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wnload presentation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1
8. 금후 식량 수급 전망 가. 식량 수요 전망 나. 식량 생산 전망 다. 세계와 한국의 식량 수급 전망
2
가. 식량수요 전망 0 세계 각국의 지역성 특성이 많이 다르기 대문에 앞으로의 식량 수급을 전망 하기는 매우 어렵다.
0 여러 가지 요인을 종합하여 금후 20-30년 후의 식량 사정을 추정 0 “2015/2030의 세계식량 전망” : 세계식량기구에서 2002년 남아공에서 개최된 “세계식량정상회담” 에 보고
3
인구 증가와 소득 증가 0 세계의 인구 증가 - UN 추정 : 61(’00) → 72(’15) → 83(’30) → 93억(’50) 0 인구 증가율 : 2.04(’60대) → 1.35(’00) →1.1%(’15) - 인구 증가율은 지역 국가에 따라 큰 차이 - 선진국( 특히 한국 일본 등)은 인구 감소 추정 - 사하라 이남 , 중동, 동남아시아 증가 예상 0 기아 인구 - 815(’92) → 615(’15) → 440백만 명(’20) - 동남아시아는 크게 감소 될 것으로 추정 -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는 약간 감소 하나 ’90년 보다는 많을 것으로 추정
4
0 인구 증가율과 국민 총생산 증가 지 역 인구 증가율(%) GDP 증가율(%) 인당 GDP증가율 (%) 2015 2030
지 역 인구 증가율(%) GDP 증가율(%) 인당 GDP증가율 (%) 2015 2030 0 세 계 0선진공업국 0 개도국 - 사하라이남 - 중동북아프 - 중남미 - 남아시아 - 동아시아 0 동구권 1.2 0.4 1.4 2.6 1.9 1.3 1.6 0.9 -0.2 0.2 1.1 2.2 1.5 0.5 -0.3 3.5 3.0 5.1 4.4 3.7 4.1 5.5 6.1 3.8 4.5 3.9 5.4 6.3 4.0 2.3 1.8 2.8 5.3 2.9 2.4 4.3 5.8
6
2) 주요 작물의 수요 증가 0 총 수요 증가량 : 2.5(’70) → 1.9(’80) → 1%(’90)
0 일인당 수요량 : 344(’70) →317kg(’90) * 수요 증가량, 인당 수요량은 점차 감소하여 왔음 * 특히 인구가 많은 중국, 인도 등 소비량이 안정됨 0 곡물 수요량 : 1.2% (2030) - 매년 10억 톤의 곡물이 추가로 요구될 전망 - 선진국은 사료 곡물 소비량이 증가할 것으로 추정 0 주요 곡물의 소비량 < 밀> - 전체 소비량의 31%를 차지하고 있음 - 선진국에서는 사료 곡물로의 이용이 증가 * EU에서는 45%까지 증가 될 것으로 추정 ⇒ 밀의 소비량은 증가 될 것으로 추정함
7
<쌀> - 총 소비량의 21%를 차지함 - 대부분의 쌀은 직접 식량으로 이용되고 있음 - 선진국에서는 계속 감소, 개도국에서는 20-30년 사이에 다소 감소할 것으로 추정 ⇒ 아시아의 인구 증가가 크므로 전체 소비량 증가 추정 <잡곡> - 60% 정도 사료곡물로 활용 하나, 아프리카에서는 80%가 식량으로 활용 ⇒ 잡곡의 사료곡물로 이용은 점차 증가 될 전망 <땅속 줄기, 뿌리 작물> - 소비량은 점차 감소 추세임 - 가축 사료로 이용한다면 다소 증가 될 전망
9
