표와 제도화된 수단 사이에서 개인이 적응하는 모습을 도식화

7 1. 일탈행동 3) 일탈행동에 대한 이론적 접근2 머튼의 도식화
1. 동조형 Conformity:문화적 목표, 제도화된 수단 모두 수용하는 사회적응형   -> 사회적으로/물질적으로 성공하기 의해 합법적 방식( 교육, 근면, 절제 등) 으로 열심히 노력하는 사람들 2. 혁신형 innovation: 목표는 수용, but 수단은 거부 -> 사회의 문화적 목표에 동의하면서도 제도적 규범을 내면화하지 않고 어떻게든 성공하려고 비정상적인 수단을 사용하는 유형, -> 목표성취를 위해서는 위법적인 행동도 불사 3. 의례주의형(예범형) Ritualism :사회가 강조하는 문화적 목표에 대해서는 무관심하거나 거부하면서 제도적으로 마련된 수단과 절차는 지키는 사람 -> 사회질서를 문란하게 하거나 사회혼란을 야기하지는 않지만 사회발전이라는 측면에서는 바람직하지 못한 유형

8 1. 일탈행동 3) 일탈행동에 대한 이론적 접근2 머튼의 도식화
4. 은둔형, 패배형 Retreatism: 문화적 목표와 제도적 수단을 모두 거부하거나 목표,규범을 내면화하지 못하는 유형 -> 이들에게는 지킬 기준이 되는 목표나 규범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보통 이들은 자기만의 세계에 파묻혀버리는 유형 5. 반역형 Rebellion: 기존 사회의 문화적 목표와 제도적 수단을 모두 거부, 그러나 은둔형과는 달리 기존의 문화적 목표나 제도적 수단을 새로운 것 으로 대치하려는 사람들 -> 기존 사회체제에 대해 저항하고 새로운 사회질서를 추구하는 유형 머튼은 동조형을 제외한 나머지를 일탈행동의 4가지 유형으로 봄 일반적으로 모든 사회에는 동조형이 보편적임 ->사회 지속, 유지됨. 머튼은 아노미현상이 문화적 목표와 제도화된 수단간의 부조화에서 발생 집단목표와 규범체계의 부조화와 혼란으로 사회적 와해현상 발생 여기에 대한 반응으로 일탈행동이 나타남 -> 머튼의 아노미론

9 1. 일탈행동 4) 일탈행동에 대한 이론적 접근3 3. 통제론적 접근 - 갈등론과 낙인이론 갈등론의 해석
일탈이 과연 사회적 와해에 대한 반응인가에 대해 의문 제기 규범은 지배집단의 이해를 반영하므로 지배집단의 규범에 동조하지 않는 행동은 보통 일탈적이라고 규정될 수 있다는 것 낙인론 (labeling theory): Becker, Erikson 등의 낙인이론가 일탈은 어떤 고정적/불변적인 속성을 지니고 있다는 실재론적 가정에 대한 비판으로부터 출발 일탈은 사람이 저지르는 행위의 속성으로 실재하는 것이 아니고 -> 사회적 정의(social definition)일 뿐 어떤 행위가 일탈인가 아닌가는 사회마다 다르고 특정사회 내에서 동일한 행위라도 일탈행위일수도 아닐 수도 있다는 것 예를 들어 모르핀으로 만든 진정제를 혈관에 투입하는 행위는 분명 일탈이지만 간호원이 의사의 지시로 그렇게 했다면 일탈이 아니라 의료행위임

10 2. 사회통제 1) 개념 사회통제 <social control> (社會統制)
모든 사회는 사회적 규범에 동조하는 행위에 대해서는 보상을 주고 그것을 어기는 행위에 대해서는 제재를 가함. 동조를 장려하고 일탈을 억제하면서 일탈행위에 대해서는 통제를 가하려는 일련의 사회적 노력이 사회통제. 사회통제의 목적 내지 기능은 사회의 기존질서를 유지 사회가 바라는 대로 행동한다는 것은 기존의 사회질서 유지에 어긋남이 없다는 것 질서가 있다는 것은 사회통제가 제대로 작용하고 있다는 것

11 2. 사회통제 2) 사회통제의 방법 1. 규범의 내면화 개인이 그 규범을 자기 것으로 만드는 일 2. 비공식적인 사회통제
규모가 적고 인간적인 관계가 유지되는 1차 집단(원초적 집단)에서 주로 이루어짐 3. 공식적 통제 국가로부터 해당권력을 위임 받은 공식기관(경찰, 검사, 판사, 교도관 등) 이 일탈자에게 가하는 합법적인 제재(formal control) 규모가 크고 이질적이고 복잡한 사회의 질서유지를 위해 필요한 통제방법 명문화된 사회규범인 법을 위반했을 경우에만 적용


Download ppt "현대사회의 이해 주. 일탈과 범죄 배 상 훈 사회화, 일탈, 범죄 범죄와 공간의 사회학 사이코패스와 프로파일러"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