3) 축산물의 수요 전망 0 일 인당 육류 소비량 전망 지 역 1965 1985 1998 2015 2030 0 세 계
(단위 : kg/인/년) 지 역 1965 1985 1998 2015 2030 0 세 계 0 선진 공업국 0 동유럽, 구공산권 0 개발도상국 - 사하라이남 - 중동, 북아프 - 중남미 - 남아시아 - 동아시아 24.2 61.5 42.5 10.2 9.9 11.9 31.7 3.9 8.7 30.7 80.7 65.8 15.5 20.4 39.7 4.4 16.9 36.4 88.2 46.2 25.5 9.4 21.2 53.8 5.3 37.7 41.3 95.7 31.6 10.9 28.6 65.3 7.6 50.0 45.3 100.1 60.7 36.7 13.4 35.0 76.6 11.7 58.3 * 전체의 육류 소비량은 증가 할 것으로 전망 * 남 아시아의 섬 지역에서는 어류의 소비량이 크다
10
0 세계 일인당 고기 종류별 소비량 전망 * 닭고기, 돼지고기의 소비는 는 증가전망 * 소고기, 앙, 염소고기의 소비는 정체 전망임
11
나. 식량 생산 전망 1) 식물성 식량자원 가) 식량생산 전망 0 총 생산량 증가 : 55% (2030)
- 개발 도상국 : 67% (단수68, 면적 20, 이용률 12%) 0 2030년 까지 년간 1.4% 씩 생산량 증가 전망 - 지난 30년 동안은 년간 2.1%씩 증가 0 생산량 증가 요인 - 농경지 절대 면적 및 농경지 이용률 - 단위 생산량 - 생산기반 : 물, 화학비료, 농약
12
0 개발도상국의 곡물 생산에 주는 요인 식 량 자 원 수확면적확대율 (%) 단위수량 향상(%) 1961-99 1998-30 밀
쌀 옥수수 22 23 30 17 14 49 78 77 70 83 86 51 자료 : FAO, 2003
13
나) 농경지 면적 0 총 면적 : 15억 (현재) → 28억 ha 개발 가능 * 중남미, 아프리카 가능면적이 크나 개간 할 수 있는 여건 조성이 문제 (막대한 투자가 요구됨) - 경지 면적 확대 : 현재보다 12.7% (2030) 추정 * 1960부터 1990년 까지 : 26% 증가 * 경지면적 증가율이 인구 증가율을 따라가지 못함 * 우량 농지는 산업 발달로 주택, 공장, 도로로 전환 * 농경지의 사막화 : 중국, 몽고, 아프리카 등
15
다) 관개 용수 부족 0 개도국의 총면적 중 2억ha 관개시설 확보 - 금후(2030년) 20% 정도 확대 될 전망 * 동남아시아 국가 : 건기에 관개시설 부족으로 벼 재배면적 급감 0 세계는 물 부족 현상이 극심 0 수자원의 순환
17
라) 생산성 0 1960년 이후 Green Revolution에 의해서 획기적 증대 년 사이에 년 평균 2.1% 증가 년 : 밀 1.1%, 쌀 0.9 %/년 증대 전망 0 생산성 증대 요인 : - BT, IT, NT 등을 이용한 첨단 기술개발 - 유전적 요인 : 새로운 품종 개발(다수성, 내재해성 등) * 유전자원의 수집, 평가, 이용
18
- 재배적 요인 : * 새로운 재배기술 개발( 비료, 물, 방법, 관리법 등) * 비료 사용량 : 동아시아 (194), 선진국 (117) 아프리카 (5 kg/ha) * 농약 비료 : 생태환경 파괴에 크게 영향 농업 생산 기반 조성 : 경지정리, 물 관리 시스템 기계화 등 - 환경적 요인 : 기상환경, 토양환경 등 - 생산 자원 요인 : 노력, 자본, 자재 등
19
0 작물별 생산성 전망 수량성(톤/ha) - 주요 식량작물 단위 면적당 생산성증가추정
20
4) 동물성 식량 자원 가) 축산물 생산량 0 지속적으로 증가 추세로 전망 - 사육두수 : 소 24%, 양,염소 32%, 돼지 22% 증가 전망 나) 수산물 생산 0 총 생산전망 : 65(’70) → 125(’90) → 186백만 톤(’30) - 인구 증가율보다 수산물 생산량이 크다 - 1990년 이후 양식업이 크게 증가 * 전체 생산량의 26% (1999년)
21
다. 세계와 한국의 식량 수급 전망 1) 세계의 식량수급 전망 0 국제식량 정책연구소(1997) : 2020년 전망
- 개도국 도시 인구 집중 : ’93년 대비 2배 증가 * 쌀, 밀, 축산물, 과채류, 가공 식품의 소비 증가 - 식량 수요 증가 (1993년 대비) * 곡류 41%, 육류 63%, 근경류 40% 증가 예상 - 곡물 재배 면적 (’93 대배) : 5.5% 증가 - 개도국 곡물 수입(’93 대배) : 2배 이상 증가 - 대부분의 곡물가격은 하락 할 것으로 추정 0 UN FAO (2003) : 2030 전망 - 전체적인 식량의 수요와 공급은 균형 유지 - 개도국, 최빈국들은 생산 잠재력을 개발하지 못함 * 생산 및 도입 부족 : 기아, 영양 결핍 초래 - 국가간 식량의 교역은 점점 확대 전망
22
0 식량 수요 전망(FAO, 2003) 지 역 연 도 인당 수요량 총 수요량 전 체 곡 실 세 계 1999 2015 2030 317 171 1,864 2,380 2,803 1,003 1,227 1,406 개도국 247 265 279 173 1,129 1,544 1,917 790 1,007 1,185 선진국 588 630 667 159 158 525 600 652 142 150 155 동유럽, 구공산권 510 596 685 176 211 237 262 72 70 66
23
0 식량 생산 전망 (FAO, 2003) 지 역 연 도 생산량(백만톤) 교역량 자급률(%) 세 계 1999 2015 2030 1,889 2,387 2,838 9 8 101 100 개도국 1,026 1,354 1,652 -103 -190 -265 91 88 86 선진국 652 785 900 111 187 247 124 131 138 동유럽, 구공산권 210 287 1 10 25 104 110
24
세계인구 식량연쇄단계의 3부류 선진국(10억): 후진국(10억): 개발도상국(48억):
축산물로 배를 채우는 국가북미,유럽,일본,호주,아르헨티나 후진국(10억): 소득이 증가하지 않은 빈곤국가아프리카의 대부분 국가 개발도상국(48억): 소득이 꾸준히 상승하고 부유한 국가가 걸어온 길을 따라가는 국가아시아,중동,라틴아메리카
25
식량연쇄 3부류의 특징 선진국:식량연쇄의 단계를 끌어 올리고 자하는 욕구가 거의 없고
곡물소비량이 약간 감소 곡물의 축산물로의 전환효율이 높다 후진국:식품연쇄의 단계를 높여 식생활을 다양하게 하고 싶지만 그럴 능력이 없다
26
식량연쇄 3부류의 특징 개발도상국:식품연쇄 단계의 상승은 주로 아 시아 국가에 집중 되어 있다
개발도상국:식품연쇄 단계의 상승은 주로 아 시아 국가에 집중 되어 있다 중국과 인도의 축산물 소비 급증(세계 돼지고기 소비량의 절반을 중국이 차지) 중국,인도,인도네시아 등의 경제성장으로 소득이 증대하여 육류소비량이 증가하고 있다 사료용 곡물 수요량 급증 식물성 단백질 섭취동물성 단백질 섭취 돼지고기 1kg을 얻기 위해서는 4kg의 곡물필요 가금,어류 1kg을 얻기 위해서는 2kg의 곡물필요
27
세계식량수급에 대한 현황과 전망 FAO and World Bank는 낙관적 전망현재의 식량공급의 추세로 미루어 미래의 식량을 과대평가 하고 있다 그러나 현실은 예측과 골이 깊어 가고있다World Bank는 잘못 예측을 시인 월드워치연구소는 비관적 전망 지구는 만원(Full house)1944 누가 중국을 먹여 살릴 것인가?(Who will feed China?)1995 식량 대란 곤란한 선택(Tough choices)1996
28
식량공급의 불안감 세계인구 매년 9천만 명 증가 중국의 경제성장10%(13억 인구) 인도의 경제성장 6%(9억 인구)
인도의 경제성장 6%(9억 인구) 아시아 전체(31억)가 지속적인 경제성장으로 소득상승과 식품소비 고급화에 따라서 수요는 급격히 증가한다 그러나 지구환경시스템은 지속가능수준을 넘어서 파괴되고 있기 때문에 식량공급의 증대는 제약을 받지 않을 수 없다. 특히 최근 1인 당 곡물생산량과 1인 당 어획량이 급격히 감소하고 있다는 사실이 어둡게 하고 있다
29
식량공급에 대한 또 다른 불안감 뿐만 아니라 도시화와 공업화로 농지부족과 물 부족 문제로 심화되고 토지 생산성(단위면적 당 생산량)을 증대 시키기 위한 새로운 농업 기술개발 전망은 어둡다 기후변동과 이상고온으로 흉년이 자주 오고 있고 해양어장은 지속 가능한 수준을 넘어 붕괴되고 있다.따라서 FAO의 식량에 대한 미래 전망인 낙관론 보다는 식량이 부족하게 되고 곡물가격은 상승할 것이다월드워치연구소
30
세계곡물시장의 구조적 특질 세계인구의 16%이상이 만성적인 영양결핍증 상태에 있는 것은 식량생산이 인구에 비해 절대적으로 부족한 것 뿐만 아니고 잘못된 식량분배가 더욱 어렵게 한다 첫째:식량의 남북문제가 심각하다 둘째:곡물시장은 기본적으로 공급자의 과점시장 이다
31
식량의 남북문제가 심각하다 선진국(북):식량 수출국 개도국(남):식량 수입국
선진국은 포식하면서 비만을 걱정하고 있고 개도국은 절대적인 식량부족에 허덕이고 있다 세계인구의 ¼인 선진국이 곡물생산량의 절반을 차지하고 있고 저 개발국은 곡물을 빵이나 면류형태로 직접 섭취하는 것에 반해 선진국은 곡물을 가축에게 먹여 육류나 유제품 형태로 소비한다 선진국은 식량이 과잉 생산되어 처분에 어려움을 겪고 있지만 이것을 저개발국에게 나누어 주기 보다는 생산감소로 해결하고자 한다 특히 GATT나 UR타결이후 선진국은 과잉생산을 억제하기 위한 수단으로 가격지지와 같은 생산보조금을 대폭 삭감하므로 식량의 남북분제는 더욱 심각하다
32
곡물시장은 기본적으로 공급자의 과점시장 이다
곡물수출국은 소수인 반면 수입국은 다수이다. 미국:세계곡물 수출의 절반차지사우디아라비아가 석유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보다 더 크다. 농산물은 공산품과 달리 전체 생산량 가운데 세계시장에서 거래되는 교역량의 비율이 매우 적다.대부분의 나라가 자국민이 소비하고 남은 잉여 부분을 수출하므로 한계 무역적 성격을 지니고 있다
33
2) 한국 식량 수급 전망 0 총 경지 면적은 감소하고, 규모는 다소 증가될 전망
0 총 경지 면적은 감소하고, 규모는 다소 증가될 전망 - 쌀의 경우 면적이 크게 감소 하여 절대 생산량 감소 0 곡류의 소비량은 점차 감소 하나 채소와 육류는 증가 - 사료 공급을 위하여 조사료 생산 확대가 요구 0 농촌은 노동력 부족과 고령화 심화 : 생산의 둔화 0 농산물은 소비자의 기호에 맞는 고품질화 될 전망 0 농산물 시장 개방 압력 심화 : WTO, FTA 등 식량 자급률은 점차 낮아 질 것으로 전망 됨
34
가) 식량작물 자급 목표 0 작물별 자급률 목표 추정 품 목 2003 2004 2015 쌀 맥 류 두 류 서 류 채 소 과 일
품 목 2003 2004 2015 쌀 맥 류 두 류 서 류 채 소 과 일 97.4 7.0 29.0 109.1 94.6 85.0 96.5 7.6 25.0 107.6 94.3 85.2 90.0 4.0 22.0 99.0 66.0 칼로리 자급율 45.6 46.7 48.0 주식용 자급율 68.2 65.2 54.0 전체 자급률 27.8 26.8 a : 사료용 제외 주식용임 b : 쌀과 맥류 대상임 * 자료 : 최지현 식량 자급률 목표치 설정에 관한 연구. 정책보고서. 한국농촌경재연구원
35
자급 목표를 달성하려면 ? 한 평의 경지라도 확보 유지 새로운 기술 개발 1%의 자급률 상승이 필요
36
가) 식량 확보를 위한 주체별 역할 0 소비자 - 식량의 중요성 인식 - 식량 자급능력의 확보와 유지에 필요한 비용 부담에 동참 0 생산자 - 불리한 가격경쟁력 극복 → 품질 경쟁력으로 보완 - 주곡 농사 주력 : 식량안보 기능 → 정부의 소득보장 0 정 부 - 식량 안보 능력유지 : 정책목표의 명확한 설정과 실행 - 생산자들에게 식량증산 동기 부여 : 직접지불제도 정착 - 농업부문 투자액 증대, 안정된 농사 보장 - 연구개발 투자 강화 : BT, IT, NT를 이용한 첨단 신기술
37
나) 식량 자급률 목표 달성을 위하여 0 인구 증가의 조절 - 적정 인구 유지 * 인구 증가 억제 : 저개발, 개발 도상국 중심 * 선진국 진입 국가는 인구 증가 정책 : 일본, 한국 등 - 농촌 노동력 확보를 위한 농촌 후계자 양성 * 농과계대학, 4-H활동 등을 통한농업 후계자 * 세 계 : 43.9% (아시아 40-60, 선진국 2-4%) * 국 별 : 영국(1.5), 미국(2.3), 베트남(66), 중국(65), 인도(59),태국(55) 인도네시아(47) 순 * 한국 (%) : 55(’65) → 45(’70) → 28.4(’80) → 5.5(’90) → 8.6(’00) → 7.1(’05) → 6.2%(’2010)
38
- 쌀은 식량 안보차원에서 자급기반을 유지하되 소비의 감소와 수입 증가로 재고량 증가 부담은 커질 전망
0 경지 면적의 확보 유지 - 쌀은 식량 안보차원에서 자급기반을 유지하되 소비의 감소와 수입 증가로 재고량 증가 부담은 커질 전망 * 적정 재배면적 유지가 중요함 : 1 백만 ha 유지 필요 - 지력증대 : 토양유기물 확보 대책 (벼 짚 환원 대책 강구) - 경지 이용률 증대 : 총체맥류 재배면적 확대 - 농업진흥지역 (89만 ha) 지정 확대 필요 볏 짚 사료화 사료용 총체보리
39
0 품질의 고급화 및 생산성 증대 - 생산성 증대 : 품종, 재배기술 개발 (IT,BT NT 등 활용) * 쌀 : 고품질, 복합 내재해성 품종 육성 용도의 다양화, 친환경 재배기술 확립 수입 쌀 시중 판매에 적극적인 대응 * 맥류 : 식용 및 조사료 공급과 연계한 생산 보리 재배농가와 축산농가가 연계된 총체보리생산 * 두류 : 국산 콩 소비 선호가 점차 증대되고 있음 단위 면적당 수량 증대 : Yield gap의 폭을 줄임 콩 단수 : 163(’04 전국평균) → 약 300kg/10a(지적) - 조사료 : 휴경지나 답리작으로 생산을 확대 식량자급률 제고시키고, 값싼 양질의 조사료 공급
40
가뭄, 홍수, 이상저온, 이상고온, 태풍 등 0 안전성 및 지구환경 보전 대응
- 식량의 안전성 : 친환경 농업 기술 개발 보급 * GAP 제도 조기 확대 적용 * 생산 이력제 도입에 의한 안전 농산물 생산 공급 * 정밀 농업에 의한 비료 및 농약의 최소화 - 물 부족 및 기상변화 대응 * 인구증가, 경제발전 : 수요 급증 → 고갈, 오염 곡물 1kg (물 4천 리터), 고기 1kg (물 만 리터) * 산업화, 공업화 대기 오염 대기 환경파괴 엘리뇨 : 해수 온도 상승 라니냐 : 해수 온도 저온 현상 가뭄, 홍수, 이상저온, 이상고온, 태풍 등
41
0 국제경쟁력 향상 및 해외농업 투자 - 소비자 요구에 맞는 고품질 농산물 생산 공급 * 농산물의 안전성을 확보 : 소비자에 신뢰 * 우리국민의 고유의 특성을 최대화 - 우리농업기술의 해외투자확대 * 실질적이고 조사와 연구 선행 * 중국의 동북지역, 러시아의 연해주 지역 등 - 국가적인 충분한 지원이 필요 * 해외 농업인의 지속적인 영농 여건을 조성 - 해외 농업 생산물의 이용 * 평시 : 현지 또는 국제시장을 대상으로 판매 * 비상시 : 국제적 마찰을 최소화하며 국내 도입
43
건강한 삶과 작물 예나 지금이나 건강한 삶의 중심에는 작물
우리를 둘러싸고 있는 가정,가족,직장,사회관계,경제생활,정신생활,사생활,여가활동 등 삶의 요소들 가운데 나는 어떻게 처신해야 하며 그들과 나의 상호관계를 어떻게 바람직한 방향으로 발전 시킬 것인가? 현대사회에서 완벽하고 행복한 삶에 대한 일반적 정의를 내리기는 거의 불가능할지 모른다. 그 중에서 가장 기본적인 것이 “육체적 건강”이다 건강을 지키기 위해서는 음식과 의약품을 섭취하고 운동을 하며 바이오리듬에 맞추어 활동하는 등 각별한 노력이 필요하다. 영양분이 골고루 들어 있는 음식을 섭취하는 것이 건강을 지키는 기본이다. 우리에게 음식을 제공하는 것이 바로 작물과 가축이다.우리가 필요로하는 에너지의 대부분과 단백질의 70%이상을 작물로부터 얻는다
44
과학기술의 발전과 작물의 미래 현대 과학기술은 매우 빠르게 발전하고 최근 모델식물(애기장대,벼)은 염기서열이 거의 해독되고 가까운 장래에 우리가 이용하는 주요 작물과 가축들이 보유하는 대부분의 유전자들의 기능이 밣혀질 것이다. 그렇게 된다면 인간에게 유용한 유전자만 조립하여 새로운 “맞춤형생물(Designer organisms)”이 가능 할 것이다. 이때에는 동.식물과 미생물의 유전자가 인위적으로 합성한 유전자들과 혼용되어 이용될 것이기 때문에 생물의 그룹간 경계도 모호해 질것이다. 즉 족보 없는 생물 탄생 할 수 있다. 새로운 맞춤형 생물은 식량용이 되었거나 의약품 대량생산용이 되었던 지금과는 전혀 다른 모습으로 우리에게 다가 올 것이다. 만약에 현재의 작물과 가축들을 대체할 맞춤형 생물이 유전자조작을 통하여 기내에서 식품이 생산 될 경우 작물은 어떻게 될 것인가?????.작물을 재배하거나 가축을 사육하는 농업은 종말을 고할 것인가????앞으로 최소한 수십년간은 작물과 가축이 식량의 주공급원으로 지속될것에 틀림없다 적어도 작물(식물)은 가장 효율적인 유기생산시스템이고 지구상에 유일한 산소공급원이기 때문이다
45
한 학기 강의 들어주어 고맙습니다.
Similar presentations